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팔 지진 생존자들의 피해경험 실태와 심리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고주애,김슬기,장미경,이세화,황혜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6 아동복지연구소 보고서 Vol.20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네팔 지진 생존자들의 피해경험을 파악하고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개입프로그램(Filial Therapy)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지진 생존자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팔 지진피해 이후 텐트촌에 거주하는 부모와 아동 20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척도검사를 통해 생활실태와 욕구를 비롯한 심리사회적 경험과 지진 전후의 변화,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지진 전후 변화와 경험을 분석하고,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관계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적 현황, 지진에 의한 삶의 변화,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생활실태와 욕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현황에서 조사응답자 부모는 대부분이 여성이었고 문맹율이 높았다. 직업 유무에 있어 다수 무직으로 직업이 있는 경우에도 청소직이나 수공업 등에 편중되어 안정적이지 못한 수입을 갖고 있었다. 이는 네팔의 낙후한 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무직자가 많은 것도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월수입은 평균 55,000루피, 한화로 약 6만원으로 평균 수입에 못 미치는 조사응답자가 과반수를 넘었다. 이는 네팔의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금액이라고 할 수 있다. 지진에 의한 삶의 변화 분석결과, 대부분의 조사응답자가 1년 이상 텐트촌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는 부모는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는데 반해 아동은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진으로 인한 질병 발병 여부, 가족구성원의 변화, 부상·사망한 가족구성원 유무, 직업변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집안 신상 존재와 하루기도 횟수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교의 영향력이 강한 네팔의 문화적 특성에서 기인하며, 지진 이후 이와 같은 변화가 두드러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지지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는 부모와 아동 모두 자신의 삶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으며, 가까운 친구와 이웃이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부모와 아동의 절반 이상이 지역 내 회합장소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종교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조사응답자의 높은 삶의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까운 이웃이나 친구, 회합장소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시스템의 결핍을 이러한 인적 자원을 통해 해결해 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부모와 아동 모두 높은 종교 의존도를 보여 종교의 영향력이 강한 네팔의 문화적 특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생활실태와 욕구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수 자원에의 접근을 조사한 결과, 식사횟수는 하루 평균 두 끼를 섭취하고 있었으며, 식수접근성과 관련해 식수와 생활용수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식수와 생활용수는 주로 공공수도나 물탱크를 통해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텐트 촌 내 깨끗한 물의 충분한 공급과 더불어 식수위생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함을 논하였다. 아동보호실태 조사결과, 부모와 아동 대다수가 범죄 또는 폭력에의 노출경험이 없고 안전에 대한 걱정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험대처방법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실태 조사결과, 질병 발생 시 병원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는다는 응답도 비교적 높았다. 또한 1회 진료시 의료비용을 일부 내고 있었으며, 최근 2개월간 의료기관 이용 경험이 없는 비율이 더 높았다. 교육실태와 관련해서는 도보 1시간 이내 학교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고 학교까지의 소요시간도 도보 30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나 교육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좋은 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동의 학교 출석 횟수는 `주 5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과서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비중이 높았다. 이어서 방과후 활동 종류는 집안일과 학습을 꼽아 방과후 놀이 보다는 주로 집안일 또는 학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진 이후 심리치료 또는 심리정서 프로그램과 같은 심리지원 서비스 이용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용의사와 관련해 조사 대상자의 70.9%가 이용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주민의 욕구를 반영해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지진 생존자를 대상으로 심리지원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 등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각 주요 영역별 욕구를 분석한 결과 주거영역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공간 제공(주거), 더 많은 교육시간(교육), 충분한 의료서비스 이용(건강), 깨끗한 식수공급(식수위생), 안전한 주거환경 마련(아동보호)을 각 영역별 우선순위로 꼽았다. 이를 통해 지진 피해 이후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지진 생존자를 대상으로 심리지원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더불어 각 영역별 나타난 욕구의 우선순위를 근거로 주민의 욕구를 반영한 지원 및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네팔 정부의 주민의 욕구를 근거로 현 임시거주지에 대한 관리 (Camp Management), 단계별 지원계획수립, NGO/INGO 단체들의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한 규제완화 및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및 척도조사를 통한 부모와 아동의 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화 증상을 조사한 결과 높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절반 이상이 사건충격은 임상적 위험군, 성인행동문제는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화 증상은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42%가 외상증상을 갖고 있었고 아동의 행동문제에서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신체화 증상은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먼저 부모의 성인행동문제는 직업, 건강상태, 지진으로 인한 질병 발병, 지진 후 가족구성원의 변화, 삶의 만족도, 종교 의존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직업이 있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지진으로 인해 질병이 있고 가족구성원 변화가 있는 집단에서 행동문제가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와 종교 의존도가 낮은 집단이 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고했다. 신체화 증상은 무학이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집단, 지진 전 질병이 있었고 지진으로 인해 질병이 발병한 집단, 삶의 만족도가 낮고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집단이 신체화 증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행동문제는 12세 미만이고 지진으로 하루기도 횟수가 줄었다고 응답한 집단, 종교의존도가 높다고 응답한 집단의 부모들이 아동 행동문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이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지진 전 질병이 있었던 집단, 하루기도 횟수가 줄고 비상시 긴급구조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는 인식과 회합 장소 인식이 없는 집단에서 신체화 증상을 더 많이 보고했다. 아동의 신체화 증상은 여자이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지진 전 질병이 있었던 집단, 하루기도 횟수가 줄고 비상시 긴급구조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는 인식이 없는 집단, 회합 장소 인식이 없는 아동집단이 신체화 증상을 더 많이 보고했다. 특히 종교적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종교의 존도, 하루기도 횟수 변화 등 종교문화적 요인이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셋째,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아동, 부모, 관계자들의 지진 전/후의 변화와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진은 물리적 환경이 무너지고 생명을 앗아갈 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생존자들의 삶도 함께 무너뜨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에 따른 심리적 충격은 무기력함을 가져왔는데, 특히 가정을 이끌어 가는 아버지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는 희망에 대한 상실감도 수반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와 아동 모두 지진 전은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시절로 기억하고 있었는데 아동들은 친구와 신나게 놀고 떠들던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지만 이제는 걱정과 두려움, 무서움을 모른척하며 살 수 없게 되었다. 부모는 지진으로 생계를 이어 가던 일자리도 사라지고, 할 일도 없고, 할 힘도 없어져 지진 이전의 삶은 복구가 불가능한 시절로 남았다. 이어서 생존자들의 삶은 지진 당시 두려움과 공포가 반복되는 심리적 고립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보상 약속을 지키지 않는 모습, 자원배분에 있어서 불공평한 분배, 국제사회에서 잊혀져가는 현실로 인해 또 다른 상실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진이 남긴 일상이 된 두려움은 삶의 한부분이 되어 공존하고 있었으나, 현 상황에서 생존자들은 다시 일어설 수 있기를 바라며 소망하고 있었다. 학교는 아이들이 네팔의 미래를 꿈꾸게 하는 산실이 되어 있었고, 부모는 교육을 통해 아이들과 자신이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제 비영리기관(INGO) 지원에 대한 네팔정부의 체계적인 관리와 행정적 지원, 네팔정부의 계획적이고 투명한 자원 배분, 주거지 마련 및 이주계획 수립, 아동 심리정서지원사업의 체계적 실시,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분야별 현지 인력 양성 등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개입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개입프로그램은 네팔 지진 생존 부모의 지진 사건에 대한 충격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부모의 성인행동문제의 하위 영역 중 사고 문제를 제외한 불안/우울, 위축, 신체적 증상, 주의집중문제, 공격 행동, 규칙위반, 내재화문제 및 외현화문제, 성인행동문제에서 모두 유의미한 개선이 있었다. 또한 부모의 신체화 증상 역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아동의 경우에도 아동행동문제 모든 하위 영역 즉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적 증상, 사회적 미성숙, 사고 문제,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규칙위반, 내재화문제 및 외현화문제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자녀 간의 관계개선과 의사소통을 통한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의 지진 사건충격 정도, 성인행동문제 및 신체화 증상 그리고 아동의 행동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네팔 정부는 지진 생존자들의 실태와 욕구를 고려해 각 국제 비영리기관(INGO) 의 전문성을 고려한 활동 지역 배치 및 역할분담 등 복구사업에 대해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국제 NGO의 사업활동과 지역을 확대해 효과적인 복구와 재건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텐트촌 주민의 안전한 주거환경 확보를 위한 단계별 지원 정책, 열악한 텐트촌 환경에 대한 텐트촌 관리(Camp Management) 강화, 비상시 긴급구조서비스 체계와 아동 안전교육제도 강화 등 텐트촌에 거주하는 부모와 아동이 안전하게 보호 받을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반면 실천적 측면에서는 지진 이후 생존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완화를 위한 심리정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진 발생 후 1년이 지난 시점에도 부모와 아동 대다수가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팔의 종교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의 마련, 정부와 NGO, 대학 간 협조를 통한 현지 전문가 양성, 이를 위한 국제 NGO의 인력 및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국제 NGO는 실태조사 및 욕구조사를 토대로 한 사업 전개, 지진 발생 시를 대비한 대처방안과 현지 교육 프로그램에 안전교육을 포함하고 재난현장에 맞는 실천적 콘텐츠 및 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텐트촌에 거주하고 있는 재난 생존자, 특히 재난 취약계층인 아동을 포함한 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실태 및 욕구조사를 수행하였다는 점, 그동안 재난 이후 물적 피해에 대한 복구나 지원에 집중해온 한계를 넘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심리정서적 부분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다양한 대상과 문화권에서 이미 그 효과가 입증된 프로그램인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개입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네팔에서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지진과 같은 자연재난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국가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Nepal earthquake surviv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Fili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and propose more effective measures to aid the survivors of the earthquake. We used a questionnaire and a quantitative survey using a scale of 200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have been living in the tent city since the Nepal earthquake disaster, to assess the actual living conditions and needs of the earthquake victims, their psychosocial experiences, changes that had happened since the earthquake, and also the factors that were contributing to psychological stress and somatic symptoms. We also carried out qualitative case studies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that people encountered after the earthquake and survivors` experiences,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at had been implemented to improve interactions and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questionnaire helped u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how life changed because of the earthquake, actual living conditions, including social support systems, and survivors` need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re that of the parents that participated in our questionnaire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female and a high percentage of them were illiterate.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were employed or not, most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ere unemployed, and where they were employed, an extremely large proportion of respondents were employed in the cleaning or manual industries and thus did not have a reliable source of income. Nepal`s underdeveloped economy may also be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high rates of unemploymen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earning less than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55,000 rupee, i.e. 60,000 won, thus they were not earning the minimum income required to meet their living cost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the change in lifestyle due to the earthquake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had been living in the tent city for more than a year, and the adults felt that they were not in a good state of health while children felt that they were healthy.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the onset of illness and changes in the family unit due to the earthquake, whether family members had been wounded or killed in the earthquake, and changes in employment showed that there were no great changes, but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had been changes in the family religion and also in the number of times that people prayed each day. We were able to confirm these marked changes following the earthquake and attribute these results to the unique nature of the Nepalese culture, in which religion has a strong influ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ocial support structures a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parents and children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those who were not, and more respondents who said that they had a close neighbor or friend than those who did not. We also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parents and children had access to a meeting place within the region that they were living in, and that they relied more heavily on religion. These results showed us that the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that respondents engaged in social interactions with close friends or neighbors or at places of meeting. Thus we concluded that the lack of a social system was being resolved by means of human resources. Also, the fact that both parents and children relied heavily on their faith again confirmed the unique nature of Nepal`s society that is strongly influenced by religion. Further,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s and needs of the earthquake victims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access to essential resources are as follows, respondents consume 2 meals a day on average, and a large percent of them used community supplies of potable water and water for everyday needs. Potable water and water for everyday needs were mainly accessed from public water supplies and water tanks. We recommend that enough clean water to be supplied to the tent city and also that education about potable water sanitation b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the actual state of child protection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parents and children had not been exposed to crime or violence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safety, bu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id not know how to handle dangerous situa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questions on survivors` actual state of health showed that people were usually using the hospitals when they fell sick but a large proportion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merely endured through their illness. Also, people were paying for part of their treatment the first time they had treatment but most people responded that they had not used the hospital in the last two months. In response to questions on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a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said that there was a school within one hour`s walking distanc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a school within 30 minutes walking distance, thus we confirmed that access to education is relatively good. A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stated that their children attended school 5 times a week, and a large proportion of children also owned text books. In addition, after school activities mainly included household chores and study. Children mainly did household chores or studied after school, rather than spending time playing. Lastly, after the earthquake a high proportion of the respondents underwent psychological treatment and/ or used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such as programs helping people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n their intention to utilize these services, 70.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intended to use these services, thus in light of the needs of the citizens of Nepal, we suggest that programs and services offering psychological support to the survivors of the earthquake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need to be made available. These ar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survivors had for each important area of life, in terms of residents` requirements the most important priorities for each area are as follows: providing safe areas (shelter), increasing hours of education (education), ampl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health), provision of clean drinking water (water and sanitation), provision of a safe living area and environment (child prote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a treatment program that will offer psychological support to the survivors of the earthquakes who are suffering mentally and psychologically, and intervention and support that reflect the needs of survivors and are based on the priorities outlined in each of the above areas are vital. In particular, we suggest that management of the current temporary shelters (Camp Management) by the government of Nepal, taking the needs of the citizens into account, the government establishing plans to support the victims in each area, and deregulation and cooperation to ensure that NGOs/ INGOs can engage easily in projects are essential. Secondly, the questionnaire and quantitative survey using a scale investigating the levels of psychological stress that parents and children were experiencing and also symptoms of somatization found that both parents and children were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sychological stress and also psychosomatic symptoms. More concretely, more than half of parents were suffering from levels of shock caused by the earthquake that classified them as being clinically at risk, and many of them displayed adult behavioral problems that placed them in a high-risk group; more than half of parents were also classed as being at risk in terms of symptoms of somatization. 42% of children showed symptoms of trauma, and a high proportion of them were in the high-risk group in terms of child behavioral problems, they also fell into the risk group in terms of symptoms of somatization. In addition, when we examined the factors involved in parents` psychological stress levels and symptoms of somat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ents` adult behavioral problem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employed, the state of their health, diseases they suffered as a result of the earthquake, changes to their family unit as a result of the earthquake, thei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relied on religion. In short, those in the group who were employed, in poor health, who had fallen sick because of the earthquake, and whose family units had changed displayed high rates of behavioral problems; those in the group who were not satisfied with life and who did not rely on religion displayed even more behavioral problems. The group who had symptoms of somatization, were undereducated and in poor health, the group who were ill before the earthquake, or who had fallen ill as a result of the earthquake, the group who reported low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who did not realize that they were able to request help from the emergency services, displayed higher rates of symptoms of somatization. In terms of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the group of children below the age of 12 who prayed fewer times per day after the earthquake, and the group of children whose parents answered that they were highly religious, showed high rates of behavioral problems, the group of girls who were in poor health and had been ill before the earthquake, and the group who prayed less throughout the day, and who did not recognize that they could access emergency services or community meeting places, also reported more symptoms of somatization. In terms of children`s symptoms of somatization, the group who were female, in poor health, who had been sick prior to the earthquake, the group who prayed less throughout the day, and who did not recognize that they were able to request access to emergency services, and the group of children who did not realize that they could access community meeting places reported more symptoms of somatization. Unlike preceding studies which did not take the effects of religion into consideration, our study revealed that dependence on religion, the change in the number of times respondents prayed each day and other elements of the religious culture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stress and symptoms of somatization. Thirdly, using qualitative case studies, we were able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changes that parents, children and other parties connected to the family unit experienced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it was not just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was destroyed and the lives of the people around them that were snatched away, the lives of the survivors were also destroyed. The psychological stress that accompanied the earthquake brought apathy, which was especially prevalent in the fathers who wer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 loss of hope. Next, both parents and children remembered the times before the earthquake, times that they could never return to, and although children wanted to return to the times when they played excitedly with friends, now they were filled with worry, fear and terror instead. Parents had lost their pre-earthquake livelihoods, they did not have anything to do, or the strength to do anything, and now it is impossible to make things return to the way that it was before the earthquake. Moreover, at the time of the earthquake the survivors felt recurring fear and terror and this caused them to feel psychologically isolated in their lives, survivors still continue to experience these same feelings now.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was unable to play its role properly and had not fulfilled its promises regarding compensation, that resources were being distributed but unfairly and that survivors also felt that they were being forgotten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caused them to experience further feelings of loss. Finally, the fear that they experienced due to the earthquake remains with them and is now an everyday part of their lives, however the survivors hope that they will be able to recover from the current situation. Schools are becoming the cradles where children are given dreams for the future of Nepal, parents also believe that education can bring about a better life for them and their children. In light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Nepalese government creates a wa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support that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s (INGOs) give, and also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distribute resources in a way that is transparent and strategic, establish plans to provide shelter for the survivors and resettle them, methodically implement services that will support children both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develop infrastructure and simultaneously develop local manpower to manage each of these areas. Lastly, we implemented programs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nalyzed their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program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ignificantly reduced the shock that parents who had survived the earthquake had suffered as a result of the earthquake, and that with the exception of mental problems, adult behavioral problems i.e. anxiety/depression, feelings of being daunted, somatic symptoms, attention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tendencies to violate regulations,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were all improved significantly. Furthermore, the incidence of somatic symptoms in parents was also considerably reduced. In the case of children too, all subcategories of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xiety/ depression, feelings of being daunted/depression, somatic symptoms, being socially immature, mental problems, attention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violating regulations,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results illustrate the fact that programs that im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rograms where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e through play therapy, can help to alleviate the level of shock that parents experienced due to the earthquake, adult behavioral problems, somatic symptoms and also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Nepalese government should create systematic support strategies for the rehabilitation project like deploying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s (INGOs) to different regions and allocating roles to them that are based on their expertise while also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ctual living conditions and demands of the earthquake survivor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must allow international NGOs to expand both the scope of their projects and the target region for their projects so that effective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can take place. Further,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children and parents dwelling in the tent city, we request the provision of practical and concrete alternatives in terms of: support policies for each area that will help to procure a safe shelter for the residents of the tent city, consolidation of the camp management of the substandard tent city environ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emergency rescue services system and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etc. On the other hand, practical measures to support the survivors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in order to reduce the psychological stress and somatic symptoms that the victims are experiencing after the earthquake are also required. One year after the earthquake, the majority of both parents and children are reporting psychological stress and somatization. It is essential that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that takes the unique religious culture of Nepal into account be created, that the government, NGOs and universit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raise local experts, and that international NGOs provide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 Furthermore, international NGOs must consider survey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survivors and develop projects, prepare practical instructional content including measures on how to cope when an earthquake hits and a local education program, which includes safety education, for people affected by disasters, and tools to assess the situ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of the fact that we surveyed the needs of an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survivors of the natural disaster who were living in the tent city, including children who are part of a vulnerable social group, and their parents; we went further than previous research that focused on material loss and how to restore or offer support in material terms, and focused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 area where prior research has been comparatively lacking; further we examined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at has been found effective in various subjects and cultures, and showed that it was also effective in Nepal.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essential baseline data when an effective policy of support is being sought for nations that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because of earthquakes or other natural disasters.

      • KCI등재

        범죄피해 트라우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홍승일,곽봉화,박명호,유한나,이다감,장정국,최진이,김예람 한국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8 No.1

        본 연구는 범죄피해로 인한 급성 스트레스 장애(ASD)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범죄피해자와 트라우마 관련 척도들에 대한 선행연구, DSM-5 ASD 진단기준 및 피해자 지원담당 경찰관, 심리학 교수 등 전문가들로부터의 문항자료 수집 및 검증을 통해 범죄피해 트라우마 측정을 위한 예비 문항을 제작하였다. 전국 경찰서에서 범죄피해를 입은 지 1달 이내인 283명(남자 86, 여자 197)의 범죄피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2개요인 23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1요인은 침습, 각성 및 회피(14문항), 2요인은 해리, 부정적 기분(9문항)으로 명명하였으며, 내적합치도가 매우 우수하여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국 경찰서에서 범죄피해를 입은 지 1달 이내인 273명(남자 82, 여자 191)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제시한 모델의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편으로 구인타당도가 검증되었고, 개발한 범죄피해 트라우마 척도(VTS), IES-R, STAI-S, BDI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VTS와 각 척도들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VTS에서의 트라우마 고, 중, 저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긴급 위기개입 상담이 필요한 대상을 선별하기 위한 VTS의 절단점은 52점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VTS가 범죄피해자의 ASD증상을 측정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범죄피해 초기 피해자들의 ASD증상의 정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적절한 위기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ing acute stress disorder symptom of crime victims(Victim Trauma Scale: VTS). To make a preliminary questions, researchers analyzed trauma-related scales and the acute stress disorder diagnosis criteria like DSM-5, and interviewed psychologists and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 assistance. A total 283 crime victims(male 86, female 197) who experienced crimes within one month were given a set of preliminary questionnaires. Researchers examined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and then generated 2 factors(intrusion/arousal/avoidance, dissociation/negative feelings) and 23 items. VTS yielded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To test the validity of VTS, a total 273 (male 82, female 191) crime victim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nationwide police stations. Construct validity was also demonstrated by good fitness levels in terms of fit Index. VTS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ES-R, STAI-S, and BDI, confirming its concurrent validity. Researchers have found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high, middle, and low trauma groups who completed VTS, also suggested that cutoff score is 52, which means this scale could be a useful screening tool for decision of urgent crisis-intervention mediation. VTS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 for acute stress disorder symptom of crime victims, and would be useful to police officers or first responders to assist crime victims.

      • 단감 천공증상의 피해증상 및 방제시기

        조영식,최용문,이인구,송장훈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단감 재배단지에서 잎 천공증상의 피해가 심한 곳은 2006년에 30% 이상의 피해잎율을 보이며, 또한 꽃눈을 가해하여 개화전 낙화시켜 생산량 확보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러한 피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천공증상의 원인과 해충에 의한 낙화의 원인 연구가 부족하고, 방제적기가 구명되지 않은 실정이다. 단감의 잎 천공증상은 장님노린재류로 추정되는 1종이 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잎에 천공증상 피해최성기는 2007년에 4월 중하순, 꽃눈의 피해최성기는 4월 하순~5월 상순으로 조사되었다. 잎에 발생하는 천공증상은 전개하는 어린 잎에 갈색반점의 형태를 띠다가 완전히 전개된 잎에는 불규칙하게 구멍이 생기는 증상을 보이며, 꽃눈에는 꽃받침 밑부분을 가해하면 갈색으로 변하며 탈락하게 된다. 2007년 방제적기를 판단하기 위해 티아메톡삼 10% 입상수화제를 4월 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살포하고 피해율을 조사하였는데, 피해최성기인 4월 중하순에 방제하는 것이 낙화 및 잎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노지 재배 감귤의 총채벌레에 의한 새로운 피해 증상

        현재욱,이평호,현동희,권혁모,송정흡,이관석,오영호,최경산,김광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지금까지 총채벌레에 의한 감귤 과피에서의 전형적인 피해 증상은 개화기 에 가해되어 과경부 또는 과정부위의 동그란 회갈색 띠가 형성되는 증상이었 다. 하지만 2007년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 노지재배 감귤에 햇빛에 검 붉게 그을린 듯한 증상(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이 크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그 피해 증상은 총채벌레 약충 에 의한 피해 증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색평판 트랩에 포획된 총채벌레 성충의 밀도는 7월 상순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하순에 피크를 이루었으며 이시기에는 과피에서 가해중인 총채벌레 약충들을 관찰 할 수 있 었다. 밀도는 8월 들어서 급격히 감소하지만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경에 또 한번 증가하였으며 9월 하순까지 비교적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과피에서의 증상은 심한 경우 과정부를 중심으로 과피의 일부분이 회갈색 딱지 모양으로 변하였으나 대부분의 피해 과실들은 7월 하순경에 과정부를 중심으로 약간 검붉은 색으로 변하고 착색기인 9월 중순경부터 심한 경우 과실 전체가 검붉 게 변하였다. 7월 이후에 포획된 총채벌레들은 대부분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들이었으며 볼록총채벌레는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큰 피해를 주 는 해충으로써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우리나라 감귤에 그 피해가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 성학대 피해증상의 영향요인: 성학대 피해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인영,박명숙,유서구,류소영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성학대의 피해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성학대 피해를 경험한 18세 이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성학대 피해상황 특성, 가해자 특성, 그리고 기존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성학대 피해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성학대의 피해증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성학대 피해상황과 가해자 특성의 영향력이 반영된 후에도, 연구의 관심변인이었던 부모의 반응유형은 성학대 피해증상에 독자적인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부모의 반응유형이 성학대를 경험한 아동청소년의 피해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주는 의미있는 결과로 여겨진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 함의로써, 부모의 반응도 포함된 다측면적인 사정과정, 성학대 노출시 부모와 자녀를 통합적으로 배려하는 가족중심의 개입, 부모의 대처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예방교육과 개입전략들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victimization syndrome of sexual abu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effect of parental responses to their children who were sexually ab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proposed in the study,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with samples consisting of 151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sexual abuse. Analyses revealed that indicators of parental responses to sexual ab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ictimization syndrome, even after accounting for variabl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ization situation and variabl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of sexual abuse. Along with major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re discussed which would consequently mandate integrativ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assist parents and their children.

      • 감귤원에서의 발생세대별 볼록총채벌레 피해증상 구명

        황록연,현재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제주도 감귤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볼록총채벌레의 세대별 피해증상을 구명하고자 볼록총채벌레 피해가 매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과원을 선정하였다. 감귤꽃이 피기전인 4월부터 감귤 수확기 직전인 11월 상순까지 감귤원에서 월 2회, 무작위로 감귤나무 2주를 선발하여 볼록총채벌레가 통과할수 없는 망사케이지를 씌웠다. 망사케이지를 씌운 과원과 인접한 과원에 황색끈끈이트랩을 설치하고 볼록총채벌레 발생추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월동세대를 제외한 7세대의 발생최성기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발생최성기의 시기에 따라 각 피해증상 또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월동세대 경과 후인 2013년 5월 1일에 망사케이지를 씌운 과실의 경우 과경부와 과정부를 중심으로 회백색의 원모양의 식흔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1세대 경과 후인 6월 25일에 망사케이지를 씌운 과실의 경우 회백색의 원모양 식흔이 좀 더 커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세대 경과 후인 7월 16일에 망사케이지를 씌운 과실의 경우는 회백색의 원모양 식흔이 갈라지고 그 색 또한 때가 탄 것처럼 선명하지 못했다. 이때부터 회백색의 식흔이 갈색으로 변해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그 주변도 무정형의 갈색 식흔이 생겨 과피상의 피해면적이 커졌다. 또한 회백색의 식흔에 갈색의 반투명한 막을 덮은듯한 피해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4세대와 5세대 경과 후의 피해증상은 3세대와 다른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6세대 경과 후인 9월 16일에 망사케이지를 씌운 과실의 경우 갈색의 식흔이 부분적으로 갈라지는 피해증상이 나타났다. 7세대 경과 후인 10월 2일 이후에 망사케이지를 씌운 과실의 경우 갈색의 식흔이 과경부 주변 전체적으로 갈라지며 주변 부분도 말라가는 피해 증상을 나타내었다.

      • 총채벌레에 의한 감귤의 피해 증상 및 발생 생태

        현재욱,이평호,이관석,김광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지금까지 총채벌레에 의한 감귤 과피에서의 전형적인 피해 증상은 개화기에 가 해되어 과경부 또는 과정부위의 동그란 회갈색 띠가 형성되는 증상이었으며 꽃노 랑총채벌레에 의해 가해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실치 않다. 최근들어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증상은 노지재배 감귤에 볼록총채벌레에 의한 햇빛에 검붉게 그을린 듯 한 증상(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으로써 2007년 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에 크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부지 화 및 세토카 등의 하우스 감귤의 경우 과피가 하얗게 탈색되고 유통 및 저장 시 그 부위로부터 썩어들어 가는 증상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들 증상은 꽃노랑총채벌 레에 의해 가해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노지 감귤에서도 극조생 밀감을 중심으로 이와 유사한 증상들이 발생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어떤 종이 가해하고 있 는지는 확실치가 않다. 볼록총채벌레는 6월 하순경부터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 여 7월 부터는 우점하며 5월 부터 10월 하순까지 최소 7회 이상 번식하였으며 끈 이 트랩에 포획된 개체수는 2008년의 경우 7월 하순, 2009년의 경우 8월 하순경에 가장 큰 밀도를 보였다. 과실에서의 유충은 7월 하순부터 발견되었으며 피해 증상 은 9월 중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 KCI등재

        노지재배 감귤에서의 볼록총채벌레 발생 양상과 피해 증상

        현재욱,황록연,이관석,송정흡,이평호,권혁모,현동희,김광식,Hyun, Jae-Wook,Hwang, Rok-Yeon,Lee, Kwan-Seok,Song, Jeong-Heub,Yi, Pyoung-Ho,Kwon, Hyeog-Mo,Hyun, Dong-Hee,Kim, Kwang-Si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1

        최근 들어 노지재배 감귤에서 볼록총채벌레에 의해 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하게 과정부 주위를 중심으로 검붉게 그을린 증상 또는 조직이 회갈색으로 괴사되어 딱지형태가 되는 증상들이 2007년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황색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7일 마다 발생 밀도를 조사한 결과 2009년의 경우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증가하다 8월 하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2010년과 2011년의 경우 10월 상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다. 2009년의 경우 5월부터 10월 하순까지 최소 7회의 발생 세대를 보였고 통상 7월 경부터 볼록총채벌레가 감귤원에서 우점하여 발생하였다. 과실에서 볼록총채벌레 약충들이 7월부터 발견되어 2009년의 경우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 그리고 10월 상순에 피크를 보였고 피해 증상은 9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2011년의 경우 7월 상순에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이후 9월 하순에 다시 밀도가 증가하였고 피해 증상은 7월 중하순 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피해증상은 과정부를 중심으로 회색빛으로 부스럼같이 코르크화 되거나 초기에 검은색을 띄다가 착색기에 접어들어 과피가 검붉게 변하였다. 감귤에서 볼록총채벌레에 의한 이런 피해 증상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Silver-grey or dark brown scaring, or dark brown discolored damages caused by the yellow tea thrip, $Scirtothrips$ $dorsalis$ Hood (Thysanoptera: Thripidae) have occurred on citrus fruits cultivated in the open field in east-south area orchards of Jeju Island since 2007. The weekly population of yellow tea thrips adults caught with a yellow sticky trap increased gradually from early May and peaked in late August, 2009. In 2010 and 2011, the most population was in early October. The yellow tea thrips of some species usually dominated from July in open citrus fields, and seven generations, at least, had occurred from May to late October 2009 by a yellow sticky trap survey. In 2009, $S.$ $dorsalis$ larva were observed from July and with peaks from late August to mid September and early October on citrus fruits. The damage symptoms appeared in the mid September. In 2011, the population peaks were in early July and late September, and the symptoms increased continually from mid July to late October. The symptoms were silver-scars or initial dark discolorations and then gradually changed to dark-brown discolorations or dark-brown scars. The percent of damaged fruits were 0.9%, 0.4%, 0.8% and 2.7% in 2008, 2009, 2010 and 2011, respectively, by survey in 64 typical orchards in Jeju Island. We are the first to report symptoms of the yellow tea thrip ($Scirtothrips$ $dotsalis$) on citrus fruits.

      • KCI등재

        성폭력 피해아동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경아(Choi, Kyoung-Ah),진혜민(Jin, Hye-m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피해아동의 특성, 사건관련 특성, 가족관련 요인 특성을 중심으로 성폭력 피해아동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폭력 피해아동과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및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체 분석에 사용된 111사례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집단차이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면식여부 및 발고유형에 따른 증상의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성폭력 피해아동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피해아동 특성으로는 연령이, 사건관련 특성으로는 아동이 경험한 피해횟수와 가해자의 친족여부가, 가족관련 특성으로는 가족의 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victimization syndrome of sexual abused children with a focus on characteristic related sexual abus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ci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with samples consisting 111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sexual abu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relatives’ outcomes, the analyses indicated that recognizing the offender face was different from syndrome sub-factors. Also, It was revealed that children’s age, number of incidents, family member, family fun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ctimization syndrom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들의 과거 비행피해 경험과 공동체 의식이 정서 및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류승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1

        Victimized experiences in adolescents could result in critical problem even after long time. Especially, considering on develop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we have to look after negative effects in the aftermath of the experiences. Also, sense of community has been known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in adolescent’s development. Current study examine the effect of victimized experiences in the aftermath of the incidents and of sense of community on emotional(inattention, aggression, withdrawa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symptoms, subjective evaluation) development in adolescents. The total 1543 respondents (experienced group is 187 students and no-experienced group is 1356 people) participated in three times for three years in this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d group was higher inattention, aggression, withdrawal, depression, symptoms and lower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than the counterpart group. Further, SOC had an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s.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청소년들의 비행피해 경험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치명적인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다면, 비행피해 경험이 지속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공동체 의식은 개인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인식과 참여 여부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이 역시 청소년들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년간 3차례에 걸친 청소년 패널 자료(KCYPS)를 바탕으로 과거 비행피해 경험과 공동체 의식이 청소년들의 정서(주의산만,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삶의 만족도) 및 신체(신체 불편 증상, 건강상태 자가 평가)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연구가 진행된 3년간 비행가해 경험은 없고, 지난 1년간은 비행피해 경험이 없지만 그 전 2년 동안 피해 경험이 있는 총 1543명이었다. 분석결과, 해당 학생들은 지난 1년간의 피해를 받지 않은 공백 기간에도 불구하고 같은 시기 비행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정서와 신체 발달이 유의미하게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의식은 비행피해 경험 유무와 2년 전의 정서 및 신체 발달 변인들을 통제하였음에도, 정서 및 신체 발달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청소년 비행피해의 후유증에 대한 관심 및 방안과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