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폭력 피해자의 목소리 되살리기 : 박지원의 「함양(咸陽) 장수원(張水元) 의옥(疑獄)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한 편지」 연구

        황정수 ( Hwang Jeong-so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함양(咸陽) 장수원(張水元) 의옥(疑獄)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한 편지」를 분석함으로써 박지원이 하층 여성 대상 성폭력 사건의 심리에서 어떠한 점을 중시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작품 분석에서 다음의 측면에 유의하였다. 첫째, 성폭력 사건 판결에서 중시되어야 할 피해자의 목소리를 박지원이 어떻게 담아냈는지 주목하였다. 둘째, 이 작품은 문학사, 생활사, 법제사가 교차하는 텍스트로서, 학제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작품에서 박지원은 성폭력 피해자 한조롱이 자살하기 전 남긴 머리카락에 주목하였다. 한조롱의 머리카락은 피해 사실을 증언하고자 한 한조롱의 목소리를 상징한다. 머리카락의 의미를 서술함으로써 박지원은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대신 말하기’의 책무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박지원은 피해자를 비난하며 사건을 왜곡하려던 가해자의 시도를 차단하였으며, 공적 담론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피해 여성의 감정과 목소리를 표면화하였다. 피해자의 목소리를 중시해야 한다는 박지원의 지향은 그의 법적 판단에도 일관되게 적용되었다. 박지원은 『대명률』의 위핍인치사 조에 따라 가해자 장수원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성폭력 사건에서 위핍인치사 조 적용에 보수적이었던 정조의 입장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당대의 사법 관행을 염두에 두면서 피해자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박지원은 위핍인치사에 버금가는 강간 미수의 죄율을 적용하자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은 머리카락에 담긴 한조롱의 목소리에 근거한 것으로, 성폭력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박지원의 예민한 감수성을 보여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Yeo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1737∼1805)’s perspective on sexual violence toward low class women by analyzing The Letter to Sunchal-sa(巡察使) on Hamyang Jang Soo-won’s Case. The analysis of this pros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ollowing aspects. First, how Park Ji-won expressed the victim’s voice in this letter, which is a crucial element in the case of a sexual violence. Second, tak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is work, since it is a literary, life history, as well as a legal history text. In this work, Park Ji-won paid attention to the sexual violence victim Han Jo-rong’s hair, which she left before committing suicide. Han Jo-rong’s hair represents Han’s voice and desire to testify her pain as a victim of sexual violence. Through narrating the meaning of her hair, Park Ji-won carried out his responsibility for ‘speaking for the other.’ It blocked the assailant’s attempt to blame the victim and distort the truth and allowed the female victim’s voice heard, which was often neglected in public discourse. Park Ji-won’s belief that the victim’s voice should be regarded important was also reflected in his legal judgment of this case. Though he thought that the assailant Jang Soo-won should be executed according to wee-peep-in-chi-sa(威逼人致死: harassment leading to death) clause of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Park practically had to consider Jung-jo’s conservative attitude in applying this clause to sexual violence cases. Park tried to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victim as much as possible when determining Jang’s sentence, while keeping in mind the judicial practice of the time. Therefore, he concluded Jang should be punished for attempted rape, which was second in severity to the wee-peep-in-chi-sa crime. His conclusion was based on the voice of Han Jo-rong which was implied in her hair, and it shows his keen sensitivity to the pain of the sexual violence victim.

      • KCI등재후보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2차 피해의 심층구조

        이미경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여성학연구 Vol.23 No.2

        This research starts from a question of why sexual abuse victims still suffer secondary victimization in criminal and court proceedings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anti-sexual violence laws and a significant expansion of the rights of victims witnessed over the past few decade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review how the reasonableness of law, which serves as a basis for determining sexual crimes, affects secondary victimization, with an aim to identify what needs to be presupposed to reconstruct the rights of victims. The secondary victimization that occurs in criminal and court proceedings tends to have characteristics as the following. First, the deep-rooted notion of women’s chastity still exerts strong influence over “a reasonable basis for legal judgment” even after 16 years since the law which defined sexual assault as a crime against chastity was abolished. In addition to this, the myth of victim precipitation combined with prejudices about a stereotypical image of victims is found to be major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Second, the provisions making crimes indictable only upon a complaint from the victim, which were originally created under the goal of protecting the honor and privacy of victims, are exploited by offenders as a means to get away from criminal charges by forcing their victims to give up legal measures. As a result, they serve as a cause of insult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the victims. Furthermore, the requirement of the irresistible level of violence, which requires the victim to prove that there was a serious level of violence and intimidation that made resistance impossible, overlooks the context of relations between the offender and the victim that involves hierarchical order and/or power. Third, the inexpertise of law enforcement personnel and lack of proper regulations puts the privacy and safety of victims at risk. The victim’s right to information, which requires upon the initiation of the investigation that the victim be informed of her/his rights as a victim, the details of criminal and court proceedings, the status of the offender, and the availability of support organizations, is rarely respected. While there are laws that guarantee victims’ right to participate in criminal proceedings, right to inform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ersonality, right to damage claims, and right to assistance, these rights are often ignored due to ineffectivenes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s.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laws and institutions concerning the rights of sexual abuse victims are operating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sexual abuse victims. Based on its findings, this thesis has criticized the failure of reflection of experience and voice of victims in the legal judgements underpinned by ‘reasonableness’, while arguing that viewing victims as the holders of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those rights of victims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should be a key element in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law and policies. 본 연구는 성폭력 관련법과 제도가 피해자의 권리를 대폭 확장해왔음에도 불구 하고 피해자들이 왜 형사소송절차에서 2차 피해를 입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폭력을 판단하는 기준인 법의 합리성(reasonableness)이 2차 피해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피해자 권리를 재구성하는데 전제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형사사법절차에서 발생하는 2차 피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성폭력을 ‘정조에 관한 죄’로 규정하던 법이 사라진지 16년이 지났지만 뿌리 깊게 박힌 정조에 대한 인식은 성폭력의 ‘합리적 판단기준’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피해자 유발론과 피해자다움의 통념이 합해진 성폭력 판단기준은 피해의 현실에 대한 몰이해와 피해자의 경험을 반영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어 성폭력 2차 피해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둘째, 성폭력 피해자의 명예와 사생활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규정된 친고죄는 가해자들이 사법적 책임을 벗어나기 위해 피해자에게 합의를 강요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친고죄는 피해자의 일상의 평온을 깨뜨릴 뿐만 아니라, 모욕과 인권침해의 근본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피해자에게 반항이 불가능할 정도의 폭행・협박의 입증을 요구하는 최협의설은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위계・위력 등 ‘관계의 맥락’을 간과하고 있다. 셋째, 법 이행과정에서 담당자의 비전문성과 인권감수성 부족, 미비한 법 규정 등으로 피해자들의 사생활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그리고 진술녹화제도나 신뢰관계인 동석제도 등이 실제 피고인의 방어권 앞에서는 무력해지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가장 기본이 되는 피해자의 정보권은 수사 개시와 함께 피해자의 권리 및 형사사법절차의 안내, 가해자의 처벌 상황, 지원단체 연계 등이 상세히 고지되어야 함에도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처럼 현행법에 의해 피해자들은 형사절차 참여권・정보권・피해자 인격권과 신변보호권・피해 보상권・조력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있지만, 부유(浮遊)하는 법집행으로 피해자들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행 성폭력 피해자 권리 관련법과 제도가 어떤 구조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실제 성폭력 피해자들의 2차 피해 경험분석을 통해 밝혔다. 법의 합리적 판단기준에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를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비판하면서, 피해자를 권리의 주체로 보고 피해자 권리를 국가가 실현해야 할 의무로 보는 관점을 법정책 및 집행의 주요한 방향으로 제시했다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법이 부착한 ‘부랑인’ 기표와 그 효과: 형제복지원 기억의 재현과 과거청산 논의의 예에서

        이소영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2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the signifié of vagrant that legal mechanism has attached, and its effect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memory. While focusing on the case of human rights abuse at Hyungjae Welfare House(Hyungjae Bokjiwon) that had been revealed to the public in 1987 and referred to as Korean Auschwitz or Korean Holocaust, the article tries to rai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how did legal mechanism of the Instruction(Anweisung)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No.410(enacted in 1975) constitute dominant representation of vagrant during 70s and 80s, and in what forms has such dominant representation been stamped and carved into the voice of victims today as well as into the cultural remembrance of Hyungjae Welfare House?The research starts by problematizing the tendency revealed in majority of media coverage in 1987, that they had focused not on the ills of involuntary confinement itself but solely on the fact that many ‘healthy and sound’ citizens were also confined there by being falsely taken as vagrants. Through examining various cultural representations―media coverage including news reports, editorials and correspondence columns, investigation report by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sentencing by Supreme Court―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what would have been the signifiant of the signifié vagrant at the time, that was placed at the antipodes to the signifiant such as ‘heathy and sound citizen’, ‘normal person’, ‘man in the straight lane’ etc. Moreover it illustrates how the dominant representation of Instruction(Anweisung)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No.410 affected in drawing a binary code between normal/ abnormal and in segregating each performers into non/vagrant subject. Besides,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 that such signifié of vagrant has on the representation of victims' remembrance today, after 26 years have passed from then. In other words the article analyses how, in the Hyungjae Welfare House memory which returned to the public discourse as an object of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by means of law’, the (effect of) vagrant signifié is carved into the victims' voice and makes un/conscious repetition of non/vagrant identity in their narratives, such as “I was not a vagrant, but a student,” “I was just an ordinary citizen” or “I was a diligent member of this society.” 본고는 ‘한국의 아우슈비츠’ ‘한국의 홀로코스트’로 회자되는 형제복지원 사건을 예로 하여 법이 부착한 ‘부랑인’ 기표와 그 효과에 관하여 다룬다. 내무부훈령 제410호(1975년 제정)의 법적 규제가 어떻게 부랑인에 대한 지배적 재현을 구성하였으며, 그 지배적 재현이 어떻게 다시금 피해자의 목소리와 사회적 기억에 각인되는가가 본고에서 제기하는 고유한 연구질문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시설감금과 폭력, 노동착취와 국가보조금 착복이 문제시되었던 1987년 형제복지원 사건에 관한 당시 언론보도의 초점이 ‘부랑인 아닌 이들도 억울하게 수용’에 일관되게 맞추어져 있었다는 데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여기서 민간인, 정상인, 멀쩡한 사람 등으로 호명된 이들과 반대짝에 놓인 부랑인은 무엇을 표상하였는가? 또 부랑인 시설수용을 규정한 내무부훈령 제410호는 어떻게 정상인/비정상인을 가르고, 주체를 비/부랑인으로 각각 분리하는 효과를 가져왔는가? 본고에서는 먼저 형제복지원이 사건화된 1987년의 언론보도, 사설·논평·독자투고, 사건조사 보고서, 대법원 판결문 안에서 ‘부랑인’이라는 기표가 무엇을 표상하였으며, ‘자활을 통해 노동시장으로 편입되어야 할 대상인 동시에 공적 공간에서 배제되어야 할 대상’으로 부랑인을 주체화하는 매커니즘이 형제복지원 사건 이전과 이후를 관통하며 어떻게 부랑인이라는 기표에 각인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26여 년이 지난 현재, 법이 부착하였던 그 ‘부랑인’ 기표가 피해자 기억의 재현에 있어 무엇을 말하지 않게 혹은 못하게 하는지 다루고자 하였다. 즉 형제복지원 기억이 과거청산의 대상으로 다시금 소환된 오늘날, 그러한 부랑인 기표(의 효과)가 피해자의 현재 목소리에 각인되어 “부랑인이 아닙니다” “일반시민이었다” “성실한 이 사회구성원이었습니다”의 반복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읽어내려는 것이다. 이로써 비부랑인 수용자를 ‘부랑인으로 몰린 억울한’ 피해자로, 부랑인 수용자를 ‘적절한 교화와 보살핌을 받지 못한 애처로운’ 피해자로 각각 새겨넣음(mark)으로써, 부랑인을 벌거벗은 생명으로 기입하는 ‘권력의 폭력적 본성’ 대신 비부랑인까지 부랑인 범주에 밀어넣은 ‘권력의 현현으로서의 폭력’에만 방점이 찍히게 만드는 담론 효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증언으로서의 무대 -피해자의 주도적 담론 재구성과 사회 변혁을 위한 주체로의 변화

        임인자 ( In Za Lim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9

        한국사회는 한국전쟁 이후 분단이라는 상황과 독재라는 억압 속에서도 자유와 민주 사회를 갈망하는 민주화의 열망과 국가 재건을 위한 경제 발전이라는 두 가지 서사로 현대사가 이어져왔다. 일제강점기, 해방과 미군정, 한국전쟁과분단, 4.19 혁명과 5.16 쿠테타, 12.12 쿠테타, 유신독재, 광주 5.18 민주화 운동을 거쳐 오며 87년 6월 항쟁과 6.29 선언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는 경제발전과 민주화라는 큰 축으로 성장 발전해온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두 가지 서사에 깔린 통제와 배제 정책으로서, 대감금의 역사를 생각해본다. 일제강점기 일본군 성노예 ‘위안부’의 존재뿐만 아니라, 국가에 의해 관리 감독된 미군 기지촌 여성들, 한센병이라는 이름으로 도시와는 떨어진 곳에 부락을 형성하며 관리 감독 되었던 소록도를 비롯한 한센인 나병촌, 사회정화사업에 의거 사회악으로 규정한 사람들을 사회정화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감금.훈련시켰던 삼청교육대, 그리고 부랑인이라는 이름으로 무차별적으로 납치, 수용, 감금하고 인권 유린한 형제복지원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에 마구잡이로 수용되고 관리되었던 이들이 다시 귀환했다. 경제발전과 민주화의 발전 속에서도 여전히 ‘유령’으로 취급되었던 대감금의 피해자들이 살아남아 돌아온 것이다. 국가가 이들을 배제하고 격리할 때, 당연시했던 사회는 이제 이 사회가 무엇을 가두고 통제했으며, 그들에게 행해진 국가폭력의 실체를 여실히 들여가 보게 된 것이다. 연극은 재현의 도구로서 배우의 몸을 통해 세상을 드러낸다. ‘유령’으로 존재했던 피해자들이 직접 세상에 얼굴을 내밀고 등장한 이후 무대는 배우의 몸이 아닌 증언의 당사자로서 피해생존자들이 무대에서 세상에 발언하고 질문하는 곳으로 확장되었다. 그들의 기억과 증언의 역할이 우리 사회의 담론 질서에 질문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지식인과 살아남은 자들의 기록에 의해 담론화되는 세계가 아닌 기존의 담론 질서의 왜곡에 직접 말을 거는 살아남은 당사자들의 이야기가 바로 무대 위에서 시작되었다. Under the situation of division in modern history of Korea, South Korea has led two big narratives in the society. One is the desire of longing for freedom and democracy under the situation of repression and dictatorship, the other is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desire of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Korean war.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through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liberation from Japan and Occupation of US military government, Korean war and division, 4.19 Revolution and the 5.16 coup, 12.12 coup, Gwangju 5.18 Uprising, militaty dictiatorhip made people to have freedom and democracy by the people. But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control and exclusion policies crushed these two narratives, there is the history of imprisonment. As well as the presence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comfort women", there are women for the US military in Korea in the name of leprosy city and it form a village away. and Hyungje Welfare Centre, it turned out concentration camp through accusation at 2012 in front of National Assembly by one of victims, Mr. Han jongsun, who was kidnapped at 9 years old, He had witness that was under the social cleansing project which was the people detained under provisions in the name of social ills purification business on the street. and was indiscriminately kidnapping, acceptance, imprisoned in the name of Homeless and Varants. Hyungjae Welfare House (Hyungjae Bokjiwon, Brother``s Home) that had been revealed to the public in 1987 and referred to as Korean Auschwitz or Korean Holocaust. Its accusation is meaning they are still alive in the situation of imprisonment in the society and it means victims still has been treated as a ‘ghost’ in the developmen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in the society. When countries are excluded and isolated people, who were granted this society what society has now confine and control, it would have been brought to see the reality of state violence done to them clearly. They are return on the stage with voice of victim as a accuser. The Stage reveals the world through the body of the actor as a tool of representation. What is the role of their memories and testimonies that questions in the order of discourse in our society. Their voice is history of not written, forgotten, but they are starting to make their own voice on the stage. What can be the role of stag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