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현대시에 나타나는 프로메테우스 수용양상 소고

        김효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The Prometheus Myth gives us tremendous inspiration. Prometheus symbolizes the human spirit struggling with extremely grave pain, and provides an archetypal image for exploring human civilization. Besides, he is an exemplar fighter, encouraging us to overcome Class Conflict in the Marxist point of view. Therefore, he is evenly admirable i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All kinds of myths, including the Prometheus Myth, do not exist as a fixed archetype, but they have been remodeled and reshaped as both an archetype and an exemplar. This article will illustrate the aspects of the Prometheus Myth in Korean poems, that is to say, how the Prometheus Myth is received and transform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Originally, a major part of Korean Poetry has had nothing to do with the Prometheus Myth or its archetype. In Modern Poetry only a few poems of three poets (Yun Dong-Joo, Seo Jeong-Joo, Kim Hyeon-Seung) represent the receptional aspects of the Prometheus Myth. And in Contemporary Poetry only eleven Collections of poems of ten poets(Moon Byeong-Ran, Kim Kyeong-Soo, Jin Heon-Seong, Beom Dae-Soon, Yoo Yeong-Cho, Kim Gye-Deock, Lee Jae-Sick, Jeong Yong-Jin, Kang So-Yi, Jin Hyeock-Il)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metheus Myth or its archetype. In all the poems that show its receptional aspects, they also show their obvious cultural limits at the same time. The Mythological Universality c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 even though the receptional aspects of the Prometheus Myth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do not show the quantity like Occidental Poetry which finds its cultural roots in Ancient Greece and Rome.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커다란 영감의 원천이다. 프로메테우스라는 신화적 존재는 극심한 고통을 감내하고서라도 투쟁하는 인간 정신을 상징하고, 인류에게 문명을 일으킬 수 있게 해 준 원형적 이미지를 제공해준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계급투쟁을 타파할 용기를 인류에게 보여준 본보기적인 신화 속 투쟁가이기도 하다. 그래서 동‧서양 공히 프로메테우스에게 애정을 보인다. 프로메테우스 신화뿐만 아니라, 모든 신화는 결코 고정불변의 원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신화 자체도 끊임없는 손질을 거치며 형태를 갖춰가고, 만들어진 형태는 또 다시 다른 모습으로 바뀌고, 거듭해서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모습을 가진 프로메테우스 신화 자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근‧현대시 속에서 프로메테우스 신화가 수용되어 온 양상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으로 윤동주 시 「간(肝)」, 서정주 시 「러시아의 까즈베크峯이 어느 날 하신 이야기」, 「방랑에의 유혹」, 그리고 김현승의 시 「정복자들에게 – 월세계에 첫발을 디딘」 또는 「세계는 위대하게 커졌다 – 아폴로 14호의 성공을 듣고」, 시 「불을 지키며」 등의 시 텍스트들을 통해서 다양한 수용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 최근 20여 년 동안 출간된 시집들 중 11권을 중심으로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고 있거나 모티브화해서 시작 활동을 한 작품들을 통해서 가장 현대적인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수용 양상을 정리해 보았다. 그런데 의외로 윤동주, 서정주, 김현승의 수용 양상이 오히려 최근의 20년의 수용 양상보다 더 다채롭고 폭넓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사실 윤동주, 서정주, 김현승의 수용 양상도 그 한계가 분명한데 이보다 더 부족하다고 하면, 전반적인 한국의 시작품들 안에 인용되거나 언급되는 수용 양상들은 지극히 한정적이고 반복적인 재탄생의 틀을 보여줄 뿐이다. 이런 와중에서도 항거자로서의 처절한 현대적 프로메테우스를 노래한 문병란의 시, 한국불교적인 이미지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녹여내어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현대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강소이의 시 그리고 진혁일의 시적 발상에 주목할 수 있다. 권력에 맞서 정의와 자유를 수호하고 인간에게 문명의 길을 알려준 ‘앞을 내다보는 자’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인간 사회의 발전과 행복은 없었을 것이다. 유형, 무형의 폭력적 권력에 맞서 불굴의 의지로 대항했던 프로메테우스의 신화는 비록 그 한계성과 문화적 배경의 생경함으로 한국 시에서는 그 수용 양상이 서구 문학과는 많은 차이가 나고 빈약하지만, 동서양을 통 털어 그리스 신화가 갖는 신화적인 보편성을 운운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 의의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신화와 비극의 탈신화화 - 괴테 『프로메테우스』 단편(斷片)을 중심으로

        양시내 한국브레히트학회 202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51

        프로메테우스에 대한 괴테의 오랜 관심의 흔적은 송가 「프로메테우스」나 동명의 드라마 『프로메테우스』 그리고 축제극 『판도라』를 통해서 확인된다. 송가 「프로메테우스」가 슈트룸 운트 드랑 세계관을 집약하고 있는 한 사조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아 온 반면, 드라마『프로메테우스』는 완성되지 못했다는 한계 때문인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송가의 세계관을 포섭하고 있는 단편(斷片) 『프로메테우스』의 ‘미완’은 슈트룸 운트 드랑의 뒤를 잇는 괴테 고전주의 극작론에 대한 예비적 징후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에 본고는 『프로메테우스』가 어떻게 내용 층위에서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차용과 변용을 통해 슈트룸 운트 드랑의 시대 정신을 입체적으로 구현하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탈신화화’가 형식 층위에서는 어떻게 드라마의 미완과 관련되는지 추적하여, 슈트룸 운트 드랑 시기에 발표된 이 작품이 선취하고 있는 괴테 비극관의 맹아를 탐색한다. 나아가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중의 탈신화화, 즉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탈신화화와 비극의 탈신화화 과정이 서로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상보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Prometheus ist ein Mythos, der Goethes Interesse über lange Zeit hinweg wach gehalten hat. Die Spuren seines Interesses daran finden sich in der Hymne <Prometheus>, dem gleichnamigen Drama <Prometheus-Fragment> und dem Festspiel <Pandora>. Die später als das unvollendete <Prometheus-Fragment> verfasste Hymne <Prometheus> wurde als ein repräsentatives Werk von Strum und Drang angesehen. Im Gegensatz dazu hat <das Prometheus-Fragment> möglicherweise aufgrund seiner Unvollständigkeit kaum Beachtung gefunden. Diese Arbeit richtet gleichwohl ihr Augenmerk darauf, dass <das Prometheus-Fragment>, das den Zeitgeist des Sturm und Drang aufnimmt, in seiner Unvollständigkeit Goethes klassische Dramatik, die dem Sturm und Drang folgt, vorwegnimmt. Daher wird in dieser Arbeit zuerst untersucht, wie <das Prometheus-Fragment> auf inhaltlicher Ebene durch die ‘Selektion’ und ‘Variation’ des Prometheus-Mythos den Zeitgeist des Sturm und Drang verkörpert. Darauf aufbauend wird weiter untersucht, wie die ‘Entmythologisierung’ auf formaler Ebene, also auf der Ebene des Genres mit der Unvollständigkeit des Dramas in Zusammenhang steh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zu bestätigen, dass in dem <Prometheus-Fragment> sozusagen eine doppelte Entmythologisierung stattfindet, nämlich die Entmythologisierung des Prometheus- Mythos per se und die Entmythologisierung der Tragödie, die ineinandergreifen und sich wechselseitig ergänzen.

      • KCI등재

        프로메테우스의 분노(όργή)와 정의(δίκη)의 정당성 문제 : 『결박된 프로메테우스』(Προμηθεύς δεσμώτης)에 나타난 오케아노스의 입장과 비교하여

        손병석(Son, Byung-Seok) 韓國西洋古典學會 2011 西洋古典學硏究 Vol.45 No.-

        아이스퀼로스(Aischylos)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는 프로메테우스의 분노(όργή)와 정의(δίκη)를 다룬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로메테우스의 제우스에 대한 분노가 정의의 관점에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는 생각한 것보다 그리 간단치 않다. 비극작품 속의 주인공들이 그런것처럼 어떤 면에서 프로메테우스 역시 하마르티아(άμαρτία), 즉 과실을 범한 신이기 때문이다. 작가 아이스퀼로스가 과연 프로메테우스의 분노를 정당한 것으로 평가했는지에 관한 심도있는 텍스트적 분석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것의 해명을 위해 이 글은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견해를 분석한다. 특히 필자가 관심을 갖고 다루고자 하는 인물은 오케아노스(Okeanos) 신이다. 오케아노스는 자신의 중재적 입장을 통해 프로메테우스와 제우스의 대립과 갈등을 화해시킬려고 시도하는 신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케아노스의 중재적 역할이 과연 참된 의미의 중용적인 행위가 될 수 있는지에 관해 필자는 회의적이다.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개념을 통해 오케아노스의 견해가 사이비(pseudo) 중용론임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It is well known that Aeschylus’ tragedy, the Prometheus Bound concerns Prometheus’ philanthropy and his justice. Bu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Prometheus’ anger toward Zeus could be justified or not. For like any other tragic heroes he also erred due to his stealing the fire from the Zeus. That is why we have to investigate Aeschylus’ final judgment about whose anger is more right. i.e. Prometheus or Zeus. To achieve this end, I examine three main characters, i.e., Oceanides, Okeanos and Io. Especially, I focuse to investigate the second visitor, Oceanos. For the god Oceanos is a mediator who tries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Prometheus and Zeus. However, I am strongly sceptical that Oceanos played a truly middle conciliator. By means of Arisotle’s view of the Mean(to meson), I demonstrate that Oceanos has to be considered as a pseudomediator.

      • KCI등재

        셸리의 『해방된 프로메테우스』 에 나타난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향한 혁명적 욕망

        이충은(Lee Chun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6 영미연구 Vol.36 No.-

        셸리는 『해방된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향한 혁명적 욕망을 형상화한다. 프랑스 혁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셸리는 혁명적 열정을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대리인인 프로메테우스를 통하여 기존 사회 제도와 권위에 도전한다. 프로메테우스는 독재자인 주피터에 의해서 탄압과 고통을 당하는 인물로서 처음에는 주피터에 대하여 미움과 저주를 갖는다. 그러나 그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자신에게 좌절과 절망만을 남겨준다는 사실을 서서히 인식하면서 프로메테우스는 마음속에서 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자신과 인류를 주피터의 독재와 탄압으로부터 해방시키고자 노력하는 프로메테우스에게서 그와 같은 마음의 변화는 혁명과 해방을 위해서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셸리는 보여준다. 주피터에게 폭력과 위협을 가하기보다는 사랑과 동정에 기초한 프로메테우스 자신의 내적 각성이 혁명의 필수조건임을 셸리는 강조하는 것이다. 프로메테우스의 혁명의지를 좌절시키기 위해서 주피터는 계속 고통을 가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폭압과 독재의 세력인 주피터에게 굴복하지 않는다. 지속적인 고통을 감내하면서 인류의 희망과 자유, 그리고 개인주의를 꿈꾸는 프로메테우스는 아시아와의 만남을 통하여 진정한 혁명의 의미와 방향을 깨닫게 된다. 셸리는 혁명과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이루는데 있어서 폭력이 아닌 타인에 대한 사랑과 동정심이 중요함을 프로메테우스와 아시아의 재결합을 통해 그리고 있다. Shelley envisages his revolutionary desire for an ideal utopia in Prometheus Unbound. He seeks to fulfill his imaginative vision after all the failure of the French Revolution, with the urgency to challenge the social conventions and the political authorities through the revolutionary vehemence in his age. The Romantic poet Shelley finds an ideal model for his romantic hero in Prometheus, who tried to save the haunted world from the tyrant Jupiter. In spite of Jupiter’s malicious acts and cruelty, Prometheus showed the invincible will to redeem the world from, and his forgiveness and pity on, Jupiter seem to have inspired Shelley’s poetic imagination. According to Shelley, it is in its union with the virtue of love and beauty that the revolution can complete itself in this masculine world. Prometheus comes to realize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ideal revolution when he has met Asia. In addition, Prometheus already recognizes that even human virtues can be distorted into self-destructive ones, unless any human virtues, including wisdom and will, would be associated with love. It is only through his reunion with Asia that Prometheus can liberate himself and realize the revolution for utopia, restoring One Mind. It means that, in his utopian vision, Shelley upholds the idealized community of One Mind and the ideal for individual freedom and creativity in Prometheus Unbound. In this sense, Prometheus can be said to be Shelley’s surrogate for his Utopian idealism, on whom Shelley’s ideal of individualism and politics remains centered. In him, Shelley see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human psyche and the recovery of a true individualism.

      • KCI등재

        윤동주의 「간(肝)」과 프로메테우스: 비교를 통한 읽기

        신경숙 ( Kyung Sook Shin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7

        이 논문은 윤동주의 「간」을 비교를 통해 읽는 시도다. 「간」에서 시인 윤동주의 고뇌가시에서 인유(引喩)하는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의 고뇌와 중첩되면서, 당대 지식인들이 경험한 첨예한 갈등들, 시대적 조건과 그 조건을 살아가는 개인의 고뇌를 재현함을 밝힌다. 이 재현은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특수하고, 시인의 고통을 공시적이면서 통시적인 방식으로 좌표화하는 시인 고유의 시학을 드러낸다. 「간」에서 시인은 동양의 설화와 서양의 신화를 조우시켜 대중적이고 전통적인 요소를 당시 근대의 기호이며 제도라할 수 있는 서양문학 속의 인물과 겹쳐놓고, 이를 통해서 전통과 근대, 동양과 서양,저항의 언어와 자기희생의 언어를 교차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프로메테우스의 형상화에 초점을 맞춘다. 인간을 위해 불을 훔치고 제우스의 몰락을 예견하기때문에 제우스에 의해 처벌받는 혁명적 인물, 프로메테우스가 아이스퀼로스(Aeschylus), 앙드레 지드 (Andre Gide), 퍼시 B. 셸리 (Percy B. Shelley)같은 작가들을 통해 윤동주에게 수용되면서 재형상화 되고 있음을 보이고, 특히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결박』(Prometheus Bound)과, 영국 낭만 시인 셸리의 프로메테우스 다시 쓰기라 할 수 있는 서재극, 『프로메테우스의 해방』(Prometheus Unbound,1819)에서의 프로메테우스가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저항의 정신으로 수용되었음을 논의한다. 윤동주의 시에서 독수리에게 자신의 간을 내주는 프로메테우스는, 한 편으로는 매우 급진적인 연민의 정서를 품은 셸리 극의 주인공 프로메테우스와 닮았다. 다른한 편, 마태오 복음의 구절을 연상시키면서 목에 맷돌을 달고 바다에 빠지는 프로메테우스는 “불도적한 죄”를 저지른 ‘죄인’으로서, 인간이 어둠 속 미몽에 머무르지 않도록 명민하게 깨어있는 의식의 ‘불’을 갖게 해 준 장본인, 즉 유혹자인 동시에 속죄양인인물로 변모한다. Yun Dong-Ju’s 1941 poem “The Liver” yokes together the Korean oral tale, “Rabbit Visits the Dragon Palace” with the Greek myth of Prometheus. In this essay, I examine some important possible sources for the poem, including Aeschylus’s Prometheus Bound, Kim O-Seong’s series of essays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in 1939 as well as P. B. Shelley’s Prometheus Unbound (1819), where Prometheus is more enduring, radically more forgiving and more self-sacrificing than in any other account of the Promethean myth. As a symbol of the spirit for human liberation, enduring intellect, and transgressive imagination, the Romantic Prometheus, I argue, was met with welcome in colonial Korea. While Kim’s column represents the anxiety of the intellectual during the period as something abstract and universal.as a conflict of the rational intellect in an oppressive historical moment, Yun’s poem focuses on the speaker’s internal conflict, constructing a figure of the poet as a Prometheus drowning, with a grinding mill dangling around his neck. I first sketch the transformations of the Prometheus figure undertaken by Aeschylus and Shelley, before discuss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Prometheus in colonial Korea. I then attribute the figuration of Prometheus in Yun’s poem to Shelley’s Prometheus Unbound by discussing th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characterization. In conclusion, I show that Prometheus suffers a metamorphosis in the poem, being described as a seducer and a self-sacrificing redeemer of humankind, whose fire gave humanity (self-) knowledge, self-consciousness, and prophetic vision, thus bringing on himself and the poet a “sad” calling.

      • KCI등재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변이와 비극의 변형 - 아이스퀼로스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의 분석적 고찰

        양시내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1

        Die Analyse der Rezeption und Transformation der griechischen Mythologie in der Literatur bietet die Möglichkeit, einen umfassenden Überblick über die Entwicklung der westlichen Geistesgeschichte zu gewinnen. In diesem Zusammenhang gehört Prometheus, der die dramatische Konfrontation zwischen absoluter Macht und dem Menschen verkörpert, zu den mythologischen Figuren, die literarische Höhen und Tiefen erlebt haben. Während der Zeit des Absolutismus wurde die Herausforderung des Zeus durch Prometheus negativ dargestellt. In der humanistischen Ära, in der humanistische Ideale hochgeschätzt wurden, wurde diese Herausforderung als heroische Tat betrachtet. Aus diesem Grund präsentiert Hesiod Prometheus als einen rebellischen Gegenspieler, während Aischylos Prometheus als Symbol des humanistischen und demokratischen Zeitgeistes darstellt. Das Ziel dieses Beitrags besteht darin, Der Gefesselte Prometheus von Aischylos sowohl inhaltlich als auch in Bezug auf seine formale und theatralische Ebene umfassend zu analysieren. Hierbei werden Hesiods Epen als Prätexte auf der Inhaltsebene betrachtet, um die Rezeption und Transformation des Prometheus-Mythos in Aischylos’ Der Gefesselte Prometheus vergleichend zu untersuchen. In theatraler Hinsicht untersucht dieser Beitrag, wie die Einzigartigkeit dieses Werkes, die Bestrafung des Prometheus bereits im Prologos, mit den tragischen Merkmalen in einem aristotelischen Sinne parallel verlaufen lassen kann, um die dramatischen Merkmale abzuleiten. 문학에서 그리스 신화가 수용되고 또 변용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작업은 역동적으로 변화해온 서구 시대 정신의 변화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이런 맥락에서 절대 권력과 인간의 대립 및 갈등을 극적으로 형상화하는 프로메테우스는 문학적으로 역동적으로 수용되어 온 신화 캐릭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절대 권력의 가치를 중시했던 시기엔 제우스에 대한 프로메테우스의 도전이 부정적으로 그려졌으며, 인본주의적 가치를 중시했던 시기에 이 도전은 영웅적 행위로 그려졌다. 일례로 헤시오도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제우스를 속인 사기꾼이자 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불손한 존재로 그렸으며, 아이스퀼로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절대 권력을 약화하고 휴머니즘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세계관을 옹호하는 시대의 대변자로 구현했다. 본 논문은 아이스퀼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를 내용적 층위와 형식적 층위에서 분석함으로써 작품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우선 내용적 층위에서는 헤시오도스의 서사시들을 선행텍스트로 간주하고, 아이스퀼로스가 이 텍스트들을 차용하고 전복하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형식적 층위에서는 프로메테우스의 ‘비밀’을 키워드 삼아 이미 극의 도입부에 프로메테우스에 대한 형벌이 집행되는 독특한 구조를 지닌 이 작품이 어떻게 작품 마지막까지 비극적 속성을 견지할 수 있는지 분석해 본다.

      • KCI등재

        에른스트 블로흐와 그리스 신화

        김진(Jin Kim)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에른스트 블로흐가 제시한 희망철학의 기본정신은 그의 프로메테우스 해석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희망의 가능 근거는 미래 시간의 지평이며, 그로부터 우리는 ‘아직-아님’이라는 시간성의 계기를 발견할 수 있다. 블로흐는 역사의 참된 창조는 세계의 시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마지막에 있다고 보았다. 세계 종말에서의 참된 창조는 기존의 것에 대한 부정에 그치지 않고 새롭게 하는 혁명적 사건에 의해서 실현된다. 블로흐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간상을 프로메테우스 신화에서 찾았다. 다른 그리스의 신들과는 달리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과 기술을 전수하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신앙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운명과 죽음 앞에서 무력해지는 올림포스의 신들과는 달리 앞에서만 본 예술종교의 한계를 넘어서서 현실적 고통과 폭압적 질서에 굴복하지 않고 해방과 자유를 성취하고자 노력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속에서 종교적 의미를 얻게 되었고, 괴테와 블로흐 등을 거쳐서 희망철학적 인간상으로 정립될 수 있었다. 블로흐가 희망철학에서 구축한 인간상에 가장 근접한 자가 바로 프로메테우스인 것이다. 희망은 학문의 역사에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는, 이른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 ‘아직 완성되지 않은 것’에서 ‘아직-아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블로흐는 자신의 희망 사유에서 미래, 전초, 새것의 범주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전 철학자들이 말하는 ‘본질’은 ‘과거적 본성의 총체’이다. 그러나 블로흐는 단호하게 본질은 결코 과거 속에 있지 않으며, 세계의 전초에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우리에게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아직 달성되지 않은 ‘고향’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블로흐의 희망사유는 카드모스, 아이스클레피오스, 오르페우스, 디오니소스, 예수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프로메테우스 영향사’를 통해 확립되었다. The basic spirit of the philosophy of hope proposed by Ernst Bloch comes from his interpretation of Prometheus. The possible ground of hope is the horizon of the future time, from which we can find the temporal moment of ‘Not-Yet’. Bloch believed that the true creation of history was not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but at the end of it. The true creation at the end of the world is realized not by the denial of the existing but by the revolutionary event that renews everything. Bloch saw that Prometheus is able to perform its tasks. Unlike other Greek gods, Prometheus was not the subject of religious beliefs despite his intention to deliver fire and techniques to humans. Prometheus, unlike the gods of Olympus, who were helpless in the face of fate and death, went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art religion that was seen only from the front, and tried to achieve liberation and freedom without submitting to realistic pain and oppressive order. Prometheus gained religious significance in the tragedy of Aeschylus, and was able to be established as a human figure for the philosophy of hope through Goethe and Bloch. The closest human image to Bloch"s philosophy of hope is the Prometheus. Hope has the character of ‘Not-Yet’ in the ‘Not-yet-realized’ and ‘not-yet-completed’, which have never appeared in the history of wisdom. Bloch introduces a new category of ‘future’, ‘front’, and ‘the new’ in his hope thoughts. The ‘essence’(Wesen) of the former philosophers is ‘the totality of the past nature’(Ge-wesenheit). But Bloch decisively says that the essence is not in the past, but in the front of the world. It is also a matter of ‘hometown’(Heimat) that has not yet been realized, not yet to be achieved. This Bloch’s philosophy of hop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metheus influence, which leads to Cadmus, Aesculapius, Orpheus, Dionysus, and Jesus Christ.

      • KCI등재

        자기를 아는 자의 고통에 대한 니체의 해석- 니체는 왜 오이디푸스와 프로메테우스의 고통에 주목했을까?

        이주향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In der <die Geburt der Tragödie> sieht Nietzsche beinahe alle Protagonisten als Erscheinungen eines grosses Gottes, Dionysos an. Dionysos leidet unter dem Schmerz von “principii individuationis”. Aus dieser Sicht versucht diese Abeit auf die Frage zu antworten, unter welchem Grund Ödipus und Prometheus die Erschnungen von Dionysos sind. Nietzsche stellt den Schmerz von Prometheus als “Schreck und Angst der Existenz” auf, der sich nicht gegen den Angriff des Adlers von Zeus verteidigt und sein Schicksal unberührt erträgt. Es gilt die intuitive Deutung des der Tragödie zugrundeliegeden Pathos. Nietzsche erzeigt diesem Pathos den “wahren” Dionysos. Nur der grosse Mensch als ein Erschnung eines grosses Gottes kann die Schmerzen der Existenzen ertragen. Dieser grosse Mensch ist der Selbstherrschender und der Herr vom Leben. Ödipus beginnt als der Herr der Ruine mit der Reise nach dem “Selbst”. Am Anfang weiss er nicht, wer er sei. Deshalb unterzieht er sich den grossen Schmerzen, die aus der Selbsttäuschung folgen. Im Prozeß zur Selbsterkennung erringt er sein eigentliches Leben. Prometheus tritt in den unendliche Schmerz hinein. Er muss die Stafe davon erleiden, dass er die Menschen nach seiner Form schafft und das himmlische Feuer für sie stieht. Nietzsches Augenmerk verlagert sich bei der Suche nach dem Vorbild eines “anderen” Leben. Nur wer die Schmerzen des wahren Dionysos ertragen kann,kann die neue Kultur schaffen. Diese Arbeit versucht die Quelle der Schmerzen der grossen Menschen mit Hilfe des Auslegung der Schmerzen von Ödipus und Prometheus zu erforschen.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는 오이디푸스나 프로메테우스를 포함한 그리스 무대의 유명한 인물들은 모두 원래의 주인공 디오니소스가 가장한 인물들로 본다. 니체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개별화의 고통을 몸소 겪고 있는 신인데, 오이디푸스나 프로메테우스는 어떤 점에서 디오니소스의 현현들인가?니체는 제우스의 독수리에게 공격당하는 인간의 위대한 친구 프로메테우스의 고통, “실존의 경악과 공포”라 할 수 있는 무서운 운명을 고스란히 겪어내는오이디푸스의 고통에 주목한다. 그 모두는 모두 고귀한 인간의 고통이라는 것이다. 고귀한 인간이란 노예가 아닌 인간, 스스로가 주인이 되는 인간이다. 사실우리는 삶의 주인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오이디푸스 왕의 사제의 말처럼폐허의 주인인지도 모른다. 니체는 왜 고귀한 인간은 죄를 범하지 않는다며 오이디푸스에 주목했을까?자신이 누구인지 몰라 폐허가 된 줄도 모르고 폐허가 된 인간이 자기가 가진모든 것을 내주고 비로소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아가는 과정이 오이디푸스의삶이고, 자신에 귀 기울이며 자기 형상을 따라 인간을 만든 대가로 기꺼이 끝나지 않은 고통 속으로 걸어 들어간 자가 프로메테우스다. 니체는 프로메테우스의고통 속에서 인간의 자존을 보며, 신에 대한 모독으로 설명되는 프로메테우스의행위를 찬양한다. 니체가 프로메테우스에게서 본 모독의 힘은 무엇이었을까?필자는 니체를 따라 프로메테우스 이야기가 고통을 감당하려는 의지와 용기 없이 스스로의 문화를 쟁취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이논문은 사멸의 고통을 겪고 있는 오이디푸스와 창조의 고통을 겪고 있는 프로메테우스를 통해 고통이 어떻게 삶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 삶의 증거가 되는지,고귀한 인간이 겪는 고통의 의미를 반추하려는 것이다.

      • KCI등재

        블루멘베르크의 신화 이론과 괴테의 ‘데몬적인 것’ – 괴테의 프로메테우스 상을 중심으로

        임홍배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2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Hans Blumenbergs Theorie des Mythos, wie sie in seiner Schrift Arbeit am Mythos entwickelt wurde, zu erklären und das Dämonische von Goethe anhand seiner Ode Prometheus und des Festspiels Pandora zu interpretieren. Der Mythos wird je nach der Bedeutsamkeit variiert und rekonstruiert. Der Prometheus- Mythos ist ein eminentes Beispiel dafür, indem er trotz seiner ikonischen Konstanz ein enormes Potential zu vielfältigen Variationen besitzt. Die Ode Prometheus zeigt eine radikale Umkehrung des Grundmythos, indem sie die schöpferische Autonomie des Sturm und Drang-Künstlers versinnbildlicht. Die Prometheus-Gestalt in Pandora lässt sich als ein reformierter Fürst nach den Napoleonischen Kriegen bezeichnen, da die gewaltsame Tatkraft zugunsten der Gerechtigkeit und des Friedens gezähmt wird. Das Dämonische wird in der Ode Prometheus als schöpferische Kraft des Künstlers verklärt, während es in Pandora eine ideale Fürstenrolle zur Überwindung eines gewaltsamen Konflikts übernimmt. 이 논문은 한스 블루멘베르크의 신화 이론을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괴테의 송가 「프로메테우스」와 미완성 축제극 『판도라』에 구현된 프로메테우스 형상에 초점을 맞추어 괴테의 ‘데몬적인 것’을 분석하고자 한다. 블루멘베르크에 따르면 신화의 의미는 고정된 형태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전승과 수용 과정에서 ‘유의미성’에 따라 부단히 변형된다.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그런 신화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본보기의 하나다. 슈투름 운트 드랑 시기의 대표작 「프로메테우스」 송가에서 괴테는 신의 징벌을 받는 전통적 프로메테우스 상을 역전시켜 예술가의 자율적 주권을 구현한 형상으로 재창조한다. 이와 달리 나폴레옹 전쟁 직후에 쓴 『판도라』에서 프로메테우스는 폭력적 갈등을 종식하고 정의로운 평화를 정착시켜야 하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개혁적인 군주의 이미지로 재탄생한다. 「프로메테우스」 송가에서 데몬적인 것이 창조적 예술가상으로 구현되었다면, 『판도라』에서는 폭력의 극복과 평화의 실현을 위한 대안적 역사 서사로 재구성된다.

      • KCI등재

        다시 읽는『프랑켄슈타인』-“모던 프로메테우스”와 여성의 생명 창조력-

        손현주 ( Heon Joo Soh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 모던 프로메테우스』는 서구 문명이 산업사회로 접어들던 시기에 탄생한 현대의 악몽이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의 부제인 “모던 프로메테우스”에 초점을 맞추어 읽어보려한다. 낭만주의 시인들은 프로메테우스를 사회적 정신적 자유를 위해 투쟁하는 불굴의 인간정신과 무한한 상상력의 상징으로 삼았다. 그렇다면 과연 셸리가 제시하는 모던 프로메테우스는 어떤 인물인가? 소설 속 프랑켄슈타인은 과학과 지성의 힘으로 실험실에서 인간을 창조하려 시도하고 반면에 여성 셸리는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글쓰기, 그것도 과학적 지식에 입각한 공상과학소설을 시도한다. 전통적인 성 역할을 전복시킴으로써 셸리는 폴 영퀴스트가 지적했듯이, 자신의 어머니이자 여성운동의 선구자였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권리 옹호”에 이은 “여성의 상상력 옹호”를 주창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흥미롭게도 셸리는 프랑켄슈타인의 생명창조과정을 당시 부인과 의학서의 임신 출산에 대한 담론의 언어를 빌어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자신이 경험한 임신과 출산을 둘러싼 자전적 요소들과 함께 작품전체를 아우르는 셸리 특유의 언어를 지지해주는 틀을 구성한다. 본 논문은 18세기 당시의 임신 출산과 관련된 산부인과 관련 담론들을 살펴보고, 셸리가 프랑켄슈타인의 인간창조과정을 묘사하는데 이러한 언어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검토해 본다. 그리고 18세기 영국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의학적 담론을 바탕으로 당시 사회의 임신 출산에 관한 시각을 알아보고, 그러한 시각을 통해 프랑켄슈타인의 프로메테우스적 과업과 셸리 자신의 소설 창작과정을 함께 조명하여 셸리가 생각했던 “모던 프로메테우스”의 모습을 찾아 보고자 한다. Mary Shelley`s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is a depiction of a haunting nightmare of Western civilization since the dawn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is paper will be reading the novel, focused on its subtitle, “The Modern Prometheus.” Invoking the myth of Prometheus who was taken for the symbol for the unvanquished human willpower and the overreaching pursuit beyond the human limitations by Romantic poets, Shelley asks us what the Modern Prometheus should be. By assigning to a man the job of creating life with the supreme knowledge while to herself that of giving birth to a book instead of a child, Shelley subverts the established gender roles. As a result Victor Frankenstein ended up creating a monstrous creature who eventually destroyed its creator and itself, while Shelley succeeded in writing the novel, Frankenstein, which Paul Youngquist calls “a Vindication to the Imagination of Women,” a sequel to her mother, Mary Wollstonecraft`s “The Vindication to the Right of Women.” The novel is about giving birth, which is a power unique to the woman and the core of nature`s secret and the goal of Frankenstein`s aspiration. In this nightmarish story, Shelley tries to demolish and deconstruct the binary oppositions between masculine and feminine, life and death, and civilization and nature. The birth of the monster is the first step to our recognition of the problems involving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e in the name of science and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