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에서의 프레드릭 제임슨의 루쉰 읽기 수용

        전형준(Jeon, Hyung-Jun)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20 東亞文化 Vol.58 No.-

        프레드릭 제임슨의 <다국적 자본주의 시대의 제3세계문학>(1986)은 발표 이래 서양의 제3세계문학론에서 주요한 논의의 틀로 작동했고 제3세계에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 포함되어 있는 제임슨의 루쉰 읽기 역시 루쉰 연구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고는 제임슨의 루쉰 읽기가 중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고찰했다. 제임슨의 이 글에 대해 중국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인 토론을 시도한 글은 가오위엔둥의 <정전의 의의>(1994)였다. 이 글은 단순히 제임슨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임슨의 글에 나타난 루쉰에 대한 이해를 비판적으로 세밀하게 고찰했다. 가오는 제임슨의 글을 영문으로 직접 본 것이 아니라 1989년에 발표된 장징위엔의 번역을 통해 읽었다. 장의 번역은 중국의 학술계와 비평계에서 지금까지 30여 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장의 공헌이 크다고 하겠는데, 다만 번역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오류를 범함으로써 자신의 번역을 사용한 많은 이들에게 결과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제임슨은 중국어를 모르므로 당연히 루쉰의 영역본을 읽었는데, 그 판본은 양씨 부부가 번역한 <Selected Stories of Lu Hsun>이다. 이 번역본의 영어 번역이 제임슨의 해석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장의 번역은 중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문 사이의 격차라는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루쉰 작품의 영역문 인용 부분을 원작의 중국어 원문으로 대체해버렸다. 그러나 제임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루쉰 작품의 영역문을 함께 읽을 필요가 있다. 가오의 토론이 그 뒤 중국에서 어떤 논의들로 이어졌는가, 장의 번역이 그 뒤 중국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어떻게 수정되었는가 등의 화제에 우리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겠지만,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다면 본고의 역할은 그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Since its publication in 1986, Fredric Jameson’s “Third-world Literature in the Era of Multinational Capitalism” has worked as a primary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third-world literature in the West and had strong influence on the Third World as well. Jameson’s reading of Lu Xun in that article also had a great impact on Lu Xun studies.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reception of Jameson’s reading of Lu Xun. Gao Yuandong’s 1994 article titled “The Significance of A Literary Canon: Lu Xun, His Stories, and Fredric Jameson’s Understanding of Lu Xun” first attempted a discussion of Jameson’s article in earnest. In that article, Gao not only introduces Jameson to Chinese readers but also examines his understanding of Lu Xun in a critical and detailed manner. Gao keenly captures that Jameson’s theory on third-world literature still reveals typical features of the first-world academic discourse an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Jameson and Lu Xun in terms of context of writing. It is notable that Gao read Jameson’s article not in the original but in a Chinese translation by Zhang Jingyuan. Since its publication in 1989, Zhang’s translation has been used in the Chinese academic and critical world for thirty years. Despite her great contributions, Zhang consequently had some negative effects on the readers due to her mistakes in translation. Gao, too, was influenced by Zhang’s translation, but fortunately does not seem to have made major mistakes. Not knowing the Chinese language, Jameson read an English translation of Lu Xun: it is Selected Stories of Lu Hsun, translated by Xianyi Yang and Gladys Yang. I argue that the Yangs’ translation of “候补” into “official post” resulted in Jameson’s biased interpretation of A Madman’s Diary. In his translation, Zhang replaces Jameson’s quotations from the English translation with those from the original texts, without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its English translation. In order to understand Jameson, however, we need to read the English translation of Lu Xun as well. In the future, we may need to expand the topic of discussion to include the discursive influence of Gao’s article and the use and revision of Zhang’s translation in China. But I will settle for drawing Chinese scholars’ attention to those issues for now.

      • KCI등재

        〈설국열차〉와 〈기생충〉에 나타난 계급모순의 극복방식 - 프레드릭 제임슨의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

        이수정 ( Lee¸ Sooj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1

        본 연구는 현대 문화텍스트 중 봉준호 감독의 두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프레드릭 제임슨의 세 가지 의미론적 지평의 해석을 적용하여 해석한다. 제임슨의 세 가지 의미론적 지평의 해석은 한 시대의 문화적 텍스트에서 모순을 해결하는 방식 속에서 동시대의 정치적 무의식 속에 억압된 모순을 다시 읽어내는 해석방법이다. 본 연구는 제임슨의 텍스트 해석방식을 압축하여 소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봉준호의 두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해석하여 정치적 무의식을 읽어낸다. 제임슨은 자본주의가 진행되면서 문화의 전 영역에서 사물화도 함께 진행되었으며, 후기 자본주의에 이르러서는 사물화가 완성되면서 삶과 가치가 완전하게 분리되어 모순을 인식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한다. 제임슨은 사물화를 합리화, 전문화, 파편화, 다양성, 정신분열증, 자율성, 체계화, 소외 등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해석한다. 사물화의 체계는 문화 영역을 세분화하고 고립시켜서 하나의 총체적 개념으로 해석할 수 없게 하는 자본주의의 논리이다. 사물화의 결과 전 영역이 고립되어 모순을 인식하기 어려워지면 모순은 정치적 무의식 속에 억압된다.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와 〈기생충〉은 계급갈등에 대한 현대 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읽어내기 위한 좋은 예이다. 우선 등장인물에 적용된 계급의 알레고리와 두 영화에 인물들의 관계가 만들어내는 서사구조를 비교하여 봉준호 감독이 지향하는 계급의식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제임슨의 세 가지 지평의 의미론적 해석방식을 살펴보고 이 해석방식을 적용하여 감독이 영화를 통해 현 사회의 모순을 어떻게 해결하려 하는지를 밝힌다. 제임슨의 해석은 문화텍스트가 현대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는 방식 속에서 저자가 표면적으로 드러낸 주제 이면의 정치적 무의식을 읽어내기 위한 것이다.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가 봉합한 정치적 무의식을 복원하는 일은 현시대 문화의 모순을 직시하여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This study applies Jameson's three semantic horizons interpretation to interpret Bong Joon-ho's two films Snowpiercer and Parasite in contemporary cultural texts. By comparing the allegory of the social class applied to the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structure cre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two films, we explore the class consciousness that director Bong Joon-ho is aiming for. To this end, we study Jameson's narrative theory and apply it to reveal how the director intends to solve the dilemma in the present society through the film. Restoring political unconsciousness with the text sutures to resolve the dilemma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design a better future by facing the 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culture.

      •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의 ‘지정학적 미학’

        강윤주(Kang Yunju)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이 글은 프레드릭 제임슨의 이론에 기대어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제임슨에게 있어 포스트모던에 적합한 세 가지 내러티브 방식은 정신병적 알레고리와 공간 분석, 그리고 ‘인지적 지도 그리기’이다. 포스트모던의 대표적 징후 중 하나인 역사성의 위기로 인한 혼란과 억압은 미학적 생산물들에서 정신병에 걸린 인물들로 형상화된다. 또한 70년대 초반부터 맑시스트 지리학자들을 통해 주목받아온 공간의 의미는 포스트모던의 세계 정치적 상황을 표출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곧 사물의 배치 자체와 조명, 카메라의 각도 등 공간에 관련된 모든 것들을 꼼꼼히 들여다보는 것은 포스트모던한 영화 분석에 있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서 있는 경제적, 정치적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인지적 지도’는 후기자본주의 시대 세계자본주의화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이다. 제임슨은 ‘인지적 지도’가 현재 자신의 상황뿐 아니라 자본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이상향을 꿈꿀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포스트모던 예술품이 그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의 여일과 동막골 주민들은 외압에 의해 분단된 한반도 상황 속에서 혼란스러워하고 억압받는 한반도의 정신병적 알레고리로 읽힐 수 있다. 또한 동막골이라는 탈중심화된 공간은 시공간적 콘텍스트 없이 존재하는 장소로서 세계자본주의 체제에서 ‘불가근불가원’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유토피아적 공간이다. 〈웰컴 투 동막골〉로 그려볼 수 있는 ‘인지적 지도’는 우리와 미국의 관계인데, 미국은 우리의 영원한 우방이 아니라 여전히 두려운 강대국으로 인지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그렇지만 이 영화는 동시에 그 미국조차도 화해하도록 만드는 이상향을 꿈꾸는 남한 국민의 바람을 드러내주기도 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ilm 〈Welcome to Dongmakgol〉 with postmodern theory by Fredric Jameson. According to Jameson we are living in an age of a late capitalism which means the extremely developed capitalism. From a cultural aspect it is an age of a postmodernism. In postmodernism aesthetical productions should be differently formulated because the technical development in an age of late capitalism can not be expressed with the same way of cultural expression for the modern times. For Jameson, the three ways for postmodern age narrative are psychopathic allegory, space analysis, and the ‘cognitive mapping’. One of the clear symptoms of postmodern age, crisis of historicity which caused confusion and repression is formulated as persons with mental disease. And the meaning of space which has been focused by Marxist geologists since the early 1970 is used as an instrument for the expression of geopolitical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placement of things and light, an angle of cameras should be exactly analysed in a postmodern film analysis. Furthermore, the ‘cognitive mapping’ for noticing of his own economical and political status is an essential factor in order to stand against globalization of capitalism. According to Jameson, the ‘cognitive mapping’ should make people not only recognize his status in the world, but also dreaming of an alternative way of life and arts in postmodernism should work for the purpose. Yeoil and inhabitants in 〈Welcome to Dongmakgol〉 symbolize South Koreans who suffer from divided country by big power and they are also symbols of psychopathic allegory of Fredric Jameson. And the decentralized space, Dongmakgol is a place without context of time and space. It can be also interpreted as North Korea in the sense that North Korea keeps ‘not too far and not too near’ from the global capitalism. The ‘cognitive mapping’ in 〈Welcome to Dongmakgol〉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USA. It is found that USA is not an everlasting allied country, but a fearful country for Sou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is film disclose the unconscious wish of South Koreans about North Korea as a utopia, which is able to embrace even America.

      • KCI등재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던론 연구

        김현식(Hyun-Sik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2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한, 프레드릭 제임슨의 영향력은 결코 무시될 수 없다. 마치 E.H. 카아의 말, 곧 “현재와 과거의 대화”가 역사란 무엇인가의 정답으로 종종 인용되듯이,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 논리”라는 제임슨의 명제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으로 즐겨 인용된다. 그러나 후기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문화 논리란 또 무엇인가. 그리고 왜 제임슨은 이러한 명제를 주장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을까. 본 논문의 목적은 단일하다.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제임슨의 다양한 글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 대한 “지도”를 그려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제임슨의 “인식적 지도 그리기”개념의 의미와 중요성 등이 탐구될 것이며, 제임슨의 양의적인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이 중점적으로 고구될 것이다. 그리하여 인식적 지도그리기란 주체적 인간과 객관적 상황의 다양한 연관양상을 통해 특정한 시대의 굴곡과 부침(浮沈)을 세부적으로 잡아냄으로써, 그 시대의 (인식 불가능해 보이는) 윤곽과 지형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임이 입증될 것이다. 아울러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이란 후기 자본주의가 토대로서 확고히 자리 잡은 시대를 지칭하는 개념이면서, 동시에 후기 자본주의라는 물적 환경에 의해 조건 지워진 사회의 전반적인 모습을 총체적으로 규정하는 개념이기도 한 것임이 증명될 것이다. 이어 패스티쉬와 노스탤지어 등의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임슨이 생각한 포스트모던 시대의 주된 특징이 무엇인지가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리고 다국적 자본의 전 지구적 침식으로 인해 생겨난 문제점들을 그가 어떻게 해결하고자 시도했는지가 구명될 것이며, 끝으로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단점과 장점 등이 고찰될 것이다. Needless to say, Fredric James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s on today's postmodernism.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oroughly expou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redric Jameson's concept of postmodernism. In other words, critically articulating the peculiarities, the limit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Jameson's postmodernism is the main theme. For this, by examining his various works on postmodernism as well as films such as The Cultural Turn, Postmodernism, Signatures of the Visible, The Geopolitical Aesthetic, his attempt for 'cognitive mapping' of postmodernism will be deeply analyzed and criticized. And, as a result, the arguments revolving on his usage of postmodernism as a periodization concept and a cultural logic of the late capitalism, his characterization of the postmodern age as the world of pastiche, and his longings for genuine culture which can resist the logic of capital will be suggest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세계문학과 근대성의 문제

        김용규(Yong Gyu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문학에서 근대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제기해온 프레드릭 제임슨과 그에 근거해 세계문학론을 주장하는 닐 라자러스와 니컬러스 브라운의 세계문학론을 근대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오랫동안 세계문학은 서구적 근대성의 산물이자 현상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서구적 근대성과 그 미적 양식이 세계문학의 일차적 기준이었다. 이런 현실은 비서구 문학을 서구문학을 모방하고 흉내 낸 문학이라는 부정적 오명을 쓰게 만들었다. 최근의 세계문학론에서 근대성의 문제는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서구적 근대성을 제대로 논하지 않고서는 서양 중심적인 세계문학을 뛰어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제임슨, 라자러스, 브라운의 세계문학론은 근대성에 대한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하는 한편, 자본주의의 고유한 문제들에 주목하는 근대성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중심부와 주변부, 서양과 비서양의 이분법을 극복하면서 문학의 근대성과 보편성을 새롭게 주장한다. 이들의 세계문학론은 그동안 서구적 근대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온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것은 우리의 근대성과 체제의 문제를 문학적으로 철저히 형상화하는 것이 곧 세계문학의 실천임을 깨닫게 해준다. 이를 통해 세계문학은 해당 사회의 근대적 문제들과 치열하게 대면하면서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문학이라는 기본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oblem of modernity in world literature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theory of world literature by Frederic Jameson, Neil Lazarus, and Nicholas Brown, who have formulated a new concept of modernity against Western modernity. For a long time, world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field in which the ideas and values of Western modernity were embodied. This led to the negative labeling of non-Western literature as less worldly and more local literature that falsely imitates the modernity of Western literature. So the problem of modernity, such as how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and rethink the concept of modernity radically, has become one of the essential issues in the recent theories of world literature because we can not achieve the further development of world literature without properly criticizing the existing concept of Western modernity. What is interesting in Jameson’s idea of singular modernity and Lazarus and Brown’s theory of world literature is that they criticizes the Western conception for modernity and suggests the new concept of modernity that pays attention to the proper problems of capitalism rather than the West. Moreover, their theory pursues for a new political reading on the modernity and universality of literature, overcoming the dichotomy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western and non-western. Their theory of world literature has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who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Western modernity. It makes us realize that our own literature can be world literature when we thoroughly explore our own modernity and the problems of capitalism. It also recalls us the basic fact that world literature is a literature that can search for political possibilities in the modernity of our own world and its internal contradictions and cracks.

      • KCI등재

        Fredric Jameson의 포스트모더니즘론으로 전주한옥마을 읽기와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남영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d the Jeonju Hanok Village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Fredric Jameson's idea of postmodernism. In addition to this reading of the Hanok Village, this paper suggests how Jameson's ideas impact art education for art educators. To this end, first, I reviewed literature on Fredric Jameson's notion about the postmodernism and postmodern cultural critique. This resulted in the conclusion that commodification underlies postmodernism. Commodification causes depthless pastiche, simulacrum, and weakness to historicity. In response to this cultural logic of postmodernism, it was revealed that Jameson proposes cognitive mapping as postmodern cultural critique enabling people to perceive the totality of their world. Second, I examined the Korean houses(Hanok) and the costumes(Hanbok) in Jeonju Hanok village applying Jameson's cultural critique method. This allowed postmodern cultural logic in the village to have three characteristics. One was that Hanok and Hanbok in the village have characteristics of pastiche, which serves the commodification of the aesthetic products. Another was that the aesthetic products construct the simulacrum of the past, which satisfies tourists who desire consuming the nostalgia of the past. The other was that the aesthetic products in the village approach the past and history by stylistic and stereotypical means, so that it is likely to produce schizophrenic effects on subjects who consume history on the surface and who get rid of historicity at the end. Finally, this paper ends with suggesting an example of a teaching plan focusing on cognitive mapping with the medium of Hanbok in the Jeonju Hanok Village. This teaching plan example is expected to give art educators insight on how to approach postmodern cultural critique. 본 고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론을 이론적 프레임으로 하여 전주한옥 마을을 읽고 미술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프레드릭 제임슨이 보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문화비평에 대해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해보았다. 연구 결과,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모든 것을 상품화하려는 기제의 작용으로, 미적 생산물들을 깊이없는 패스티쉬화, 시뮬라크롬화하며, 사람들의 역사성 약화를 야기하는 특징이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할 포스트모던 문화비평으로서 제임슨은 인지적 지도그리기를 통해 우리가 사는 세계의 총체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제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주한옥마을에 있는 미적 생산물들 중 특히 한옥과 한복을 중심으로 제임슨의 문화비평을 연구방법으로 하여 읽어 보았다. 연구결과, 전주한옥마을에서 포스트모던 문화논리가 세 양상으로 확인되었다. 하나는, 한옥마을의 한옥과 한복들이 패스티쉬하는 특성을 띔으로써, 상품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미적 생산물들이 과거의 시뮬라크롬을 구축함으로써 과거에 대해 향수하고자하는 사람들의 소비욕구를 만족시키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마을에 있는 미적 생산물들이 스타일상으로 그리고 스테오타입으로 과거와 역사에 접근함으로써 역사를 피상으로 소비하는 분열적 주체를 낳게 해 결과적으로 주체의 역사성 약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고는 마지막으로 미술교사 를 상대로 어떻게 포스트모던 문화비평이 가능한지, 전주한옥마을에서의 한복체험을 매개로 하는 인지적 지도 그리기 수업의 예시를 제안하며 글을 맺었다.

      • KCI등재

        서사의 실패를 서사화하기: 영화적 재현을 매개하는 서사-형식의 이데올로기적 본성에 대한 탐구

        홍재영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영화에서 그간 재현이라는 문제틀 안에서 씨름해온 일련의 문제들을 서사 혹은 내러티브로 전환해서 현재에 대한 ‘역사적인’ 사고의 지평을 여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이상 재현이 지시대상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지 못할 때영화가 현실과의 관계를 상정할 수 있기 위해선 새로운 개념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총체화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서사, 곧 영화의 내러티브는 바로 그러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사를 이데올로기의 한 형식으로 봐야 한다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제안을 따라 세 가지 논점을 제시한다. 첫째, 장 루이 코몰리의 스펙터클 비판은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스펙터클이 된 상황에서도 스펙터클의 한계가 반드시 알레고리화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는 재현이 결코 ‘바깥’과의 관계없이 완전히 자율적일 수 없기 때문에 동시대의 재현은 자체의 불가능성을 알레고리화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이처럼 재현이 스스로를 알레고리화하는 방식으로 연명하는 것은 서사의 작동 때문이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전통적인 서사 관습이 유효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서사의 작동을 판별할수 있는 것은 결국 서사의 실패를 통해서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지버베르크의 작업이 모더니즘적인 기획 속에서 다시 한 번 서사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문화혁명’이라 말하면서도 이러한 기획이 포스트모던한 상황에선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진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패는 서사 자체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조명하면서 역사적으로 필연적인 것으로 전환될 때 변증법적인 논의의 전개를 가능하게한다. 셋째, 그렇다면 작금의 이른바 유사-서사들은 궁극적으로 인식적 지평의 한계 위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대문자 서사는 바로 그러한 한계의 이름에 다름 아니다. 여기서 앙드레 바쟁이 찬사를 보냈던 네오리얼리즘의 쇠퇴와 한계가 필연적인 것으로서 다시 논의될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영화에서 과거에한때 가능했던 서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것은 언제나 영화 자신의 부정성이었으며 영화란 바로 그러한 한계를 발판 삼아 새로운 단계로 이행해간모순적인 운동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 KCI등재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현재적 가치: 유토피아적 사유의 복원을 위하여

        임경규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1 영어권문화연구 Vol.14 No.1

        This essay aims at questioning on the present significance of Fredric Jameson’s 1991 book,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with the forthcoming publication of its Korean translation. When the homonymous essay was first published in 1984, it immediately spawned both the loudest applauses and the harshest critiques. Yet it made innumerable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postmodernism: it successfully articulated the postmodernism with the so-called late capitalism; it provided a concrete foothold upon which we could read the post-1960s’ American culture from a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Particularly, the “cognitive mapping” it suggested as a new spatial political aesthetics taught us how to struggle with the late capitalism that effectively transcends our ability to cognitively map our surroundings. As a translator, however, I would like to ask why we should read this book ‘here and now,’ more than 30 years later after its first publication. What kind of problematics could it address in our 21st-century climate? Finally I will argue that what we should restore from this book and Jameson is the very Utopian thinking, the very aspiration for social change.

      • KCI등재

        ‘힐링 영화’ 속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 : 〈찬실이는 복도 많지〉와 〈소공녀〉를 중심으로

        김수연(Kim, Soo Yeo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5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코로나 시대의 힐링 영화로 주목받은 〈찬실이는 복도 많지〉(김초희 감독, 2019)와 〈소공녀〉(전고운 감독, 2017)를 분석하되, 프레드릭 제임슨의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 개념을 통해 영화의 유토피아적 서사가 구현하는 치유와 위로의 한계에 주목하는 것이다. 본론의 첫 부분인 ‘부동산과 공간성’에서는 ‘우리 시대 모든 정치는 부동산에 관한 것’이라는 제임슨의 최근 주장을 출발점으로, 두 영화 속 여주인공의 열악한 주거 상황이 어떻게 유토피아적 열망을 낳고 이데올로기적으로 봉합되는지 밝힌다. 두 번째 부분인 ‘유토피아 플롯’에서는 유토피아적 내용이 아닌 형식을 중시하는 제임슨의 유토피아론에 비추어 〈찬실이는 복도 많지〉 속 ‘장국영’ 플롯과 〈소공녀〉의 판타지적 결말을 분석한다. 마지막 부분인 ‘성적 욕망의 부재’에서는 두 영화 속 실패한 로맨스에 초점을 맞춘다. 제임슨이 주장하듯 역사성이 사라지고 모든 것이 현재로 수축한 상황에서 현실에 균열을 낼 수 있는 것이 ‘발본적 차이와 급진적 타자성’이라면, 두 영화 속 타자에 대한 유토피아적 욕망은 규범적 사랑 체계를 위협함에도 결국 억압적인 젠더 이데올로기에 흡수되어 버린다. This essay aims to uncover ideological components of the comfort and “healing” supposedly offered by the Utopian narratives of two recent Korean films, Lucky Chan-sil and Microhabitat, in light of Fredric Jameson’s notion of utopia and ideology. The first part of the essay examines how the homelessness of the films’ two protagonists, Chan-sil and Miso, leads to a variety of Utopian aspirations which are ultimately sutured with ideological resolutions. The second part, following Jameson’s focus on Utopian form in favor of Utopian content, analyzes the dialectic of utopia and ideology working in the “Leslie Cheung plot” in Lucky Chan-sil and the surreal conclusion of Microhabatat. The last part looks at the failed heterosexual romance in these films. Considering Jameson’s emphasis on “radical difference, radical otherness” as disruptive of the present, this essay argues that Utopian desires for the other embodied in Chan-sil and Miso lose their disruptive potentialities and are eventually subsumed by repressive gendered ideologies.

      • KCI등재

        ‘총체성’과 문화연구의 미래 - 프레드릭 제임슨의 신 광 현주제에 의한 변주

        신광현(Shynne Gwanghyun) 한국비평이론학회 2006 비평과이론 Vol.11 No.2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future of cultural studies depends on the way in which the concept of totality is incorporated in their practices, arguing that cultural studies ne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concept of totality in order to come to terms with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As an attempt to recuperate "totality" in cultural studies, this paper considers Fredric Jameson"s Marxist hermeneutics, which involves or indeed is predicated on the idea of totality that is arguably the most exhaustive and relentless one in recent theoretical debates.<BR>  After providing a survey of various concepts of totality extended by such theorists as Louis Althusser, Ernesto Laclau and Chantal Mouffe, Antony Easthope and Stuart Hall, this paper takes a more detailed look at Jameson"s own concept.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wo aspects of Jameson"s theory of totality, discussing his idea of the negativity of totality and hi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otality.<BR>  Jameson"s idea of the negativity of totality, despite its usefulness in defending the concept of totality from post-structuralist attacks, leads to the view that the totality is beyond a cultural representation. As a result, his idea of negative totality ends up with a preemptive view of culture, theorizing it as being able to grasp the totality only symptomatically, that is only in its failure to do so. In critiquing Jameson"s idea of the negativity of totality, this paper compares it with Georg Luk?cs"s idea of "approximation," which dislodges itself from any kind of positive view of totality yet still approves and even invites tantalizingly more and more artistic representations of totality. This paper also critiques Jameson"s reluctance to theorize the multiple strands and layers of experience that the subject employs when engaged with the totality. By examining the way Jameson uses Jean-Paul Sartre"s text, Search for a Method, this paper illustrates how he is not familiar with respecting the language of subject as much as the language of totality in spite of his claim that Marxism has both as two complimentary co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