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표준보육과정의 현황과 개선과제

        정효정(Chung Hyo-Ch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0

        최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이념적 기초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표준보육과정의 법적근거 및 개발과정, 표준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표준보육과정의 성격, 영역 및 내용,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등 표준보육과정 현황을 소개한 후 이에 따른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표준보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로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지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사회적 통합과 연대 및 공동체 의식 강조, 보육대상별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재설정, 발달특성 중심에서 복지욕구, 지역 및 계층특성, 사회적 필요성을 추가, 보호 측면 강조, 연령의 세분화,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이원화, 영유아 중심의 운영과 이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 강화, 표준보육과정 실천을 위한 교수방법 및 활동방법 제시, 보육내용을 1, 2, 3수준을 0-5세로 구분, 표준보육과정 이행 여부 점검 및 평가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Since quality of child-care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ed to reform task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gal foundation, developmental process, goals and content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promoting, 2) emphasizing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spirit, 3) resetting the child care goal according to subject of child care, 4) adding need for social welfar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or class, social need, 5) emphasizing dimension of care, 6) age-segmentation, 7) dualization of goal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those of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8) child-oriented operation, 9) facilitating of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10) guiding teaching method.

      • KCI등재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신화식(Shin Hwa-Sik),박진옥(Park Jin-Oc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2

        본 연구는 문헌 분석 방법을 통해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관계법령, 개발과정, 편성 및 운영체제, 목표, 내용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해 현장의 원장, 교사, 학생들의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진행될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의 통합에 필요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분석과 설문지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의 통합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과 내용의 통합이 필요하다. 넷째, 표준보육과정의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다섯째, 표준보육과정의 지역화 명시가 필요하다. 여섯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관련 자료를 공동으로 개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일곱째, 연령 세분화와 구체적 기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s of the integration of national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Documen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congruence and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kindergarte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 care center. Surveys were used to determine the response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students. It showed that in regard of applying to practice the two groups disagreed; professionals preferred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 care center, while the students preferred a kindergarten curriculum. Both groups, however, had the same opinion on why the national curriculum was weak; the contents were ambiguous, repetitive, unorganized, and illogical. Professionals and studen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agreed that the integration of a national curriculum is necessary in order to give a bet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도가 보육과정 운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마미정 ( Mi-jong M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향후 표준보육과정 이해를 통한 보육교사의 질적 보육과정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는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보육과정 운영에서 대표적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교수학습과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도와 보육과정 운영 어려움 간의 관계는 표준보육과정의 각 영역별 교사지침 이해도가 낮을수록 교수학습과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준보육과정 이해도가 보육과정 운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은 표준보육과정의 각 영역별 교사지침이 보육교사의 교수학습 어려움과 상호작용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propose the direction of quality childcare curriculum of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and effect of teaching-learning and interaction that have typical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the childcare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the childcare operation was found to be more difficult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lower the understanding level of teachers’ guidelines in the area fo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effect of the understanding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n the difficulty of the childcare curriculum showed that teachers’ guidelines in the area fo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ffected childcare teachers’ difficul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difficulty of interaction.

      •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병행·협력안 연구

        노은호 한국보육학회 2008 한국보육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law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methods of implementation, goals and objects, areas and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National Curriculum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Documen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congruence and difference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raten and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ional Kindergraten Curriculum and National Childcare Center Curriculum. The organizarion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based on national education ideologies and philosophy, guidelin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laws. Although titles classific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the content are divided 5 or 6 different areas, which are based on children. The content in areas divide in ages and levels of development.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ith 2 levels, can be adapted to suit the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of young children(ages 3 to 5). However there are 3 levels for young children(ages 3 to 5) in the National Childcare Center Curriculum.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을 비교하되 교육과정의 편성체계와 교육/보육 내용을 살표봄으로서 교육/보육의 병행·협력체제를 이룰 수 있도록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제 6차 유치원교육과정, 제 7차 유치원교육과정 개정시안, 표준보육과정안, 해설서 등을 토대로 연구영역별로 관련 내용들을 선별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은 관련법과 행정조직이 다르나 편성 운영체제는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교육/보육과정의 성격,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 및 목표 등에서도 용어의 표현의 차이는 있으나 유사하게 제시되었다.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 및 내용의 구성에서는 유치원교육과정은 5개 영역 즉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등을 Ⅰ수준, Ⅱ수준, 공통수준으로 나누었고, 표준보육과정은 6개 영역 즉 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 등을 만 2세 미만은 1, 2, 3수준, 만 2세는 1, 2수준, 만 3~5세는 1, 2, 3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또 교수학습방법, 평가에서도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이 유사하게 기술되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여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유아교육과 보육의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기관유형에 따른 만 2세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장애요인 인식

        임준구 ( Jun Gu L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와 장애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기관유형에 따른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표준보육과정 인식 여부, 목적과 목표, 성격 및 구성,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인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를 살펴본 결과 기본생활영역에서는 몸을 깨끗이 하기, 즐겁게 먹기, 알맞게 잠자리와 휴식하기, 규칙적인 배설 습관갖기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관계영역에서는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다른 사람에게 관심가지기, 양육자와 애착형성하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소통영역에서는 그림책에 흥미가지기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술경험영역에서는 모방행동 즐기기, 단순한 미술경험 시도하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기관유형에 따른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요인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발달수준 및 개인차에 대한 이해와 고려, 영아반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현직연수나 워크샵의 부족, 표준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성에 대한 요인이 장애요인인 것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child care teachers on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for infants under two years old following the type of institution of the object of investigation, only in whether or not of recognition, purpose and objective, character and constitution, child care contents and the awareness of guidelines for teachers of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ed.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eality of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for infants under two years old, in basic life domain only in making the body clean, eating joyfully, appropriately sleeping and taking a rest, having regular excretion habit,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ed. In social relation domain, in self-respect, emotion cognition and adjustment, having interest in other people and forming attachment with fosterer,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ed. In communication domain, only in having interest in picture book,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ed. In art experience domain, only in enjoying imitative action, trying simple art experience,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ed.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hindrance factor of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for infants under two years old following the type of institution, only in the argument tha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consider the development level and individual variation of infants, the argument that current post training or workshop of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for infant class and the argument that the professionalism for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is insufficient,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ed.

      • KCI등재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최은주,안지령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을 실시 한 후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북 P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50명으로, 이를 대상으로 5주 동안 15개의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 실시결과 실험집단 유아가 통제집단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음으로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으로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력 있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of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fty children aged five from P Daycare Center in Gyeongsangbuk-do. Fifteen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ere conducted for five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s findings reveal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child. Second,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n the self-esteem of chil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the results show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sum,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has an influential role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settings.

      •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

        윤혜원 한국부모교육학회 2009 부모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의 3가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1.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의 내용 고찰: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의 내용은 건강 생활, 사회 생활, 표현 생활, 언어 생활, 탐구 생활로 구성되어 있다. 2.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고찰: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은 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을 기본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분석 및 교육방향: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내용들은 대부분 유사한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건강 생활, 사회 생활, 표현 생활, 언어 생활, 탐구 생활에 더하여 우리나라의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전인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초해서 이에 더하여 우리의 것을 되찾으려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계승도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석순(Lee Seok-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구성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BR>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사업은 같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시대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은 관련법령과 주관부처가 다름으로 인해 이원화체제를 유지하면서 각기 다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다.<BR>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은 관련법과 행정조직이 다르나 편성운영체제는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교육/보육과정의 성격,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에서도 용어의 표현상 차이는 약간 있으나 매우 유사하게 기술되었다. 또한 영역 및 내용의 구성은 교육과정은 만 3-5세를 대상으로 5개 생활영역과 Ⅰ, Ⅱ, 공통수준으로 구분하였다. 표준보육과정은 6개영역과 만 2세 미만, 만 2세, 만 3~5세로 나누었으며, 내용별 수준을 연령에 따라 1ㆍ2ㆍ3 수준으로 구분하였다.<BR>  또한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여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바람직한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law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methods of implementation, goals and objects, areas and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rganization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s are based on national education ideologies and philosophy, guidelin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laws. Although titles and classific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the contents are divided 5 or 6 different areas, which are based on developments, experiences, and knowledg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children. The contents in areas divide in ages and levels of developments.<BR>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 KCI등재

        0-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최성진,조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0-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내용의 연계 형태를 과학교육의 영역별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과학교육 내용연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아과학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화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에는 연계가 나타났으며,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는 연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명과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간에는연계되지않는것으로나타났고,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 ‘연계됨’ 과 ‘연계안됨’ 이 모두 나타났다. 셋째, 지구과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에는 연계가 나타났으며, 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 ‘연계됨’ 과 ‘연계안됨’ 이 모두 나타났다. 넷째, 공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에는 연계가 나타났으며, 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는 연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내용의 연계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과학교육내용이 0세부터 과학영역별로 연계되어야하며, 둘째,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장 만으로도 내용의 위계가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서술되어야 한다. 셋째,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초등학교통합교과과정의 교육내용 진술방식을 일관성있게 조정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추후 교육과정의 연계성 연구가 좀 더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교육과정상의 내용만 분석하기보다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을 분석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each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current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olds, an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physics and chemistry, Nuri curriculum was connected with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but not with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life science showed no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whereas it exhibited both linkage and non-linkage between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ird, earth science showed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while it exhibited both linkage and non-linkage between Nuri curriculum an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ourth, in engineering, Nuri curriculum was linked with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but not with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duced a set of recommendations for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science education content.

      • KCI등재

        한국의 표준교육과정과 일본 보육소보육지침의 비교

        박진옥(Park Jin-Ok),최순자(Choi Soon-Ja),윤매자(Yun Mae-J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일본 국가 수준 보육과정에 해당되는 ‘보육소보육지침’을 한국 표준보육과정과 비교하였다. 비교의 준거는 보육과정의 법적 근거, 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영역, 내용, 운영 및 평가지침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첫째, 보육과정 연령 구분에서 영아를 위한 연령 세분화와 내용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교육과정과의 상호 연계,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보육과정의 보급과 운영 실천면에서 교사용 지침서의 조속한 개발 및 보급과 한국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연수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특수보육에 대한 내용이 더 많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다섯째, 일본 보육소보육지침에 반편견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In this treatise this author made comparison between "Policy on Childcare for Day Care Centers in Japan" which corresponds to national level childcare program in Japan with standard childcare curricumlum in Korea. Grounds for such comparison were legal basis of such childcare curriculum, its goals and objectives, field, contents, operation and evaluation policy. As a result of such comparison this author made a number of proposals. First, in the area of classification of age for thi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have subdividing classification of ages and integration of contents. Second, in terms of distribution,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earlies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structional manuals for teachers and training of teachers 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re required. Fourth, more contents on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specifically. And finally seventh, it is desired to incorporate anti-prejudicial contents in childcare policy for day care centers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