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장직장폴립 위치와 폴립절제술의 임상결과와의 상관 관계: 시술시간, 부작용, 그리고병리조직검사 결과를 중심으로

        박정현,김어진,김재학,최종순,최재혁,나형중,곽원건 대한장연구학회 2013 Intestinal Research Vol.11 No.3

        Background/Aims: Colonoscopic polypectomy should be performed on the five to seven hour of clock (standard position). However, outcomes of polypectomy at non-standard positions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colonoscopic polypectomy including procedure time, status of resection margin and complications between standard and non-standard position.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screening colonoscopy were prospectively recruited from Oct 2011 to Feb 2012 at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tial, Goyang, Korea. Standard position was defined as polyps which were located from 5 to 7 hour of clock on colonoscopic view. Results: A total of 168 adenomatous polyps of 114 patients were investigated. Mean size of polyp was 7.1±3.2 mm. The most common shape of polyps was sessile in 77 cases (45.8%). Mean overall procedure time per patient was 25.5±12.3 min. 130 adenomatous polyps were resected in standard position (77.4%) and 38 polyps were in non-standard position (22.6%). Overall complete resection rate was 63.7% and immediate bleeding rate was 9.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polypectomy time per polyp (2.9±1.3 min vs. 3.0±1.8 min, P=0.32). Complete resection rates and complicat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Conclusion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procedure time, status of resection margin and complications between standard position and non-standard position. Colonoscopic polypectomy is thus safe and feasible on any position. (Intest Res 2013;11:191-197) 목적: 대장내시경 폴립절제술을 할 때 폴립이 시야에서 하방에 위치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시술시간, 절제 단면, 그리고 합병증을비교하여 폴립절제술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받고 폴립이 발견된 환자들을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폴립이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에 위치해 있었을 때를 표준방향군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114명 환자에서 168예의 선종성 폴립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폴립 크기는 7.1±3.2 mm였고 편평한 폴립이 77예(45.8%)로 가장많았다. 평균 시술시간은 25.5±12.3분이었다. 130예(77.4%)의 폴립이 표준방향에서 절제되었고 38예(22.6%)의 폴립이 비표준방향에서절제되었다. 완전절제율은 63.7%였다. 전체 시술시간은 표준방향군과 비표준방향군의 전체 시술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폴립당 절제시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9±1.3 min vs . 3.0±1.8 min, P =0.32). 완전절제율(63.0% vs . 65.8%, P =0.89)과 합병증 발생률(10.0%vs . 7.9%, P =0.77)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선종성 폴립의 내시경 시야의 위치에 따른 폴립절제술의 시술시간, 합병증 발생률, 그리고 완전 절제율의 차이는 없었다. 대장폴립절제술은 폴립이 표준방향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안전하게 폴립을 제거할 수 있는 시술이다.

      • 위 절제술 후 발생한 위 폴립의 임상 병리학적 특징

        윤기영,조성진,김정훈,김영식,이상호,Yoon, Ki-Young,Cho, Sung-Jin,Kim, Jeong-Hon,Kim, Young-Sik,Lee, Sang-Ho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3

        목적: 위폴립은 위장에 발생하는 흔한 양성 신생물로서, 증식폴립과 샘종폴립으로 크게 나눈다. 대개의 위폴립은 증식폴립이며 아직 정확한 병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샘종폴립의 경우 보통 장화생 현상을 동반한 미성숙 상피세포로 변화할 수 있어, 악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샘종폴립에 비해 증식폴립에서는 악성으로 잘 이행하지 않는다고 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위폴립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저자들은 위절제술 후 생긴 위 폴립 병변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6개월 또는 1년을 단위로 하여 내시경 경과관찰을 한 환자의 잔위에서 생긴 위 폴립을 병리조직 학적 분류와 빈도, 내시경적 크기와 Yamada형 소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는 138명, 정상 위에서 발생한 폴립은 115예, 위절제술 후에 발생한 폴립은 23예였다. 정상 위에서의 폴립의 발생 부위를 보면 전정부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았으나, 위절제술 후에는 수술 후 문합부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정상 위에서의 폴립의 조직학적 분류는 증식폴립 86예(75%), 샘종폴립 24예(21%), 염증폴립 4예(3%), 장피 화생 1예(0.8%)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위절제술 후의 폴립의 조직학적 분류는 위십이지장 문합술 후 증식폴립 3예(18%), 샘종폴립 1예(6%), 염증폴립 13예(76%)였고 위공장 문합술 후 증식폴립 3예(50%), 샘종폴립 1예(17%), 염증폴립 2예(23%)였다. 위절제 수술 후 폴립의 크기는 정상 위의 폴립의 크기보다 작은 양상을 보였다. 정상 위에서 폴립의 Yamada 형태의 분류는 위절제 수술 후에는 I, IV형이 정상 위의 폴립에 비하여 적은 빈도로 생기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위절제 수술 후의 폴립은 수술 문합부에서의 발생빈도가 높았고, 주로 염증폴립 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자주 내시경 관찰을 하는 이유로 정상 위에서 보다 일찍 발견되어 크기는 작았으며, 육안적으로 폴립의 Yamada 형태의 분류는 II, III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Background: Gastric polyps encompass a wide variety of lesions that most commonly arise from the gastric epithelium. However, coincidental gastric carcinomas have rarely been reported, being found in $1.5{\sim}2.1%$ of patients with hyperplastic polyps. The sizes and the pathologies of polyps seem to be important in the application of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ly gastric polypoid lesions after a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a follow-up endoscopy study, 23 patients were found to have developed gastric polyps after a gastrectomy. Most of those polyps were removed by using an endoscopic polypectomy. We performed clinical and pathologic evaluations of the gastric polyps in the remainding in the stomach after a gastrectomy,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4.5 years old with the incidence of polyps remainding in the stomach after a gastrectomy increasing after the first year following the gastrectomy. The sizes of the polyps ranged from 0.3cm to 3.5cm in diameter and the numbers of polyps below 1.0cm were 19 (82.6%). The anastomotic site was the most prevalent place 10 (43.2%), followed by the cardia 6 (26.0%) and the body 4 (17.3%). Among 23 gastric polypoid lesions Yamada types of gastric polyps in the remainding in the stomach were as follows: 1 case in type I, 12 cases in type II, 9 cases in type III, 1 case in type IV. The pathologic diagnoses of the polyps were hyperplastic polyps in 6 cases, tubular adenomas in 2 cases and inflammatory polyps in 15 cases. Conclusion: Endoscopic polypectomy is believed to be important in assessing the precise diagnosis of gastric polyps remainding in the stomach. In this study, hyperplastic polyps were found to have no malignant potential, despite their sizes. As a result aggressive biopsy with a polypectomy of gastric polyp afier gastrectomy is recommended and frequent follow-up be performed.

      • KCI등재

        대장내시경검사에서 대장내시경 회수시간과 폴립 발견율과의 관계

        안상봉,한동수,조현석,변태준,김태엽,은창수,전용철,손주현,김선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2

        목적: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은 대장내시경검사에서 폴립 발견의 중요한 질관리 지표 중 하나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시술자간의 폴립 발견율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의 전임의 2년차 7명이 시행한 대장내시경 1,515건 중 장 절제술의 기왕력이 있거나, 염증성 장질환 환자 등을 제외한 1,299건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의 폴립 발견율, 대장내시경 삽입시간, 회수시간, 장 정결도, 폴립 크기, 폴립 위치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시술자별로 분류하였을 때, 시술자간 폴립 발견율은 15∼35%로 큰 차이가 있었다. 각 군 마다 성별, 나이, 장 정결도, 폴립의 위치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평균 대장내시경 삽입시간은 7.6∼12.3분으로 개인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대장내시경 삽입시간과 폴립 발견율은 관계가 없었다.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은 개인마다 평균 3.6±2.8분에서 7.1±2.5분까지로 차이가 있었으며, 대장내시경 회수시간과 폴립 발견율에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또한,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이 긴 경우에 5 mm 이하의 작은 폴립의 발견율이 높았다. 평균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을 6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회수시간이 6분 이상인 경우 6분 미만에 비해 폴립 발견율이 의미있게 높았다(30.7% vs 18.4%, p< 0.001). 결론: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시술자간 폴립 발견율의 차이가 있었고, 대장내시경 회수시간과 폴립 발견율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폴립 발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 has been proposed as a quality indicator for colonoscopy, and this is based on the recent evidence that the Colon withdrawal time is associated with adenoma detection rat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polyp detection rates between practicing endoscopists, and we analysed certain factors that might lead to such differences, and particularly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olonoscopic procedures that were performed by 7 second-year GI fellows at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A total of 1,515 colonoscopies were assessed for the polyp detection rate, the insertion time, the withdrawal time, bowel preparation, the size of the detected polyps and the location of polyps. Results: The median withdrawal time for the case with no polyps removed was 3.6 to 7.1 minute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s and the polyp detection rates (p<0.001). Furthermore, a longer withdrawal time resulted in discovering a higher percentage of small polyps. On comparing groups, the group of colonoscopists with a withdrawal time longer than 6 minutes had a higher rate of detecting polyps (30.7% vs 18.4%, p<0.001). Conclusions: There is wide range of polyp detection rates among practicing colonoscopists and there i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s and the rate of detecting polyps. A long enough withdrawal time, perhaps 7 minutes, is needed to raise the rate of detecting polyps during colonoscopy.

      • KCI등재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을 이용한 Peutz-Jeghers 증후군의 소장 폴립 절제술

        김미영,변정식,최기돈,예병덕,양동훈,명승재,양석균,김진호,김경조,윤순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6

        목적: Peutz-Jeghers (PJ) 증후군에 동반된 소장 폴립은 반복적인 개복 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 PJ 증후군의 소장 폴립에 대해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DBE)을 이용한 폴립 절제술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PJ 증후군의 소장 폴립에 대한 치료법으로 DBE 폴립 절제술의 단기 성적과 장기적인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PJ 증후군 환자들 중 소장 폴립에 대해 DBE 폴립 절제술을 시행받은 10명의 환자들(남:여=7:3, 평균 22.7세)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임상 양상, 내시경 및 조직 소견을 조사하였고 합병증 등의 단기 시술 성적을 살펴보았다. 또한 폴립 절제술 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10명 중 2명은 혈변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2명은 장중첩증으로 발현하였다. 5명은 소장 조영술에서 공장 및 회장에 걸쳐 다수의 폴립이 발견되어 경구와 경항문 DBE 폴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공장 폴립만 발견되어 경구 DBE 폴립 절제술만 시행한 환자가 4명이었고 회장 폴립만 관찰되어 경항문 DBE 폴립 절제술만 시행한 환자가 1명이었다. 경구와 경항문 DBE를 모두 시행한 5명 중 2명(40%)에서 전체 소장 검사가 가능하였다. 절제된 폴립의 크기는 0.5∼6 cm이었고, 대부분 양성 과오종이었다. 폴립 절제술 다음날 1명에서 천공이 발견되어 개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중 소장 내시경으로 남은 폴립들을 절제하였다. 다른 폴립 절제술 중 또는 후에 합병증은 없었다. 폴립 절제술 후 6명에서 평균 7개월(5∼11개월)째에 첫 번째 추적 소장 조영술이 시행되었고, 3명에서 잔여 폴립이 발견되어 이들 중 2명은 DBE 폴립 절제술을 다시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제거하였다. 4명은 평균 22개월째에 두 번째 추적 소장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폴립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DBE 폴립 절제술은 PJ 증후군에 동반된 소장 폴립의 효과적이고 비교적 안전한 치료법으로 생각한다. 또한 DBE 폴립 절제술 후 정기적인 추적 감시를 통해 잔여 또는 재발 폴립이 발견된 경우에도 반복적인 DBE 폴립 절제술을 통해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므로 DBE 폴립 절제술은 장기적인 유용성도 지닌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용종절제술 중 발생한 의인합병증에 대한 다기관 공동 연구

        최민호,최윤선,소찬수,신운건,김경오,장현주,박철희,김경호,김진배,백일현,백광호,계세협,김학양 대한장연구학회 2013 Intestinal Research Vol.11 No.1

        목적: 내시경 폴립절제술은 대장폴립을 치료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최근 내시경 폴립절제술이 광범위하게 시행되면서 천공이나 출혈 등의인합병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자들은 내시경 폴립절제술 중 발생한 합병증의 발생률을 알아보고, 합병증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경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2005년 6월에서 2008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 산하 5개 병원에 내원하여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장내시경 중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에 대해서 후향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총 26,773명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이중 4,123명에서 내시경 폴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합병증은 43명에서발생하였으며(1.04%), 천공이 8명에서 발생하였고(0.19%), 출혈이 35명에서 발생하였다(0.85%). 천공이 발생한 환자에서 각 시술별 합병증의 발생률은 올가미법, 점막 절제술, 점막하 절제술에서 각각 0.05%, 1.09%, 7.14%였다. 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각 시술별 합병증 발생율은 올가미법, 점막 절제술, 점막하 절제술에서 각각 0.8%, 1.09%, 3.57%였다. 점막하 절제술이 올가미법이나 점막 절제술에 비해서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P <0.001). 천공이 발생한 8명 중 2명(25%)과 출혈이 발생한 35명 중 23명(66.7%)이 지혈클립과 보존적인 치료로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였다. 천공이 발생한 환자의 75%와 출혈이 발생한 환자의 100%에서 내과적 치료가 성공적이었고,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3예가 있었다. 결론: 내시경 폴립절제술은 대장폴립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올가미법이나 점막절제술에 비해서 점막하 절제술에서 합병증이 흔하게 발생하였다. 폴립절제술 중 합병증이 발생하였을 때 내시경 치료법에 이은 보존적인 치료는 치료내시경 중 발생한 합병증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Background/Aims: Colonoscopic polypectomy is an effective tool for the treatment of colonic polyps. With the recent widespread use of colonoscopic polypectomy,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iatrogenic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and perfor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during colonoscopic polypectom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olonoscopic examinations performed at 5 hospitals of Hallym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une 2005 and June 2008. Results: A total of 26,773 colonoscopies and 4,123 colonoscopic polypectomy were performed. The overall rate of complication was 1.04% (43/4,123). Perforation occurred in 0.19% (8/4,123) of cases, and bleeding occurred in 0.85% (35/4,123) of cases. Perforation occurred in 0.05% of snare polypectomies,1.09% of endoscopic mucosal resections (EMR), and 7.14%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s (ESD). Bleeding occurred in 0.8% of snare polypectomies, 1.09% of EMRs, and 3.57% of ESDs. The complication rate of ESDs was higher than in EMRs and snare polypectomies (P<0.001). Endoscopic clippings were performed in 25% of perforation and 66.7% of bleeding cases. Medical treatment was successful in 75% of perforation and 100% of bleeding cases. Conclusions: Colonoscopic polypectomy is a safe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colonic polyps, but rarely, serious complications occur. Compared to a snare polypectomy or an EMR, the complication of an ESD occurs more frequently. Endoscopic treatment and further conservative management seems to be appropriate in most cases with complication. (Intest Res 2011;13:46-51)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폴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 개발

        류광모,임정훈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반 플립러닝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현장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 폴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을 구안하고, 역량 수준 분석을 통해 현장 교사들이 폴립러닝을 신천하는데 가장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탐색을 통한 자료수집, 폴립러닝 실천이 뛰어난 우수교사 8명으로 대상으로 한 행동사건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잠정적 역량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 · 보완하여 최종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최종 완성된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역량 측정 평가지를 제작하고, 현장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 모델은 2개 영역, 4가지 역량군, 15개 역량, 5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는데 먼저 기반영역의 기초소양 역량군으로 스마트 소양 촉진 능력, 교육변화에 대한 적응력, 스마트 역량, 온라인 상호작용 능력이 도출되었고, 환경조성 역량군에는 물리적 환경 구성, 인적 네트워크 형성, 플립러닝 실천의지, 관계형성력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실행영역의 교육계획 및 실행준비 역량군에는 내용선정 및 구조화, 폴립러닝 수업설계능력, 디딤영상 제작능력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플림러닝 수업 실천 역량군에는 온오프라인 활동 연계능력, 학습자 중심 수업운영능력, 맞춤형 피드백 능력, 자기수업성찰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15개 역량 중 우선 순위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는 인적 네트워크 형성, 플립러닝 실천의지, 온오프라인 활동 연계능력, 디딤영상 제작능력, 그리고 자기수업 성찰 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과형성 폴립과 유사한 모양을 보인 유경성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경적 절제

        박용완,조영석,김진수,손혜숙,김형근,김성수,채현석,최규용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3

        위장관에서 발생하는 평활근종 중 대장 평활근종의 빈도는 3% 정도로 드물다. 대장 평활근종은 대장내시경검사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점막하 종양의 형태로 발견되지만 드물게 폴립의 형태를 갖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외과적 절제가 확실한 치료이지만 유경성 또는 반유경성이면서 작은 폴립의 형태를 보이는 경우 내시경적 용종절제술로 치료할 수 있다. 저자 등은 무른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대장내시경검사상 구불창자에서 짧은 경부를 가진 과형성 폴립의 모양을 보인 유경성 폴립을 발견하여 내시경적 폴립절제술로 제거하였고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한 대장의 평활근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 위험인자

        이희숙 ( Hee Suk Lee ),조연진 ( Yeon Jean Cho ),김주명 ( Joo Myung Kim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 빈도 및 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자 궁경으로 자궁 내막 폴립이 의심되었던 1,19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폴립을 양성, 전암성 병변, 악성 병 변으로 분류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학적으로 1,157명 (96.7%)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13명 (1.1%)에서 전암성 병변, 26명 (2.2%)에서 악성 병 변이 발견되었다. 비정상 자궁 출혈 (비교 위험도: 5.07)과 폐경 (비교 위험도: 3.41)이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P < 0.05). 결론: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 위험도는 비정상 자궁 출혈이 있거나 폐경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endometrial premalignant and malignant polyps in women who underwent hysteroscopic polypectom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linical parameters predict histopathologic outcomes. Methods: A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hysteroscopic endometrial polypectomy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1. One thousand one hundred ninety-six women who ranged in age from 16 to 81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olyps were classified as benign (endometrial polyps and polyps with non-atypical simple hyperplasia and non-atypical complex hyperplasia), premalignant (polyps with atypical simple hyperplasia or atypical complex hyperplasia), or malignant. A statistical analysis was then performed. Results: Histopathologically, 96.7% benign, 1.1% premalignant, and 2.2% malignant lesions were detected. Abnormal uterine bleeding and postmenopause were the only factors which were determined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malignancy, with an odds ratios of 5.07 (95% CI, 2.25-11.41) and 3.41 (95% CI, 1.14-10.24),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remalignant and malignant endometrial polyps include abnormal uterine bleeding and menopause.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74-80)

      • SCOPUSKCI등재

        대장 폴립형 선종과 비교한 편평 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과 악성화 빈도

        지명관 ( Myeong Gwan Jee ),김현수 ( Hyun Soo Kim ),김원호 ( Won Ho Kim ),김태일 ( Tae Il Kim ),박동일 ( Dong Il Park ),김영호 ( Young Ho Kim ),김효종 ( Hyo Jong Kim ),변정식 ( Jeong Sik Byeon ),양석균 ( Suk Kyun Yang ),이문성 ( Mo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대장 선종의 육안형태에 따른 악성화 가능성은 초기 연구에 있어 편평 선종이 폴립형 선종에 비해 조기 대장암이나 고도 이형성의 동반율이 높다고 보고되었으나 최근 연구들은 육안형태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보고해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전향적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국내 대장 편평 선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폴립형 선종과 비교하고 악성화 가능성의 지표인 고도 이형성이나 조기암의 동반을 결정하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4년 7월 까지 국내 11개 대학병원에서 전 대장내시경 및 폴립 절제술을 받은 4,412명 중 선종으로 진단된 3,360명(평균 나이:57.3세, 남자:2,383명, 여자:977명)을 대상으로 육안 형태 및 병리학적 기준에 따라 대장의 편평 선종군과 폴립형 선종군으로 구분하였다. 양 군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악성화 가능성의 지표로 고도 이형성과 조기 암의 동반에 관련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성별, 연령, 대장 선종의 크기, 위치, 융모 선종의 함유여부, 육안 형태의 여러 요인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3,360명의 선종 환자 중 편평 선종은 207명으로 6.2%를 차지하였다. 편평 선종은 폴립형 선종에 비해 크기가 컸으며(10.6 mm vs. 9.2 mm, p<0.01) 고령에서(59.6세 vs. 57.1세, p<0.01) 우측 대장(49% vs. 32%, p<0.01)에 호발하였다. 그러나 성별, 체질량 지수, 동반 선종의 개수나 분포는 양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육안형태에 따른 진행성 선종이나 암의 동반빈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5.4% vs. 4.6%, p=0.36). 다변량분석 결과 대장 선종의 악성화 가능성은 육안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대장 선종의 크기가 11 mm 이상인 경우(OR 6.8, 95% [CI], 4.8-9.7)와 좌측 대장에 위치한 경우(OR 1.6, 95% [CI], 1.1-2.5)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국내에서 대장의 편평 선종은 고령의 환자에서 우측 대장에 호발하므로 선별검사로서 대장내시경이 유리하며 악성화 가능성을 결정하는 위험인자는 대장 선종의 육안형태가 아니라 선종의 크기와 위치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Colorectal flat adenomas have been a topic of debate in the view of malignant potential.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flat adenomas compared to that of polypoid adenomas an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in colorectal flat and polypoid adenoma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cross sectional study of 3,360 patients who diagnosed as adenomas via total colonoscopy and polypectomy at 13 tertiary medical centers between July 2003 and July 2004. Potential risk factors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were analyzed. Results: Out of 3,360 adenomas, 207 (6.2%) were flat adenomas and 3,153 (93.8%) were polypoid adenomas. The patients with flat adenoma were older (59.6 vs. 57.1, p<0.01) and more frequently located in the right colon than polypoid adenomas (49.3% vs. 32.0%, p<0.01). The incidence of high grade dysplasia or cancer in flat adenomas was similar to that of polypoid adenomas (5.4% vs. 4.6%, p=0.36).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ze ≥11 mm (OR 6.8; 95% CI 4.8-9.7) and location of adenoma in the left colon (OR 1.6; 95% CI 1.07-2.38)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malignant potential of colonic adenoma. Conclusions: Clinicopathological determinants for malignant potential in colorectal adenomas were not gross morphology but size and location of adenoma. (Intestinal Research 2005;3:127-132)

      • KCI등재

        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치료의 효용성에 대한 후향 조사

        김유진 ( Yu Jin Kim ),이상길 ( Sang Kil Lee ),천재희 ( Jae Hee Cheon ),김태일 ( Tae Ill Kim ),이용찬 ( Yong Chan Lee ),김원호 ( Won Ho Kim ),정재복 ( Jae Bock Chung,),이승우 ( Seung Woo Yi ),박세미 ( Se Mi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1 No.3

        목적: 크기가 작고 분화가 좋으며 주변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직장 유암종은 내시경을 통한 국소 절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이번 연구는 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내시경 치료방법에 따른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직장 유암종으로 진단받고 내시경 치료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연령은 49.7세였고, 남녀 비는 1:0.88이었다.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6.29±3.06 mm이었고, 10 mm이하는 25예(83.3%)였다. 총 30명의 환자 중 22명은 폴립절제술, 6명은 투명캡을 이용한 점막절제술, 2명은 내시경점 막하박리술을 시행하였으며 30명 모두에서 육안으로 완전절제가 이루어졌다. 폴립절제술군에서 7명(31.8%), 투명갭을 이용한 점막절제술군에서 1명(16.7%), 내시경점막하박리술군에서 1명(50%)이 절제 후 조직검사 결과에서 절제연 종양 양성이었다(p=0.868). 절제연 양성인 9명 중에서 5명에 대해 서는 추가적으로 경항문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조직에서 잔존 유암종은 없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9.3개월(0-122개월)이었으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재발한 예는 없었다. 결론: 전이가 없는 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크기가 작고 분화가 좋은 직장 유암종에서는 폴립절제술 방법으로도 잔존 종양을 남기지 않고 절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확증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전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Well differentiated rectal carcinoid tumors which are less than 1cm in diameter can be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ndoscopic resection in treating small sized rectal carcinoids. Methods: Medical records of 30 rectal carcinoid cases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verance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March 200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Mean age was 49.7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0.88. Mean size of tumor was 6.29±3.06 mm and 25 out of 30 patients (83.3%) had tumors of diameter less than 10 mm. Twenty-two out of 30 patients treated by conventional polypectomy, 6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using a transparent cap (EMR-C) and 2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9 patients had resection margin positive for tumor; 7 (31.8%) were in polypectomy group, 1 (16.7%) in EMR-C group, and 1 (50%) in ESD group (p=0.868). Five patients underwent transanal excision to remove residual tumor. No residual tumor was found in additionally resected tissu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9. 3 months (range 0-122), and there were no recurrence. Conclusions: Endoscopic resection is an effective method in the treatment of small rectal carcinoids. However, long-term outcome remains to be elucidated by a large scaled prospective study.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174-18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