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주령,박지선 한국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0 No.1

        Although the severity of dating violence increases, research on dating violence remains scarce and most studies on dating violence focus on reporting demographics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f crime influences offender punishment and sentencing, as well as law making, therefore investigating perception of crim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ncluding its severity and frequencies, and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We gave a total of 203 participants scenarios regarding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control behavior, emotion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evaluated perception of severity and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We conducted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as considerably severe, and the difference by gender was found only in the severity of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Male respondents evaluated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less severe than female respondents.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differed by gender of respondents: Male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less frequent than female respondents did. Males displayed higher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ttitudes than females. Furthermore, competitive gender differentiation, a sub-factor of hostile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control behavior,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gender was highly related to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emotion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Finally, we discussed pract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데이트폭력은 최근 그 심각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으나, 여전히 관련 연구가 희소하고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실태조사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범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범죄자 처벌 및 양형 기준, 관련 법제정 등 형사사법 제도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일은 해당 범죄가 실제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실태조사와는 별개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 즉 데이트폭력의 발생 빈도에 대한 인식 및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총 203명을 대상으로, 데이트폭력의 네 가지 하위유형(통제행동, 심리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각각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데이트폭력의 심각성 및 발생빈도에 대한인식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데이트폭력이라는 사회문제를 매우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남성 피해자의 성적 폭력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제외하고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데이트폭력 발생빈도 인식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데이트폭력 상황이 현실에서 덜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심한 적대적 성차별주의 태도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나타냈다. 더불어,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하위요인인 경쟁적 성분화가 통제행동과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의 발생빈도 인식과관련이 있으며, 성별 또한 심리적 폭력과 성적 폭력의 발생빈도 인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차이

        주영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4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18.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학교폭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중등교사가 중등예비교사보다 유의하게 높다. 학교폭력 유형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괴롭힘을, 중등예비교사는 집단적 폭행, 집단따돌림을 가장 심각한 학교폭력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사소한 감정 때문에 폭력행동이 일어나며, 피해의 원인으로 중등교사는 다소 고정적인 변인의 특성을 띠는 성격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중등예비교사들은 변화가능한 대인관계 기술 부족이나 대인관계 적응력 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피해학생에게 필요한 조치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전담부서 등에서의 상담, 중등예비교사는 전문적인 상담 및 개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우선적으로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중등교사는 학부모와 교사의 연계, 중등예비교사는 전인교육, 인성교육을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가해학생 처벌, 담임교사와의 면담, 학부모에게 통지, 학생생활기록부 기록 의무화 등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예방 혹은 대처에서 담임교사와 학생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 과정에 새롭게 개설된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 과목의 개선점에 대한 제안에 대해,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하예지(Ha, Yea ji),서미경(Seo, Mi ky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의 인식(심각성과 허용도)과 폭력 피해·가해경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20~30대 미혼남녀 858명을 대상으로 유형별 폭력(신체적 폭력,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을 묘사한 비네트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러한 폭력이 질투, 무시, 선제공격으로 인한 폭력이었다면 허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든 대상자의 심리, 신체, 성적 폭력의 피해, 가해경험을 질문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의 인식수준을 보면, 각 비네트 상황에 대한 심각성은 5점 척도에 4.21로 높게 인식하였으나, 허용도 역시 4점 척도에 2.24로 높아, 심각하다고 인식하면서도 특정 상황에서는 데이트 폭력을 쉽게 허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유형별 폭력의 가해, 피해경험을 보면, 심리적 폭력은 대상자의 88%이상이 피해, 가해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체적 폭력은 가해경험 53.6%, 피해경험 49.5%였다. 성적 폭력은 가해경험이 28.1%, 피해경험이 30.7%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데이트 폭력의 피해·가해경험과 인식과의 관련성을 보면, 성적 폭력의 피해·가해경험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심각성은 낮게 인식하였고 상황별 허용도는 높았다. 신체적 폭력의 피해경험에서 심각성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지만 상황별 허용도는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신체적 폭력의 가해경험과 심리적 폭력의 피해·가해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심각성과 허용도)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신체적 피해경험과 성적 폭력의 피해·가해경험이 있는 경우 인식수준이 더 낮아 폭력이 재발되어도 이를 허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nd the offense and victimization violence experience(severity and accept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858 unmarried men and women of 20s ~30s. We divided dating violence into psychological, physical, sexual of dating violence and has randomly presented one of the 3 types of vignettes to participants. The survey results on perception level of participants, severity of each vignette has been highly considered with 4.21 of 5 scale; however, in case of specific situation, it can be acceptability even though they"re perceive of seriousness likewise for acceptable with 2.24 of 4 scale. According to the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d by each type of violence, In psychological violence, above 88% participants has offense and victimization. In physical violence, 53.6% participants has offense experience, 49.5% participants has victimization experience. In sexual violence, 28.1% participants has offense experience, 30.7% participants has victimiz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offens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When compared experienced group with no experienced group, the experienced group in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is perceive of seriousness lowly but acceptability for each situation indicates high result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violence. Finally, violence can be recurrent due to low perception level in case of having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in physical, sexual violence. Accordingly, the endeavor is suggested to improve perception due to the fact that it has dangerousness into family violence.

      • KCI등재

        학교폭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임은정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에서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관련 정보를 언론에서 얻는 정도,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내 자녀가 학교폭력의 피해학생이 될 가능성에 대한 인식, 내 자녀가 학교폭력의 가해학생이 될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언론을 통해서 학교폭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정도는 유치원 학부모(M=3.92), 초등학교 학부모(M=3.64), 중학생 학부모(M=3.86)으로 5점 평정척도에서 매우 그렇다는 응답에 가까웠다. 학교폭력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유치원 학부모(M=3.48), 초등학교 학부모(M=3.34), 중학교 학부모(M=3.79)로 모두 심각하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 아이가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치원(M=2.09), 초등학교(M=2.92), 중학교(M=2.45)로‘내 아이가 가해학생이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5점을 기준으로 유치원(M=1.68), 초등학교(M=1.86), 중학교(M=1.96)로 5점을 기준으로 중간 이하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이 학교폭력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 언론보도를 통해‘일진, 폭력집단, 구속, 조폭’등의 기사내용을 보면서 학부모들이 ‘내 아이’와 관련시켜서 생각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학교폭력은 이렇게 심각하게 극적인 상황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며 낙관적 편견을 가지고 대비를 하지 못한다면 학교폭력을 간과하게 될 수 있다. 학교폭력의 심각성은 분명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특정한 학생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학부모들의 인식을 바꾸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가 있어야 한다. This study surveye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parents about school violence. It tried to find how much the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 violence from mass communication, recognition on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recognition on possibility for my child to be damaged from school violence, recognition on possibility for my child to commit school violence. For how much the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 violence from mass communication, parents of kindergarten children was M=3.92, parents of elementary was M=3.64, parents of middle school was M=3.86. So, the results was near the answer, 'very so' in 5-point rating scale. For recognition on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parents of kindergarten children was M=3.48, parents of elementary was M=3.34, parents of middle school was M=3.79. Thus, they all tended to think that the situation was serious. For possibility for my child to be damaged from school violence, parents of kindergarten children was M=2.09, parents of elementary was M=2.92, parents of middle school was M=2.45. For possibility for my child to commit school violence, parents of kindergarten children was M=1.68, parents of elementary was M=1.86, parents of middle school was M=1.96. In these two questions, parents recognized at the level lower than middle under 5-point standard.

      • KCI등재

        데이트폭력 인식개선을 위한 치료적 공연 연구

        이선형 한국드라마학회 2020 드라마연구 Vol.0 No.6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rapeutic drama for improving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of dating violence. For that, 441 students of five universities in Gyeongbuk participated to this study from Sept. 19 to Oct. 10, 2018. In Korean society, the sexual violence including digital sex crimes and domestic violence became a big issue as shown in the ‘Nth room’ case. The topic of this study, dating violence, is also on the rise day by day. Nevertheless, social and cultural awareness is underlying to treat dating violence as an individual’s private life, turning a blind eye to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and looking at it lightly. This attitude away from the nature of the problem will produce more dating violence and add to the victim's pain. Victims of dating violence are also unaware of the dangers and evils of dating violence, and they are not aware of how to deal with such a situation. Students of Theater Therapy Club of the University B in Gimcheon conducted a therapeutic drama with related agencies in Gyeongbuk for improving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Theater is actively used for the education as well as psychological treatment because it is easy to communicate each other in the theatre environment. Audiences can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their physical senses. Among the various models of theater therapy, therapeutic drama is helpful for healing since it contains complete theatre form including theater creation process, audiences can share the feeling with actors in sharing time after performance. It would be a therapeutic drama if the director-therapist, actor-participant, and audience-participant set a certain theme on stage and then achieved results in treatment with discussion. In this study, two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e was consisted of six questions related to improving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and the other was just after the performance. The latter was for self checking for the effects of therapeutic drama for improving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by paired t-test using SPSS 18.0.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efore and after was significant in four questions among five questions. The result signifies that the effects of therapeutic drama for improving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and also it can be applied to education and/or therapy for preventing dating violence. 본 연구는 2018년 9월 19일부터 10월 10일 사이에 있었던 경북도내 5개 대학에서 실시된 대학생들을 위한 데이트폭력 인식개선을 위한 치료적 공연에 대한 결과물이다. 현재 우리 사회는 ‘n번방 사건’에서 알 수 있듯, 디지털 성범죄, 가정폭력 등 젠더폭력이 심각한 상태다. 본 연구의 주제인 데이트폭력 또한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 그럼에도 데이트폭력을 개인의 사생활로 취급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외면하고 이를 개인의 사생활로 취급하려는 사회문화적 인식이 저변에 깔려 있다. 문제의 본질에서 벗어난 이러한 안일한 태도는 데이트폭력을 더욱 양산하고 피해자의 고통을 가중시킬 것이다. 데이트폭력의 피해자 또한 데이트폭력의 위험성과 폐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고, 막상 그러한 사태에 처하게 되었을 때 대처방안도 잘 알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예방 및 치료의 차원에서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을 알리는 등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개선을 목표로, 경북도내의 유관기관의 협조 하에 김천 소재 B대학교 연극치료 동아리 학생들이 주축으로 치료적 공연을 실시하였다. 연극은 종합예술로써 현장감이 생생하게 살아있어 상호소통이 용이하고, 관객은 신체 감각을 통해 세계를 경험을 할 수 있는 까닭에 교육은 물론 치료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연극치료의 다양한 모델 가운데 연극 창조 과정과 공연 참여라는 연극적 방식을 통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적 공연은 완결된 공연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배우와 관객을 동일선상에 놓고 더불어 치료의 시간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만일 무대에서 연출가-치료사, 배우-참여자, 관객-참여자가 일정한 주제를 설정하여 공연을 진행한 후, 토론을 곁들여 치료에 대한 성과를 일구어낸다면 이는 치료적 공연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두 종류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하나는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개선과 관련된 6문항의 설문조사로 1문항은 공연 전에 5문항은 공연 전후에 걸쳐 실시되었다. 다른 하나는 공연 만족도에 대한 5문항의 설문조사로 공연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및 공연 주제에 대한 인식 개선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고, 공연에서 좋았던 점과 개선할 점에 대한 서술형이 덧붙여졌다. SPSS 18.0을 통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본 치료적 공연은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변화를 이끌어 냈으며, 가정폭력이 더 이상 가정 내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이며 범죄임을 인식시키는 효과도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치료적 공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주제를 젠더폭력의 영역으로 확대시킨다면 더욱 커다란 성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피해 및 목격 경험 청소년이 인식하는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연구

        임재연(Jae-Youn Lim) 한국창의인성학회 2024 교육과 문화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관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학교폭력 피해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 및 목격 경험이 있는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고, 이를 개방코딩-심층코딩-주제발견의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피해자가 겪는 어려움, 피해 극복을 위해 필요한 것, 학교폭력 예방 및 해결방안 등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첫째,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피해자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학교에서는 패드립, 전교에 소문이 난 따돌림, 신체적 해를 입히는 것은 폭력이며, 또래와 어울리기 위한 일상적 행동, 선을 넘지 않는 욕설, 무리에서 배제되는 따돌림 정도는 폭력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반면 피해자들은 말로 상처를 주는 것도 폭력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피해자가 겪는 어려움으로는 피해자에게 학교폭력은 심리적 후유증과 대인관계 문제가 있는 해결되지 않은 현재 진행형이며, 사람들이 피해자의 상황을 잘 모르는 것 등이 있었다. 셋째, 피해 극복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피해자 스스로의 용기와 노력, 편하게 신고하고 상담받는 것, 부모, 친구, 교사 등 다른 사람의 도움 등이 있었다. 넷째, 해결방안으로 교사의 즉각적·적극적·엄격한 개입이 필요하고, 예방교육의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보고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엄격한 학교폭력 인식 교육, 피해자에게 상담과 치유의 기회 보장, 가해자에 대한 보다 엄격한 개입 등의 필요성을 교육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ve the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damage. For this purpose, 10 adolescents with experience in damage and witness of school violence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analyzed i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open coding - deep coding - topic discovering. As a result, the topics have been classified as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damag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victims, what victims need to overcome the damag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olution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on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between school students and victims. In schools, some behaviors were recognized as violence such as speaking ill of one's family, being rumored throughout the school, or causing physical harm, whereas others were not recognized as violence like daily socializing with peers, abusive language that does not cross the line, or some degree of bullying to be excluded from the group. On the other side, victims also recognized verbal hurt as violence. Secondly, difficulties experienced by victims included that school violence is an unresolved ongoing problem with psychological aftereffect and interpersonal issues, and people's ignorance of the victim's situation well. Third, there were some necessaries to overcome the damage such as victim's own courage and effort, comfortable reporting and counseling, and the help of others such as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Fourth, solutions were reported that teachers' immediate, active, and strict interventions are needed, and the preventive education method should be changed. Based on the research,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s the necessity of strict school violence awareness education, guaranteeing victims opportunities for counseling and healing, and stricter intervention against perpetrators.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김상우(Sang-woo Kim),김지현(Ji-hye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 가해경험, 학교풍토의 인식을 주요한 요인으로 선정하고,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가해경험으로 이어지는 종단경로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연구들은 대부분 횡단연구와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의 관계에 대한 단순 양상변화 그리고 개인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있어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도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요인이 학교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풍토 인식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경험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를 종단연구 자료를 통해 검증 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의 패널1 자료 중 2013년(중1)부터 2015년(중3)까지 3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은 총 2,411명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전시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은 다음시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학교풍토 역시 이전시점의 인식이 다음시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전시점(중1)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다음시점(중2)의 학교풍토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전시점(중2)의 학교풍토 인식은 다음시점(중3)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즉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과의 관계에서 학교풍토 인식은 종단적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는 이전시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다음시점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로에서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면 이후시점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은 높아 질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selects the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the perpetrator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as major factors, and examines the longitudinal path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to the perpetrator experience. Most of the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cross-sectional studies, an aspect of simpl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 experience and the perpetrator experience and the focus on personal factors. However, not only personal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perpetrator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factors, in which students spen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ime, on school violence. To this end, we inte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leading to the school violence perpetrator experience through the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through longitudinal study data.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2013(middle school 1) to 2015(middle school 3) among panel 1 data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 were us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2,41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delay model. Results Th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perpetrating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t the previous point affects th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perpetrating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t the next point in time, respectively, and that the previous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also affects the perception of next time. In addition,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the previous point (middle 1)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at the next point (middle 2), and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at the previous point (middle 2) affects the perpetrat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the next point (middle 3). In other word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had a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perpetrating experience. Conclusions These imply that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the previous point can lead to the perpetrat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next time. Also, if a student perceives the school climate negatively in this path, the perpetrat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the future may increase.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 및 폭력 인식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현정,윤미선,김영은,이수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폭력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관련 요인들을 대상자의 일반적, 이성교제 및 성 관련 교육 경험 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충남 에 소재한 B 대학교 남녀 대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365부를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데이 트 폭력 허용도는 매우 낮았고, 폭력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이성교제 및 성 관련 교육 경험 특성 에 따른 데이트 폭력 허용도와 폭력 인식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데이트 폭력 허용도와 데이트 폭력 인식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의 방향성과 데이트 폭력 예방을 비롯한 실천적 개입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and related factors of dating violence tolerance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365 self-reported survey was collected from students in B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2.0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dating violence tolerance was low and the level of dating violence recognition was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related demographic, dating, sexual violence edu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and dating violence tolerance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However, the levels of dating violence tolerance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dating violenc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구상미,오은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2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olerance of dating violence in the influ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their sexual self-asser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femal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Chungbuk region. As research instrument, Jeong(2013)‘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Jeong(2016)'s sexual self-assertiveness, and Nam(2003)'s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nd violence tolerance(r=.43,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tolerance and sexual assertiveness(r=-.20, p<.05). Second, the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xual assertiveness(β=.43,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9%(F=36.10, p<.001).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ecrease in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sexual assertiveness was significant(Z=2.05, p<.05), violence acceptabil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n sexual assertiveness.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at can lower female college students' acceptability for violence, raise perception of violence, and strengthen sexual assertiveness. 본 연구는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충북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정하윤(2013)의 데이트폭력 인식, 정진아(2016)의 성적 자기주장, 남현미(2003)의 폭력허용도의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데이트폭력 인식과 폭력허용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3, p<.001), 폭력허용도와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0, p<.05). 둘째,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β=.43, p<.001),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F=36.10, p<.001). 셋째,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의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효과의 감소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Z=2.05, p<.05)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폭력허용도를 낮추고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성적 자기주장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