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폭력적 영상물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우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1

        기본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매체는 어린이 및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며 여가생활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출연자의 폭력행위, 노출, 음란행위 등의 유해성 요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모방심리를 부추겨 비행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폭력적 영상매체(TV)에의 노출 수준과 청소년 비행 행동을 살펴보았는데, 텔레비전에서 시청하는 프로그램 중 구체적으로 폭력성의 장면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의 선호하는 정도를 응답하게 한 후, 그 영상매체의 노출정도와 직접적인 폭력비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폭력적 영상매체에의 노출이 증가하면 청소년의 폭력적 비행 행동 수준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고등학생인 청소년들의 주중 TV시청 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1-2시간, 그 다음은 30분-1시간 미만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의 폭력성 여부에 관계없이 부모는 시청 지도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폭력행동 수준의 측정에 있어서는 물질적, 실체적 폭력에 비하여, 언어적 폭력 행동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가설의 검증은 폭력물 노출도가 폭력적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폭력물 노출도와 폭력적 비행행동 그 자체의 단일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폭력물 노출도(β=.144, t=3.136, p<.01)는 폭력적 비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연구는 실증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의 텔레비전 시청 시간과 시청 환경을 살펴보고, 특히 폭력물에의 노출도를 확인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밝힌 점에 의의가 있으나, 설문 문항 설계상의 복잡성, 서울 지역에 한정하여 조사한 점 등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이다. The Influence of Media occupies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he life of children or adolescents. Media is a kind of something special to watch and family activity seems to provide parents and children opportunities of interaction, but this interaction is unhealthy in general. It is because parents and children can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them with the issue of time and quantity of TV watching. In particular,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bring negative effects to the mind and body of adolescents and therefore watching on it needs parents' proper guid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of violence and routine acceptance if it and then present some improvement strategies of it, focusing on their exposure to the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 a study hypothesis was established. It seems that when adolescents' exposure to visual media increases, their imitative disposition increases too in averag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adolescents' of violence and violent TV programs, the acceptance of violence in everyday life is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exposure to violent visual media. This finding shows that adolescents definitely need parents' guidance and concern for their watching on violent TV. In conclusion, adolescents' watching on visual media for violent TV program has great influence upon their acceptance of violence.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must properly guide adolescents for their TV watching. Media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school in order for adolescents to use media correctly. In addition, a family control is also important. These measures are necessary to form adolescents' appropriate personality and will be greatly effective in preventing adolescents' violence which increases its severity day after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