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도사진의 상업적 선전 도구화에 관한 탐색: 포토저널리즘 관점의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조영호,이종혁 한국광고PR실학회 2018 광고PR실학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a critical discussion of the photojournalism view on the news photo. For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this study, via interviewing of photojournalists, explored the reality of how news photos are used as propaganda to generate commercial value, deviating from the original goal and function of the report. As a result, it was seen not only that photographs in the economic section of newspapers were taken primarily for commercial purposes, but also that photojournalists covering publicity stunts were photographing and posting without a critical outlook on context and environment.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s in media production, which was brought about by media organizations’ gate-keeping of editing, lack of professionalism, an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ole and function of news photographs in photojournalism, the ethics of photojournalists, and the routine practices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본 연구는 보도사진에 관한 포토저널리즘 관점의 비판적 논의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사진 기자들을 대상으로 보도사진이 본연의 목적 및 기능과 달리 상업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선전의 도구로 비춰지는 현실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경제면 사진이 상업적 차원의 홍보용 사진이라는 현실뿐만 아니라 포토이벤트를 취재할 때 환경적 요인으로 포토 저널리스트로서 비판적 의식 없이 수동적인 업무로 사진을 촬영하고 게재하는 현상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보도사진의 선전 도구화가 나타나는 원인은 언론조직의 관행과 편집의 게이트키핑, 전문직업인주의(professionalism)의 결여,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언론사 제작 전반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포토저널리즘 차원에서 보도사진의 역할과 기능이 무엇인지, 그리고 보도사진의 진실성을 추구하기 위한 사진기자들의 윤리적 자세, 관행화된 PR활동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포토저널리즘 사진과 캡션의 의미작용에 대한 연구

        정홍기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 다섯 장의 사진과 캡션을 통해, 포토저널리즘의 구성단위인 사진과 글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속지학적 방법과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호의 의미작용과 해독의 의미작용을 분리시켜, 기호와 해독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지 않고 다의성을 띤 사진이미지에 캡션이 첨가됨으로 수용자의 해독에 변화가 있었다. 두번째, 해독에 있어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이 중요한 번수로 작용했다. 세번째, 포토저널리즘 영역에서 사진만으로는 사실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용자의 문화적 코드를 바탕으로 한글이 들어감으로써, 포토저널리스트와 수용자간의 보다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표토저널리스트가 재현한 현실과 그것을 해독하는 수용지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고, 이것이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전제에 대한 고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audience's aspect of decoding the photography and words comprising photojournalism. For this study, the way of audience's decoding five pictures depicting a foreign worker's death and the captions for each were analyzed.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fi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audiences in decoding the pictures. Picture images without any title and caption shown to audiences bring quite different decodings from those of picture images titled and captioned. This led to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picture image added by caption transforms the way the audience decode. Seco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an audience works as a major variable, which means how the audience decode the picture image depends on what sort of cultural background the audience has. Third, it is also learned that picture image not captioned would not be able to represent the reality faithfully.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trial in this thesis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works successfully in a reality that photojournalists tried to represent and the way the audience decode it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in photojournalism.

      • KCI등재

        총살 장면의 역사적 기록과 사진

        이경률 ( Lee Kyung-ryul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8 No.-

        사형수를 죽이는 처형 장면은 원래 그림으로 재현되어 왔고 화가들은 그것을 상상으로 재구성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근대 산업이 발전하고 제국주의가 팽창하는 시기에 전쟁에서 소총이 보편화되면서 죄인의 처형은 교수형에서 총살형으로 바뀌게 된다. 그런데 참수형이나 교수형과는 달리 총살형은 특별히 사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 이유는 19세기 과학의 발전과 산업혁명 그리고 대중매체의 발전과 함께 역사적 사건을 기록하는 방식이 점진적으로 데생 화가의 손에서 대량 이미지 복제가 가능한 사진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진의 역사에서 사형수가 총살되는 사진은 의외로 드물게 나타난다. 그 이유로 우선 총살 장면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기술적인 문제 특히 오랫동안 순간포착이 불가능했던 기술적인 한계를 들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을 현장에서 카메라로 순간 포착한다는 것은 1925년 라이카 소형 카메라의 출현 이전까지 지나치게 큰 사진판과 무거운 카메라로 인해 거의 불가능했다. 그래서 19세기에 나타난 총살 장면의 역사적 기록은 총살의 순간포착이 아니라 연속 시퀀스 방식으로 총살의 집행 과정과 그 흔적만 보여준다. 총살 장면이 흔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비록 공개 총살이라 할지라도 총살을 기록한 사진은 정권 유지와 프로파간다 선전을 위해 언제나 정치적 검열과 조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포토저널리즘에서 총살되는 순간을 그대로 촬영하여 전파하는 것은 예견치 않은 장면의 선정성 문제를 야기한다. 왜냐하면 인간의 죽음을 생중계하듯이 총탄에 피를 흘리는 참혹한 장면이나 총을 맞고 꼬꾸라지는 순간포착은 아무리 대중의 알 권리가 우선이라 할지라도 장면의 지나친 묘사에서 윤리적인 비난을 받기 때문이다. 끝으로 포토저널리즘에서 나타나는 총살 장면들은 대부분의 경우 현장에서 우연히 포착된 결정적 순간이다. 이럴 경우 촬영자는 어떠한 정치적인 선입견도 없이 자신이 목격한 현장을 군중의 입장에서 기록하는 `관찰자적인 관점`을 가진다. 특히 잔혹한 총살 집행에서 불법으로 개입된 카메라의 눈은 집행자들의 입장이 아니라 인본주의적 시각과 인류학적 관점을 가진다. 그러나 관찰자적인 관점은 촬영된 장면이 대중에게 알려지고 난 후 흔히 현장에서 촬영자의 방관이나 무책임에 대한 암묵적인 비평이 따르기도 한다. The execution scene of killing condemned criminal has been originally reproduced in the picture and painters have reconfigured scene of execution with their imagination. As rifle was universalized in the war in the age when modern industry was developed and imperialism was expanded after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execution of offender was changed from hanging to execute by firing squad. Unlike decapitation or hanging, execute by firing squad is closely related to photograph, because the method to record historic case has gradually moved from the hand of dessin painters to photograph which can reproduce image in large quant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However, the photo which describes condemned criminal killed by firing squad is rare in the history of photograph, because of the technical problem in recording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especially technical limit, the impossibility of instantaneous capture for long time. It was nearly impossible to instantaneously capture historic case until small camera of Leica appeared in 1925, because the photo plate was too large and camera was quite heavy. Thus, the historic record of execute by firing squad in the 19th century showed only the process of execution and its trace by sequence mode instead of instantaneous capture of execute by firing squad. Another reason why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is rare is that even in the case of open execute by firing squad, the photo recording execute by firing squad. is always exposed to politic censorship and manipulation for maintenance of politic regime and propaganda. Further, photographing and broadcasting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through photo journalism causes the issue of sensationalism of unexpected scene. This is because instantaneous capture of horrible scene of condemned criminal bleeding by bullet & falling down like telecasting human death is subject to ethical denunciation in the light of excessive description of scene, no matter how prevalent public`s right to know may be. Finally,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shown in photo journalism generally shows the critical moment fortuitously captured at the site. In this case, photographer keeps observational viewpoint where he records the scene he witnessed in the position of public without any politic prejudice. Especially, the eyes of camera which illegally intervened in the cruel execute by firing squad keep humanistic vision and anthropologic viewpoint instead of position of executors. However, observational viewpoint is usually subject to implicit criticism for the photographer`s onlooking or irresponsibility at the site after the photographed scene is open to public.

      • KCI등재
      • KCI등재

        프로파간다 성향의 포토저널리즘에서 남북한 주민 감정에 관한 연구

        김기주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3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mo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ns looking at pictures of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photos of the Rodong Sinmun into four areas: politics, military, economy, and people's lives, and showing them to eight South Koreans and eight North Korean defectors. It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onfirm the emotions, feelings, and personal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photo explanation affects the participants' emotions, it was divided into explanatory and unexplained photos. As a result of the study, emotional words appeared in all field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words appeared only in the field of economy and people's live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xplantory pictures had more influence on the participants' emotions than unexplained pictures. Therefore, it was conclued that if the opportunity for the South Korean people to see more pictures of North Korea's economy and people's lives is provided, it can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homegeneity of the two Koreas. 본 연구는 북한 로동신문 사진을 바라본 남북한 주민 감정에 관한 연구이다. 로동신문 사진을 정치, 군사, 경제, 인민생활 4개 분야로 구분하고 대한민국 주민 8명과 북한이탈 주민 8명에게 보여주면서 인터뷰를 진행하여 참여자들의 정서와 느낌, 개인적 경험 등을 확인하는 질적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사진 설명이 참여자들의 감정에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설명있는 사진과 설명없는 사진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 이탈주민은 모든 분야에서 감정적 단어가 나타난 반면, 대한민국주민은 경제와 인민생활 분야에서만 감정적 단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명없는 사진보다 설명있는 사진이 관찰자의 감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설명있는 북한의 경제, 인민생활 사진을 대한민국 국민들이 더 많이 볼 수 있는기회가 제공된다면 남북한의 동질성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로동신문 사진을 정신전력 교육용으로 활용된다면 북한의 실체적 진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세바스티앙 살가도의 〈다른 아메리카들〉과 삶의 궤적

        조관연(Cho Gwan-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6 인문콘텐츠 Vol.0 No.7

        살가도는 포토저널리즘도 기록적 가치 뿐 만아니라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고, 이로 인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다큐사진작가가 된다. 그가 이런 인정을 받기까지 브라질과 프랑스에서의 삶의 역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살가도는 브라질과 파리에서 중심부 속의 주변부인으로서의 삶을 산다. 그가 받은 교육과 사회적 환경은 중심부를 지향하면서도 중심부와는 한 발짝 떨어진 삶을 살았다. 이민자, 망명자, 학생으로서의 삶과 당시 그가 살았던 사회를 지배하던 종속이론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갖도록 했다. 박사과정 후 살가도는 국제커피기구나 감마 에이전시 등과 같은 서구 사회의 제도권 안에서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었지만, 진보적인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의무감은 사진으로 사회의 심층적인 단면을 예술적으로 그려내는 일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레이건대통령 암살미수사건을 촬영한 후에 국제적인 명성과 부를 얻게 된 살가도는 예전부터 준비해온 사진집 〈또 다른 아메리카들〉을 출간했다. 이 안의 사진들은 서구독자들의 눈높이와 기대치에 맞춘 주제의식과 표현양식으로 인해 라틴 아메리카의 본질을 제대로 포착하고 전달하지 못한다. 피사체의 개별성과 고유성 그리고 이를 넘어서는 광범위한 진실을 어떻게 드러내야 하는지에 대한 살가도의 고민은 〈다른 아메리카들〉의 출간과 이에 대한 일부 비평가들의 반응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고민은 그가 자기만의 작품세계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과 연결되어 있으며, 풀기 어려운 과제이다. 하지만 살가도는 이후의 작품집을 통해 이 문제들을 점차 풀어나가기 시작하며, 자기만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 KCI등재

        고교 한국사 교과서 자료 사진 오류에 관한 연구

        박준형(Park Jun Hyung),양종훈(Yang Jong Ho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한국사 교과서는 국사 학습의 기본적 교재이다. 학생들은 한국사 교과서를 통해 지난 일들을 배우며, 역사를 이해한다. 한국사 교과서에는 학생들이 흥미를 갖게 하는 교육 자료들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시각적인 형태로 교육에 도움을 주는 것은 자료 사진이다. 자료 사진은 시각적 자료로 글 위주의 본문보다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게 하며, 보다 객관적 형태로 학생들에게 당시 역사를 간접체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자료사진은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만약 오류가 있는 사진이 사용된다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교 8종 한국사 검정 교과서 자료 사진 구성의 신뢰성과 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사진의 유형별로 진행 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개정될 한국사 교과서 자료 사진 구성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앞으로의 교과서에는 자료 사진의 양이 더 많아질 것이며, 자료 사진이 갖는 비중도 그만큼 높아질 것이다. The Korean history textbook is a basic 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history. Students learn the past and also understand history through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comprised of educational materials arous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helpful to education in the visual form is photo materials. As visual data, such photo materials play roles not only in arousing students interest more than texts filled with writings, but also in making students experience history of the time indirectly in more objective form. Since such photo materials are playing essential role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if photos with errors are used, it can create huge conf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iability and suitability of photo materials in eight Korean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 depending on each type of photo. Then it suggested the measures of composing photo material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revised in the future. The future textbooks will contain more amount of photo materials with the higher weight of photo materials.

      • KCI등재

        런던패럴림픽 사진에 나타난 한국 신문의 포토저널리즘에 관한 분석

        윤석민 ( Seok Min Yun ),조창옥 ( Chang Ok Cho ),오아라 ( Ah Ra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신문에 보도된 런던패럴림픽 사진에 나타난 국내 포토저널리즘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의 대상은 국내의 중앙 일간지 17개에서 보도된 런던패럴림픽 기사 중 장애인선수들이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보도사진 375건 가운데 95건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주제 분석을 사용하였고 다각적 분석방법 중 동료들 간의 검토에 의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연구진 3명과 전문가 4인의 분석 결과의 일치가 80% 이상이 되었을 때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 되었다. ‘장애의 노출을 통한 시선 끌기’, ‘캡션내용 때문에 왜곡된 장애인스포츠 보도사진 이미지’, ‘보도사진에 나타난 장애인선수들의 영웅 신화’라는 세 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러한 핵심주제를 보면 국내 신문매체의 사진보도는 장애인스포츠를 스포츠의 한 분야로 보도하기보다는 독자의 시선을 끌기 위해 장애선수들의 장애 이미지에 치중하여 편파적인 보도를 하고 있고 잘못된 캡션 내용으로 인해 장애인 스포츠를 왜곡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선수들의 활약을 신화의 영웅담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endency of Korean photojournalism of the London paralympic games. The news items were collected from the main 17 newspaper. The preliminary data collection process obtained 375 news items which were searched through internet searching. The final relevant and significant 95 pictures were set and analyzed. To guarantee the trustworthiness of the findings, an audit trail process and member check were performed. In addition, other professor reviewed the results and sub-themes. Three themes emerged in this regard: ``Attract attention through the exposure of the disabilities``, ``Disabled Sports Photographic images distorted because of the caption content`, ``Athletes with disability shown in the Photographic of the hero myth.

      • KCI등재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 문화 콘텐츠 시각화 방안 연구 -디지털 포토저널리즘 중심으로-

        김민정 ( Min Jung Kim ),박정기 ( Jeong Kee Park ) (사)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This study is about the visualization plan for Info-cul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Especially, the goal of it is to analyze some cases for how digital photojournalism and interactive elements are combined for users` immersion and informational correspondence,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with using realistic photojournalism content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Some press websites of foreign and domestic are also used for collecting interactive cases. The contents and process in this study is below. At first, the changing shape of media environment is checked for understanding photojournalism. Secondly, the usability of information contents made with realistic photograph is searched. In turn, the meaning and value derived from responsive and interactive elements are reexamined and founded, which are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bout realistic photojournalism contents` type in domestic and foreign. Lastly, the study suggests that the transition of media environment allow personalization of active users through the network and transport technologies and improvement of multiple layered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results in the appropriateness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about the visualization of interactive info-contents from now on because info-contents has expanded democratic communication based on focusing on the usefulness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