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5년 여름, 포츠담: 포츠담 회담과 포츠담 선언

        신종훈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8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clear historical facts about the Potsdam Conference and the Potsdam Declaration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goal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Potsdam Declaration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t the Potsdam Conference, which was during July 27-August 2, 1945 in Potsdam held, the summits of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the Soviet Union discussed the problems of post-war order in Europe after World War II. Although the Conference led to comprehensive agreements on the preparation of peace treaties, the German occupation rule and reparation issues, the Polish problem, etc., those agreements were more or less the makeshift settlement because of differences of opinion of participants. The Potsdam Declaration at July 26, 1945 was an ultimatum of United States, China, and Britain to Japan, which demanded the surrender of the Japanese in the Pacific War and offered terms of the Japanese surrender. It was prepared by the initiative of the US government. But the Potsdam Declaration did not belong to the agenda of the Potsdam Conference. Therefore The Potsdam Declaration and the Potsdam Conference should be considered as two different events by nature. The Article 8 of the Potsdam Declaration contains the international commitment of the independence of Korea. It is in this respect one of the important documents of Korean comtemporary history. But this international commitment did not mean the immediat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It presupposed a trusteeship of Korea at least five years. In order to explain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e Republic of Korea, research of this question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is still required.(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이 논문은 포츠담 회담과 포츠담 선언에 대한 명확한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고 포츠담 선언과 한국 독립의 연관성을 분석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포츠담 회담은 1945년 7월 27일부터 8월 2일까지 포츠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들이 이차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전후질서 구축 문제를 논의한 회담이었다. 회담은 평화조약 체결 준비, 독일점령통치 및 배상문제, 폴란드 문제 등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를 이끌어내었지만, 그 합의들은 참가국들의 견해 차이 때문에 미봉책의 합의 밖에 되지 못했다. 포츠담 선언은 포츠담 회담 기간 중인 1945년 7월 26일 미국, 중국, 영국의 정상들이 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의 항복을 요구하는 연합국의 최후통첩이었다. 그것은 미국 정부의 주도로 준비되었다. 일본 항복의 조건들이 포츠담 선언의 핵심 내용이었다. 포츠담 선언은 포츠담 회담의 의제와는 무관한 사건이었기 때문에 두 사건은 성격이 다른 별 개의 구별된 사건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포츠담 선언의 8조에는 한국을 독립시키겠다는 국제적인 약속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포츠담 선언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문서들 가운에 하나이다. 한국 독립의 국제적 약속은 한국의 즉각적인 정부수립을 의미하지 않았고 최대 5년 정도의 신탁통치를 가정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문제에 대한 올바른 해명을 위해서 그 문제에 대한 국제관계 맥락에서의 연구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 KCI등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상 반식민주의 — 일본 영토의 판단기준으로써 포츠담 항복조건을 중심으로 —

        오시진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4

        Does Article 2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1951) set the territorial scope of Japan prior to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as a reference point? Compared to other peace treaties concluded after World War II,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has a peculiarity. The detailed territorial terms in Article 2 of the Treaty of Peace do not seem to have any relation to each other. This clause appears to be merely a list of matters that need to be dealt with individually. Moreover, this article does not provide clear guidelines as to how far the territory of Japan exten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territorial scope of Japan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1951). Th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when interpreting Article 2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e Potsdam surrender terms” which is the Japan’s instrument of surrender, become a binding criterion, and accordingly, 1894, the starting point of “violence and greed” presented in the Cairo Declaration, which Article 8 of the Potsdam Declaration invokes, can be the standard for the scope of Japanese territory. In 1945, Japan surrendered unconditionally to the Allied Powers. Therefore, this instrument of surrender is a special case of capitulation and it is legally binding regardless of the scope of its contents.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1947 draft of the Peace Treaty tried to return Japan's territory to 1894, 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iews of Roosevelt and Chiang Kai-shek were maintained until then. This part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Cairo Declaration in the 1947 draft because the Potsdam Declaration was used as the standard in the “Basic Post-Surrender Policy for Japan” by the Far Eastern Commission in 1947. As Dulles stated at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signing conference, the Potsdam surrender terms bind the Allies and Japan. After the signing of this peace treaty, there was also a case in which Japan regarded the terms of Potsdam's surrender term as a criterion binding on Japanese territory.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airo Declaration and the Potsdam Declaration have legal effect when interpreting the scope of Japanese territory under Article 2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there is an anti-colonial element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951) 제2조는 일본 영토 범위를 청일전쟁(1894-1895)이 발발하기 이전 시기의 그것을 기준 시점으로 하고 있는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체결된 다른 강화조약과 비교했을 때,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특이점이 있다. 본 강화조약 제2조의 세부 영토 항목은 서로 아무런 관련성이 없어 보인다. 본 조항은 개별적으로 처리가 필요한 사안들을 나열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본 조항이 일본 영토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지도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951)의 영토 범위의 판단기준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장은 조약 해석의 원칙에 따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를 해석할 때 일본의 항복문서인 포츠담 항복조건이 구속력 있는 판단기준이 되고, 이에 따라 포츠담 선언이 원용하는 카이로 선언에서 제시하는 “폭력과 탐욕”의 시작점인 1894년이 일본 영토의 범위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대해 무조건적 항복을 하였는데 이 항복문서는 일반 군 지휘관의 항복의 수준을 벗어난 무조건적 항복이기에 그 내용의 범위와 관계없이 법적 구속력이 생긴다. 한편, 본 강화조약의 1947년 초안에서 1894년으로 일본의 영토를 되돌리려 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1947년 극동위원회의 “일본의 항복 후 기본방침”에서 포츠담 선언을 그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카이로 선언이 1947년 초안에 반영되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Dulles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회의에서 밝혔듯이 ‘포츠담 항복조건’이 연합국과 일본을 구속한다. 본 강화조약 체결 이후 일본도 포츠담 항복조건을 일본 영토에 구속력 있는 판단기준으로 본 사례도 있다. 이에 따라 카이로 선언 및 포츠담 선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상 일본 영토의 범위를 해석할 때 법적 효력이 생긴다고 할 수 있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상 일본 영토복원 시점이 1894년이라 해석될 수 있다. 즉,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반식민주의적 가치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후 일본 영토의 확정과 독도의 영유권: 관련 문서의 해석과 현상유지(uti possidetis) 원칙의 적용

        이창위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법학논고 Vol.- No.83

        독도 문제는 한일 양국의 과거사, 식민지 지배, 국교 정상화를 관통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한일 양국은 독도에 대한 역사적 근거, 국제법적 정당성 및 일본의 선점 조치의 효력, 관련 문서의 해석을 둘러싸고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이 연구는 카이로선언, 포츠담선언, 대일평화조약, 미군정 행정문서 등 일본의 패전 전후의 관련 문서에 대한 해석을 통해 독도의 영유권 문제를 검토하였다. 특히 태평양전쟁의 종료를 전후하여 나타난 연합국의 관련 문서를 일본의 영토 범위의 결정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독도 문제를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식민지의 독립 후나 신생국의 분리・독립 후에 현상유지(uti possidetis) 원칙이 국경선의 획정에 적용되는 과정을 독도의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연합국최고사령관이 영토적 관할권의 범위를 정한 SCAPIN 677을 현상유지 원칙에 비추어 어떤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Dispute over Dokdo is a serious issue that runs through the history, colonization, and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two countries are opposed to the historical basis of the territoriality of Dokdo, its legal legitimacy, the validity of Japan's occupation of the island, and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documents. Among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territorial sovereignty issue of Dokdo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documents before and after Japan's defeat, including the Cairo Declaration, the Potsdam Declarati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he US military administrative documents. In particular, the Dokdo issue was analyzed comprehensively by interpreting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llied Powers that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from the perspective of determining Japan's territorial scop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uti possidetis principle to the delimitation of boundaries after the independence of a colony or the separation of a new state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territorial issue of Dokdo. In addition, it was analyzed in what context SCAPIN 677, which established the scope of territorial jurisdiction by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Forces, could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uti possidetis principle.

      • KCI등재후보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

        정병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독도연구 Vol.- No.18

        The Allied Powers agreed to the principle on the post-war Japan territory at the war conferences. The Cairo Declaration of 1943 and Potsdam Declaration of 1945 declared that post-war Japan territory should be confined to the main four islands and small islands adjacent to Japan that would be decided by Allied Powers. Japan accepted the Potsdam Declaration as surrender terms. The post-war US and British foreign policy staff who dealt with Peace Treaty with Japan drafted several drafts on Peace Treaty with Japan. Their point of view on Japan territory was based on the wartime agreement, i.e., to point out which small islands should be belonged to Japan, to use latitude and longitude to present Japan territory accurately because there were more than 1,000 minor islands adjacent to Japan proper, and to use attached map to visualize the Japan territory with easy. Two maps which were drawn by U.S. Department of States as well as a map which was drawn by British Foreign Office were based on the same grounds as above. Also these maps notified that Liancourt Rocks should be belonged to Korea. The Allied Powers policy on Japan territory changed in 1950 when the cold war prevailed in East Asia. John Foster Dulles who charged on the Peace Treaty with Japan propelled the real peace with Japan. In the end, the three principles that used for the past peace treaties, i.e., war responsibility, cede territory, payment of damages were dropped out from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Japan. On the territory issue, US described the South Pacific mandatory islands which were belonged to Japan and Okinawa problem precisely but the other territory problems which were related with Korea, China, and Russia who were not invited to the Peace Treaty nor declined to singed the Treaty were not mentioned accurately. Whe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as took effect in 1952,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ague that Dokdo island should be belonged to Japan. Japan manipulated a trick to provide Dokdo as a bombing range for US Air Force in 1952-53 and started to land at Dokdo in 1953-54.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exploration team to Dokdo in 1952-53, and started to established permanent facilities such as lighthouse, garrison unit, radio station, and Korean territory signs on Dokdo. It was well-known and recognized by world that Dokdo was belonged to Korea as established fact since then. 제2차 대전기 연합국은 전시회담에서 전후 일본의 영토에 관한 정책에 합의했다. 카이로선언(1943)과 포츠담선언(1945)은 전후 일본의 영토가 주요 4개 섬과 연합국들이 정할 작은 부속도서로 한정된다고 결정했다. 일본은 이에 동의함으로써 항복이 성립되었다. 전후 미국과 영국에서 대일평화조약을 다루던 실무진들은 대일영토정책에서 이러한 전시 합의를 기초로 삼았다. 이러한 전시 합의에 기초해 연합국 실무진들은 대일영토정책에서 첫째 일본령에 포함될 작은 도서들을 특정하고(일본령 도서의 특정), 둘째 1천 여 개를 상회하는 작은 도서들을 문서상으로 표시하기 불가능했으므로 경도선과 위도선을 활용해 일본의 영역을 표시했으며(경위도선의 활용), 셋째 복잡한 조약초안을 이해하기 쉽게 일본영역을 표시한 지도를 제작해 첨부했다(첨부지도의 활용). 이에 따라 1947년과 1949년에 제작된 미국 국무부의 대일평화조약초안의 첨부지도와 1951년 제작된 영국 외무성의 대일평화조약초안의 첨부지도가 작성되었다. 이들 지도들은 모두 독도를 한국령으로 표기하거나, 일본령에서 배제될 지역으로 특정하고 있다. 연합국의 대일영토정책은 1945~49년간 전시 합의한 대일영토정책이 유지되었으나, 1950~51년간 새로운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냉전이 격화되면서 영토정책에서 전시합의는 폐기되었으나, 새로운 정책은 논의·합의·결정되지 않았다. 1950년 대일평화조약 특사로 임명된 존 포스터 덜레스가 진정한 평화조약을 추진한 결과, 이전의 징벌적 조약과는 다르게 일본의 전쟁책임, 영토할양, 배상금 지불이라는 일본의 책임조항이 사라졌다. 이 결과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에서 미국과 관련된 남태평양 위임통치령, 오키나와 문제는 정확히 기술되었지만, 조약에 참가하지 못한 동북아시아의 한국·중국, 조약에 서명을 거부한 소련과 관련된 영토조항은 명확히 기술되지 않았다.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체결 이후 일본정부는 한국을 상대로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는 한편 독도를 미공군의 폭격연습장으로 지정·해제한 후 1953~54년간 독도 상륙 및 일본령 표지 건설을 지속적으로 시도했다. 이에 맞서 한국은 1952~53년간 독도조사 작업을 실시했고, 독도에 등대, 막사, 통신시설, 한국령 표지 등 상비시설을 설치하고 경비병력을 주둔시켰다. 이를 통해 독도가 한국령이라는 점이 ‘기성사실’로 인식되게 되었고, 일본의 도발은 외교적 각서 교환의 수준으로 전환되었다. 미국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이후 한일 ‘독도문제’에서 중립을 표방하게 되었다.

      • 영토조항 연구

        김신 ( Shin Kim )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16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17 No.1

        The territory provision defined in the order is the point that it has been executed clearly and definitely according to the memorandum. Afterwards, the execution of the memorandum has been enforced by being enacted as the imperial decree, order, and law of Jap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NA of the territory provision in the order and the memorandum in the above, it was able to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territory provision that has been enforced today has been continued by the Cairo Declaration, the Potsdam Declaration, the order, the memorandum, and the Potsdam Act.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DNA of the territory provision of the order and the memorandum is the history of the maintenance of the world peace. And we can find out that it has been a source and a link for designing the peace of the future.

      • KCI등재

        카이로선언의 지도원리와 한국의 영유권 고찰

        이동원 ( Lee Dong-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1

        The Cairo Declaration was signed at Cairo on November 27, 1943 and announced on December 1, 1943. It adapted regulations, saying that Japan will also be expelled from all other territories which she has taken by violence and greed and that the aforesaid three great powers, mindful of the enslavement of the people of Korea, determined that in due course Korea shall become free and independent. The former is a 「general regulation」meaning that Japan shall be expelled from the land that she occupied illegally, and the latter is a 「special regulation」meaning that Korea shall be relieved from illegal colonial rule. A leading principle exists in the Cairo Declaration to set 「postwar international order form」 and the leading principle rules the Peace Treaty with Japan. Considered on the interpretation as above, the Peace Treaty with Japan should have been regulated on the premise of unlawfulness over colonial rule as a peace treaty of disciplinary punishment. But, at that time, the principle of guidance the Cairo Declaration was not reflected at the Peace Treaty with Japan because allied powers intended to stabilize international order for fear of the threat of communism. So, the treaty of peace, not the treaty of disciplinary punishment, is not the one in conformity to the profit of Korea in a strict meaning. Korea has to be faithful to the leading principle of the Cairo Declaration in interpretation of the problem of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Art.2 of Treaty on Basic Rel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nd of the problem over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Dokdo. Four powers adapted the regulations as above in the Cairo Declaration to set postwar international order. So, the Cairo Declaration has a trait of 「supreme norm」 and 「fundamental normality」 over succeeding declaration and treaties. The trait, here, takes a role as a leading principle that the Cairo Declaration heads for, and the leading principles of the Cairo Declaration is interpreted as 「liberalism」 and 「colony liberation」. Interpreted over this leading principle, colonial rule of Japan is illegal from Korea-Japan Protocol of 1904, and it demands that Japan has to be expelled from all other lands Japan seized through treaties, agreements that she made forcibly, and sovereign damage (Japanese transfer of Shimane to the land). So, the Cairo Declaration, interpreted by the leading principle of fundamental normative trait, means Japanese illegal occupation of Korea from 1904 and ineffective land transfer of Shimane Province in 1905.

      • KCI등재

        쿠릴열도를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간의 영토분쟁

        Bella B. Pak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2 독도연구 Vol.- No.13

        현재의 러·일 국경은 확실한 국제적 법적 기반을 가진 역사적 사실이다. 남부 쿠릴열도는 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러시아에 귀속되었고, 그 법적 기반은 연합국간 협정(1946년 2월 11일의 얄타협정, 1945년 7월 26일의 포츠담선언)이다. 얄타회담의 결정에 따르면, 모든 쿠릴열도의 섬들과 사할린 섬들은 ‘영원히’ 소련으로 귀속된다. 영국과 중국이 서명하고, (소련이 나중에 가입한), 미국의 포츠담 선언은 이와 같은 내용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따라서 러·일 관계는 2차 대전의 결과의 확고함이라는 중요한 원칙에 기초해야만 한다. 2차 대전의 결과의 불가침성(principle of 4he inviolability)이라는 원칙은 전후 국제관계의 기초로서 여전히 남아있다. 결론적으로 러시아는 아시아의 현상유지를 위해 중국, 남한을 포함한 2차 대전의 결과를 번복하지 않으려는 국가들과 동맹을 맺고 있다. 일본에 의해 영유권이 주장되는 타케시마로 불리는 ‘독도’는 한국과 일본간의 긴장관계의 원인이 되었다. 독도는 “한국의 남 쿠릴열도(Korean Southern Kuril islands)”로 불릴 수 있다. 일본의 여러 영토적 주장들, 예를 들면 독도(한국), 쿠릴열도(러시아), 팽호도(Penhuledao)(중국), 파라셀군도(베트남) 등은 일본의 국제법적 의무와 직접적으로 상충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샌프란시스코 조약 제2조를 간접적으로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쿠릴열도 분쟁에 대한 러시아 정권의 시대별 정책

        김정훈(Jounghun, Kim)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3 독도연구 Vol.- No.14

        지금까지 쿠릴열도 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각 정권별 정책과 이에 대한 일본의 반응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최근까지 러시아의 입장은 큰 변함이 없다. 즉, 이전 정권에 의해 약속된 것은 크게 부정하지 않는다. 1956년 소일공동선언에 따라, 평화조약 체결 이후 하보마이와 시코탄의 반환은 인정하되, 1990년대 중반 협상과정에서 일본의 압력에 의해 등장한 쿠나시르와 이투루프는 배제시켰다. 지금까지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가 결코 정당한 권리로서 자신에게 속한 것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프로젝트를 제안했다는 사실은 협상의 여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영토적 분쟁과 갈등은 다른, 예를 들면 통상갈등이나 분쟁과 달리 특수성을 띤다. 그것은 분쟁당사국의 민족주의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고, 정치권력을 유지하려는 국내지도자에게 엄청난 압력을 행사하며 따라서 국내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자원, 특히 석유와 가스등과 같은 전략적 자원과 관련된 국가적 핵심이익이 개입되고, 어업자원을 포함하여 배타적경제수역 및 대륙붕과 연계되고, 심지어 제3국의 외교정책, 예를 들면 미국의 세계전략등과도 연계되어 있다. 그러나 어떤 문제든 협상의 여지는 있다. 러시아와 일본 모두에게 협상은 다양한 국가적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필요조건을 형성한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의 논의와 러시아 외무성 자료의 검토를 통해 드러난 사실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즉, 일본과 분쟁 중인 쿠릴열도 문제와 관련된 러시아의 공식입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현재 쿠릴열도를 둘러싼 러-일 국경은 확실한 국제적 법적 기반을 가진 역사적 사실이다. 남부 쿠릴열도는 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러시아에 귀속되었고, 그 법적 기반은 연합국간 협정(1946년 2월 11일의 얄타협정, 1945년 7월 26일의 포츠담선언)이다. 둘째,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언급된 내용의 수정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전후 아시아에서 전개된 현상유지를 훼손하고, 아시아의 영토적 안정성을 해칠 것이다. (중국의 국경이기도 한 외몽고의 지위, 한국의 독립, 많은 섬들과 기타 지역의 지위) 셋째, 쿠릴열도의 성격과 관련하여, 쿠릴열도는 분리될 수 없는 지리적 개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쿠릴열도는 그런 분류의 모든 특징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1956년 10월 19일의 소-일 공동선언에 따라 평화조약으로 전쟁상태가 종결되면, 러시아는 하보마이와 시코탄을 일본에 반환할 것이다. In this thesis, Russian each government’s Policy on the Kuril Islands and Japanese reaction to it will be examined. Up to date, Russian position on the issue of the Kuril Islands has not been changed. It is not to deny roughly the promised by previous authorities. It is to speak only of loyalty to Declaration of 1956, that is only about the return of Habomai and Shikotan to Japan, eliminating the problems of returning Kunashir and Iturup, which appeared under the pressure of Japan in the negotiations in the mid 90’s. It seems clear that Russia will never give up what rightfully belongs to her, but all the while offering joint projects to Japan shows that it’s negotiable. Unlike other disputes or conflicts, for example, trade conflicts, territorial disputes or conflicts are distinctive. It is closely linked with the nationalism of the parties to the dispute and if the cace is maritime, related to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nd continental shelf which include fisheries and strategic resources like oil and gas, exercise tremendous pressure to national leaders to maintain political power, thus affect the domestic political process. It is even related to the third party’s foreign policy, such as America’s global strategy. Every issue, however, is negotiable, especially when Russia and Japan have to meet a variety of national need and interest. To sum up the discussion so far, main elements of Russian official positions confirmed by the materials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Russian Federation regarding the Kurils could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 e present Russo-Japanese border around the Kurils is historic fact, which have a certain international and legal basis. Southern Kuriles were returned to Russia by results of World War II on the legal basis, according to agreements between allied powers (the Yalta agreement, February, 11th, 1946, the Potsdam declaration, July, 26th, 1945). Second, a revision of statements in the San-Francisco treaty is not possible, as it will undermine the status quo developed after the war in Asia and the territorial stability of Asia (the status of External Mongolia, that is borders of China; independence of Korea, the status of many islands and another). Third, Kuril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grated geographical concept as the Kuril ridge has all attributes of such a classific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Declaration of 1956, Russia will return Habomai and Shikotan to Japan,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eace treaty between two countries which terminate the state of war.

      • KCI등재

        [요약번역] 연합국의 일본 영토에 대한 정책과 독도의 영유권

        Chang-Wee LEE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학논총 Vol.37 No.1

        독도 문제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과거사, 식민지 지배 및 국교 정상화를 관통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한일 양국은 독도에 대한 역사적 근거, 국제법적 정당성과 일본이 1905년에 취한 선점 조치의 효력, 카이로선언을 비롯한 일련의 법적 문서의 해석을 둘러싸고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 중에서 카이로선언, 포츠담선언,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미군정의 행정문서 등 태평양전쟁 종료 전후의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독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검토했다. 특히 일본의 패전 전후 공표된 연합국의 공식 문서를 영토 범위의 결정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여 쟁점을 포괄적으로 살펴봤다. 그리고 식민지의 독립이나 신생국의 분리·독립 후 현상승인(uti possidetis)의 원칙이 국경선의 획정에 적용되는 과정을 독도 문제와 관련하여 분석했다. 연합국최고사령관이 일본의 영토적 관할권의 범위를 정한 SCAPIN677을 현상승인의 원칙에 비추어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봤다. 현상승인의 원칙은 ‘영토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중시하여 적용되는 국제법의 일반 원칙이기 때문에, 일본에서 분리된 한국이 미군정의 통치를 거쳐 독립하는 과정에도 이 원칙이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SCAPIN677이 ’정치・행정적으로 분리된 지역’이라고 기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과 일본 사이에도 이 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다. 영토 문제는 국제법과 국제정치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국가 간의 갈등이기 때문에, 독도 문제도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한국이 일본에 대항력을 갖기 위해서는 증거능력이 있는 사료와 이에 대한 법적 해석 및 설득력 있는 논리가 필요하다. 특히 독도 문제는 태평양전쟁 종전 후 일본 영토 처리의 맥락에서,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a)를 정확하게 해석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 조약의 영토 범위에 독도가 명시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관련 문서와 국제법 원칙에 따라 해석하면 독도는 한국의 영토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본의 영토 처리 과정에서 나타난 연합국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Dispute over Dokdo is a serious issue concerning the past history of Korea and Japan, colonial rule, and the process of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The two countries are in a serious conflict over the historical basis for Dokdo, its legitimacy under international law and the validity of Japan’s occupation of the island, and the interpretation of related documents. Among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territorial sovereignty issue of Dokdo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documents, including the Cairo Declaration, the Potsdam Declaration, an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specifically interprets the U.S. military administrative documents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from the perspective of determining Japan’s territorial limits so that the Dokdo issue can be analyzed. It also analyzes the process of applying the uti possidetis principle to the delimitation of boundaries after the independence of a colony or the separation of a new state in relation to the issue of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SCAPIN677, in which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defined the scope of its territorial jurisdiction, could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uti possidetis princip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