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 유형에 관한 연구

        김보름(Kim, Boruem),용호성(Yong, Hose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문을 닫은 뮤지엄들이 오프라인 전시의 대안으로 활용해온 온라인 전시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보고, 각각의 유형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떤 의미와 역할을 하며 그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외 주요 뮤지엄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전시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전시의 유형은 첫째 보조적 전시, 둘째 병행적 전시, 셋째 독립적 전시, 넷째 대안적 전시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보조적 전시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과는 무관하게 뮤지엄의 홍보와 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병행적 전시, 독립적 전시, 대안적 전시 등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오프라인 전시의 대안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전시와는 무관하게 기획되는 독립적 전시나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대안적 전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각광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대안적 전시는 전통적인 뮤지엄 전시와는 전혀 다른 방향과 내용으로 기획되는 형태로서 향후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various types of online exhibitions that museums, inevitably closed due to the worldwide pandemic situation of COVID-19, have used as alternatives to offline exhibitions, and to examine what each type means and plays in the post-corona era and what its implications are. The types of online exhibi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supportive exhibitions, second parallel exhibitions, third independent exhibitions and fourth alternative exhibitions. Among them, auxiliary exhibitions have been used to promote and educate the museum regardless of the coronavirus pandemic. However, parallel exhibitions, independent exhibitions, and alternative exhibitions are being considered more actively as alternatives to offline exhibitions due to corona pandemic, and it is expected that alternative exhibitions that are planned independently of offline exhibitions and induce visitors to participate in various ways will continue to be in the spotlight even in the post COVID-19 era. Furthermore, alternative exhibitions are planned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and content from traditional museum exhibitions,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into various forms in the future.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시 형식에 관한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 방식의 전시를 중심으로

        유원준(Yoo Wonj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2019년 12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발병한 이래 비대면, 비접촉을 요구받고 있는 미술관및 박물관, 전시공간의 최근 전략들을 살펴보며 이들이 시도하고 있는 온라인 기반의 전시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로부터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술관 및 전시공간에 기대될 수 있는 요소를 예측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원전부터 미술관 및 박물관은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유구한 역사적 지닌 공간이며 무수한 사물들이 새롭게 재생되고 의미있는 연관성을 얻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되는 장소기도 하였다. 그러나 밀폐된 물리적 공간을 전제하는 특성탓에 현재 상황에서 새로운 관계성을 발견하고 생산해내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이러한 코로나 상황이 가속화시킨 현상들도 존재한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대안적 현실을 만들어내는 흐름들이 그것인데, 온라인에 기반한 플랫폼 구축 및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이 대표적인 분야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동향은 팬데믹 상황 이전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확인되는 움직임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한 제한적 현실을마주하게 되며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미술계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앞서 언급했듯, 물리적 공간에서의 전시가 일정 정도의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에, 예술 작품을 제시하고 경험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다양한 방식이 검토되고 실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미술관들이 시도하고 있는 대안적 방식의 전시 형태 중, 온라인 및 사이버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전개되는 사례들에 주목하고 여기서 발견되는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한 전시의 방식을 분석한다. 이에 크게 세 가지의내용 구성을 지닌다. 첫 번째는 코로나 시대에 직면하여 미술관들이 시도하는 대안적 전시 방식들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들 중, 온라인 기술 매체를 활용한 사례들을 검토 분석하며 두 번째로는 온라인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는 전시의 형태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는지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코로나 이전부터 진행되어 오던 온라인 뮤지엄, 버추얼 갤러리들이 지닌 특성들이 현재 상황에서 어떠한 부가적 요소를 고려하고 있는지도 중요한 요소이다. 마지막으로이러한 형태의 전시에서 발견되는 게임적 속성에 관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결국, 이러한 속성의 전시 형태가 일반화 될경우, 현대 예술의 형식과 내용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의 접근 방식을 통해 현재의 코로나 상황에서 나타나는 실험적 시도들, 특히 사이버스페이스를활용한 게임적 형식의 전시가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 형식으로 규정될 수 있을지 더 나아가 예술 형태를 축조하고 활성화시키는 토대로서 기능할 수 있을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recent strategies in art galleries, museums, and exhibition spaces that have been required to be non-face-to-face and non-contact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in December 2019,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based exhibitions and predict factors expected in the post-Corona era. Since B.C., art galleries and museums have long-standing historical spaces to the extent that their origins can be found, and have been places where countless objects are newly reproduced, meaningful connections are obtained, and new relationships are constantly established. However, due to the nature that presupposes an enclosed physical space, it is revealing limitations in discovering and producing new relationships in the current situation. However, there are also phenomena that have accelerated the Corona situation. These are the flows that create alternative realit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uch as online-based platform construction and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are representative fields. These technical trends have been confirmed in various fields before the pandemic situation, but they are accelerating as they face limited reality caused by COVID-19.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art world became busy. As mentioned earlier, since exhibitions in physical space have faced certain limitations, various methods are being reviewed and tested as new alternatives to present and experience works of art. This study focuses on cases unfolding using online and cyberspace among the alternative types of exhibition currently being attempted by art galleries and analyzes the method of exhibition through gamification found here. Accordingly, it has three main contents. First, I would like to identify the types of alternative exhibition methods that art galleries try in the face of the COVID-19 era, review and analyze cases using online technology media, and secondly describe the properties of non-faceto-face exhibitions onlin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museums and virtual galleries, which have been going on since before COVID-19, are also an important factor considering additional factors in the current situation. Finally, I would like to approach the game attributes found in this type of exhibition. In the end, if the exhibition form of these attributes becomes common, it will also exert influence on the form and content of modern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experimental attempts in the current Corona situation, especially game-type exhibitions using cyberspace, can be defined as exhibition forms in the post-Corona era in the future or serve as a basis for building and activating art form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연계 미술관교육의 미래와 방향 : 대전시립미술관 2020 어린이 미술 기획전을 중심으로

        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6

        뉴노멀, 언컨택트, 언택트, 온택트 등을 특징으로 새로운 기준 설정과 변화를 요구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와 미술관은 어떤 관점을 가지고 공생 관계를 지속해나가야 할 것인가가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된 고민이었다. 모두 다 온라인으로 몰려가면서 디지털 플랫폼을 요구하는 이 때 변해야 할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이며, 이것이 학교와 미술관과의 연계에서는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이에 대한 방향 설정이 필요해 보였다. 이러한 배경과 필요성에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피해가 컸던 문화예술교육 중에서 학교와 연계한 미술관교육의 미래와 방향을가늠해보고자 학교미술교육에서의 미술관교육과 더불어,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전시와 교육을 중심으로 학교미술교육과의 연계를 살펴보았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린이 미술 전시 사례로서 대전시립미술관의 ‘환상, 상상, 도시 Imagine the City’ 기획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연계 미술관교육의 방향을 3가지로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와 미술관의 모든 관계자와 매개자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논하였다. In the post COVID-19 era characterized by new normal, uncontact, untact and ontact, a new standard setting was required.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 of what point of view schools and art museums could maintain symbiotic relations at a time when change was required in these days. When all of them were rushing to online and demanding new digital platforms, it seemed necessary to consider what needed to be changed and what should not be changed,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i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art museums. For getting a bead on the future and direction of art museum education linked to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rt museum education in school and exhibitions and education in art museums. Focusing on the linkage, and as an example of children s art exhibition, the special exhibition of Imagine the City by DMA wa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three directions were proposed, and it was discussed that all officials and intermediaries of the school and art museum were important.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정희정(Hee-Jeong Jeo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포스트[POST] 코로나 시대를 맞아 우리는 다양한 전시공간의 운영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 일부 전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시공간의 기존 운영방식인 오프라인 전시가 디지털 환경의 온라인 전시에 비하여 현장감이 있으며 실물 전시를 통한 작품의 이해도가 쉽고 공감력과 감성 교감이 장점으로 작용되어 온라인 전시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비대면 콘텐츠는 기존 오프라인의 전시 운영을 대신하는 대체 역할이 아닌 오프라인 전시의 보조 역할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는 디지털 환경에 따라 전시공간 운영도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여러 분야에서의 다각적이고 다차원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e post-COVID era, people began to think about different ways to manage these exhibition spac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elected exhibition spaces at home and abroad and conducted a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ffline exhibitions, the traditional way of exhibition space management, are preferred to online exhibitions because they are more realistic and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audience can relate to and interact with them more easily. This suggests that non-face-to-face content is not a substitute for existing offline exhibition spaces, but a complement to them. However, in response to the ever-changing digital environment, exhibition spaces should seek ways to adapt to these changes, and this warrants further research in a number of area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시대 전시산업 주최자의 인식변화 연구

        한진석,황희곤,김미견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for direction of the exhibition industry to find ways to induce a sustainable exhibition industry by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and the post-corona era. It is to examine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organizers of the exhibition industry.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5 ques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verified through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Keep up the good work”areas are‘requirement of understanding of the online platform used when holding an exhibition’,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or and visitors’, ‘importance of hybrid communication combining on- and off-line’, ‘during open an online exhibition, the organizer's ability to plan online events is required’, ‘need to change the expenditure structure’. “Concentrate here”areas are‘activation of communication thru the changing of exhibition data into big data’, building a profit model for online participant’, ‘needs for development of new profit model’, ‘needs of developing and introducing a new evaluation model like to socio cultural impact’. “Low priority”areas are‘importance of online utilization in B2C exhibitions’, ‘importance of untact organizing operations such as working from home’, ‘import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likeeconomic impact’, ‘satisfaction and loyalty by exhibition participation’, ‘needs of qualitative evaluation suitable for the online era’. “Possible overkill”areas are‘ importance of online utilization in B2B exhibitions’,‘value of side events hel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it is verified that the exhibition organizers have been changed perception notion of the crisis in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caused by COVID-19.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situational insight of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organizers should be made more proactive based on the various verification figure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증 등으로 급변하고 있는 시대적 변화와 이후의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전시산업을 유도해 낼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전시산업의 방향성을 기획하고 조절할 수 있는 전시산업 주최자의 인식변화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5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으며 IPA기법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유지영역은 ‘전시회 개최 시 사용되는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이해 요구’,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실시간 interactive communication’,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hybrid communication의 중요도’, ‘온라인 전시회 개최 시 주최자의 온라인 이벤트 기획에 대한 역량 요구’, ‘지출구조의 변화 필요’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노력 영역은 ‘전시데이터의 빅데이화를통한 communication활성화’, ‘온라인 참가자에 대한 수익모델 구축’, ‘새로운 수익모델 개발의 필요성’,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등 새로운 평가 모델 개발 및 도입의필요성’으로 나타났다. 낮은 우선순위 영역은‘B2C전시회에서 온라인 활용의 중요성’, ‘재택근무 등 비대면 조직운영의 중요성’, ‘경제적 파급효과 등 정량적 평가를 통한 성과평가의 중요도’, ‘전시회 참가 만족도, 충성도 등 온라인 시대에 맞는질적평가의 필요성’으로 나타났으며, 과잉노력 지양 영역은 ‘B2B전시회에서 온라인활용의 중요성’, ‘부대행사 동반개최에 대한 중요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시산업 주최자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해 발생된 국내전시산업의 위기에 대하여 일정부분 인식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다양한 검증의 수치 상 국내 전시산업 주최자들의 상황적 인식변화가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코로나 극복을 위한 전시 미디어 콘텐츠 개발 연구 - 인터랙티브 비디오와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한 <New Normal + Convergence Design> 전시를 중심으로 -

        남윤태,오제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다양한 전시들이 온·오프라인 전시관에서 관객들에게 예술 작품의 경험을 주고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극복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전시를 기획하고, 이에 따른 미디어 디자인 전시 콘텐츠를 만들어 실제 전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New Normal + Convergence Design>전시의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직접 경험함으로써 코로나 극복을 위한 의지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6종의 전시콘텐츠는 각각 프로젝션을 사용한 인터랙티브 비디오 작품 3종과 대형 TV를 사용한 인터랙티브 비디오작품 2종 그리고 증강현실 예술 작품 1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제 전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제안된다양한 미디어 디자인 전시 콘텐츠들은 인터랙티브 영상과 증강현실 등의 디지털 기술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이후 시대에도 아티스트, 연구자, 그리고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의 전시를 만들어줄 수 있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AR(증강현실)전시 유형 연구

        연규석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뮤지엄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발달하고 있는 VR 전시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그 대안으로 현재까지 소개된 여러 유형의 AR 전시를 뮤지엄 중심으로 연구하여 코로나 시대에 디지털 콘텐츠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변화하고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VR/AR 전시를 코로나-19를 전후로 살펴본 결과, VR은 대부분 현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소개하고 있어 미학적 현장감 부재와 HMD 장비운영 문제를 드러낸다. 주로 보급률이 높은 모바일을 이용한 AR은 특정 실내 공간에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뮤지엄용’, 개방된 실외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장소형’, 디지털 콘텐츠와 인쇄물에 접목하여 우편형식으로 발송 가능한 ‘불특정 장소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 특정/불특정 장소형은 실외 공간 및 우편 발송을 통해 가장 높은 비대면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펜데믹 시대의 효율적인 뮤지엄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To study how digital content can be effectively developed and transformed in a post-COVID world in which the normal operations of museums have been disrupted, this paper analyzes the rapid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VR exhibitions and proposes, as an alternative, the development of AR exhibitions. Studying VR/AR exhibitions that ran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paper finds that VR, on the one hand, translates physical objects into digital video, which lacks aesthetic depth, and encounters operational problems originated by devices. By using mobile devices that are widely distributed and convenient to use, AR exhibitions can, on the other han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museum-specific exhibitions" can present digital content in a specific indoor space, while "place-specific exhibitions" can be used in open outdoor spaces. The "non-place-specific exhibitions", can, as third type, combine digital content with printed material sent by postal mail. Among these three types, the specific/unspecified place type shows the highest "uncontact effect," which can suggest the best direction for effective museum content development in the pandemic era.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전시컨벤션 신규 사업 방안 - 코엑스버스 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봉 한국무역전시학회 2022 무역전시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status of sustainable MICE business model and its outcomes in the era of post-COVID19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MICE industry trends and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To broaden previous unidirectional approaches on digitalization,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oject members of Coxverse, COEX’s a new business model that strategically connects MICE professionals and online platform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findings. First, the findings lead to the change of our thoughts on previous discourses on digitalization in the MICE industry. Second, this study showed the value of collaboration with new stakeholders. Third, this study illustrated the innovative way to create new customers by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components. Fourth,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value of data archiving of diverse MICE contents, which used to be perished after offline MICE events. Fifth, this study proposed new sustainable MICE business model, which connect pre-existing online platforms and offline platforms. Follow-up longitudinal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suggested to track the long-term development of CoXverse and suggest diverse competitive business models in the future.

      • 예술 공유지로서의 미술관의 확장: 비대면 시대 미술관과 미술 공동체

        이임수(Lee ImSue) 한국미술경영학회 2023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3

        본 논문은 예술 공유지로서의 미술관이 최근 어떻게 그것이 포괄하는 미술 공동체를 급속도로 확장시키고 있는지 분석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비대면 소통과 경험이 일상화되었다. 급격한 기술변화의 속도에 비해 이에 대응 하는 조직의 변화 속도는 다소 완만한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으나, 코로나19의 유행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용 자 다수가 급격한 변화를 수용하도록 이끌었다. 현실적인 삶을 지속하기 위해 강제되는 활동뿐만 아니라 문화 활동도 비대면의 소비와 향유가 가속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의 공간도 물리적인 소장품과 전시장을 넘어서 디지털 컬렉 션과 온라인 가상공간으로 더 빠르게 확장되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미술관은 신체로 경험하는 물질의 공간과 다 양한 매체로 이루어진 다층적 정보공간이 병존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관이 포괄하는 공동체의 범위가 미술관 이 위치한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지구로 화장됨을 의미한다. 미술관은 지역사회 공동체 가 공유하는 기억과 감수성을 외부로 확산하여 더 큰 연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how the art museum as an art commons is rapidly expanding the art community it encompasses in recent years.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non-face-to-face communication and experiences have become commonplace. Compared to the speed of rapid technological change, the general trend was that the speed of organizational change in response to it was rather slow, but the pandemic of COVID-19 led many users to accept rapid change in order to respond to the crisis. Non-face-to-face consumption and enjoyment of cultural activities as well as activities that are forced to continue a everyday life have accelerated. As a result, the space of art museums has also expanded rapidly beyond physical collections and exhibition rooms to include digital collections and online virtual spaces. These changes mean that the scope of the community encompassed by the museum has broadened into the entire globe connected through an online network. The museum has been able to form a greater solidarity by spreading the memories and sensibilities shared by the local community to the outsid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