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현대시의포스트모던적요소

        임용택(Rheem Yong tac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2차 세계대전에 따른 인류 전멸의 위협과 인간성의 상실, 그리고 전후 세계경제를 주도한‘후기 자본주의(late-capitalism)’의 소비지향적 물질문화의 확산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도시를 살아가는인간의 소외의식을 심화시키며 무질서와 혼돈, 회의 등으로 점철 된 포스트모던 시대의 도래를 초래하였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모두 기존의 전통이나 인식에 대한 부정과 형식의 실험을 추구하나, 모더니즘이 문학을 포함한 예술의미적가치에 주력하는 반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상업 예술이나 하위문화에 관심을 기울 이는 매우 반항적이고 통속적인 사회 문화현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본 곳에서는일본 현대시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성을언어의 유희적 요소 및 표층성의 강조,장르 간의 경계 해체, 현실과 그런 대학문의 인식 체계 및 진리체계의 부정, ‘여성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접근해보았다. 다이쇼 말기에서 쇼와 초기로 이어지는 전위 적시에서는 다양한 언어적 실험에 바탕을 둔 시각적 형식화의 추구가포스트모더니즘 시의 주요 형태인‘구체 시’의 지평을 선점하고 있다. 시네포엠이나시속사진기법, 광고 등의 도입에서 나타나듯, 언어유희를 앞세운 모더니즘 문학의 아방가르드 정신과 포스트구조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장르 혼합의 상호 텍스트적 요소가포스트모던적 성격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암시한다. 전후시의 걸작으로 평가되는 요시오카 미노루의 승려는 신성성을 상실한 속물적승려의 모습을 통해 성(聖)과속(俗)의 경계 해체, 생과 사의 동일시 공간에서의 공존과 길 한 구조 등을 제시함으로써, 이항대립적 인식 체계에 기반을 둔‘대서사’의 권위에도전하고 있다. 나아가 요시 마스 고조의 타오르다에서는 현실과 꿈, 인간세계와 우주(천체)가 어지럽게 교차하는 시적 상상력의 질주가인간의 잠재의식이나 무의식을 바탕으로 현실과 상상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쉬르레알리슴적세계로는억제할수없는 시적 에너지를 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사카요코와이토히로미가 추구한 여성적 글쓰기는 주체로서의 남성, 타자로서의 여성이라는 남성중심주의의 신화를 붕괴시키며, 여성의 성적매력을 바탕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스스로를 타자로부터 주체의 위치로 전복시키고 있는 점에서 포스트모던적이다. The alienation of people living in cities was deepened by the threat of human extinction in World War II; the loss of human nature; the diffusion of consumer-oriented material culture of ‘late-capitalism,’ which led the postwar world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urn, this brought the advent of the postmodern era which was marked by disorder, chaos, doubt and the lik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ursue the experiment of denial and rally against tradition or human existence. However, postmodernism that is interested in commercial art and sub-culture is defined as a very rebellious and kitsch cultural phenomenon. This paper appears the postmodernity in modern Japanese poetry from the viewpoint of emphasis on the play elements and surface structure of language; boundaries between genres that are the ‘deconstruction’; the recognition of reality and modern science and the denial of the truth system; and ‘écriture-féminine’. First, the ‘avant-garde’ poetry which is performed in the first half of 1920 shows a visual format based on various linguistic experiments characteristic of ‘concrete-poetry’ that is representative of postmodernism poetry. As it appears in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techniques and advertisements in the poetry and ‘sine-poem’, the avant-garde spirit of modernist literature that prefers language play and the intertextuality of genre blending from poststructuralism to postmodernism is based on postmodernity. ”Souryo” (1958) by Yoshioka Minoru shows the demarcation of the sexual and the common and proposes a coexistence and conflict structure in the same time and space of life and death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monstrous monk who was no longer sacred. It is this challenge to authority that makes up the ‘meta-narrative’ based on the recognition system of binary opposition. Furthermore, in ”Moeru” (1970) by Yoshimasu Kozo, the gallop of poetic imagination in which reality, dreams, the human world, and the universe intersect chaotically with each other spurts the radical poetic energy which cannot be suppressed in the world of ‘surrealism’ that connects the reality with the imagination organically on human subconscious or unconsciousness. Finally, ‘écriture-féminine’ which Isaka-yoko and Ito-hiromi purse brings down the myth of androcentrism which is a man as a subject and a woman as the “other.” It is postmodernism that recognizes things based on the sexuality of woman and changes the position from the “other” to the subject for oneself.

      • KCI등재

        모던․포스트모던문화 그리고 로컬문화

        하용삼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2 No.-

        세계화시대에 국가권력은 약화되었고, 그리고 국가의 경계는 불분명해졌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로컬의 생활공간에 살고 있다. 이러한 세계화의 양극적 상황에 의하여 로컬은 국가적․세계적 차원에서 문화들의 다양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용어의 차이에서 모던․포스트모던문화는 로컬문화에 대해서 중심문화로 평가된다. 모던․포스트모던문화는 예술의 자율성과 예술의 상품화로 인하여 예술의 사적․공적 영역을 분리한다. 모던․포스트모던문화는 정치․경제적으로 예술의 공공성을 상실한다. 국가와 자본은 로컬문화를 모던․포스트모던문화와 대중문화 아래에 포섭한다. 예술의 사적․공적영역의 통합을 시도한 아방가르드와 관련하여 로컬주민들은 ‘정치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민주주의적 감성분할’에 의해 모던․포스트모던문화와 대중문화의 국가적․자본주의적 형상을 해체할 수 있다. 이 해체된 문화적 형상들의 질료들은 로컬감각의 진정성과 직접성에 의해 로컬문화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로컬문화는 주민들의 정서적 연대와 시민의 보편적 권리를 근거로 자본에 의해 야기된 지리적 불평등에 대항하는 공동체적 문화이다. Zur Zeit der Globalisierung ist die staatliche Herrschaft schwach geworden, und die Grenze des Staats ist undeutllich geworden. Aber die meisten Menschen leben in dem Lebensraum des Locals. Von der gegensätzlichen Situation der Globalisierung kann das Local(die Region) die verschiedene Mischungen der Kulturen auf der staatlichen, globalen Dimension wählen. Von der Verschiedenheit des Worts wird die moderne․postmoderne Kultur als die Hauptkulur gegen die Localkultur bewertet. Die moderne․postmoderne Kultur trennt das private, öffentliche Bereich der Kunst wegen der Kommodifizierung․der Autonomie der Kunst ab. Die moderne․postmoderne Kultur verliert die politische, ökonomische Öffentlichkeit der Kunst. Der Staat und das Kapital subsumiert die Localkultur unter die moderne․postmoderne Kultur und die Massenkultur. Von der durch 'die politische Aktivität' verwirklichten 'demokratischen Aufteilung des Sinnlichen' können die Bewohner des Locals mit Bezug auf die Avantgarde, die das private, öffentliche Bereich der Kunst zu vereinigen versucht, die staatlichen, kapitalistischen Formen der modernen․postmodernen Kultur und der Massenkultur auflösen. Die Materien der aufgelösten Formen können durch 'Echtheit und Unmittelbarkeit der Local-Empfindung' zur Localkultur werden. Die Localkultur ist die gemeinschaftliche Kultur, die aufgrund der emotionalen Solidarisierung der Bewohner und des universalen Rechts des Bürgers der durch das Kapital bewirkten geographischen Ungleicheit widersteht.

      • KCI등재

        포스트모던 죄론에 관한 연구

        김성원(Sung Won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6 No.-

        포스트모던 해체주의는 모더니티의 언어적 형식주의(linguistic formalism)를 해체하고,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를 해체하였다. 언어적 형식의 해체와 인간중심주의의 해체가 기독교 교리의 해석에 적지않은 도전을 주었고, 여러 면에서 포스트모던 신학적 모델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해체주의는 모더니티의 몸과 마음의 이원론적인 인간론을 해체하였다. 인간의 죄론은 주로 모더니티의 이원론에서 마음으로 범하는 죄와 행위로 범하는 죄를 나누어서 해석되었다. 원래 히브리?유대적 죄의 개념인 “?μαρτ?α”는 전인격적으로 신을 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명제적이거나 규범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관계적이고 역동적인 것이다. 몸과 마음과 뜻을 다해서 신 중심으로 살지 않는 것이 죄이다. 계몽주의 영향을 받은 모더니티의 기독교 신학은 인간의 죄론을 주로 모더니티의 이원론에 근거해서 마음으로 범하는 죄와 행위로 범하는 죄를 나누어서 해석하였다. 모더니티의 기독교 신학은 언어적 형식과 합리성에 따라 명제주의 신학과 조직적 시스템으로 교리신학을 시도하였다. 언어적 형식, 객관적 명제주의, 조직적 시스템 등은 포스트모던 해체주의의 해체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의 문제의 제기는 모더니티의 이원론과 언어적 형식주의와 명제적 규범주의가 해체되는 맥락에서 인간의 죄론에 대한 해석을 어떻게 시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론적 화두를 제시하는 것이다. 논의주제는 포스트모던 죄론에 대한 교리적 논쟁이 아니라 죄에 대한 포스트모던 해석방법과 죄론에 대한 논의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논지는 포스트모던 죄론은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이 “신적인 목적론적 패턴을 의도적으로 따르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포스트모던 도전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논지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스텐리 그렌츠(Stanley J. Grenz)의 포스트모던 신학방법이 활용되었다. 체화된 마음은 이원론과 이성중심적인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목적론적 패턴은 절대적 규범이나 지식중심적인 모더니티의 기독교 신학을 넘어서는 것이다. 죄는 규범과 양심과 책임의 관계적 부합성이 결여되는 것이며, 목적론적 패턴과 부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초월적 로고스, 메타내러티브, 목적론적 패턴, 초월적 규범 등의 개념들은 신적인 것을 의미한다. 포스트모던 죄론은 다가오는 세대들이 죄에 대해서 수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옷을 입히는 죄론의 화두로서 제시하였다. This essay attempts to propose a postmodern hamartiology that could help the coming generation to be more susceptive to the Christian doctrine of sin. A postmodern hamartiology entails post.dualistic, post.logocentric, and post.noeticentric interpretation of sin. The post.dualistic and post.logocentric interpretations of sin take the theory of the embodied mind in cognitive science for interpretation of the agent of committing sin. The embodied mind exercises not merely rational mind activity but also brain fun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entities, that imply beyond the dualism of mind and body as well as beyond logocentrism. The postmodern hamartiology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overlapping aspects of consistency between the biblical understanding and cognitive science. The postmodern deconstructionist tried to deconstruct the linguistic formalism, but the content of the norm was not deconstructed,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the Divine transcendental norm in meta.narrative. The postmodern hamartiology would be identified with the embodied mind which volitionally commits ?μαρτ?α over against the transcendental norm which is prescribed in the mind (ν?μου γραπτ?ν ?ν τα?ζ καρ??αιζ, Rom 2:15). The volitional violation of the embodied mind over against the Divine transcendental or teleological norm could be deemed as hamartiological activity. This postmodern hamartiology is a suggestive idea for further discussion for a postmodern Christian community.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 인성교육의 방향과 실천

        권의섭(Kwon, Ei-Sub)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인성교육은 너무나 다양한 정의를 허용하는 열린 개념이다. 그래서 각 시대마다 인성교육의 성격과 내용은 다르게 이해되었다. 심지어 누군가에게는 인성교육이 누군가에게는 반인성교육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정도로 논쟁적 해석이 주어진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인성교육은 어떤 교육이어야 하며 그 교육 방향은 어떻게 정해져야 할 것인가? 우선 학생들이 살아가야 할 사회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더 강하게 지니게 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그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선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모던주의의 획일주의에 반대해서 교육에 있어 ‘차이와 다름에 대한 긍정’과 ‘다양성의 긍정’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성 중심주의에 반대해 ‘욕망과 감정에 대한 긍정’을, 권위주의에 반대해 ‘자율성 긍정’과 ‘반권위주의’를 내세운다. 또한, 교육에 있어 ‘대화’와 ‘배려’의 중시를, 인간중심주의를 반대해 ‘탈인간중심주의’를, 개인주의에 반대해 ‘연대의 긍정’을, 거대한 이야기에 반대해 ‘작은 이야기에 대한 긍정’을 강조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추구하는 이런 가치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인성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자 구체적 교육방법론 정립에 있어 큰 시사점을 준다. 이에 본 논문은 오늘날의 인성교육은 포스트모던 가치에 기반을 둔 ‘배려윤리’와 ‘시민교육’의 통합적 교육을 강조한다. 배려윤리와 시민교육은 각각 배려와 정의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로 추구한다.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날 수 있듯이, 포스트모던 시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야 할 핵심 가치와 덕목은 배려와 정의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 인성교육은 이 배려와 정의를 조화롭게 추구하게끔 도와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인성교육은 그 교수법에서도 포스트모던한 여러 가치에 기초해야 할 것이다. Character education is an open concept that allows so many diverse definitions. Because of this, the nature an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have been understood differently in each era. Then what kind of education does today’s character education have to be and how is the direction of such education to be determined? First of all, based on the fact that the society that students must live in strong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society, character education must establish its direction focused on the core values of a postmodern society. These values pursued by postmodernists are the direction that must be aimed for by the character education of a postmodern society and they provide great implications in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educational methodology. At this, the present thesis emphasizes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care ethics’ and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postmodern value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of today. Care ethics and citizenship education respectively pursue care and justice as the most important core values. Just as a bird can fly with wings on its left and right side, it can be said that the core values and virtues that we must have to lead our society in a postmodern society are care and justice.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in a postmodern age must be education that aids the harmonious pursuit of such care and justice. The character education of a postmodern age must be based on the various postmodern values even in its teaching methods.

      • KCI등재

        포스트 모던과 신종교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이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모던의 관점에서 한국 신종교의 현재 지점을 점검하고 미래적 전망을 실시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지표를 이루는 `이후`, `반대`, `넘어서`의 맥락을 적용하였다. `넘어서`의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긍정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경우, `모던/포스트모던`은 `연속` 혹은 `계승`의 구조를 이룬다. `반대`의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부정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경우, `모던/포스트모던`은 `반대` 혹은 `충돌`의 구조를 이룬다. `이후`의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초극` 혹은 `극복`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경우, `모던/포스트모던`은 `지양` 혹은 `초월`의 구조를 이룬다. 한국 신종교는 그들의 설립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자부심은 여전히 유지,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신종교는 또한 그러한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기보다는 반추하는 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신종교는 `개창`의 모티브에 사로잡혀 왔다. `진부함의 혁파!` 이것이야말로 한국 신종교의 존재근거이자 강점이다. 최근, 우리는 한국 신종교 지형의 변화의 조짐을 목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되는 것이 현대문화 내지는 대중문화를 수용하는 `신영성운동`의 경향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new religions from the point of view `postmodern` and to think of their future. In the concrete, I apply context of `after`, `anti`, and `trans` that consist of central index of postmodernism. Postmodernism from the context of `after` has positive meaning generally. In this case, `modern/postmodern` constructs a structure of `continuance` or `succession`. Postmodernism from the context of `anti` has negative one. This `modern/postmodern` forms a structure of `opposition` or `discord`. And postmodernism from `trans` has a context of `transcendence` or `conquest`. In this case, `modern/postmodern` constitutes a structure of `sublation(Aufheben)` or `transcendence`. I find that the new religions of Korea take pride in their history of establishment and are still trying to continue and repeat it. I also point that their effort has a limit that it is rather a kind of rumination on their history than creative succession of it. New religions of Korea have been in possession of a strong motif, that is `the foundation`, `the beginning`. `To break banality!` This is the basis of existence and forte of Korean new religions. Recently we see that there is a sign of new change in a topographic map of Korean new religions. Some of them show a current of `new spirit movement`, trying to accept modern culture or popular culture.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실내공간에 나타난 아르데코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민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4

        Many post modern designers freely used historical motifs as symbolic expressions or ornamentations. Historical references often became a key to express their ideal against modern standardization. Among the historical references, Art Deco style was frequently appreciated by post modern designers from the late of 1960s throughout post modern era.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way of incorporating Art Deco in post modern interior design. Also, this research analyzed to find out the Art Deco characteristic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post modern. To accomplish the goal set up in this study, Art Deco revival in the post modern era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rt Deco and post modern were reviewed from theoretical study. And then the case studies of the examples of Art Deco revival in post modern interior spaces were analyzed by formal, historical, symbol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rt Deco revival in post modern era was an essential method to express anti-modern characteristics of post modern design. Finally, in post modern interior space, Art Deco was one of historical styles that surpass the limitation of modernism, at the same time decorative style that express the idea of the post modern.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모더니즘의 이성적이고 단순하며 기능적인 디자인에 대한 필연적 반동으로서 나타난 포스트모던 디자인은 모더니즘에서 부정되었던 역사성, 장식성 등의 특성을 특징적인 기법으로 표현하여 대중의 감성에 부합하려고 하였다. 1920년을 전후하여 발생하였던 아르데코 양식은 풍부한 장식성과 역사성, 상징성으로 대중에게 현대적인 스타일로 각광받았으나 모더니즘의 확산을 통하여 쇠퇴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새롭게 대중의 관심을 받으며 예술계에서 다시 부흥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70~80년의 시기에 포스트모던 디자인이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발전하게 되면서 포스트모던 디자인에서 아르데코의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그 양식적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실내 디자인 분야에서 포스트모던에서의 아르데코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포스트모던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아르데코의 표현특성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1960년부터 나타난 아르데코의 재부흥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일반적인 아르데코와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파악하여 그 상관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공통적 표현특성인 조형적, 역사적, 상징적 분석의 틀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르데코의 표현특성이 나타나는 포스트모던 실내공간에서도 동일하게 기하학적이고 유선형의 조형성이 단순한 장식성을 위해서 도입되고 있었고 또, 이집트를 비롯한 역사적 모티브가 부정되었던 역사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적용되고 있었으며, 그리고 모든 자연적 모티브와 원시적 이미지가 상징적으로 양식화되어 장식의 모티브로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르데코의 조형성, 역사성, 상징성의 장식적 모티브가 포스트모던 디자인에서 차용하기가 쉽고 또 이미 알려진 이미지를 상징화하여 대중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자 하였던 특성에 부합되었기 때문에 포스트모던 실내디자인에서도 적용된 하나의 표현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철학적 이해 2

        하용삼,손영삼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1 No.-

        헤겔에서 마르크스 사상으로 이행은 단순히 정치철학사상에서 경제이론으로의 선형적 운동이 아니다. 이러한 이행은 누적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에서 문화는 정치와 경제에 비해서 상대적인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서 정치와 경제는 문화의 토대로서 문화의 무의식을 형성한다. 모던문화는 전기의 모던문화에 대항해서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했다. 모던문화는 정치자본 운동에 대해 치외법권적 위치를 차지했다. 그런 까닭에 문화는 자기의 고유한 영역 내에서 혁신을 추구했고, 이와 더불어 반(Semi) 자율성을 가진 문화는 정치경제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비판할 수 있었다. 모던시대의 문화는 정치경제의 보편성에 비하여 특수성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전문분야에서 모던의 혁신은 일상생활에서 포스트모던의 혁신으로 이어진다. 혁신의 가속도를 감당할 수 없는 포스트모던 문화는 잡다한 과거의 문화형식을 조합한다. 자본은 문화를 상품화하고, 문화는 자본의 속도에 맞추어서 자기형식을 혁신한다. 포스트모던에서 문화는 모던의 정치경제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보편성으로 부상한다. 포스트모던 문화는 모던문화의 상대적 자율성과 정치와 경제로부터 거리를 상실하고, 문화는 모든 영역으로 파급된다. 그래서 포스트 모던에서 정치경제문화는 서로 뒤섞인다. 모던에서 상품관계가 인간관계를 대체하고, 다음으로 포스트모던에서 파생실재가 상품관계를 대체한다. 그래서 인간의 소외가 이중화된다. 정치경제문화의 혼재로 인해서, 인간의 사고를 더욱 더 수동적으로 만드는 실재의 이미지화로 인해서 우리는 현실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상실한다. 따라서 우리는 모던시대와 달리 한 가지 더 많은 과제를 가진다. 이 두 가지 과제는 사고의 수동성을 극복하는 것과 더불어 현실로부터 역사적사회적비판적 거리를 가져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정치경제문화의 혼재로 인해서 한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각 영역 간에 거리가 없기 때문에 허위의 극복도 한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순식간에 전파된다. Die Umwandlung aus Hegels zu Marx’ Gedanken ist nicht die lineare Bewegung als vom politischenphilosophischen Gedanken zur ökonomischen Theorie. Diese Umwandlung zeigt die sich anhäufende Form. Aber die Kultur in dier Postmoderne hat den relativen Primat gegueber der Politik und der Ökonomie. Dagegen bildet die Politik und die Ökonomie das Unbewußtsein der Kultur als die Basis der Kultur. Die moderne Kultur versuchte fortwährend die Innovation gegen die vormoderne Kultur. Die moderne Kultur besetzt die Position der Exterritorialität gegen die Bewegung der Politik und des Kapitals. Darum versuchte die Kultur die Innovation in ihrem eigenen Bereiche, kann die Kultur die Semi-Autonomie und die Distanz aus der Politik und der Ökonomie zu halten, sie kritisieren. Im Spezialgebiet blieb die Kultur im Vergleich mit der Politik und Ökonomie als die Allgemeinheit in der Moderne-Zeit. Die Innovation der Moderne im Spezialgebiet ist mit der Innovation der Postmoderne im Alltagsleben verknüpft. Die Postmoderne-Kultur, die die Beschleunigung der Innovation nicht ertragen kann, vermischt die verschiedenartigen Kulturformen der Vergangenheit. Das Kapital macht die Kultur als die Ware, deshalb erneuert die Kultur ihre Form nach der Geschwindigkeit des Kapitals. Die Postmoderne-Kultur taucht als die neue Allgemeinheit wie die Politik und die Ökonomie der Moderne auf. Die Postmoderne-Kultur verliert die Semi-Autonomie und die Distanz aus der Politik und der Ökonomie, deswegen dringt die Kultur in alle Bereiche ein. Die Politik, die Ökonomie, die Kultur sind durcheinander In der Moderne ersetzt das Warenverhältnis das menschliche Verhältnis, danach in der Postmoderne ersetzt die Hyperreality das Warenverhältnis. Darum verdoppelt sich die Entfremdung des Menschen. Wir verlieren die kritische Distanz aus der Wirklichkeit wegen des Bildwerden der Realität, in dem das Denken des Menschen mehr passiv wird. Folglich haben wir die Aufgabe eins mehr als in der Moderne-Zeit. Die zwei Aufgaben heißen die Überwindung der Passivität des Denkens 켜 ueberwinden die kritische, historische, theoretische Distanz aus der Wirklichkeit zu halten. Aber wir haben einen Vorteil wegen der Vermischung der Politik, Ökonomie, Kultur. Wegen keiner Distanz aller Bereiche verbreitet sich die Überwindung der Falschheit im Augenblich aus einem Bereiche zur anderen Bereichen.

      • KCI등재

        포스트모던 사유 논리의 교육적 적용 가능 영역 탐색

        강상희(Kang Sang Hee) 한독교육학회 200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0 No.1

        이 글은 포스트모던의 조건이 우리 사회에도 충분히 조성되었다는 진단 아래 포스트모던 사유(철학)가 제공해주는 새로운 인식이 교육에도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한다. 즉 교육학에서 포스트모던 논의 성과를 수용하는 것이 그 상대주의적(허무주의로 귀결되는) 특성으로 인해 종국적으로는 교육학 자체의 토대를 잠식해 들어갈 수도 있다는 우려 섞인 반응들과는 반대로 포스트모던 사유에서 나오는 논의나 성과들이 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 영역을 열어줄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하였다.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은 특정한 관점으로 세계(또는 세계상)를 구성하는 일을 비판하고, 세계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일원론적 관점을 해체하고 그런 관점의 제약 아래서 보지 못한 것들을 사유(또는 언어)의 유희로 열어 놓는다는 데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포스트모던의 사유 논리의 대상 영역으로 가능한 교육 현상들을 지식(교육 내용), 윤리와 가치관의 재구성, 교육 행정 및 평가, 학생의 교육 경험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포스트모던 사유 형식 내지는 사유가 열어 줄 수 있는, 전통 일원적 논리에 갇혀 은폐 또는 소외되어 있던 교육적 가치나 인간적 가치들을 드러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단, 이 글은 이론적 체계화보다는 포스트모던 이론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교육 현상의 사례들을 제시하고 열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음을 밝힌다. It is thought that the postmodern condition has been formed in our society. Based on this though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whether the postmodern thinking will open the new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in the education. Commonly postmodern thinkers have rejected the monistic views and pursued pluralism on the basis of relativism. They have also had us turn our attention to the aspects that was closed and neglected by the specific views throughout man’s thought history. The values that they have found by the play of thinking(or language) are the approval and respect of the other and difference and so on. Like this, the postmodern thought logic can enlarge our mental vision though the relativism which characterizes it may bring about nihilistic chao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pheres of education to which can apply this postmodern thinking logic. The presentation consists of the knowledge(or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reconstruction of the moral and the view of valu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and the students’ experience in school.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or human values which have been closed by monistic logic of modern education can be disclosed by this study. This study is focused on presenting and enumerating the cases to which can be confirmed as postmodern-educational aspects rather than on theorizing of postmodern education.

      • KCI등재

        김연수 소설의 정치성 양상 연구 - 포즈로서의 성격을 중심으로

        서덕순 ( Seo Deok-so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5

        김연수의 소설은 거대서사나 담론이 사라진 공간에서 부각된 개인성에 집중한 다. 집단에서 떨어져 나온 개인은 더 이상 집단주체에 의한 기억에 의존하기를 거 부하지만 국가나 공동체를 온전히 부정하는 개념은 아니다. 집단이나 공동체에 대 한 부정적 인식은 그 자체보다는 그로인해 억압되거나 소외된 영역들을 부각시키고 표면에 노출시켜 새로운 서사적 힘을 생성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본고는 김연수 소설의 인물이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띠고 있다고 보고 이의 양상을 ‘개인’의 측면에서, 일차적 타자인 ‘가족’관계망에서, 그리고 이를 확장한 ‘세계’와의 관련 하에 고찰해보았다. 먼저 ‘개인’에 대해 정리하면 대상으로서의 세상이 아닌 개인 스스로가 구체적인 세상 속에 자신을 던져 얻어낸 ‘몸의 상상력’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일상의 새로운 풍경’들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7번국도≫의 ‘세희’와 <우는 시늉을 하다>의 ‘윤경’을 통해 ‘부모없음’으로 오히려 ‘상징적 질서’나 ‘금기’적 욕망에 대한 결핍이 없는 온전한 세계속의 자신이 될 수 있는 주체를 창출해냄을 분석하고 다양한 유사 가족의 형태들이 결과적으로 기존의 가족 정체성을 해체하는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니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세계’와의 관계망에서의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살피기 위해 고통 혹은 사물을 매개로 타자되기를 시도하는 인물들을 분석하였다. 타자되기에 대한 욕망은 새로운 대상과 경계에의 탐색으로 연결되며 그 대상과 새로운 접속을 추구하는 욕망을 꿈꾸게 하고 이로써 공감의 가능성이 생성됨을 보았다. 공감은 세계의 다양함을 추구하고 인물들은 그 차이와 반복의 자장 안에서 타자로의 변이를 시도하며 다른 삶을 창조한다. 김연수 소설 속 인물들은 역동적인 유목민적 주체가 되어 나와 가족을 넘어서 타자로 변이되면서 인식세계를 확장하고 그럼으로써 기존의 질서를 넘어서고자하는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다. 문제적 포스트모던한 세계에 존재하되 그 세계에 대해 메타적 시각을 지닐 수 있다는 뜻이다. 김연수 소설은 욕망의 시대에 욕망을 있는 그대로 표출하기 보다는 그 욕망에 대한 자각을 그리는 소설이다. 이것은 그가 ‘포스트모던하지 않은 세대’의 사람이되 ‘포스트모던한 가면’을 쓸 줄 알고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 작가이기 때문이다. 가면에 가면으로 맞서는 전술이며 이는 문제적 포스트모던(재귀성)을 응시하며 포스트모던의 증환에 맞서는 차별화된, 달리 말하면 포즈로서의 포스트모던이라고 말할 수 있다. Kim Yeon-su’s novels focus on the personality highlighted in the space where huge narratives or discourses have disappeared. Although individual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groups refuse to rely on memories obtained from collective subjects, it is not a concept denying the state or completely denying the community. Rather than denying groups or the community, it is intended to highlight areas oppressed or alienated by groups or the community and expose the areas on the surface to create a new narrative force. This article expanded the post-modern political nature of the generation, which is not post-modern, shown in Kim Yeon-su’s novels into ‘individuals’, ‘family members’ who are primary others, others, and the world and examined each. To summarize about ‘individuals’ first, as subjects, individuals per se, not the world, are ‘imagination of the body’, which can be obtained by casting themselves into the concrete world, and it can be said to have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in that it produces ‘new scenes of everyday life’. ‘Se-hee’ in ≪National Highway #7≫ and ‘Yun-gyeong’ in <Pretend to Weep] create entities that can become themselves in the whole world without the lack of ‘symbolic order’ or ‘taboo’ desires rather because they ‘have no parents’. In addition, the diverse forms of pseudo families in Kim Yeon-su’s novels deconstruct the existing identity. Therefore, they can be said to have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counteracting the reality based on family order. Finally, to summarize about ‘the world’, becoming others through mediation by pain or things can be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the Possible Worlds and positive thinking of life. Desiring to become others becomes the possibility of empathy because it makes the person unceasingly search for new objects and dream of pursing new contacts with the objects. Empathy pursues the diversity of the world and tries to transform into others in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us creates and form other lives. The subjects in Kim Yeon-su’s novels become dynamic nomadic subjects to transcend themselve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change into others while expanding the world thereby having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Zizek ha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postmodernism is the cultural situation where people give up the pain of penetrating symptoms and crossing illusions while being affected by symptoms and indulging in surplus enjoyment in cynical ideologies. In a post-modern social atmosphere, Others says, “Ok, enjoy it.” After decentering and losing even symbolic effects, these Others just enforce enjoyment. To say in Kim Yeon-su’s style, it refers to saying only in the language of sexual organs. However, he was able to have an external view without falling into the problematic post-modern enjoyment. In this case, rather than being the view of outsiders who exist outside to see, the concept of the external view is a meta view that people can have while existing in the problematic post-modern world. Rather than being novels that express and reveal it as it is in the age of desire, Kim Yeon-su’s novels are those that depict the awareness of the desire. This is because he is a person in the ‘post-modern generation’ but is a writer who knows how to wear ‘post-modern masks’ and has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Knowing to confront masks with masks is an ability of only those who have accurate senses of times. This can be said to be post-modernism opposing the problematic post-modernism (reflexivity) mentioned at the beginning, and differentiated post-modernism opposing the symptoms of post-modernism, in other words, post-modernism as poses.

      • 포스트모던과 문화사회학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이 글은 포스트모던과 문화사회학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던 사회학은 주로 전통과 모던이라는 이분법을 통해 자신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함으로써 그 지평을 좁혀왔다. 그 결과 포스트모던을 모던과의 단절이나 연속성의 관계를 통해서만 정의하는 좁은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좁은 틀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전통과 모던의 이분법 대신에, 고대-중세-모던의 삼분법을 채택해야 한다. 인간의 질서가 그 근본적인 차원에서 상징적이라 할 때, 고대는 주술, 중세는 세계종교, 모던은 과학이라는 상징체계를 통해 그 질서를 구성하였다. 모던 사회학은 과학이 사회세계에서 초월성, 도덕, 정서를 축출하고 오로지 인지적으로만 작동하는 사회세계를 만들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이론과 연구를 수행해왔다. 하지만 포스트모던은 이러한 근본적인 가정에 도전하고 있다. 포스트모던은 축출되었던 초월적 차원과, 가치 평가적이고 정서적인 차원이 물상화된 것처럼 보였던 사회세계에 되돌아오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구적 차원으로만 사회적 행위를 설명하려는 모던 사회학의 기획은 심각한 한계에 처했다. 이제 의미와 상징이 사회적 행위를 구성하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사회학은 문화적 전환을 이루어 문화사회학이 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modern and cultural sociology. Modern sociology has narrowed its horizon when defining its academic identity mainly in terms of the dichotomy of traditional-modern. As a result, a narrow definition of the postmodern, according to which the postmodern is defined in relation to its discontinuity or continuity with the modern, is presented. In order to escape this narrow framework, the trichotomy of ancient-medieval-modern instead of the dichotomy of traditional-modern is needed. Given that human order is symbolic in its fundamental dimension, this order was constructed through the symbolic system of magic in the ancient period, world-religion in the medieval period, and science in the modern period. Theories and research have been constructed and conducted by modern sociology under the assumption that science would dispel transcendence, morality, and emotion from the social world and finally establish a cognitively-operating world only. The postmodern, however, challenges this fundamental assumption, claiming that the postmodern refers to the return of transcendence, morality, and emotion to this seemingly reified social world. Under this condition, the project of modern sociology in explaining social action only in terms of its instrumental dimension is seriously limited. Now,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meanings and symbols shape social action, sociology has to achieve a cultural turn and become cultural soc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