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별 인자

        김석주,이유진,김의중,정도언,Kim, Seog-Ju,Lee, Yu-Jin,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배 경 : 불면증은 다양한 수면장애에서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서 불면증 이외의 다른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가 불면증을 주된 수면 문제로 호소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특수한 진단적/치료적 접근을 필요로 하므로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감별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불면증을 주소로 하는 환자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유병율과 그 감별인자를 조사하려고 하였다. 방법:1996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불면을 주소로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470명의 환자(남자 235명, 여자 235명, 평균 연령 $53.6{\pm}12.4$세)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불면증 환자에서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불면증 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지 않은 불면증군의 인구학적/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불면증 군 내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인 호흡장애지수와 인구학적/임상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 과:총 연구대상 470명 중 125명(26.6%)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하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불면증 군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지 않은 불면증 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령이 높고($58.4{\pm}12.3\;years$ vs $51.8{\pm}11.2\;years$, p<0.01),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가 높았다($23.4{\pm}3.3\;kg/m^2$ vs $22.5{\pm}3.1\;kg/m^2$, p=0.44).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군에서 코골이가 더 흔하게 관찰되었으며(96.0% vs 63.5%, p<0.01)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며(64.0% vs 44.9%, pp<0.01) 고혈압이 있는 경우(20.0% vs 9.3%, pp<0.01)가 많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군내에서는 연령과 호흡장애지수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결 론:불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의 상당수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가지고 있었다. 불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감별인자로 코골이, 고령, 남성, 고혈압, 그리고 비만을 찾을 수 있었다. 위 감별인자를 가진 환자들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포함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of OSA in subjects whose main sleep complaint is insomnia and to find differential factors of OSA in these insomniac subjects.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of patients referred to the Sleep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2. Four-hundred and seventy subjects complained of insomnia as their main sleep problem (235 males and 235 females, mean age $53.6{\pm}12.4\;years$). First,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rate of OSA in these insomniac patients. Second,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OSA-associated group with those of the non-associated group.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 degree or presence of differential factors within the OSA group correlate with severity of OSA, as determined by th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Results: Among 470 insomniac subjects, 125 subjects (26.6%) were diagnosed as OSA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OSA-associated subjects were significantly older ($58.4{\pm}12.3\;years$ vs. $51.8{\pm}11.2\;years$, p<0.01),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 (BMI) ($23.4{\pm}3.3\;kg/m^2$ vs. $22.5{\pm}3.1\;kg/m^2$, p=0.44) than non-associated subjects. The OSA-associated group had more subjects with male gender (64.0% vs. 44.9%, p<0.01), hypertension (20.0% vs. 9.3%, p<0.01) or snoring (96.0% vs. 63.5%, p<0.01). Within the OSA-associated group, 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DI (p=0.01). Conclusion: We found that a considerable portion of patients complaining of insomnia as their main sleep problem were diagnosed as OSA. Snoring, old age, male gender, obesity, and comorbid hypertension were found to be differential factors of OSA in insomniac patients. We suggest that diagnostic efforts including nocturnal polysomnography are needed for insomniac patients with any of the above risk factors of OSA.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에 미치는 영향

        서천석,윤탁,김의중,정도언,Seo, Cheon-Seok,Youn, Tak,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1

        배 경: 주기성 사지운동증은 비교적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그 병태생리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적다. 또한 고령층에서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폐쇄성 수면무 호흡증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두 질환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일관된 결론을 찾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보다 더 큰 규모의 대상군에서 주기성 사지운동증의 특징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수면다원검사에 의해 주기성 사지운동증으로 진단 된 320명(남자 192명, 여자 1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53.1세(SD=15.1)였다. 이중 주기성 서천석 41 등 사지운동증만을 가진 대상군이 150명,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함께 가진 대상군이 149명이었으며 기면병을 동반한 대상군이 21명이었다. 연령, 성별 그리고 병발 질환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변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군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병발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사지운동 지표와 수면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군의 시간당 주기성 사지운동의 빈도(periodic limb movement index, 이하 PLMI)는 평균 25.2(SD=24.8)회이고 이 중 각성을 동반한 운동(periodic limb movement arousal index, 이하 PLMAI)은 시간당 3.4 (SD=6.3)회이었다. PLMI와 PLMAI는 모두 연령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남성에서 여성에 비해 PLMI가 더 높았는데(p<0.01) 이는 남녀간의 연령 분포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었다. PLMI를 종속변인으로, 성별, 연령,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병발 여부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t=4.35, p<0.001)과 연령(t=-3.66, p<0.00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병발(t=-2.20, p<0.05)이 PLMI에 유의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기성 사지운동증만 있는 대상군(n=150),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수면무호흡증이 병발된 대상군(n=149)으로 나누어 PLMI, PLMAI를 비교 한 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간에 PLMI와 상관성을 보이는 수면 지표에는 차이가 있었다. PLMI가 주기성 사지운동증만 있는 대상군에서는 서파 수면 및 렘 수면의 비율과 각각 음의 상관성이 있었지만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수면무호흡증이 병발한 대상군에서는 수면효율과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주기성 사지운동증의 시간당 빈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유발된 자율신경 각성에 의해 매개되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Objectives: Periodic limb movements in sleep(PLMS) is a moderately prevalent disorder, of which pathophysiology remains largely unknown. PLMS has been reported to be comm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but reports on their relationship have been inconsistent in previous studies. Inconsistency of results may be attributable to insufficient number of the study subjects. We attemp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OSAS on PLMS in a large number of subjects. Methods: Three hundred and twenty subjects(M : F=192:128) with PLMS, as identified by the nocturnal polysomnography, were studied. Sample mean age was 53.1(SD=15.1) years and their mean periodic limb movement index(PLMI) is 25.2/hr (SD=24.8). PLM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SAS. Periodic limb movement indices and sleep parameter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SAS on PLMS. Results: Each of PLMI and PLMI with arousal(PLMAI) correlated positively with age. PLMI of men was larger than that of women (p<0.01). The presence of comorbid OSAS independently had influence on PLMI(t=-2.20, p<0.05), but not PLMA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PLMI, PLMAI and sleep parameters.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in PLMI-correlated sleep parameters. In PLMS subjects with comorbid OSAS, PL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f slow wave sleep time and REM sleep time. In subjects without comorbid OSAS, PL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leep efficiency. Conclusion: PLMS patients with OSAS turned out to have increased PLMI than those without OSAS We suggest that OSAS patients may have subtle autonomic arousals and these arousals could, in part, express themselves as PLM.

      • KCI등재후보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야간뇨 유병률 및 관련인자

        강현희,이종민,이상학,문화식,Kang, Hyeon Hui,Lee, Jongmin,Lee, Sang Haak,Moon, Hwa Sik 대한수면의학회 2014 수면·정신생리 Vol.21 No.1

        목 적: 본 연구는 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뇨의 유병률 및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수면무호흡증이 의심이 되어 수면 클리닉을 방문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 및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배뇨 증상은 국제전립선증상점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야간뇨은 밤 동안에 2회 이상 배뇨를 하기 위해 깨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161명의 분석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6.7{\pm}14.1$세였다. 이 중 27명은 단순 코골이 환자였으며 134명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로 진단 되었다. 야간뇨는 53명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 8명의 단순 코골이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분석 대상환자에서 야간뇨의 유병률은 37.9%,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유병률은 39.6%였으나,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유무에 따른 야간뇨 발생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야간뇨를 호소한 환자가 야간뇨가 없는 환자보다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1). 야간뇨를 동반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야간뇨를 호소하지 않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 비하여 각성 지수가 더 높았고, 혈중 산소 포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나이와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야간뇨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분석 되었으며, 나이에 따른 야간뇨의 위험도는 1.4, 무호흡-저호흡 지수에 따른 위험도는 1.02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빈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동반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는 나이와 무호흡-저호흡 지수였다. Objectives: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nocturia may be related to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The mechanism by which OSAS develops nocturia has not been determin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nocturia among adults with OSA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be predictive in this regar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data obtained from patients evaluated at the sleep clinics of the St. Paul's Hospital between 2009 and 2012. The urinary symptoms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Pathologic nocturia was defined as two or more urination events per night. OSAS was defined as apnea-hypopnea index (AHI) ${\geq}5$. A multivariate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somnographic variables and the presence of pathologic nocturia, while controlling for confounding factor. Results: A total of 161 men >18 years of age (mean age $46.7{\pm}14.1$), who had been referred to a sleep laboratory,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Among these, 27 patients with primary snoring and 134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were confirmed by polysomnography. Nocturia was found in 53 patients with OSAS (39.6%) and 8 patients with primary snoring (29.6%). The AHI was higher in patients with nocturia than in those without nocturia (p=0.001). OSAS patients with nocturia had higher arousal index (p=0.044), and lower nadir oxyhemoglobin saturation (p=0.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beta}$=0.227, p=0.003), and AHI (${\beta}$=0.258, p=0.001) were associated with nocturia, and that the presence of pathologic nocturia was predicted by age (OR 1.04 ; p=0.004) and AHI (OR 1.02 ; p=0.001). Conclusion: Nocturia is common among patients with OSAS. The strongest predictors of nocturia are age and AHI in patients with OSAS.

      • KCI등재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년) 자료를 이용한 알레르기 비염 관련 인자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와의 연관성

        이현아,최창진 대한가정의학회 202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4 No.2

        연구배경: 폐쇄성수면무호흡증과 알레르기 비염은 동시 이환이 흔하고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알레르기 비염 관련인자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2019–2021년의 제8기 국민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40세 이상 성인 8,956명을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이다. 알레르기 비염 관련인자는 두 가지 카테고리, 즉 알레르기 비염 증상과 알레르기 질환 유병여부로 분류하여 변수를 설정하였다. 비염 증상은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여부는 의사진단 경험을 토대로 하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위험도는 STOP-Bang 설문지를 이용하여 3점 이상인 경우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알레르기 비염 증상 또는 알레르기 질환 유병여부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있는 경우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를 1.26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95% CI, 1.10–1.44),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심한 경우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가 더 높았다(OR, 1.43; 95% CI, 1.12–1.83). 또한 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OR, 1.31; 95% CI, 1.02–1.66). 결론: 비염 증상이 심하거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bo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allergic rhinitis is high and these often co-exi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rhinitis-related factors and the risk of sleep apnea in Korean adult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8,956 Korean adults aged 4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etween 2019 and 2021. Allergic rhinitis-related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llergic rhinitis symptoms (symptoms) and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prevalence). Symptom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was based on the doctor’s diagnosis. The risk of sleep apnea was calculated through the STOP-Bang questionnaire (snoring, tiredness, observed apnea,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ge, neck circumference, gender), and a score of ≥3 is considered as a high-risk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ymptoms or prevalence on the risk of sleep apnea. Results: The risk of sleep apnea increased 1.26 times (95% confidential interval [CI], 1.10–1.44) in patients with symptoms and was higher in patients with severe rhinitis (odds ratio [OR], 1.43; 95% CI, 1.12–1.83). A higher risk of sleep apnea was associated with allergic disease, including allergic rhinitis,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OR, 1.31; 95% CI, 1.02–1.66, adjus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Severe allergic rhinitis symptoms and a history of allergic disease increased the 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 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수면의 질 평가와 액티그라프의 역할

        이승희,이진성,정도언,Lee, Seung-Hee,Lee, Jin-Su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2

        목 적:활동기록기는 활동도를 기록함으로써 수면과 각성을 판별할 수 있다. 수면다원검사와 달리 활동기록기는 싸고 간편하다. 그러나 뇌파를 포함한 여러 신호를 가지고 수면단계를 판별하는 수면다원검사와 달리 활동기록기는 기술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 수면장애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활동기록기와 야간수면 다원검사간에 수면변수를 비교하였다. 방 법:2004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의학센터에서 수면다원검사와 손목 활동기록법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 89명,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주기성 사지운동증이 동시에 있는 환자 21명이었다. 결 과: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를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ID)에 따라 나누어 분석했을 때 경도(RDI<15), 중등도($15{\leq}RDI$<30) 환자군 및 주기성 사지운동증을 동반한 환자군에서는 활동기록법과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어진 총수면시간 및 수면효율에 차이가 없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심한($30{\leq}RDI$) 환자에서 는 야간수면다원검사에 비해 활동기록법에서 얻어진 총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짧고 수면효율은 낮았다. 이들 모두에서 활동기록법과 야간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된 수면변수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은 총수면시간과 활동기록법에서 얻은 총수면시간의 차이와 호흡장애 지수(RDI)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은 수면효율과 활동기록법에서 얻은 수면효율의 차이와 호흡장애 지수(RDI)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활동기록기만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경도와 중등도의 무호흡증에서는 활동기록기가 스크린 도구로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ctigraphy is a reliable and valid method for assessing sleep in normal, healthy populations, but it may be less reliable and valid for detecting disturbed sleep in patient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assess the utility of actigraphy in the estimation of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a major sleep disorder. Method: We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ho underwent polysomnography (PSG) and actigraphy simultaneously for one night at the Center for Sleep and Chronob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2004 to March 2006. Eighty-nine subjects with OSAS alone and 21 subjects with OSAS and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were included for final data analyses between groups. Polysomnographic and actigraphic data were also compared. Results: In subjects with mild OSAS (RDI<15), modretae ($15{\leq}RDI$<30), and OSAS with PLMD, PSG and actigraph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However in severe ($30{\leq}RDI$) OSAS subjects, PSG and actigraph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In all patients,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leep parameters from PSG and from those using actigraphy. Conclusions: We suggest that in severe OSAS patients, PSG is the diagnostic tool. In mild and moderate cases, actigraphy might be used as a screening tool.

      • KCI등재

        소아기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정상 대조군 수면 뇌파의 탈경향변동분석

        김의중,안영민,신홍범,김종원,Kim, Eui-Joong,Ahn, Young-Min,Shin, Hong-Beom,Kim, Jong-Won 대한수면의학회 2010 수면·정신생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수면무홉증 환자와 정상 소아의 수면 구조를 비교하고 잘 드러나지 않는 차이를 뇌파의 비선형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코골이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 지수가 시간당 1회 이상으로 소아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12명(남아 10명, 평균 6.4${\pm}$3.4세)과 정상 대조군으로 연구에 참여한 15명(남아 8명, 평균 6.0${\pm}$2.2세)의 수면다원검사 자료를 비교하였다. 즉, 수면 구조 관련 변인과 뇌파 채널(C3/A2, C4/A1, O1/A2, O2/A1)에서 탈경향변동분석 과정을 거쳐 계산된 축적 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 구조에서는 1단계 수면의 비율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에서 9.3${\pm}4.3$%로 정상 소아의 5.6${\pm}4.3$2.8%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렘수면 입면잠복시간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가 181.5${\pm}4.3$59.9 분으로 정상 소아의 133.5${\pm}4.3$42.0분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2, 3, 4단계 수면과 렘수면의 비율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와 정상 소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아의 수면 뇌파에서 계산된 축적 지수(${\alpha}$)는 장기 시간적 연관성(long-range temporal correlation)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1단계에서 4단계 수면으로 갈수록 ${\alpha}$ 값이 증가 하였다. 각각의 뇌파 채널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의 축적 지수는 정상 소아의 축적 지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C3/A2: 1.36${\pm}4.3$0.05 vs. 1.41${\pm}4.3$0.04, C4/A1: 1.37${\pm}4.3$0.04 vs. 1.41${\pm}4.3$0.04, O1/A2: 1.37${\pm}4.3$0.05 vs. 1.41${\pm}4.3$0.05, O2/A1: 1.36${\pm}4.3$0.07 vs. 1.41${\pm}4.3$0.05, p<0.05).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에서 낮은 ${\alpha}$ 값을 보인 것은 자기조직적 고비성(self-organized criticality)이 줄어든 것으로 뇌 체계에서 자체 기전에 의한 에너지 축적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8시간에 이르는 수면 뇌파의 정량화가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상태를 반영한다면 향후 연구에서 그 유효성과 범용성을 여러 질병에서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다. Unlike the case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there was no consistent finding on the changes of sleep architecture in childhood OSAS.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sleep electroencephalogram (EEG) should be needed. Non-linear analysis of EEG is particularly useful in giving us a new perspective and in understanding the brain system.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sleep architecture and the scaling exponent (${\alpha}$) from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on sleep EEG between OSAS and normal children. Fifteen normal children (8 boys/7 girls, 6.0${\pm}4.3$2.2 years old) and twelve OSAS children (10 boys/2 girls, 6.4${\pm}4.3$3.4 years old) were studied with polysomnography (PSG). Sleep-related variables and OSAS severity indices were obtained. Scaling exponent of DFA were calculated from the EEG channels (C3/A2, C4/A1, O1/A2, and O2/A1), and compared between normal and OSAS children. No difference in sleep architecture was found between OSAS and normal controls except stage 1 sleep (%) and REM sleep latency (min). Stage 1 sleep (%)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REM latency was longer in OSAS group (9.3${\pm}4.3$4.3%, 181.5${\pm}4.3$59.9 min) than in controls (5.6${\pm}4.3$2.8%, 133.5${\pm}4.3$42.0 min). Scaling exponent (${\alpha}$) showed that sleep EEG of OSAS children also followed the 'longrange temporal correlation' characteristics. Value of ${\alpha}$ increased as sleep stages increased from stage 1 to stage 4. Value of ${\alpha}$ from C3/A2, C4/A1, O1/A2, O2/A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SAS than in control (1.36${\pm}4.3$0.05 vs. 1.41${\pm}4.3$0.04, 1.37${\pm}4.3$0.04 vs. 1.41${\pm}4.3$0.04, 1.37${\pm}4.3$0.05 vs. 1.41${\pm}4.3$0.05, and 1.36${\pm}4.3$0.07 vs. 1.41${\pm}4.3$0.05, p<0.05). Higher stage 1 sleep (%) in OSAS children was consistent finding with OSAS adults. Lower $'{\alpha}'$ in OSAS children suggests decrease of self-organized criticality or the decreased piling-up energy of brain system during sleep in OSAS children.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에서 렘수면 의존성 무호흡과 비의존성 무호흡의 호흡의 비교

        박태준,정도언,Park, Tae-Joon,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8 수면·정신생리 Vol.15 No.1

        렘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REMOSA)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S)에 대한 연구에 비해 지난 10여 년 동안 활발한 편이 아니었으며, 그 중요성 역시 간과되어 왔다. REM-OSA가 남자에서보다 여자에서 좀 더 흔히 일어난다고 보고한 연구들은 있었으나, 아직까지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렘수면 의존성 무호흡증군(REM-OSA)을 렘수면 의존성이 없는 무호흡증군(SND-OSA)과 비교 연구하여 이 질환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의학센터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을 받은(AHI>5 ; AHI:apneahypopnea index) 여자 환자 53명중 비교 연구를 위해 경도(5<AHI<15) 31명, 중등도(15<AHI<30) 13명을 뽑아 총 44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REM-OSA의 진단은 AHI-R/AHI-NR>2와 AHI-NR<15(AHI-R : AHI during REM sleep, AHI-NR : AHI during non-REM sleep)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기준을 설정하였고, 렘수면에 의존하지 않는 무호흡증환자(SND-OSA)군과 제반 변인들에 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산술적인 진단을 적용한 환자군과 육안판독으로 진단한 환자군도 비교하였다. 결 과 : 총 44명 중 산술적인 진단기준을 통해 REMOSA로 진단된 환자는 28명(63.6%), 육안 판독으로 진단된 환자는 24명(54.5%)이었다. 산술적 진단기준에 따른 REM-OSA군과 SND-OSA군 비교에서 두 군간에 저호흡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비렘수면 무호흡-저호흡지수, 총 수면시간, 총각성시간, 수면효율, 1단계 수면 분율, 2단계 수면 분율, 렘수면 단계 분율, REM 잠복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진단에 관여하는 변인인 무호흡-저호흡지수 비율(AHI-R/AHI-NR)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렘수면 단계 분율(B=0.537, p=0.002)이었으며, REM-OSA는 중증도가 경할수록(${\chi}^2=13.117$, p<0.001), 렘수면 단계 분율이 클수록(${\chi}^2=13.325$, p=0.001) 더 흔하게 진단되었다. 그리고, 산술적인 진단기준으로 REM-OSA를 진단한 결과와 육안 판독으로 진단한 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7). 결론 :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로는 REM-OSA 환자군과 SND-OSA 환자군 간에 야간 수면다원검사로 산출한 수면 변인과 수면 구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REM-OSA를 국내외 최초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A few studies have compared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REM-OSA) with sleep stage non-dependent apnea syndrome (SND-OSA). Despite that REM-OSA might be more common in women than men, no studies have examined the probable characteristics of wome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M-OSA in women by comparing it with SND-OSA. Methods: Fifty-three subjects diagnosed as OSAS (AHI>5 ; AHI : apnea-hypopnea index) with nocturnal polysomnography at the Center for Sleep and Chronobiology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2004 and February 2006 were studied. Of them, 44 subjects with OSAS severity of mild (5<AHI<15) or moderate (15<AHI<30) degree were finally chosen. The criteria for diagnosing REM-OSA were AHI-R/AHI-NR>2 and AHI-NR<15 (AHI-R : AHI during REM sleep, AHI-NR : AHI during non-REM sleep). We compared REM-OSA group with SND-OSA as well as the criteria-determined REM-OSA cases with the visually-determined ones. Results: Among 44 subjects, 28 persons (63.6%) turned out to have REM-OSA by our criteria and 24 persons (54.5%) by visual determin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between REM-OSA and SND-OSA groups in AHI, hypopnea index, total sleep time, total wake time, sleep efficiency index, percents of stage 1, 2 and REM sleep, and REM latency. Percent of stage REM sleep (%REM)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AHI ratio (AHI-R/AHI-NR) (B=0.537, p=0.002). REM-OSA was likely to be diagnosed in milder severity of OSAS (${\chi}^2=13.117$, p<0.001) and those with higher %REM (${\chi}^2=11.325$,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riteria-determined and the visually-determined cases of REM-OSA. Conclusion: We suggest that REM-OSA and SND-OSA patients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strategies. Visual determination of REM-OSA might be useful as the screening procedure of REM-OSA. Further studies on women with OSAS and REM-OSA need to be done.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우울증상 정도에 따른 수면 양상

        원창연,이승희,소민아,이진성,정도언,Won, Chang-Yeon,Lee, Seung-Hee,So, Min-Ah,Lee, Jin-Su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2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우울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폐쇄성 무호흡증의 진단에는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나 현실적인 제한점으로 인하여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인 이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 및 활동기록기를 이용하여 얻은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고, 여러 수면변인과 우울 증상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의학센터에 의뢰된 264명을 일차 대상군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판 엡워스 졸림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이하 ESS-K)와 벡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다른 내외과적 질환 및 수면 장애가 없으며, 호흡장애지수가 5 이상인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최종 대상군으로 하여, 총수면시간, 수면 효율, 입면 잠복기, 호흡장애지수 등의 수면 변인을 BDI로 산출한 우울증상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6.1{\pm}13.1$세였으며, ESS-K 점수는 평균 $10.9{\pm}4.7$, BDI 점수는 평균 $12.8{\pm}8.1$로 나타났다.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입면잠복시간 등의 수면 변수들은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호흡장애지수와 BDI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총 수면시간과 수면효율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우울증상과 수면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울 증상과 수면 무호흡증상 간의 상관관계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 총 수면시간과 수면 효율이 낮아 수면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만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주간 졸림증 등의 임상 증상을 평가하는 데 있어 우울증상의 검토가 필요하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the most common form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often presents with comorbid depressive symptom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parameters as measured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and simultaneous wrist actigraphy. Methods: Two hundred sixty-four subjects with clinically suspected cases of OSAS underwent one-night polysomnography, while simultaneously wearing a wrist actigraphy device. They also completed two questionnaires;the 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ESS-K)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Of the cases studied, 105 subjects were proven by NSPG to have OSAS without other sleep disorders. NPSG and wrist actigraphy data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Pearson correlation and paired t-test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parameters. Results: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6.1{\pm}13.1$ years. Means of the ESS-K score and BDI scores were $10.9{\pm}4.7$ and $12.8{\pm}8.1$, respectively. NPSG sleep parameter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wrist actigraphy. There was no correlation found between subjects'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and BDI scores. When directly comparing sleep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ho were more depressed versus subjects who were less depressed, both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were decreased in the more depressed. A correlation between RDI and ESS-K scores was also found in the more depressed group. Conclusions: Although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RDI and depressive symptoms, there are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eep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ho are more depressed versus those without depression.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depression should also be evaluated for clinical symptoms of OSAS.

      • KCI등재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인식도

        이소진,이진성,신홍범,조상용,이재서,정도언,Lee, So-Jin,Lee, Jin-Seong,Shin, Hong-Beum,Cho, Sang-Yong,Rhee, Chae-Seo,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11 수면·정신생리 Vol.18 No.2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하고 심각한 질환이므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증상이 있어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179명(남자 135명, 여자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클리닉을 방문한 이유, 수면무호흡증과 코골이 치료법, 검사 방법, 관련 증상 및 합병증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였다. 결 과 :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5.2{\pm}14.5$세였고 체질량지수의 평균값은 $24.8{\pm}3.4$였다. 환자들의 89.4%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들어보았다고 대답했으며, 주로 텔레비전과 라디오와 같은 대중매체(58.1%)를 통해 정보를 접했다고 했다.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60.3%가 알고 있었고, 59.8%는 치료방침을 정하기 위해 야간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함을 알고 있었다. 코골이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67%)을 가장 많이 알고 있었다. 코골이 치료를 선택할 때 의사의 권고에 따르겠다는 사람들이 55.9%로 가장 많았으나 양압술을 선택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양압술 치료에 대해 들어본 사람들은 전체의 12.3%였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로 양압술을 선택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환자들 중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고혈압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34.6%, 당뇨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12.8%였다. 결 론 : 이미 증상이 있어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사람들조차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과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했다. 환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교육하고 홍보하는 것이 향후 질환의 진단율을 높이고 적절한 치료로 연결하며 연관 질환을 예방하는 것에 중요할 것이다. Objective: OSA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a common disorder and its consequences are often serious. It is important to detect the disorder early in the course for proper treatment. This study is to grasp the snoring clinic visitors' knowledge level of OSAS. Method: One hundred and seventy-nine visitors at the of snoring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bout reasons of visit and knowledge of treatment methods of snoring and OSAS, diagnostic method, OSAS-related symptoms, and complications. Results: Most of the respondents (89.4%) "have already heard about OSAS" and the major sources of information was the mass media (58.1%) such as television and radio. More than half (60.3%) were aware that snoring is closely related to OSAS. More than half (59.8%) recognized that a nocturnal polysomnograpy was necessary for proper diagnosis. Two thirds (67%) of the respondents noted surgery as a treatment for snoring. More than half (55.9%) answered that they would follow the doctor's advice on the treatment choice. Only 12.3% of respondents "have heard about nCPAP". No one chose nCPAP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s a treatment for either snoring or OSAS. About one third (34.6%)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that OSAS is related to hypertension. Only 12.8% noted that OSAS is related to diabetes mellitus. Conclusion: Visitors at the snoring clinic were found to have substantially limited knowledge of health risks and proper treatments of OSAS. We suggest that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educate patients and offer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on snoring and OSAS. We predict that provision of educaiton and information to patients and general public will faciliate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SAS and reduce the related disorders such as hypertension, stroke, and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수면다원기록법으로 확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임상특성, 그리고 호흡장애지수와 수면 구조간의 상관관계

        김석주,박두흠,김용식,우종인,하규섭,정도언,Kim, Seog-Joo,Park, Doo-Heum,Kim, Yong-Sik,Woo, Jong-Inn,Ha, Kyoo-Seob,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2

        배 경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다양하고 심각한 임상 증상과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국내에서도 흔히 진단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면다원기록법을 사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확진한 환자들의 대규모 국내 연구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보다 더 큰 집단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기록법을 사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확진된 한국인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수면 양상에 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 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 8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추성 무호흡증, 주기성 사지운동증, 기면병, 렘수면관련행동장애, 그리고 외국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연구 대상 군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수면 변인들을 연령, 성별에 따른 정상치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호흡장애지수가 수면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대상자 801명 중 남자가 83.4%, 여자가 16.4%이었고 평균 연령은 46.6세였다. 평균 비만정도 지수는 25.8이었고 비만한 환자가 22.8%를 차지하였다. 전체 대상 중 6.2%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복용 중이었다. 연구 대상군에서 정상치에 비해 입면잠복시간은 증가되었고 수면효율, 렘수면 분율, 그리고 서파수면 분율은 감소하였다. 서파수면 분율과 렘수면 분율은 각각 호흡장애지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수면효율과 입면잠복시간은 모두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다수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비만과 무관하였다. 또한 6.2%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발병은 수면효율도 낮추고 서파수면과 렘수면 분율을 감소시키나 호흡장애지수가 커져도 서파수면과 렘수면 분율이 감소할 뿐 수면효율은 별 다른 변화가 없었다. 즉, 수면효율보다는 수면 구조의 변화가 수면 중 호흡장애의 정도에 더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common and may produce various symptoms and serious complications. A substantial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However, we found such limitations as lack of sufficient sample size and lack of polysomnography-proven cases. Therefore, we aimed at studying clinical features and sleep structure in a sufficient number of Korea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diagnostically confirmed with polysomnography. Methods: We studied 801 subjects referred to the Division of Sleep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ith polysomnography. Subjects were excluded if they had central sleep apnea syndrome,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narcolepsy or REM sleep behavior disorder. Foreign patients were also excluded. First of all, we studied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subjects. Secondly, we compared sleep-related parameters of the study subjects with those of age/sex-matched normal values. Thirdly, correlations of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with each of the sleep-related parameters were calculated. Results: Among the 801 subjects, 668 were male subjects (83.4%) and 133 female subjects (16.4%). Their mean age was 46.6 years (${\pm}13.5$).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5.8 (${\pm}3.8$) and subjects with BMI was over 28.0 accounted for 22.8% of the total. Fifty subjects (6.2%) were found to take benzodiazepines. Mean RDI and mean nocturnal oxygen saturation of all subjects was 31.2 (${\pm}24.4$) and 94.5% (${\pm}3.6$),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normal values, the subjects showed longer sleep latency, lower sleep efficiency, decreased total slow wave sleep % (TSWS %), and decreased total REM sleep % (TREM %)(p<0.01 in all). RDI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TSWS % and TREM % (p<0.01, p<0.01). However, RDI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ither sleep latency or sleep efficiency. Conclusion: In this study, 6.2% of patients diagnosed as ha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ere found to take benzodiazepines, although they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of litte benefit or even dangerous because of the respiratory suppressing effect. The proportion of obese subjects was only 22.8% and Korea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seem to be less obese than those described in foreign journal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may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sleep architecture defined as TSWS % and TREM % than on sleep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