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가 평가 문항 제작 시 주목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임성만,김성운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4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7 No.2

        총괄평가는 학생들이 학습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우수한 평가 문항을 개발해야 하며 이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총괄평가 문항을 분석하고 출제 의도와 문항 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초등 교사 양성 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5명을 대상 으로 실시되었다. 3인 1조로 10개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고, 문항의 출제의도, 답안지, 문항 개발시 어려웠던 점을 작성하도록 요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총괄 평가 문항은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가 포함된 이원목적분류표에 따라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고, 총괄 평가 출제 의도와 평가 문항 개발 시 어려웠던 점은 질적 자료 분석과정을 거쳐 귀납적으로 정리‧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내용 요소는 골고루 반영하고 있었으나, 문항 평가 영역에서는 골고루 반영하지 못했다. 가장 어려워했던 점은 난이도 조절이었다. 출제 의도에서는 문항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거의 대부분 고려하였으나 실제 개발된 문항에 는 반영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총괄평가 문항개발에는 지식과 경험이 중요하며 초등 예비교사들 에게 체계적인 강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한다. Summative assessment provides information on how well students have achieved learning objectives, making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assessment items essential for accurate evaluation. This is one of the competencies that teachers must poss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mmative assessment items cre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amining their intentions an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item development process. The study involved 45 second-year students enrolled in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university. They were grouped into teams of three and tasked with developing ten items, documenting the purpose of each item, the answer key, and the challenges faced during item creation. The collected summative assessment items were analyzed using a two-dimensional purpose classification table that includes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intentions behind the summative assessments and the difficulties faced during item development were inductively organiz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dequately reflected scientific content elements but did not evenly cover assessment domains. The most challenging aspect for them was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Although they considered most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uring item development, these considerations were not reflected in the actual it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crucial in developing summative assessment items, and systematic lectures are necessary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기반한 학생 평가 문항의 특성 분석 방안 탐색

        박지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최근 학생 평가 문항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으로 문항 특성 분석(FA) 기법이 제안되었다. 이 기법은 평가 문항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질적 평정 및 평정한 특성과 평가 자료에 대한 양적 분석이 결합된 방법론이라 할 수 있으며, 문항 특성은 무엇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대한 내용적ㆍ형식적 정보를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항 특성 분석(FA) 기법에 따라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 중학교 국어, 수학 평가도구의 문항 특성을 교과 전문가들이 정성적으로 평정한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당초의 평가 계획대로 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졌는지 점검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문항 특성별로 난이도와 변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문항 특성 차원에서 학생 성취 결과에 대한 해석과 활용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의 타당도 측면과 평가 결과의 환류 측면에서 갖는 문항 특성 분석(FA) 기법의 유용성이 학교 현장에서 심화되는 기반이 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to apply the item feature analysis for ensuring the validity of student assessments. The item feature analysis provides evidences of ‘how and what to be assessed’. We considered item features for curriculum-based assessments, focusing on Korean and Math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implementing item feature analysis in Korean/Math tests from 2019 NAEA indicated that both Korean and Math tests consisted of valid item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strength and weakness were observed from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chievement and features of Korean and Math test items. Item features based on the curriculum and test mode have been proved as critical applications for ensuring the validity of curriculum-based assessment as well as building a tool for student assessment. Follow-up study for more broadened use of the results of study was proposed to imply item feature analysis in schools and to widen the application across the feature categories for each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xtend researches on the validity of student assessment and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selecting item features for computer-based assessments.

      • KCI등재

        음악 지필평가문항 출제에 관한 소고(小考)-국악평가문항을 중심으로-

        곽태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1

        학교 평가문항의 제작은 교사가 하며 교사의 능력에 따라 평가문항의 질이 비례한다. 얼마만큼 평가문항 개발에 전문성을 갖추었느냐에 따라 문항의 질이 달라지며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평가 자체는 ‘질 높은 평가’이어야 하며, 평가문항의 제작 과정에 교사 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수업과 관련한 기법이나 관심은 높지만 평가문항에 대한 전문성을 요구하는 것은 근래의 일이다. 음악과 또한 수업을 잘하는 교사나 수업에 필요한 교육정보들에만 관심을 가졌던 데 반해, 학업성 취를 측정하는 데 기반이 되는 평가문항의 개발 및 활용에는 관심 대상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다. 수업뿐만 아니라 평가문항을 개발하는 데에도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모두가 평가문항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요즘 진부하거나 오랜 관행적인 평가문항 제작에 안주해서는 안 되며 이는 곧 교사의 능력을 가늠하는 잣대로 판단될 수 있다. 음악교과의 특성상 매번 출제범위나 학습내용이 대동소이하여 문항출제에 고민이 있지만 교사 스스로 문항개발에 적극적이어야 하며 다양한 출제기법들을 활용하여 참신하고 질 높은 문항을 제 작해야 한다. 학습내용이 같은 문항이라도 어떻게 출제하였는가에 따라 문항의 질이 달라질 수 있 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악 평가문항의 질 높은 문항 제작을 위한 방향을 논의해 보았고, 제작 기법들 을 활용한 우수한 문항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악 평가문항도 다양한 기법들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문항들을 적극 개발하여야 한다. 평가유형에서 사고력을 배양하는 데 합답형 문항들이 좋으며, 단순지식적인 문항 보다는 이미지(그림)나 도표들을 활용하여 출제하는 것이 다양성과 참신성의 확보면에서 좋다. 노래 와 장단의 구조적 연결 형태를 묻는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형태가 좋고 장단은 정간보로 제시하 는 것이 국악적이고 타당한 문항이다. 학교 지필고사가 학습내용에 따라 평가문항이 결정된다지만, 지필고사에 국악 평가문항이 거의 없다는 것은 교사의 학습 재량이라기보다 교과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한다. 국악 평가문항의 비율을 높여야하며 국악적인 관점에서 문항 제작이 요구된다. 서양음악 의 잣대로 우리 음악까지 재단하려는 오리엔탈리즘적 사고관으로 수업을 하거나 문항을 출제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그런 환경속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은 어떠한지 생각해 본다면 서양음악과 국악을 따지기 전에 음악교사로서 학생들의 올바른 음악 가치관 형성에 사명을 다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험도 하나의 의미있는 교육활동이라는 인식으로 단순한 암기위주의 문항보다는 참신하고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문항제작이 필요하며, 학생들로 하여금 평가문제에 대해 흥미와 도전감을 갖 도록 양질의 문항을 출제해야 할 것이다.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teachers create their own test and the quality of the test depends on the teacher’s ability. Therefore, it is critical to ensure that teachers are well qualified to create high quality tests. While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skills, the music education field is just beginning to focus on the importance test‐making expertise. Teachers need the skills to develop tests that reliably evaluate student achievement, instead of relying on ineffective traditional practices and formerly used tests. One challenge that teachers face is making new tests each year for a limited amount of content. Creativity is essential for success in this task. Thus, in this study, I discuss the direction we, teachers, can take to make creative questions, especially on the subject of Korean music. I offer several creative tools to be used for generating reliable new test items. For example, I recommend multiple choices, true/false, and the use of pictures and graphs. We should develop good test questions about Korean music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ability. Requiring multiple answers of true or false answer type are, one of evaluation types, is good for it. When it comes to creativity and novelty, test questions using pictures or graphs are recommended. Questions which focus on the structural links between a song and Jangdan are also good for testing students’ thinking ability. Questions on Jangdan are even more appropriate when they are relevant to Jeongganbo.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eachers can make different tests but the fact that teachers make few questions on Korean music reflects that they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Music. I urge teachers to increase the number of creative, distinctive questions about Korean music. Some teachers have ways of thinking of Orientalism in appreciating music, so they judge Korean music by the criteria of western music. This can negatively affect students. It is imperative that we, music teachers, fulfill our mission of helping students cultivate informed and appropriate means of evaluating music, prior to discussing the difference between western and Korean music. In conclusion, because tests are one of the most meaningful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s should try to make good test questions in order to challenge students and refrain from making questions that focus on memorizing instead of reasoning capabilities.

      • KCI등재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

        남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발굴을 위한 첫 단계로서,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약 2회(16주, 8주)에 걸쳐 예비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34개의 문법 평가 문항을 설계하도록 하고, 평가 문항과 해당 문항을 둘러싼 논의의 과정을 살펴 예비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을 결과 및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예비 교사들이 설계한 문법 평가 문항을 살펴본 결과, 문법 개념 및 현상에 대한 설명, 문법 현상이 표상된 언어 자료 등을 활용해 문항을 구성한 자료 제시형 문항이 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5%의 문항이 문항 오류, 성취기준에 대한 협소한 해석, 문항 구성 방식의 부적절성 등에 의해 타당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어형성법, 품사 등 문법 지식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도 일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예비 교사들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과정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문항 설계 과정에서 문법 지식의 정확성, 자료의 적절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성취기준의 의미 해석이나 그에 부합한 문항 유형을 구성하는 데는 주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 지식의 정확성, 자료의 적절성 확보는 예비 교사들이 문법 문항 설계 과정에서 가장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지점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문법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교사의 문법 오개념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고, 더 나아가 교사의 평가 문항 설계 과정에 대한 실증적 탐색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발굴하여 제공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론과 실천의 간극을 메우는 맥락화된 국어 평가론의 구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development of grammar assessment items. For this purpose, 17 preservice Korean teachers were asked to develop 2 grammar assessment items each, then those item and their development processes are analysed. Firstly, types of those items and its validity are examined. The reason of low validity seem to be partly because of narrowish account of curriculum standard, and partly because of inaccurate grammar knowledge. Also, teachers' misconceptions on grammar are examined. Secondly, teachers' development process of grammar assessment items are examined such as to which point they pay attention, with which part they are in trouble during developing test items. As a result, they seem to take hid of grammatical accuracy and language materials' appropiacy, and also they seem to be in trouble with those same parts. Relatively they seem not to take notice of thoughtful account on standards. Through these analysis, we could get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especially on grammar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eachers' misconceptions on grammar, then to try to handle those misconceptions intensively in teacher education. Also, it should be devised plan for understanding grammar standards thoughtfully, then sharing it with teachers. Further, it is necessary to dig out practical knowledge for selecting proper language materials, then appreciating its relation to grammar item accurately. To raise teacher professionalism for evalu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a concrete and available practical knowledge inauthentic evaluation context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teachers.

      • KCI등재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과 채점을 위한 사례 연구

        유득순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6

        Over the past few years, the process based assess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school classes, as performance assessment takes up more share. Various evaluating activities involving the process based assessment are implemented and learners are encouraged to make historic research in history class as well. Our society has a great interest in the assessment process, so it is emphasized to have expertise for teachers in assessment. Particularly, the method of scoring evaluation results is complicated and hard. However, there aren’t enough studies on it. Thus, I examined the scoring of writing evaluation questions that had been conducted in history classes(History movie based class and evaluation) from 2017 to 2018. I introduced three types of history writing evaluation questions(question that check facts and information, question that use historical imagination, and questions that assess and judge historical events), and analyzed the students’ answers, scoring process and problems. As a result, we could gain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eachers need to be well aware that evaluation is a part of learning and to design courses elaborately and stud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evaluation in advance. Second, when writing scoring criteria or evaluation items, the type of evaluation item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e scoring criteria should be clear and subdivided. And teachers should create the complex rubric by considering all the cases. Fourth, teachers should have expertise in the course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and by doing this they can develop elaborate teaching designs. And it’s important to have consistency in the objective, content and assessment of the class. 이론적이고 당위적인 차원에서 평가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평가 문항 개발이나 채점처럼 실제적이고 현장 적합적인 평가 방안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수행평가의 비율 증대와 과정중심 평가의 강조 추세는 정성적인 평가 요소가 많은 역사과에서 더욱 부담스러운 상황일 수 있다. 이에 채점이나 평가 결과의 처리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그 경험을 축적하여 보다 나은 평가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기 위해, 필자가 2017 2018년 동안 실시했던 역사영화를 활용한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의 채점을 반성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 가운데 ① 사실과 정보를 확인하는 문항, ②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문항, ③ 역사적 사건을 평가・판단하는 문항을 소개하고, 학생 답안과 이에 대한 채점 과정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평가자인 교사는 학생 변별 외에도 학습의 한 과정으로서 평가의 목적에 대해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 위에서 수업과 평가 전반에 대한 철저한 설계와 안내가 필요하며, 채점 방식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평가 문항의 유형에 따라 문항 작성의 유의점이나 채점 기준의 강조점이 달라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실과 정보의 확인이나 자료 분석 문항은 정확한 용어의 사용과 명확한 작성 조건을 제시해야 하며, 단순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만으로 문항지를 구성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문항은 학생의 사고를 제한하지 않되, 지나친 허구로 인해 비역사적인 글쓰기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역사적 사건을 평가・판단하는 문항은 주장의 타당성과 근거의 논리성이 아닌 피시험자의 관점을 평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셋째, 채점 기준을 명확히 하고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채점 기준은 세분화하되, 각 채점 기준 안에서 등급이나 점수를 촘촘히 구분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채점 기준은 독립적이지만 답안은 종합적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채점 기준 및 급간을 조정하고 채점하는 복합적 루브릭이 필요하다. 넷째, 답안 내용의 평가는 채점자인 교사의 전문성에 달려 있기 때문에, 교사는 내용・수업・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목표 내용 평가의 수업 설계가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이 학습과 평가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업 성취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 연구-국어과 평가 문항 양호도 분석틀 개발 연구(2)-

        정민주,서수현,남민우,최숙기,이상일,남가영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준점을 보다 정교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어교육 전문가 30명에게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특성에 대해 질문하고, 그 응답 내용을 질적 분석하여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의 국어과 평가 문항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2019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등학교 국어’) 중 영역별로 가장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좋은 문항이라 선택받은 문항의 양호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교육 전문가들은 ①목표 및 내용 타당도가 높은 문항, ②문제 풀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사고력을 요하는 문항, ③문항에 쓰인 지문과 자료가 교육적 가치가 있는 문항, ④교수·학습에 긍정적인 환류를 기대할 수 있는 문항, ⑤문항 형식상의 안정성과 완결성을 갖춘 문항을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요건과 기준을 도출하여 문항 제작 시 고려할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제 문항 평정을 통해 점검함으로써, 국어 교사들에게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준점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문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모색

        허연구 ( Youn Ku He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최근 공교육에 대한 불신 해소를 위해 학교시험 평가문항을 공개하는 등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 논문은 평가의 투명성을 확보하라는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고, 국가수준에서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한문교사의 평가전문성 향상을 위한 적절한 연구나 지침서가 부재한 현실을 극복하고, 학교당 1~3명의 소수 한문교사가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평가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문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정의한다면 `학생의 한문학습과 성취에 관한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한문과 평가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있었다. 국가 수준에서는 `평가기준 및 도구개발`, `기초학력평가`, `평가매뉴얼` 등을 통해 한문과 평가의 기준과 문항개발 방법, 문항 개발에 대해 연구하였고, 최근에는 수능에 한문과목이 편입되면서 다양한 평가문항에 대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지역수준에서도 한문교사가 평가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장학활동과 `평가문항제작법`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학교 수준에서는 각기 학교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인 연수가 실시되고 있으나 학교당 교사수가 적은 한문교사에게는 적절한 연수가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렇듯 한문교사의 평가 전문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평가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과 평가 영역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각 평가 상황에 대하여 어떠한 평가방법을 사용하고 평가도구는 어떻게 개발하며, 평가 절차를 어떻게 할 것인지, 문항분석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한문교사가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평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수를 개설하는 것이다. 국가단위 또는 시도단위의 기관이나 자생적인 한문교사 모임을 통해 한문과 평가 관련 내용에 대한 연수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셋째, 한문과 평가문항 컨설팅 상담교사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다. 자신이 만든 평가 문항에 대하여 수시로 조언을 받고 검토를 받는다면 평가문항 출제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평가문항에 대한 문항분석 기초자료를 공개하고 이를 활용해야 한다. 시도단위의 성취도 평가나 전국연합학력평가에 대한 세부 문항 분석자료를 일반화하여 한문교사들의 평가문항 제작이나 검증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대학에서 한문교육과 교과전공으로 한문과 평가 관련 강좌를 개설하는 것이다. 한문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은 교사가 된 이후에 신장 시킬 것이 아니라 대학에서부터 체계적인 과정을 거쳐 신장시켜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문교사가 평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합한 한문과 평가를 실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평가 전문가로 거듭나 한문교육의 정상화, 나아가 공교육에 대한 신뢰감을 구축하고자 한다. In these days, schools are opening the content of evaluation to the public. There are a growing social demand for a fair and clear evaluation. Though various research have been performed for evaluation specialty by the government, that is not enough in the subject of Chinese character. Teachers of Chinese character are feeling strongly the necessity of it. This thesis is concerned about the way of improving the evaluation specialty. For teachers of Chinese character, `the evaluation specialty for students`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collect, understand and take use of the information-which is about the achievement of student during studying the subject. There has been several trials to improve the evaluation specialty. Government has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test of basic studying abilities`, `evaluation manual` and so on. As Chinese character is includ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various types of questions are tried in the evaluation. Local office of education is providing a variety of system about encouraging learning and job training of question evaluation in order to make teachers become evaluation specialist. Each school is offering practical job training as its situation and condition. but teachers of can hardly take proper job training because 1~3 teachers of Chinese character are assigned in a school. In the situation that the specialty of teachers is strongly required, there are some methods to improve it. First, setting and using an appropriate model for evaluation of Chinese character; The evaluation model will provide which method to use, how to make evaluation tools and how the evaluation order and analysis are proceeding. Secondly, opening various training of evaluation; regular training about the content of evaluation needs to be prepared. It can be prepared by government, local offices of education or natural gathering of teachers. Thirdly, using a consulting and counseling teacher system; proper feed back make teachers more confident in setting questions for evaluation. Fourthly, opening the basic data of evaluation analysis and using them; details in studying achievement tests by city and province or tests by nation should be generalized to Chinese character teachers. Finally, opening a lecture of evaluation in university; developing evaluation specialty is to be prepared not only after becoming a teacher but also during studying in university. Through the methods above, appropriate evaluation is to be performed, which is based on evaluation specialty. Being a evaluation specialist as a teacher will mak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etter, and construct a confidence for public education.

      • KCI등재

        한문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모색

        허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최근 공교육에 대한 불신 해소를 위해 학교시험 평가문항을 공개하는 등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 논문은 평가의 투명성을 확보하라는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고, 국가수준에서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한문교사의 평가전문성 향상을 위한 적절한 연구나 지침서가 부재한 현실을 극복하고, 학교당 1~3명의 소수 한문교사가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평가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문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정의한다면 ‘학생의 한문학습과 성취에 관한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한문과 평가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있었다. 국가 수준에서는 ‘평가기준 및 도구개발’, ‘기초학력평가’, ‘평가매뉴얼’ 등을 통해 한문과 평가의 기준과 문항개발 방법, 문항 개발에 대해 연구하였고, 최근에는 수능에 한문과목이 편입되면서 다양한 평가문항에 대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지역수준에서도 한문교사가 평가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장학활동과 ‘평가문항제작법’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학교 수준에서는 각기 학교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인 연수가 실시되고 있으나 학교당 교사수가 적은 한문교사에게는 적절한 연수가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렇듯 한문교사의 평가 전문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평가전문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과 평가 영역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각 평가 상황에 대하여 어떠한 평가방법을 사용하고 평가도구는 어떻게 개발하며, 평가 절차를 어떻게 할 것인지, 문항분석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한문교사가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평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수를 개설하는 것이다. 국가단위 또는 시도단위의 기관이나 자생적인 한문교사 모임을 통해 한문과 평가 관련 내용에 대한 연수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셋째, 한문과 평가문항 컨설팅 상담교사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다. 자신이 만든 평가 문항에 대하여 수시로 조언을 받고 검토를 받는다면 평가문항 출제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평가문항에 대한 문항분석 기초자료를 공개하고 이를 활용해야 한다. 시도단위의 성취도 평가나 전국연합학력평가에 대한 세부 문항 분석자료를 일반화하여 한문교사들의 평가문항 제작이나 검증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대학에서 한문교육과 교과전공으로 한문과 평가 관련 강좌를 개설하는 것이다. 한문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은 교사가 된 이후에 신장 시킬 것이 아니라 대학에서부터 체계적인 과정을 거쳐 신장시켜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문교사가 평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합한 한문과 평가를 실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평가 전문가로 거듭나 한문교육의 정상화, 나아가 공교육에 대한 신뢰감을 구축하고자 한다. In these days, schools are opening the content of evaluation to the public. There are a growing social demand for a fair and clear evaluation. Though various research have been performed for evaluation specialty by the government, that is not enough in the subject of Chinese character. Teachers of Chinese character are feeling strongly the necessity of it. This thesis is concerned about the way of improving the evaluation specialty. For teachers of Chinese character, 'the evaluation specialty for stu -dents'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collect, understand and take use of the information -which is about the achievement of student during study -ing the subject. There has been several trials to improve the evaluation specialty. Government has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 test of basic studying abilities' , 'evaluation manual' and so on. As Chinese character is includ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 various types of questions are tried in the evaluation. Local office of education is providing a variety of system about encouraging learning and job training of question evaluation in order to make teachers become evaluation specialist. Each school is offering practical job training as its situation and condition. but teachers of can hardly take proper job training because 1~3 teachers of Chinese character are assigned in a school. In the situation that the specialty of teachers is strongly required, there are some methods to improve it. First, setting and using an appropriate model for evaluation of Chinese character; The evaluation model will provide which method to use, how to make evaluation tools and how the evaluation order and analysis are proceeding. Secondly, opening various training of evaluation; regular training about the content of evaluation needs to be prepared. It can be prepared by government, local offices of education or natural gathering of teachers. Thirdly, using a consulting and counseling teacher system; proper feed back make teachers more confident in setting questions for evaluation. Fourthly, opening the basic data of evaluation analysis and using them; details in studying achievement tests by city and province or tests by nation should be generalized to Chinese character teachers. Finally, opening a lecture of evaluation in university; developing evaluation specialty is to be prepared not only after becoming a teacher but also during studying in university. Through the methods above, appropriate evaluation is to be performed, which is based on evaluation specialty. Being a evaluation specialist as a teacher will mak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etter, and construct a confidence for public education.

      • KCI등재

        국어과 평가 전문가의 문항 개발 전문성 탐색 -국어과 문항 개발 협의 과정을 중심으로-

        박준용 ( Jun Yong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3 한국어문교육 Vol.13 No.-

        많은 교사들은 학생 평가에 대한 실제적인 연수나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평가 상황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현장 직무에 임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관계로 여러 문헌에서는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하여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고,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강좌나 연수 과정 개설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질 높은 문항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유도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종 연수 자료들을 접하는 교사들은 전무성 신장에 대한 실제적인 자극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도울 수 있는 학술적인 논의도 활발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어과 평가 전문가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문항을 개발하는가? 둘째, 국어과 평가 전문가는 평가 문항 개발 과정에서 어떤 특징들을 보이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경기도교육청의 ``논술형 평가 예시 자료집``의 국어과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과정을 실제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도 자료집의 개발위원으로 참여하여 평가 전문가들이 문항을 개발하는 과정을 녹취하고, 협의 단계별 문항을 확보하였다. 또한 최초 문항 개발을 위하여 교사 개인 차원에서 수행한 아이디어 산출 과정을 이메일을 통하여 제공받았다. 이와 같은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국어과 평가 전문가는 평가 용소에 맞는 지문을 선정하기 위하여 평가 요소, 지문의 성격, 문항 구성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자료를 탐색하였다. 둘째, 국어과 평가 전문가는 평가 요소 측정에 가장 적절한 발문을 구안하기 위하여 문항의 의도, 문장의 정합성, 학생의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셋째, 국어과 평가 전문가는 문항의 불완전성을 전제하고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지속적인 협의에 익숙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국어과 평가 전문가의 모습은, 현직 교사나 예비 교사가 자신의 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하나의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평가 전문성에 대한 실제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A great number of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evaluating students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training or education.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a lot of related literature pints out that the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nsidered and insists that the training courses aimed at the increase of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nsidered and insists that the training courses aimed at the increase of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sm should be available. Meanwhile, the education services have induced the increase of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sm by providing teachers with a variety of high quality questions. Although flooded with the training materials, teachers high quality questions. Although flooded with the training materials, teachers rarely get practical stimulation about the for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sm. Also, academic discussions which can aid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re not quite vitalized. Perceiving the problems, this article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procedures do the evaluation exper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ass through to develop items? Second, what distinct features do the evaluation exper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hibit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evaluation item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practically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Example Sourcebook of Essay-type Test`` publish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ile taking part in publishing the sourcebook as one of the developing members, I recorded the process where the evaluations experts developed items and I secured the questions of each discussion phase. Also, I acquired the process of how individual teacher comes up with the ideas for initial items development via email.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data,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valuation exper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strategic research to select text fit for the evaluation factors. Second, the evaluation exper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questingly devised proper items to assess the evaluation factors. Third, the evaluation exper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well aware that the items could be imperfect, so they were accustomed to continuous discussions to make up for the imperfection of items. The attitude of the evaluation exper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this article discussed can be useful data for v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en they want to increase their evaluation professionalism. Also,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lead to the practical and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evaluation professionalis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수업과 평가 일체화를 위한 성취기준 중심 가정과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 연구

        양지선(Yang, Ji Sun),이경숙(Lee, Gyeong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강조하고 있는 교육의 변화 속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과 평가를연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평가기준에 제시된 평가 영역 중 서술형 평가에 적합한 14개의 성취기준이 분석되었으며총 29개 문항의 내용요소를 포함하여 문항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서술형 문항의 구조에 알맞은문항을 사전개발하고, 문항에서 활용할 자료, 채점기준의 제시 방법을 각 문항에 맞게 선택하였다. 셋째, 답안 및 채점기준표작성 단계에서는 채점기준과 부분점수별 예시 답안을 채점기준표로 작성하고 평가목표와 채점 항목, 항목별 배점을 검토하였다. 넷째, 전문가 검토 및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과 답안들은 전문적 교과학습공동체 교사들과 함께 문항 구성요소,평가목표의 구체화, 출제 의도의 구현 여부, 채점 결과에 대하여 예비검토와 상호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채점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인식변화를 도모하고 추후 학습자의 지식 적용능력을 높이기 위한 서술형 문항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tems of an essay response assessment that could align with the instructions andassessments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an assessment plan, 14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the assessment area, and the elements ofthe questions were developed including the content elements of a total of 29 questions. Seco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preliminary questions suited to the structure of essa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data and scoringcriteria to be utilized in the questions was selected. Third, to prepare the answers and the scoring criteria tables, the answersto the sample questions for each score were prepared in form of a scoring criteria table, and the objectives of the assessment,the scoring items, and the scores for each item were reviewed. Fourth, the developed questions and answers were revised andsupplemented by teacher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preliminary and mutual review on the componentsof the questions, the embodiment of the assessment objectives,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intent, and the grad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ssay-type questions and scoring criteria in essay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teachers enhance their learners abilityto apply knowledg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