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에 나타난 ‘공포’의 모티프 연구

        양영란 한국노어노문학회 2022 노어노문학 Vol.34 No.3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in L. Petrushevskaya's Hygien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the meaning of 'fear', which is the leitmotif of the dystopian narrative in Hygiene; and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from three perspectives – fear of ‘uncertainty’, of ‘death’, and of ‘guilt’ – and how it is embodied in the work. By setting an uncertain time and space and an uncertain situa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e author delivers her message to readers that such tragedies can happen to mankind at any time and any place, not just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Fear of death provokes misanthropy, and it completely separates a person from all others. In this story, the author depicts the brutal process of family members becoming completely depersonalized to each other. The author of Hygiene warns readers that fear of guilt must be clearly recognized in the situation of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Rather than becoming insensitive to guilt, when we are wary of sin and have the fear of guilt, we will not lose our human dignity in any dystopian situation. The leitmotif of Petrushevskaya's Hygiene is ‘fear’, but the meaning of this fear is overturned into the meaning of ‘hope’ by a girl who makes the right moral choice with pure and warm heart. 본 연구에서는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Гигиена)>에 나타나는 디스토피아 서사의 주요 모티프를 분석하고,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디스토피아 서사 갈등의 핵심이 되는 ‘공포’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작품 속에서 ‘공포’의 모티프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세 가지 관점 – 불확실성, 죽음, 죄의식 – 에서 분석하며, 셋째, 전염병의 상황 속에 처한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그 의식에 따른 행위의 결과들을 고찰한다. 불확실한 시공간과 불확실한 상황으로 작품의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작가는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비극이 특정 시공간이 아니라 어떤 시간, 어떤 장소에서든 인류에게 발생할 수 있음을 독자에게 전달한다.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에 대한 공포는 등장인물 간에 혐오를 불러일으키고, 혐오는 타인을 ‘나’와 철저히 분리한다. 아늑한 보금자리로서의 ‘집’에 대한 전통적 상징적 의미는 파괴되고, 살아남기 위해 가족 구성원들마저도 서로에게 비체(卑體)가 되어 가는 잔인한 과정이 작품 속에 묘사된다. <위생>의 작가는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에서 죄의식에 둔감해지는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공포를 가질 때, 어떠한 디스토피아의 상황에서도 인간의 형상을 잃어버리지 않게 됨을,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대지를 복구하고 정화하게 될 선택받은 자’들로 살아갈 수 있음을 독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 KCI등재

        L.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기적(Чудо)>에 나타난 ‘기적’의 모티프 연구

        양영란 한국노어노문학회 2023 노어노문학 Vol.35 No.4

        본 논문에서는 L.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기적(Чудо)>에 나타난 기적의 의미를 분석해 보고, 작가가 암흑의 현실 속에서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작품의 키워드가 되는 ‘기적’의 다양한 의미들을 살펴보고, 둘째, 작품 속에서 ‘기적’의 모티프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셋째, 이를 통해 작품 속에 나타난 기적의 본질이 무엇인지 규명해 보고자 한다. 산문 <기적>은 끝이 보이지 않는 양육으로 인해 고통받는 어머니로부터 시작되어 삶의 미로에서 길을 잃은 사람의 복잡한 정신적 탐구 과정으로 독자를 인도한다. 인간의 죄 많은 본성을 부인하고 기적을 바라는 어머니 나쟈(Надя)가 갈구하는 인생의 기적은 민담, 성경, 고전문학과의 상호텍스트성 속에서 심오한 영적 탐구이자 어려운 도덕적 선택을 의미한다. 작품의 초반에 오직 아들을 위해 끊임없이 헌신하고 희생하며 고통받는 어머니 나쟈를 만난다면, 후반에서는 자신만의 소원을 내려놓고 죽어가는 코르닐을 불쌍히 여기고 어루만지는 위로자로서의 나쟈를 보게 되며, 그녀의 이름 속에서 고통(Страдание)이 아니라 희망(Надежда)을 발견하게 된다. 독자는 작품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이 없는 공간과 시간의 공포에서 해방되어 자신을 돌보고 주위 사람들에 대해 연민을 느끼는 도스토예프스키의 행하는 사랑(Деятельная любовь), 휴먼카인드(humankind)의 기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motif of the miracle in L. Petrushevskaya's work. Providing a nuanced definition of miracle, the analysis explores its prominence in the narrative and investigates its intertextual connections to classical literature and biblical themes. The protagonist, Nadia, embarks on a spiritual quest, grappling with moral dilemmas and seeking meaning in life. This character symbolizes a profound spiritual journey and complex moral decisions, oscillating between denial of her sinful nature and a hopeful anticipation of miraculous turns in her life. The reader experiences the miracle of human kindness and compassion, as well as caring for oneself, thereby freeing from the horrors of a space and time devoid of human dig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