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의 시적, 시의 철학적 태도에 나타난 호혜적 양상

        강동완(Kang, Dongwan)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본 논문은 인문학의 중요한 과제인 문학과 철학 간의 접경(接境)내지 월경(越境)의 설정문제를 놓고, 두 영역 사이의 유동적인 관계들, 그리고 그 확산과 이에서 비롯된 알력 및 혼전의 양상 속에서 도리어 호혜적 측면에 관심을 두어 살폈다. 이는 그간의 고착화된 문법이 지켜왔던 경계선을 뛰어넘어 양자의 공조 관계를 확인하고 기존의 분할된 사유방식들의 결합과 학접(學接)에 근거한 호혜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비평의 측면에서 옮겨놓기의 일환으로서의 ‘페러프레이즈’ 작업과 이를 제거하는 ‘해체’와 ‘오독’의 순기능이 적용된 호혜적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을 다각적인 근거를 통해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먼저 철학하는 것의 태도인 ‘놀라움’, 그리고 그 구체적 본질이 되는 찬미는 다름 아닌 시작(詩作)의 본질로 전이되는 것, 둘째 철학적 상상력이 시적 상상력으로 전이되는 영역 간 호혜를 통해, 철학적 사유에 따른 논리와 규범에서 기인한 철학적 포괄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오히려 대상 세계를 초월하여 새로운 관념적 질서를 창조하는 시인의 정신활동과 로고스적 능력을 논증했으며,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출구를 문학에서 찾으려 했던 과정에, 필연적으로 그 한계가 노출되었고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매울 수 있는 계기를 주·객관의 문제를 들어 철학적 고찰 속에서 살폈다. 요컨대 문학과 철학, 그리고 철학과 문학의 관계는 보편적 해석에서 발로된 철학의 이성적 전통에 대한 존중과 역으로 종래의 철학이 고수한 근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유연한 일탈이 가져 올 호혜적 양상의 지속이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reciprocal perspective of fluid relationship between two regions and the conflict and confusion from expansion on the criteria of setting border or transcendental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 significant project of the humanities. This is to overcome the boundary by fixed laws of literature to confirm the cooperation between two and to promote literature product through reciprocity based on combination and academic conglomeration of conventionally divided system. For this, at first, as a solution to move it away from literature critics, the reciprocal transition with application of "paraphrase", "decommissioning" to remove, and proper function of "misreading" were evaluated. Thereafter, such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through multilateral bases. Here at, first, "surprise", the aspect of philosophy, and applaud of concrete fundamental to be transferred to the fundamental of beginning, second, recognition of philosophical logic and philosophical inclusiveness from standard and proof of logos ability and psychological activity of poet creating a new ideological order by transcending the subject world through reciprocity between regions transferred from philosophical imagination to poetic imagination, and at last, philosophical reconsideration on subjective and objective issues to refill and overcome the limits from finding of the exit at literature to defeat the epistemic boundary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shall be maintained as a reciprocal transition from flexible deviation from the fundamentalistic perspective promoted by conventional philosophy and as a respect of logical tradition of philosophy from conservative analysis.

      • KCI등재

        편곡 및 재작업(reworking)과 관련한 리스트의 용어들과 그 의미

        김현주(Hyun Joo Kim) 한국서양음악학회 2023 서양음악학 Vol.26 No.1

        리스트의 『작품과 편곡의 주제별 목록』(Thematisches Verzeichniss der Werke, Bearbeitungen und Transcriptionen, 1877년 개정)은 작곡가 자신이 그의 편곡 및 재작업을 분류하고 그것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한 점에서 주목할 자료이다. 비록 이 카탈로그는 완전한 형태를 갖추지 못 했지만, 수록된 용어들은 용어 이상을 넘어 여러 가지 중요한 이슈를 제기하기에 충분하다. 리스트가 선택한 용어와 그의 재작업의 방식은 어떻게 연동되어 있는 것일까? 편곡 및 재작업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로 그는 청중과 무엇을 소통하고 싶었던 것일까? 당시 청중은 그 용어의 편곡을 통해 무엇을 기대했고 들었을까? 이러한 문제를 탐구하며 본 연구는 리스트의 편곡 및 재작업에 관련된 용어들의 의미를 살펴본다. 본고는 당시 구체적 일화 및 비평을 토대로 카탈로그에 수록된 다양한 용어들—베아르바이퉁(Bearbeitung),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 트랜스크립션(transcription), 페러프레이즈(paraphrase), 판타지(fantasy), 파르티씨옹(Partitions de Piano)—의 생생한 의미를 살펴본다. 이어서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를 현대 학자들의 논의로 확장하면서 각 용어의 섬세한 뉘앙스를 더한다. 마지막으로 현대 장르 이론의 하나인 ‘수사학의 장르’를 바탕으로 청중과 소통하는 편곡에 대한 이슈를 다룬다. 결국 편곡과 청중의 관계는 ‘편곡을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볼 것인가’에 대한 문제로 귀결되고 편곡의 위상에 대한 논의로 이 글은 마무리된다. Liszt’s Thematisches Verzeichniss der Werke, Bearbeitungen und Transcriptionen (1877) draws our attention to the terms he himself designated for classifying his transcriptions and reworkings. Although it is an incomplete form of catalogue in the modern sense, the terms raise several intriguing issues: how each term helped Liszt to highlight his distinctive reworking method, what he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his audience through such diverse terms, and how listeners and critics adjusted their expectations of those terms to reconcile the transcription with the original. This article investigates various terms delineated in the catalogue, including Bearbeitung, arrangement, transcription, paraphrase, fantasy, and Partitions de Piano, considering the ways in which audiences and critics attributed creative meanings to his reworking associated with each term. What emerges, then, is Liszt’s transcriptions not only as a social phenomenon shared by composers and audience alike, but also as independent compositions rather than a derivative form of the original.

      • KCI등재

        바이마르 시절 리스트와 이탈리아 오페라 : 그의 열망과 비판

        김현주 한국서양음악학회 2020 서양음악학 Vol.23 No.2

        Liszt’s aspirations for Italian opera during his tenure as Kapellmeister at the court of Weimar, especially prior to 1855,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by scholars. Yet his critical writings as well as his paraphrases attest to his endeavors in this direction, although the court and Liszt himself preferred German operas such as Wagner’s to Italian on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itical and aesthetic views about Italian opera as genre in his Dramaturgische Blätter written in the mid-1850s, which expanded his earlier essays about drama, “La Scala” and “Music and Italy,” and also explores his paraphrases of Verdi’s current operas. Such an examination demonstrates several issues about his perception of both Italian opera and operatic paraphrase as genres, including their structural uniformity, their excessive focus on melody, and composer and audience being uncritical of the conventions. A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Liszt’s belief in progress and reform as the way to raise the level of music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