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철백구(綴白구)』본 절자희(折子戱)를 중심으로-

        오수경 ( Soo Kyung Oh ),서수민 ( Soo Min Seo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 KCI등재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

        오수경,김수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 KCI등재

        十惡 개념의 수용을 통해 본 조선 전기 사회윤리의 구축 과정

        박경(Park, Kyoung)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6

        이 논문에서는 십악 개념의 수용을 통해 조선 정부에서 어떠한 사회질서를 구축하고자 했는지 그 일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십악은 가장 중대한 범죄 10조목을 아울러 지칭하는 명칭이다. 그 내용에는 왕조의 존립과 권위를 위협하는 범죄, 인명에 관한 범죄, 유교 윤리의 근간을 해치는 군신, 부자, 부부, 근친 간의 범죄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전근대시대 동아시아 형률체계의 근간이 되었던『당률소의』에 수록되고, 조선의 형사일반법으로 이용되었던『대명률』에도 계승되어 수록되면서 조선의 형률체계에도 수용되었다. 『대명률』에서는 십악을 첫머리에 제시하여 중대한 범죄라는 점을 강조했을 뿐 아니라 이를 범한 자가 실제적인 불이익을 받도록 하는 다음과 같은 규정이 마련되어 있었다. 첫째, 八議는 범죄 조사와 형량 결정 과정에서 예우를 받을 수 있었지만 십악을 범한 경우에는 이러한 예우를 받지 못하였다. 둘째, 입춘 이후 추분 이전에는 사형을 집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십악의 죄를 범하여 사형에 해당하는 자는 추분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사형을 집행하도록 하였다. 셋째, 십악은 사면령이 내려지더라도 사면되지 않는 범죄 중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하는 범죄였다. 15세기 조선의 위정자들도 십악을 가장 중대한 범죄로 인식하였고, 이러한 인식하에 여러 제도들이 제정되기도 하였다. 또한 『대명률』에서 십악을 범한 자에게 불이익을 주도록 했던 세 규정 중 팔의에 대한 예우규정과 사형 집행 시기 규정은 그 핵심적인 내용이 준수되는 가운데 지엽적인 부분이 조선의 실정에 맞게 변형되어 시행되었다. 이를 통해 ‘가장 중대한 범죄로서의 십악’의 개념을 조선에서도 공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조선에서 반포된 사면령 중에는 사면령이 내려도 사면되지 않는 범죄를 ?대명률?의 해당 규정에 의거하도록 한 경우보다 조선에서 제정된 항목들로 구성한 경우가 더 많았다. 조선에서 제정된 사면 제외 범죄 항목 중 십악에 해당하는 범죄들을 검토하면, 가장 중대한 범죄로서의 십악 개념에 기반한 가족, 친속 관계 범죄 규제와는 별도로 이를 규제하는 또 다른 체계가 구축되어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유교 윤리에 기반한 가족 및 친속 관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조선 전기의 위정자들은『대명률』규정의 부자, 부부, 근친 간의 질서를 수용하면서 한편으로는 이 관계를 규정하는 또 다른 체계를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 KCI등재

        〈報心錄〉의 構造的 特性과 文學的 價値

        김진영(Kim Jin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5 No.-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lineage and construction of Bosimrok(報心錄). First it is examined literature aspect of Bosimrok typically, and then studied about structural characteristic. Finally it is generalized constructual method of Bosimrok, and after valued literature merit.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tudied about typically literature aspect of Bosimrok. The origin of Bosimrok is Chunchu(春秋), but specially revealing of biography literature is Cosega(趙世家) in Sagi(史記). On the ground of this story Orphan Cho(趙氏孤兒) is made by Gigunsang in Yuan china, and the original story is included in Dongjuyeolkukgi(東周列國志) in Ming china. Internationally it is transmitted Europe in 18c, and in Japanese it would be a repertory of Gabukki(歌舞伎). In korea it is transmitted a novel as Jomujeon(趙武傳) and Bosimrok, Keumnangisan(錦囊二山), Myeongsasipri(明沙十里). In upper transmission, Chunchu and Sagi is a first type text as having historical events, and Seodongjiran, Rehabilitation cho in Dongjuyeolkukgi and drama work in china, and Jjomujeon in korea is a second type text as increase literary embellishment. Bosimrok, Keumnangisan, Myeongsasipri is third type text as turn sharp change. Second it is studied about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Bosimrok. The work in China has no important person Chosak, the plot is so simple and cause and effect of event is missed. But Bosimrok has that subject person’s good deed is worked as a cause, then he took a good deed. So the plot is like that in beginning and expansion good deed is presented variously, so it is worked ground and cause of event transmission. And in crisis and climax good cause is worked, so subject person could be overcome that crisis. Like this, this work has a structure of cause and effect. Third it is studied about formation method and literary value of Bosimrok. In Bosimrok Yangsechung as Josak didn"t die, and revenged, so whole story making method should be changed. First dislike in china story, with remaking person it is classified good man and bad man clearly. And stressing the causality, every event are ended cause and effect. And with laying stress on meeting, separating family should be meet again in last part altogether. Finally add a soldier story, story making method of hero novel in the last period of cohseon is used.

      • KCI등재

        MEMS센서와 확장칼만필터를 적용한 팔의 자세정보 실시간 획득방법

        최원석,김희수,김재현,조영기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In the future, robots and drones for the convenience of our lives in everyday life will increase. As a method for controlling this, a remote control or a human voice method is most commonly used. However, the remote control needs to be operated by a person and can not ignore ambient noise in the case of vo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conomical attitud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to accurately acquire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arm in real tim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urround drones or robots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arm. For this purpose, the extended Kalman filter was used to eliminate the noise of the arm position information. in order to detect the arm movement, a low cost MEMS type sensor was applied to secur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apparatus. To increase the wear ability of the arm, We developed a compact and lightweight attitud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by integrating all functions into one chip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the real-time performance of 1 ms was secured and the extended Kalman filter was applied to acquire the accurat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arm with noise removed and display th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arm in real time. This provides a basis for generating commands using real-tim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arm. 미래에는 일상생활에서 우리 삶을 편의를 위한 로봇이나 드론들이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리모컨이나 사람의 음성에 의한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리모컨은 사람이 찾아서 일일이 조작해야하며 음성의 경우에는 주변 노이즈를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팔의 자세정보만으로 무선으로 간편하게 주변 드론이나 로봇들을 제어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팔의 자세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경제적인 자세정보 획득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확장칼만필터를 이용하여 팔의 자세정보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였으며 팔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저가의 MEMS 타입의 센서를 적용하여 장치의 경제성을 확보하였으며 팔의 착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FPGA를 활용하여 최대한 칩 하나에 모든 기능을 집적화시켜 소형 경량의 자세정보 획득장치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1 ms의 실시간성을 확보하였고 확장칼만필터를 적용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정확한 팔의 자세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팔의 자세정보를 전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팔의 실시간 자세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 KCI등재

        Physical Factors Affecting Success Rate During Endotracheal Intubation

        Song-Yi Han(한송이),Seong-Woo Yun(윤성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0

        본 연구는 기관 내 삽관 수행 시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단일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기관 내 삽관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시간과 신체적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관 내 삽관 수행 시 수행자의 팔의 각도는 수행시간에 영향을 미쳤으며, 팔의 각도가 좁아질수록 수행시간이 짧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기관 내 삽관 수행 시 수행자의 팔의 각도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성공적인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환경 및 직군에 대한 추가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임상적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urpose the examine the phys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rate during the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ubation succ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2 students in emergency rescue department who had completed the BLS Health Care-provider and a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course dealing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and it i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after the non-equivalence single group. For data analysis, SPSS 23.0 Version was used. The study methods were measuring the grip fotce of subjects, the angle of arm during intubation tube, distance from manikin, palm length,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of successful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endotracheal intubation, it was related to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performer, and the narrower the angle of the arm, the shorter the execution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ccessful endotracheal intubation could be implemented if the operator tried to reduce the angle of the arm when performing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hrough further research on various job groups, identify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보행 시 팔의 교차 운동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재킷 디자인 개발

        이혜원,이민선,서성은,노정심 한국의류산업학회 2019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develops a user centered outdoor jacket capable of energy harvesting based on consumer needs. Jackets are designed for typical outdoor activities such as hiking, trekking, and climbing, integrated with an energy harvesting module that can generate electric power from arm swing in outdoor and daily life walking. Textile based energy generators developed by the previous research of Lee & Roh (2018) were used. A prototype was created based on the arm swing motion experiment for location options and energy harvesting system functions, the simulation by the design sketch, and evaluation of the wearing test by experts. In-depth interviews were later conducted for the prototype with 10 outdoor experts to derive the optimal location of an energy harvesting system in three ways, and the prototype was revised to 5 styles that reflected reviews by experts on function and appearance. Research indicated that the energy harvesting jacket design signifies a user-centered design based on expert interviews and usability evaluation as well as previous research on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device. The jacket is convenient because it combines an energy generator in an optimal position to maximize energy generation with a storage and charging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various position options for accessibility

      • 안정된 카메라 뷰를 얻기 위한 정찰로봇용 팔의 설계

        김태근(Tae-Keun Kim),김휘수(Hwi-Su Kim),송재복(Jae-Bok Song),백주현(Joo Hyun Baek),유재관(Jae-Kwan Ryu)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ed need for a surveillance robot us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its environments. The robot consists of a mobile platform which can operate in rough terrain and an arm equipped with a camera for reconnaissance. However, traditional robots have low mobility due to large volume and high center of mass, and their camera view is often unstable while operating in rough terrai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veloped a foldable arm with a stabilization controller. The 4 DOF robot arm was designed so that it could be folded into a designated place to lower the center of mass and to minimize the volume when not in use, thus increasing mobile performance of the robot. Also, we propose a controller for camera view stabilization using an IMU sensor. Through simulations, it was verified that the robot with a stabilization controller can reduce the vibration, which stabilizes the camera view.

      • KCI등재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복합적 신체 이미지와 사회적 지원

        김영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The study aims at mapping out social service programs through women performed the surgery to remove their breast cancer by examin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grasping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Post-mastectomy women cannot help experiencing loss of their feminity and physical pains. Not only that, but they should face recognition of death, social gaze and so on. These various experiences caused by their physical change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ir body image. It, therefore, can be said that their body im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recognition of their own body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actual lives. The changes which women might experience after surgery have usually negative influence on their lives. Researches on women's breast cancer have been made focusing on the one-dimensional body image, that is, loss of their feminity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Recent researches on the same subject, however, trend to handle various aspects of their body image. The study also inquires their body image and needs for social support,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etc. through women performed their breast cancer surger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women think of physical suffering and possibility and fear of death. The thing tha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medical care is their psychological comfort. And it is then necessary that they get disease-related information or knowledge. Second, six sub-elements of body image such as body stigma, arm concern, body concerns, vulnerability, limitation, and transparency show negative image by high degree of above the average. The element which affects the body image most is the method of surgery. Third, the body image gives more accurate explanations for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an other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suggests the necessary policy of social support for women who undergo mastectom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as 'Look good and feel better', 'Information about what to expect and about symptom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 for the existential body, 'Active listening to fears and concerns and providing assistance as needed' according to complexity of body image.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통하여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들이 생각하는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유방암 수술을 한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몸의 변화를 통해 여성성 상실뿐만 아니라 신체적 고통, 죽음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회적 시선 등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신체 이미지로 투영된다. 따라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실제 삶의 질과 밀접히 연결되며, 수술 후 경험하는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유방암에 대한 연구는 유방암 수술을 받은 여성들의 신체 이미지를 여성성 상실이라는 단일한 차원에서 논의하기보다는 다차원적인 면에서 고찰대상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 이미지, 사회적 지원 욕구, 삶의 질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연구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유방암 수술 후에는 신체적 고통과 죽음에 대한 가능성 및 두려움을 생각하며, 치료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심리적 위안을 들고, 그 다음으로 질병과 관련된 정보, 지식제공을 꼽았다. 둘째, 신체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신체의 불완전성(Boby Stigma), 팔의 장애(Arm Concern), 신체에 대한 관심(Body Concerns), 신체의 취약성(Vulnerability), 신체활동 제약(Limitations), 타인의 시선 인식(Transparency) 등 6개 영역에서 평균을 훨씬 웃도는 높은 정도의 부적 이미지를 보였으며, 신체 이미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수술방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의 이미지는 다른 변인에 비해 삶의 질에 더 큰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외형보정, 신체적 심리적 고통과 관련된 정보 및 지식, 정신적 지원 등 복합적 신체 이미지에 따른 사회적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당률의 중국 철학적 토대와 현대적 의미

        이재룡 ( Jae Ryong Le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3

        중국철학은 오랜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귀납적 사고의 산물이다. 하나라의 농업문화적 성격과 은나라의 유목문화적 성격이 결합하여 주나라 초기에 이루어진 중국철학적특질은 경험적이고 귀납적이며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사회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모든것은 자연의 운행에 맞추어 생각하고 판단하였으며 자연의 질서는 있을 수 있는 최고 최선의 완전한 가치의 모형이었다. 그 때문에 중국철학적 사유는 일체를 자연질서에서 구하는태도로 일관되어 왔다. 국가의 존재이유나 통치의 명분, 혹은 법제도가 추구해야할 이상 등모든 것은 자연의 조화와 질서에 버금가는 사회를 구축하는 일이었다. 당률은 이와 같은 통치철학이 오랜 세월동안 검증되고 개선되면서 이루어진 동북아 최고의 법문화의 정수를담고 있다. 당률에는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은 물론이고 교육형 사상과 각종 형법 도그마틱적 원리들, 또는 형사피의자에 대한 처우와 책임경감 사유 등 많은 형법상 원리들이 담겨있다. 이러한 형법원리들이 서구의 근대 형법처럼 이론적 사유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추상적인 산물이 아님은 물론이다. 왜냐하면 서구의 규범관은 이성적이고 합리적 판단을 하는 추상적 인간관을 전제로 설정된 계약적 산물로 이해하면서 국가권력 또한 국민들의 합의에의해 탄생시킨 일시적인 대행자로서 언제든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로 전제된 이론적 근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당률은 철저히 현실경험을 통해 검증되고 추구되며 이해 가능하며 또한 실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정되고 준수되며 요구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곳곳에서 문제가 노정되고 있는 현대 법제도 전반에 걸친 문제를반추해 보는데 전통사회에서 오랜 세월동안 기능해 온 당률을 꼼꼼히 살펴보는 일은 매우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philosophy was achieved on Chou Dynasty early. Those was combined Ha Dynasty`s agricultural cultural attribute and Eun Dynasty`s nomad culture. Chinese philosophy is being empirical, inducted and social realized realistic characteristic. Chinaman thought nature of the model of perfect value in the world. They were thought that society get into the best harmonic states when everything being consists according to principle of nature. Therefor, chinese Philosopher have consistently searched for solution in principle of nature. Chinaman would try to regain the justice of state power, the ideology of law, the principle of justice in logos of nature. The Tanglu shuyi(唐律疏議) is code of laws that such rule philosophy is verified during the years and consists as being improved. It is evaluated from history of Northeast Asia to the most superior code of laws. The Tanglushuyi(唐律疏議) contains as well as Nulla poena sine lege of criminal law such as educational punishment and each kind criminal Dogmatik principles, treatment about criminal responsibility of criminal suspect and responsibility reduction ect. These principles are not abstract product that consist through theoretical reason like criminal law of West Europe of course. Because view of western law premise abstract person who is rational and do logical estimate. State power is proxy of temporary power that born by peoples` mutual agreement. Also, people take the state power of violence tyrant. The Tanglu is having feature that is verified through actuality experience thoroughly and is pursued and is comprehensible and is established and is observed and require within extent that realization is possible. Therefore, my work to meticulously research of the Tanglu, doing function during the past years in tradition society, is very relevant work. It is the very significant matter to reconsider modern legal system instit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