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판소리에 나타난 시간 양상과 공연의 관련성 연구

        윤영옥 판소리학회 2004 판소리연구 Vol.18 No.-

        This research aims to scrutinize the relations between time aspects and performancity in Pansori. Pansori is the narrative that one performancer develops the story and represents the events by songs. As Pansori is the performed-narrative directed audiogenic, it’s time construction has producted and designat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at genre. A performancer of Pansori represents and mediates characters and events, through that controls responses of audience. Consequently, the narration of Pansori has been preferred to use abstract․repetitious․discursive time, and description of that has been preferred to use present tense. Telling the intelligence and creating the images have represented in past tense, and showing events has represented in present. Because Pansori is performed-narrative, it’s story time in past tense tends towards absorption into performance time in present. In Pansori's performance, narrated-past time and performed present time tend to inter-cross and coexist. Through that process, time sign in Pansori not only designates time, but also displays the different scenes in simultaneous present. The way of connecting the time sequences in Pansori that evokes the events into ‘now, here’, and makes the perfermancer communicate audience directly. The time construction of Pansori takes the way which equips pansori with performantic characteristics. 이 연구는 판소리의 시간 양상과 공연성간의 관계에 대해 세밀히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판소리는 공연자가 이야기를 엮어나가고 노래로 사건을 재현하는 서사이다.판소리는 청각 중심의 공연 서사이기 때문에 그 시간 구성 방식은 공연되는 서사라는 장르적 특성을 집약적으로 표현해주고 있다. 청각중심의 예술인 판소리는 소리로 사건을 모방할 수 있는 표현들은 현재화되지만, 그렇지 않은 시간들은 청자가 쉽게 정보를 이해하거나 머리에 떠올릴 수 있도록 압축반복추상화된다.판소리는 공연을 전제로 한 서사이기 때문에, 원래는 과거에 발생한 이야기 시간이나 서술시간이 공연하는 현재 시간에 통합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통합 과정에서 판소리의 이야기 시간과 서술 시간, 공연 시간은 교차, 침투, 공존하는 경향을 보인다.판소리에서는 시간들을 독특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서술과 장면을 상호 전환하고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판소리의 시간은 시간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장면들을 현재 시간으로 연결하거나 서술 부분의 과거 시간을 공연되는 현재 시간으로 연결분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판소리는 공연서사이기 때문에, ‘지금, 여기’의 사건들은 확장되고, 그 외의 사건과 시간들은 압축추상화되어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판소리의 시간 사용 방식은 서술되는 사건들이 ‘지금, 여기’ 눈앞에서 벌어지는 듯한 직접성을 환기하고, 공연자가 관객과 직접 교류를 할 수 있게 하는 한 통로가 된다. 독특한 시간 연결방식을 통해서,판소리는 공연에 부합하는 서사 형식을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통예술에서 대중예술로: 청중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는 판소리 연행의 새로운 방향

        서유석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This research presupposes that pansori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theatricals to high-grade traditional art and reveals that pansori needs an avant-garde change from high-grade traditional art to popular art. The direction of a great change of pansori is a conversion from “what is seen and enjoyed” to “what is heard.” Although pansori is clearly based on popular appeal and artistic value that are formed by a sophisticated combination of stories and music, it appears that pansori has gradually become “hearing art” in the process in which pansori acquired the meaning of high-grade traditional art in the modernistic sense. As pansori has leaned toward ‘hearing art,” pansori was able to secure the high-level musicality and artistic value, but at the same time it appears that it has lost popular appeal and box-office value. 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eople enjoying pansori has diversified with the appearance of gramophone records, pansori began to have appearance of “high-grade traditional art and has secured the realm of “pure art” or “high-grade traditional art” in the imminent crisis of extinction as it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afterward, pansori has the appearanc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eneral public. In order for pansori to become art that has vital power in this age as well, it should secure the power of universal stories deviating slightly from leaning toward music, have timeliness share breath in this age, and by extension, have fun to share breath with people, i.e. to secure popular appeal. These aspects can be confirmed here and there in today’s creative pansori fields. When pansori has secured popular appeal and become popular art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 audience enjoying” pansori will gather again in the scene of pansori. And “the audience enjoying” pansori can be secured through the power of universal stories. When creative pansori equipped with stories containing positive character images realizing problems of the times and scenes from daily life has secured musicality of high standard that has been accumulated by traditional pansori,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new creative pansori can become pansori classic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본 연구는 판소리가 전통연희물에서 고급전통예술로 변화해왔음을 전제로 하고, 앞으로의 판소리는 고급전통예술에서 대중예술로의 전위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판소리의 첫 번째 커다란 변화의 방향은 ‘보고 즐기는 것’으로부터 ‘듣는 것’으로의 전환이었다. 판소리는 분명 이야기와 음악의 수준 높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대중성과 예술성의 바탕위에서 발전했지만, 판소리가 근대적 의미의 고급예술의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판소리는 점차 ‘듣는 예술’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 판소리가 ‘듣는 예술’로 기울면서, 판소리는 수준 높은 음악성과 예술성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동시에 대중성과 흥행성은 잃어버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유성기 음반의 등장으로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이 다변화되면서 판소리는 조금씩 ‘고급전통예술’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급격한 소멸의 위기에서 무형문화재의 지정으로 말미암아 ‘순수예술’ 혹은 ‘고급전통예술’로 그 영역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판소리는 그 이후부터 대중과 점차 괴리된 모습을 가지게 된다. 판소리가 이 시대에도 생명력을 가지는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성음 놀이’ 즉, 음악으로의 경도에서 조금은 벗어나 보편적인 이야기의 힘을 확보하고, 당대와 호흡할 수 있는 시의성을 가지며, 더 나아가 대중과 호흡할 수 있는 재미, 즉 대중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모습은 지금의 창작판소리 현장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판소리가 대중성을 확보하여 진정한 의미의 대중예술이 될 때, 소리판에는 분명 판소리를 ‘즐기는 청중’이 다시금 모여들게 될 것이다. 그리고 판소리를 ‘즐기는 청중’은 보편적인 이야기의 힘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창작판소리가 시대의 문제와 일상의 모습을 구현한 긍정적인 인물 형상이 담긴 이야기를 가지고, 전통판소리가 쌓아온 수준 높은 음악성을 확보할 때, 이 새로운 창작판소리는 진정한 의미의 판소리 고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KCI등재

        판소리의 특징에 따른 주제별 지도내용 연구

        성기련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8 국악교육연구 Vol.2 No.1

        판소리는 한 명의 창자가 여러 인물의 배역을 소화하며 재담과 소리, 그리고 연극적 몸짓을 행하는 극음악으로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든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미학과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공연예술이다. 본 연구는 현재 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에서 판소리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판소리 관련 수록곡 및 지도내용에 대 해 새로운 기준과 틀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초ㆍ중ㆍ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판소리 관련 수록곡 및 내용을 검토할 때, 먼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감상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판소리 관련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는데 판소리는 그 특성상 실제 가창을 해 보아야 그 음악적 특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으며 수준 높은 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감상과 가창이 학년별로 적절히 편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대목 선정의 기준이 유명한 대목 위주로 편중된 경향이 있는데, 그와 관련하여 이해해야 할 판소리의 특정으 로는 천편일률적으로 소리, 아니라 발렴, 추임새가 제시되고 있다. 다양한 판소리의 특징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그와 관련하여 적합한 대목을 선정하여 적절한 지도내용으로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판소리 관련 제재곡은 대부분 오선보로 제시되어 있는데, 다양한 성음 및 붙임새의 이해와 인지가 중요한 판소리 음악 수업에서 서 양식 오선보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판소리 교수에 알맞은 새로운 기보법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 판소리 관련 내용을 활동, 이해, 생활화의 세 영역 별로 분석하였으며, 이 중 활동과 이해 영역을 연계하여 판소리를 지도할 때 중점적으로 가르쳐야 할 지도내용을 선정하였다. 판소리의 중요 한 특성으로 공연문화적 특징, 판소리 사설구성의 특징, 사설 내용에 부합하는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 판소리의 역사 적ㆍ지리적 특징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중점 지도해야 할 주제를 두 가지씩 선정하였다. 학년에 따라 2007 개정 음악 과 교육과정의 이해 및 활동 영역을 연계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주제별로 적합한 판소리 대목과 지도내 용을 선정하였다. Pansori is a musical performance which one singer called Chang-ja narrates witty stories, sings songs, performs gestures, and plays the roles of several characters alone. It is a exclusive performance art in which the unique aesthetics and cultural heritages of Korea are reflected.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how Pansori is dealt with the current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earch which songs and contents of Pansori need to be taught in the future; and propose new standards and framework for teaching Pansori.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music textbooks focuses on the appreciation process when choosing the contents of Pansori. In f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and to get familiar with it well, it is required to practically sing a song. Due to the same respect, it is necessary to properly organize appreciation and singing level by grade.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tandards for content selection procedure are set by popularity. Consequently, most textbooks commonly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as the combination of Sori [song], Aniri [verbal explanation of a song, which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song], Balim [a singer's gestures], and Chooimsae [a drummer's or audience's remark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learners, it nee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in various views, choose the contents suitable for the features, and eventually, teach them properly. These days, most of Pansori songs are written in western style staff notation. In Pansori, however, understandings of the changes of Sigimsae and Buchimsae are more important, while the western signs only indicate the straight and plain sound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new notational system for Pansori. Briefly, the sections related with Pansori in the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07 were analyzed in terms of three fields: activity,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to everyday life. The four core characteristics for teaching Pansori activity linked with understanding were chosen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performance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text,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suitable for a story, and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Each core characteristics of Pansori has two subtopics including appropriate Pansori repertoires and teaching contents. The grade of students was also considered for efficiency.

      • KCI등재

        근대 판소리 상품의 생산주체 연구

        김민환(Min-Hw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4

        우리나라에서 봉건제가 점차 해체되고 자본제적 요소가 대두하는 상황에서 민중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예술양식이 속속 출현하였다. 그 대표적 예가 판소리다. 이 연구에서는 판소리가 대중문화로 발돋움하다 마침내 좌절하기까지 판소리 상품의 생산주체가 어떤 세력이었으며, 생산주체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였는지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판소리를 대중문화로 발전시키는 과정은 네 주체가 주도하였다. 맨 먼저 판소리의 대중판매에 나선 것은 광대집단이었다. 판소리 창자들이 극단을 만들어 시장 등 불특정한 대중이 모인 장소에서 연행의 소비자인 대중으로부터 대가를 받고 판소리를 부름으로써 대중문화의 자본주의적 생산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광대극단은 1930년대 말 이후 쇠락의 길을 걸었다. 자본이 영세한 데다 시장기반이 취약하여 초기자본을 축적하는 데 실패하고, 더구나 일제의 전통문화 탄압을 이기지 못한 데 따른 불가피한 결과였다. 판소리가 근대적 대중문화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은 봉건정부였다. 정부는 1902년에 관영 회대를 세움으로써 이 극장이 전통연회 공연의 요람이 되게 하였다. 협률사(協律社)가 발족한 뒤로 협률사는 계약을 맺고 예인을 고용하여 판소리의 연행양식을 개선한 창극을 극장에서 대중에게 판매하였다. 그러나 노일전쟁 이후 이 극장은 친일인사들의 손으로 넘어갔으며 당연한 결과로 전통연회의 주체적 변용은 차츰 뒷전으로 밀려났다. 판소리의 근대화에 뛰어든 제3집단은 토착자본이다. 이들은 19세기 말에 가설극장을 세워 판소리를 연행하였지만 20세기 들어 상설극장을 건립해 전속계약을 맺고 예인을 고용해 극장에서 전통연회 상품을 대중에게 판매하였다. 토착자본은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판소리나 창극 외에도 다양한 레퍼토리를 연행하였다. 판소리를 하는 시간도 짧아져 10분 정도에 소화하는 토막소리나 토막극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변화는 판소리가 대중문화로 진화하는 도정에서 바람직한 현상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침탈이 심화하면서 토착자본은 점차 예속자본으로 변질해갔다. 예속자본은 판소리의 주체적 변용보다는 손쉬운 신파극이나 영화공연으로 방향을 돌리고 말았다. 판소리가 대중문화로 발전하는 과정에 끼여들어 절대적 영향을 끼친 세력은 외세인 일본이었다. 1920년대 이후 일본 음반자본이 판소리를 취입함으로써 이른바 ‘소리의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음반자본은 판소리를 대중문화가 아닌 순수음악으로 되돌려 놓았다. 경성방송국은 한때 제2방송을 통해 국악을 방송하고 시간적 제약 때문에 판소리의 한 대목만 하게 하는 등 근대적 변용을 꾀하기도 하였지만 일본 대중가요를 집중적으로 방송함으로써 국악을 사실상 음악시장의 주변부로 내몰았다. 그나마 1930년대 후반 이후 총독부 방침에 따라 판소리 등 국악 프로그램은 그 비중이 현저히 줄었으며, 일제 말에는 일본어로 부르지 않는 음악의 방송을 금함으로써 전통문화의 연행 자체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As feudalism in Korea began to break down and capitalism arose, the new form of art targeted for the public was formed. The best example of this is Pansori. The attempt of making Pansori to be a popular culture consists of four main actors throughout its development. First of all, me traditional jesters individually set up stages at places where people gathered, such as markets, and performed in front of the audiences and get paid by them. But the lacks of funds that these groups had, made them fail in the business. In addition, the Jepanese imperialism's oppression towards the traditional culture made it gradually disappeared. Second, the base that allowed Pansori in developing into popular culture is the feudalist government. By building government-operated theater in 1902, the government began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After the contracts are signed and the performers are hired, the theater conducted a performance of an improved form of Chang-Geuk (Korean classical Pansori opera). However, after the Russian-Japanese war, the theater fell into the pro-Japanese figures' hands. This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at had been pushed to the back. The third actor of Pansori's development is indigenous funds. In order to attract audiences, indigenous funds not only offered Pansori and Chang-Geuk but also various repertoires. Because of time limitation, the duration was shortened, there were situations where only 10 minutes of shortened Pansori and Chang-Geukbeing performed. These changes in Pansori's path in becoming a popular culture is indeed desirable, however, as Japanese imperialism deepen, indigenous funds gradually deteriorated into subordinated funds. Furthermore, subordinated funds didn't support Pansori's development to a modem popular culture, but instead mainly put their emphasis on simple new dramas or movies. The absolute influence, which intruded in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was Japanese government. After Japanese imperialism annexation in 1910 the Japanese popular music as well as new dramas were magnificent on one hand, but on the other it suppressed Pansori and Chang-Geuk, After 1920s Japanese music funds made a full scale attempt to record Pansori and as the result Pansori became a pure music rather than a form of popular culture. After 1940 the government-general forbid performances of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김연수 명창의 생애와 예술 활동

        김석배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40 No.-

        Kim Yeonsu(1907-1974) is an artist that is remarkable in the history of modern pansori. He became famous as a pansori singer, changgeuk actor and producer, and art administrator. He began to learn pansori at an older age in 1927 at his hometown Goheung. He mastered the five traditional pansori,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and changgeuk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This paper explored his life and art activities as an artis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m Yeonsu did not graduate from Joongdong school, and learned pansori from Oh Seongsam and Park Bokseon at Goheung. Second, Kim Yeonsu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and changgeuk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1) After he went up to seoul in July, 1937, he held various heads of Joseonseongakyeonguhoe, Joseonchanggeukdan, Urigukakdan, Gukribgukgeukdan, and so forth. (2) He made his debut in Heungbojeon in 1936 in Seoul. He performed as a protagonist in Chunhyangjeon, Baebijangjeon, Onggojibjeon, and he also made a lot of songs used in changgeuk. He showed his talent of pansori in a variety of Myeongchang concerts. (3) He made 62 S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some LPs which recorded Changgeuk Chunhyangjeon. (4) He appeared as a pansori singer in JOD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five traditional pansori was broadcasted by DBS in 1967. (5) He completed Dongchoje pansori in 1967. Pansori saseol was published in the title of 『Changbon Chunhyangga』 in 1967, and 『Changbon Simcheongga Heungboga Sugungga Jyeokbyeokga』 in 1974. 동초 김연수(1907-1974)는 현대 판소리사에서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명창으로 한평생을 판소리 창자, 창극 배우 및 연출가, 예술행정가로서 당당하고도 거침없이 살았다. 동초는 1927년 고향 고흥에서 늦깍이로 판소리에 입문하여 1935년부터 유성준 송만갑 정정렬에게 판소리 다섯 바탕을 익혀 소리꾼으로서 입지를 굳힌 이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판소리 및 창극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본고에서는 김연수 명창의 생애와 예술활동을 살펴보았는데, 그것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연수가 중동중학교를 다니지 않았고, 소리공부도 축음기로 독학한 것이 아니라 고흥에서 오성삼과 박복선에게 판소리를 배웠다. 둘째, 김연수는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판소리 및 창극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 1937년 7월에 상경한 후 조선성악연구회, 조선창극단, 우리국악단, 국립국극단 등 여러 국악단체의 대표를 역임하였다. 2) 1936년 11월 <흥보전>에서 서울 무대에 등장한 이래 <평화의 쇠북소리>, <심청전>, <춘향전>, <수양과 육신>, <배비장전>, <옹고집전> 등 수많은 창극에서 작곡과 연출을 하는 한편 주인공 등 주요 배역을 맡아 열연하였고, 명인명창대회, 판소리유파발표회 등 다양한 판소리 무대에서 기량을 유감없이 펼쳤다. 3) 일제강점기에 유성기음반(SP판)에 ‘고고천변’ 등 62매(124면)를 취입하였고, 해방 후에도 장시간음반(LP판)에 <창극 대춘향전> 등을 취입하였다. 4) 일제강점기에 JODK의 국악방송에 출연하였고, 1967년에 동아방송에서 판소리 다섯 바탕을 방송하였다. 5) 1967년에 판소리 다섯 바탕을 자신의 판소리 이론에 맞는 이상적인 소리(동초제 판소리)로 완성하였고, 판소리사설은 『창본 춘향가』(1967)와 『창본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1974)로 출판되었다.

      • KCI등재

        판소리 공연의 기획·연행·감상의 역학 -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월드판소리페스티벌, K-VOX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김희선 ( Kim Hee-sun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4 공연문화연구 Vol.48 No.0

        오늘날 판소리가 동시대 관객 혹은 당대 귀명창과 조우하는 중요한 매체는 무대공연이다. ‘판의 예술’인 판소리는 공연을 통해 연행될 때 비로소 존재한다는 점에서 판소리 공연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판소리 공연의 양식적, 사적 연구는 판소리 연구사에서 매우 소략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근래에 시작되었다. 현재에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공연장, 축제, 개인 발표회 등 판소리 공연에 비해 판소리 공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해 보인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근현대 판소리 공연사를 기획의 관점에서 사적(史的)으로 고찰한 후, 2023년 공연계와 판소리계의 주목을 받았던 대표적인 판소리 공연을 전주세계소리축제의 판소리 공연, 유네스코 등재 20주년을 기념한 월드판소리페스티벌의 판소리 20시간 릴레이 프로젝트,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K-VOX 페스티벌의 사례를 살펴본다. 이들 사례를 통해 2023년 다양하게 개최된 판소리 공연은 완창, 명창, 중견, 신진, 아마추어, 글로벌 등 다양한 키워드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기획은 다시 판소리 판의 연행을 추동하고 확장했고, 판의 의미와 축제성을 잘 살린 연행은 다양한 연행자와 감상자의 참여로 확장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대 예술로서 판소리는 소리판이 있기에 가능하며, 현대적 기획의 소리판은 동시대적 상상력을 가미하며 시대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텍스트 중심의 판소리 공연연구를 기획·연행·감상의 역학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점과 판소리 공연연구에서 당대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Today, the performance of pansori serves as a crucial medium through which it engages modern audiences and performers. Pansori, the art of pan(lit. performance site), truly exists only when it is perform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into pansori performances. Nevertheless, despite that importance, historical research into pansori performance itself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within the field of pansori studies relative to text-centered studies of its literature and musical traits. Studies on the format and historical aspects of contemporary pansori performance have been relatively scarce and only recently initiated in pansori studies. However, thi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prevalence of current pansori performances in various venues including festivals and pansori performers’ concerts. After examining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of pansori post-twentieth century, this study explores representative performances garnering attention from the performing arts and pansori communities in 2023. These include performances at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the World Pansori Festival’s Pansori 20-hour Relay Project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UNESCO listing, and the K-VOX Festival held in Paris, France. These cases confirm that the various pansori performances held in 2023 shared a focus on wanchang(full-length) format performance, master, middle-aged master, young master, novice, and global performers in their planning. Such designed reinvigorated and expanded the concert performance of pansori and confirmed the performances’ effective preservation of the meaning and festivity of the pansori concert, thereby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rformers and audiences. Pansori as contemporary performing art is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sori-pan”(pansori concert), through modern planning, imbued with a contemporary imagination and performing a timely role. This study, which began with the reorganization of contemporary pansori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planning, argues the necessity of contemporary research into pansori performance studies, emphasizing the need to expand them text-centered research to the dynamics of planning,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 KCI등재

        판소리 발림과 창극 춤에 관한 상관성 연구 -판소리와 창극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김운미,이현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3

        이 논문은 판소리의 중요한 움직임인 발림과 너름새에 우리 춤의 원형이 담겨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데 있다 .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민중의 삶을 구체적으로 반영시켜 노래한 서민 예술이다. 판소리 광대는 서서 노래만 하는 것이 아니고, 연극적 동작도 하는데, 이를 ‘발림’, 혹은 ‘너름새’라고 한다. 광대는 오른 손에 부채를 들고 소리를 하면서 춤을 추거나 동작을 보여준다. 광대는 연희를 보여주는 배우로서, 소리뿐 아니라 몸짓을 통해 서도 판소리를 연기한다. ‘너름새’는 사설이 그려내고 있는 장면을 춤이나 동작을 통하여 보조적으로 보여주 는 행위이다. 판소리의 발림과 너름새에는 한국춤의 원형질이 담겨있다. 발림이나 너름새는 우리 조상들이 전 승시켜 내려온 판소리춤이다. 판소리춤에는 우리 춤의 동작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 발림과 너름새의 개념과 명창들의 이해를 점검하고자 한다. 전통 판소리를 원천으로 삼아 20세기에 들어서 새롭게 만든 음악극이 창극이다. 창극에는 판소리가 바탕이 되 지만, 음악․연기․무용이 혼합되어 있다. 소리광대와 고수 두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는 판소리는 최초의 실내극 장인 ‘희대’의 등장으로 새로운 공연형태인 창극을 만들어 내는 기반과 토대가 되었다. 판소리는 극장공연이 라는 새로운 조건을 맞아 새롭게 분창이라는 형식을 갖추면서 음악극으로 변화해갔다. 고수의 북반주만으로 진행되는 판소리공연은 극장으로 옮아오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악기가 덧붙어 수성반주를 하게 되었다. 창극의 무대는 자연스럽게 판소리의 소리뿐 아니라 배우의 연기적인 요소가 부각되고, 발림이 춤으로 변화하게 된다. 물론 배우들의 춤도 강조되었지만, 창극공연에는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용수들의 춤이 장식 적 요소로 덧보태졌다. 이제 창극은 현재의 한국전통음악극으로 발전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담고 있다. 창극은 백년의 세월을 거치면 서 전통과 근대, 그리고 미래를 지향하는 새로운 공연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창극에서 춤이 단순히 장식적인 범주를 벗어나 작품의 내용에 중요하게 기능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창극춤이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국 립창극단의 <청>, <수궁가> 등을 통하여 하나의 시도가 되었다. 이 논문은 판소리의 발림과 창극의 춤이 어 떤 방식으로 연관되어 새로운 공연예술의 지평을 넓혔는지에 대한 현단계의 점검이다. The purpose 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ory that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has its prototype in somatic gestures(Balim and Nurreumsae). Pansori is a form of performing art for the commoners in late Choson period. A Pansori performer does not just stand and sing, but he also does theatrical somatic gestures, called “Balim” or “Nurreumsae.” The performer holds a fan in his right hand, and sings ands does gestures or dances. The performer, refered as a Gwangdae, or a clown, is an actor who sings, acts and dances. ‘Nurreumsae’ aids what happens in the narrative with hand gestures. Balim and Nurreumsae has the essense of the Korean traditional choreography. Through explaining various forms and evolutions of Balim andn Nurreunsae, this study seeks to better the understanding of the master performers. Changgeuk is a 20th century creation, built from traditional Pansori. While it has its base on Pansori, it is an art form that comprises vocal music, instrumental music and dancing. A performance of Pansori is made up with a singer and a drummer, and as the first indoor theater of ‘Hee-dae’ was a stimulant to create a new form of art called Changgeuk. Pansori then took a form of musical theater, with the roles of the narratives divided into many performers. Korean instruments are needed as the background music, and elements of ‘acting’ were added to the performances in addition to simple help of the drummer. Balim then turned into a dance, choreographed and practiced. It was not only the actors who danced, but professional dancers were also utilized in performances. Modern Changgeuk is now the premier form of Korean musical theater. Changgeuk has been evolved in last hundred years, and it now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horeography in Changgeuk is not just an ornament to the musical theater, but an integral part of the performance. National Changgeuk Company’s <Cheong> and <Sugungga> shows the examples on how to utilize choreography and dances. This study checks the current status of the choreography in Changgeuk and how it diversified the art.

      • KCI등재후보

        전통 판소리의 공연학적 역사와 전망

        최혜진(Hye Jin Choi)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10

        현대의 판소리는 기존의 전통 판소리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고, 새롭게 창작 판소리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통 판소리도 역사적으로 지속적인 변화와 실험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전통 판소리가 변화된 지점과 우리 시대 판소리가 긍정적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통 판소리의 공연 양상을 시각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19세기 중반 이후 현대 판소리에 이르기까지 판소리 공연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폈다. 19세기에는 마당에서 소리꾼이 도포에 갓을 쓰고 공연을 하였으며, 부채는 희거나 붉은 부채를 들었다. 고수는 상대적으로 큰 북을 사용했으며, 북채의 끝이 둥근 모양이었다. 19세기 말경김준근의 그림에서 판소리는 방안 혹은 실내로 공연 공간이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소리꾼은 고수와 함께 공연하되 별도의 공간 구성을 하지는 않았고, 고수의 북과 북채가 현대와 비슷한 모양으로 변화되었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판소리의 무대는 극장으로 변화하였다. 소리꾼과 고수의 복장은 전통의 복식을 하기도 하였고, 단발과 두루마기로 간소화되기도 하였다. 특히 여성 명창들은 쪽머리에 흰 한복을 입는 것에서 점차 화려한 한복을 입는 것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20세기 이후 무형문화재 제도가 시작되면서, 인간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판소리는 주로 무대 위에서 마이크와 조명의 기술적 영향 하에서 연행되었다. 이러한 공연 공간, 매체의 변화 속에서 판소리의 음악성도 점차 고도로 기교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 판소리가 시대에 따라 전형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변화될 수 있었던 반면, ‘판’의 본질을 잃어버린 부분도 있었다. 이야기성이나 극성의 약화가 그것인데, 그러한 점에서 세 가지 부분에서 전통 판소리의 발전방향을 제기하였다. 먼저 판소리의 이야기성을 회복하기 위해 아니리와 재담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다음으로 새로운 더늠의 창조와 재구성을 통해 시대의 정신을 담아야 함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너름새의 확장과 연기 강화를 통해 판소리의 극적인 면을 확립해야 함을 제안했다. In modern pansori, various experiments are being made on the existing traditional pansori, and many new creations of pansori are being made. However, traditional pansori also has historically undergone continuous changes and experim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point where the traditional pansori has changed and the tasks to be positively improved by the pansori of our time. First, the performance aspects of traditional pansori were analyzed in a visual dimension. This study examines how pansori performances have changed from the mid-19th century to modern pansori. In the 19th century, in the yard, a singer performed wearing a hat on an applicator, and held a white or red fan. The drummer used a relatively large drum, and the tip of the drumstick was roun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Kim Jun-geun's paintings,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space for pansori has changed into a room or an indoor space. The singer performed with the master, but did not organize a separate space, and the drum and drummer of the master was changed to a shape similar to that of modern tim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tage of pansor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ransformed into a theater. The traditional attire of the singer and the master was sometimes simplified with a bob and a duruma. In particular, female singers changed from wearing a white hanbok with their indigo hair to gradually wearing a splendid hanbok.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began after the 20th century, pansori centered on human cultural assets was mainly performed on stage under the technical influence of microphones and lighting. It can be said that the musicality of pansori has gradually become highly sophisticated amid these changes in performance space and media. While traditional pansori could be changed over time without losing its typicality, there were also parts that lost the essence of 'pan'. This is the weakening of storytelling or polarity, and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raditional pansori was suggested in three areas. First of all, I heard that aniri(아니리) and wit should be strengthened to restore the storytelling of pansori. Next, it was argued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should be contained through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a new lyric(더늠).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dramatic aspect of pansori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expansion of neoreumsae(너름새) and reinforcement of acting.

      • KCI등재

        만정제 판소리의 전승 현황과 과제

        최동현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1 No.-

        “Manjeong-style Pansori” means the Pansori that Kim So-hui had remade and taught. They are Chunghyangga, Simcheongga, and Heungboga. The successors of Manjeong-style Pansori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part successors and full version successors. Part successors mostly studied the Pansori before 1968. However, they changed their Pansori style after they had learned Manjeong-style Pansori. Part successors are Kim Gyeong-hui, Kim Jeong-hui, Bak Cho-seon, Seong Chang-sun, Nam Hae-seong, I Il-ju, Kim Yeong-ja, Jeong Sun-im, Bak Yun-cho, Jo Nam-hui, Gang Jeong-suk, Han Jeong-ha, and Bak Song-hui. Full version successors are the students who learned any one or more Manjeong-style Pansori. They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 direct successors, and direct and indirect successors. Direct successors are Bak Gye-hyang, Sin Yeong-hui, An Hyang-ryeon, I Myeong-hui, Bak Yang-deok, Kim Dong-ae, An Suk-seon, Kim Mi-suk, and O Jeong-hae. Direct and indirect successors are Yu Su-jeong, Kim Cha-gyeong, I Yeong-tae, Jeong Mi-jeong, and Kim Yu-gyeong. The most critical factor of Manjeong-style Pansori’ succession is that there is no one who can sing all the Manjeong-style Pansories, because only Chunhyangga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Manjeong-style Simcheongga already on the edge of being severed from the line of succession. Because the Simcheongga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proper measures to facilitate Simcheongga’ regeneration are necessary. To conclude, for the successful succession of Manjeong-style Pansori, amendment and proper management of the system f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required. ‘만정제 판소리’는 만정 김소희의 판소리를 다른 판소리와 차별성을 지닌 가치 있는 판소리라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만정제 판소리’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로 구성되어 있다. 만정제 판소리의 전승자들은 크게 토막소리 전승자와 전판 판소리 전승자로 나눌 수 있다. 토막소리 전승자들은 대체로 1968년 이전의 전승자들인데, 이들은 대부분 만정제 소리를 버리고 다른 판소리를 전승하였다. 토막소리 전승자는 감소희의 동생인 김경희와 김정희를 비롯해서 박초선, 성창순, 남해성, 이일주, 김영자, 정순임, 박윤초, 조남희, 강정숙, 한정하, 박송희 등이다. 전판 판소리 전승자는 판소리를 어느 바탕이든지 한 바탕 모두 전승한 사람을 가리킨다. 이들은 직접 전승자와 직•간접 전승자로 나뉜다. 직접 전승자는 김소희로부터 처음부터 끝까지 전승한 사람이고, 직•간접 전승자는 김소희로부터 직접 배우다가 김소희가 다른 제자, 이를테면 안숙선에게 보내거나, 혹은 김소희로부터 배우는 도중 다 마치지 못하고 김소희가 작고하는 바람에 나머지 부분을 다른 사람에게 배워 완성한 사람을 이른다. 직접 전승자는 박계향, 신영희, 안향련, 이명희, 박양덕, 김동애, 안숙선, 김미숙, 오정해 등이며, 직•간접 전승자는 유수정, 김차경, 이영태, 정미정, 김유경 등이다. 만정제 판소리의 전승에서 가장 위협적인 요소는 만정제 판소리 세 바탕을 다 부르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이는 만정제 판소리 중에서 <춘향가>만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정제 판소리의 경우 <심청가>는 벌써 심각한 전승 단절의 위기에 있다.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배제된 결과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여기서 하나의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무형문화재 제도의 적절한 운용이다. 무형문화재를 ‘제’ 혹은 바디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적인 소리가 아니라, 전체를 대상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전체 소리를 온전히 전승한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부분만을 전승한 복수의 창자를 지정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사람에게 한 종목만을 지정해야 한다는 원칙을 과감히 벗어나야 한다.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의 지정 또는 변경이 불가능하다면 지방문화재를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도 있다. 올해 무형유산법이 시행에 들어가기 때문에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무형유산 조례를 제정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 시기를 활용하여 제도를 정비함으로써 만정제 판소리를 온전하게 전승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현황과 과제

        송미경(Mi kyoung Song)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등 주관 기관별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을 개관하고,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기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유형, 특징 등을 토대로 향후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문화재청 산하의 ‘무형유산 복합기관’이라 할 수 있는 국립무형유산원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을 주관했으며, 2021년 해당 사업을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이관했다. 판소리의 경우 단독으로 사업에 선정된 것은 2019년 경서도소리포럼의 ‘서도명창 박월정의 판소리 재현’뿐이며, 그 외에는 합동 공연의 한 프로그램 또는 구성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은 2021년부터 그 운영 주체가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전환되면서, 명칭도 ‘인류무형문화유산 민간 지원 사업 공모’,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 공모’ 등으로 바뀌었다. 문화재청 산하 공공기관이자, 문화유산의 전승·보급·활용을 위한 전문기관이라는 정체성을 아울러 지니는 한국문화재재단은 2022년부터 지원 분야를 ‘1. 공연/전시/체험, 2. 축제/의례, 3. 평생교육, 4. 연구과제/도서출판/학술대회, 5. ICT 및 영상 등 홍보콘텐츠, 6. 상품 디자인 및 제작’으로 확장하고 심사 배점을 수정하는 등 기존 내용과 방향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다. 이 공모에서는 판소리 종목 사업이 꾸준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경서도소리포럼, (아트플랫폼) 동화, 한국판소리보존회, 동리문화사업회의 경우 지난 3년 간 2회 그 수혜 대상이 되었을 정도이다. 주제로는 김초향, 100년 전 판소리 <춘향가>, 판소리 갈라쇼, 판소리유파대제전, 대한민국 판소리 한마당, 동리 신재효 등이 활용되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재단설립허가를 받아 전통공연예술 민간부문 활성화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확인 가능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사업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세계무형유산활용 관광자원화 사업’, 그리고 2019년부터 지속되어오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활용 공연사업’ 등이다. 명칭에서 보듯, 공연 콘텐츠 활성화에 집중하는 사업, 등재 종목 기반 우수 공연콘텐츠를 확산하는 사업 등으로 방향 전환이 있었으며, 이들 사업에서 판소리 종목 활용 사업은 전 시기 상당한 비중으로 선정에 포함되었다. ‘판소리 유파대제전’, ‘구례동편제소리축제’,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창작국악극 ‘춘향난봉가’, ‘판소리동화시리즈_안데르센’, ‘완창판소리프로젝트2_강산제 수궁가’, ‘3색 소리극 ‘흥보가 비하인드 스토리’’, ‘바로크 판소리 심청’ 등이 그 예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을 활용한 최소 35개 이상 사업 또는 콘텐츠가 3개 기관이 주관한 지원 사업에 선정·발표되어 온 만큼, 이들 지원 사업의 기여도는 분명히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동안 선정된 판소리 관련 지원 사업을 살펴보면 그 유형이 공연과 축제에 대체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향후 이를 전승공동체 활성화 또는 교육 등과 관련짓는 것도 하나의 전략적이고 의미 있는 움직임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pport projects that have been ongoing since 2014. These projects are undertaken by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jects and discusses their directions and challenges bas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pansori support project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stitute, identified as an “intangible heritage complex”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ganized the Human Intangible Heritage State Subsidy Project from 2017 to 2020. In 2021, the project was transferred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In the case of Pansori, the only item selected for the project was the “Reproduction of Pansori of Seodo Myungchang Park Wol-jeong” by the Gyeongseodo Sori Forum. Other items were included as parts of joint performances or programs. Since 2021, the Competition for State Subsidized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renamed the Competition for Private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etition for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change was prompted by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ng entity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s a public instituti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transmissio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has made significant changes in content and direction by expanding its support areas to include: 1. performances/exhibitions/experiences; 2. festivals/ceremonies; 3. continuing education; 4. research projects/book publishing/conferences; 5. promotional content such as ICT and videos, and 6.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and by revising the scoring system. In this competition, Pansori projects have been consistently received support, with organizations like the Gyeongseodo Sori Forum, (Art Platform) Donghwa, Korean Pansori Preservation Society, and Dongri Culture Business Association being selected twice in the past three years. The topics included Kim Cho-hyang, the 100-year-old Pansori ‘Chunhyangga’, Pansori Gala Shows, the Pansori Yupa Grand Festival, Korea Pansori Hanmadang, and Dong-ri Shin Jae-hyo.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is licen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function as a base for revitalizing the private sect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its officially verifiable UNESCO ICH projects include the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for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ran from 2014 to 2018, and the Performance Project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 ongoing initiative since 2019. The new project names signify a shift in focus towards revitalizing performance content and promoting exceptional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registered item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jects in the selection have utilized pansori items or offered pansori events. Examples include “Pansori Yupa Daeje Festival,” “Gurye Dongpyeonje Sori Festival,” “Seopyeonje Bosung Sori Festival,”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drama “Chunhyang Nanbongga,” “Pansori Fairy Tale Andersen,” “Wanchang Pansori Project 2 Gangsanje Sugungga,” “Heungboga Behind Story,” and “Baroque Pansori Simcheong.” As at least 35 projects or contents involving pansori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selected and announced for support projects organized by these three organizations, the contribution of these support projects needs to be clearly recog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