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라인상에서의 판결문 공개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임준규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4 Law & technology Vol.10 No.1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도 하급심 판례를 포함하 여 판결문을 공개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 기되어 왔고, 그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민사소송 법과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확정된 사건의 판결 문 등은 전자적 방법을 포함하여 판결문 등을 자유 롭게 열람 및 복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을 통하여 형사소송 판결문 등을 열람 및 복사하기 위해서는 법원명과 사건번 호, 그리고 당사자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이는 유사 판결을 검색하여 국민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취 지를 무색하게 하므로 핵심단어를 입력하여 판례 를검색할수있도록하는것이타당하다고생각한다 그리고판결문을공개하는경우개인을식별할수있는개인정보는 기술적방법등으로삭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Responding to the continuing requests for public access to court case records including lower court’s case records in Korea, free public access(by online or offline) to final judgements or decisions has been made possible by revision of Korean civil and criminal procedure law. But now, court name, case number and party name should be required for online access to the certain criminal court case record. The case search method above runs counter the purpose of the procedure law revision, which is to allow public to compare with other similar cases. Thus it is required to allow public to search cases by keywords. And it is more proper that the privacy information on court case records should be removed or changed by technological ways when court case records are open to the public. 주제어(

      • KCI등재

        판결문의 공개 확대방안에 대한 헌법적 검토

        김배원(Kim Bae-Wo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법학연구 Vol.47 No.1

        우리나라의 사법제도개혁을 위하여 2003. 10. 28. 출범한 대법원 사법개혁위원회가 사법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연구 · 검토하여 그 결과를 담은 최종 건의문을 채택하고 2004. 12. 31. 그 활동을 마무리 지였다. 이러한 사법개혁위원회의 건의문을 기초로 하여 사법제도개혁위원회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사법제도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그 가운데 판결문의 공개 확대에 대하여는 동 위원회의 계획(안)을 대법원이 구체화 하여 2006. 5. 1.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판결 비실명화 작업도 진행 중이다. 판결문의 공개 확대방안과 그 시행은 이전의 제한적인 공개현황에 비추어 볼 때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 할 수 있지만, 정보공개원칙과 재판공개원칙이라는 헌법원칙에서 바라볼 때에는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것 또는 이미 행해졌어야 할 것을 사법개혁의 이름으로 뒤늦게 구비하는 과정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특별창구를 이용한 검색 · 열람제도와 전자우편을 통한 판결문 제공제도는, 판결문 비실명화 작업의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판결문 공개 확대의 장애를 벼켜가면서 판결문의 전면적 공개라는 효과의 극대화를 노린 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의 판결문의 공개 확대 즉, 판결공개 확대 계획 (안)과 대법원의 구체적 시행내용, 그리고 판결문의 공개 확대방안들을 중심으로 헌법적 검토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판결문의 공개와 헌법원칙에 대하여 서술하고, 판결문의 공개 확대방안들을 개관한 뒤에 구체적인 판결문 공개 확대방안에 대한 문제점들을 헌법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The Korean Supreme Court's Judicial System Reform Committee was launched in 2003. 10. 28. for our judicial system reform. The Committee analysed and researched into the fundamental problems of our judicial system and adopted the final proposal for reform and finished the tasks in 2004. 12. 31. Then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drives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the judicial system reform on the basis of the proposal of Judicial System Reform Committee. Extending the disclosure of the judicial decisions which is one of the reforms that the Supreme Court embodied the proposal plan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06. 5. 1. and removing the real names in the decisions is going on. Comparing to the past restrictive disclosure, the operation of extending the disclosure of the judicial decisions deserves to be highly regarded. 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open trial, this reform is reasonable but slightly late. The decision search and reading system through special channel and the decision offering service system by email maximize the effect of complete decision disclosure, but avoid the problems of extending the disclosure of decisions, for example privacy problem. This study analyses the proposal plan about extending the judicial decisions of President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and the embodied operat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alternatives of extending the judicial decision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first describes the decision disclosure and constitutional principle, second takes a general view of alternatives of extending the disclosure of decisions, and then analyse the problems of this alternativ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 KCI등재

        판결문 공개제도와 사법부의 책무성

        최선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1

        In contrast to the democratic reform through the erasure of authoritarian past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fields sinc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judiciary maintained the institutions and practices formed during the authoritarian period even after democratization, resulting in high public distrust of the trial. Against this background, the judiciary has made efforts to post-authoritarianism in order to resolve distrust in the trial. In particular, in order to secure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the trial, it expanded the opening judicial decision, introduced the citizen participatory trial, and introduced the sentencing committee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ussion process to secure the judicial accountability by expanding the opening judicial decisions after democratization and to evaluate the results of institutional changes. 1987년 민주화 이후 정치, 경제, 사회적 영역에서 권위주의 과거청산을 통한 민주적 개혁이 진행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사법부는 권위주의시기에 형성된 제도와 관행이 민주화 이후에도 지속되어 재판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높았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 사법부 역시 탈권위주의를 위한 노력과 함께 재판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판결문 공개의 확대, 국민참여재판 제도 도입, 양형위원회 제도 도입 등의 노력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판결문 공개 확대를 통해 사법부의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 과정을 분석하고 제도변화의 결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사법부 책무성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판결문 공개 확대의 취지와 배경을 살펴본 후, 판결문 공개 확대를 위한 논의과정에서 나타난 쟁점을 분석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정리한다.

      • KCI등재후보

        판결문 공개시 비실명화작업에 대한 국가배상책임

        김홍화 ( Kim Hong-wha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영남법학 Vol.0 No.44

        현재 법조계에서는 판결문 공개에 대한 열망이 높다. 이에 맞추어 대법원은 해당등기소 등에서 여러 사업을 추진하여 비실명화작업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판결문 공개 준비를 하고 있다.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법령 및 내규에 맞추어 작업을 하고 있으나 수많은 판결문 공개작업에서 법원이 완벽하게 개인의 개인정보자 기결정권을 보호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에 관한 판결 중 하나는 국가의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였으며 또다른 하나는 피해자 특정을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손해배상청구를 기각하였다. 앞으로 가까운 시일 내에 판결문 공개가 이루어지면 관련 손해배상 청구가 증가할 것은 자명하다. 이 경우 먼저 손해 발생의 인정 여부가 문제된다. 피해자가 특정되었는지의 판단은 합리적인 일반인을 기준으로 하면 쉽게 인정할 수 있으므로 피해자 특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위 후자의 판결은 문제가 있다. 두 번째는 관련 공무원 여기서는 공보판사의 과실의 인정 여부이다. 법령 및 내규의 규정상 비실명화작업의 직무를 맡은 공무원에게는 개인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말아야 될 주의의무가 인정된다. 이를 위반한 경우 관련 공무원의 과실이 인정된다. 한편 관련 공무원의 과실을 국가의 과실로 볼 수 있는 경우 관련 공무원에게 국가배상법상의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법령상 중과실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중과실을 인정하기 어렵다. 그렇다 하더라도 위 전자의 판결처럼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여 피해자인 원고에게 적은 액수이나마 위자료를 인정하는 것은 바람직한 판결이며 법원도 이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판결문 공개작업에 만전을 다 해야 할 것이다. These days the public impassionedly demands for opening decision. Accordingly the Supreme court would be ready to open decision through such a work. By means of software system, being prepared with sincerity, it will raise doubts whether it will be perfectly ready for it or not. Nothing in this world is perfect. There are actually two decisions which one is to accept plaintiff`s claim, the other is not owing to defendant`s torts. It mean it will occur to this issue at all times. And if opening decision accomplished, the lawsuit the plaintiff demand compensation will dramatically increase. To Judge on acknowledgement to compensate, it needs occurrence of damage. Second it`s whether defendant` fault is or not. The test is that there is duty to protect victim` self-determination or not. On the base of law and bylaw, it is fully to admit to get a duty. Meanwhile in case related public servant`s act looks like country`s act, Is that possible to hold country`s responsibility on State Compensation Act. Demanding for gross negligence, it`s not possible that it is very hard to admit gross negligence. Nevertheless the recent decision it accept plaintiff`s damage is enormously meaningful and the its conclusion helps country more carefully make open decision`s works.

      • KCI등재

        사법부의 독립성 제고와 합리적 사법작용

        한상희(Han, Sang Hie)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3

        At the core of the rule of law, lies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which has been the main target of the judicial reform movement in Korean civil society. Since the democratization of 1987, Korean judiciary hasapparently acquired relative freedom from direct intervention of the political poers. It is, however, pointed out that the hierachal structure of the judiciary, where most powers are concentrated on the Chief Justice, has let most judges very vulnerable to the pressure of the senoir and/or higher judges, which means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can be infringed indirectly. Most judges, who are eager for promotion to higher position in more that 13 steps from the 'associate judge in left bench' to the Chief Justice, can't help adapting themselves to the slightest pressure of the senior judges who have the authority over personnel affair. The power holders may contact only with the heads of the courts of each jurisdiction in order to make some influence on pending trials. That is the reason why the hierarchal structure has been the main target of the judicial reform demands of the civil society. The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has been the main source of the unprecedentedly strong power of the Chief Justice, who has substantially politicalized the Korean judiciary. The Administration, which can control most judges with the authorities over personnel affairs of all the judges, and planning and budgeting, should be dramatically deconstructed into locally divided small branches of each higher courts. The jury system has been one of the most frequently demanded theme in Korean civil society for the democratization of the judiciary, where so much closed decision making conventions based on elitist and bureaucratic structure have been prevailed. With some changed in jurisdictions of the district courts and appellate procedures, it would make some solid steps toward making the judiciary more accountable to civil society. Securing people's easy access to the court records including the sentencings and/or the rulings is another requisite to more accountable judiciary. It should be reminded that the problems of privacy of the parties can't be an excuse for closing the court records from the public's eyes. Increase of judicial facilities including the judges is the most urgent task. Comparing with 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n Judiciary is one of the smallest in either size(5.4 judges in 100,000 inhabitants) and budget(19?? per capita), which has substantially reduced people's right to access to justice. 이 글은 정치부분의 민주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폐쇄적 관료체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 사법부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사법의 객관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그의 독립성·공정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오늘날 새로운 지향으로 부과되고 있는 사법의 책무성·민주성을 구현하기 위한 사법개혁의 과제들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법의 독립성이라는 헌법상의 명제에 공정성과 민주성의 요청을 부가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함에 최적으로 구성되는 사법체계를 구상해 본 것이다. 보기 드물게 강력한 엘리트주의적,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우리 사법부는 바로 그 때문에 구체적인 법원 혹은 법관의 외형적 독립은 보장되고 있지만, 모든 법원과 법관을 하나의 체제 속에서 통할하는 굳건한 중심-대법원장과 그 보좌기관으로서의 법원행정처-의 영향력은 이런 외형적 독립성의 의미를 거의 무위의 것으로 희석시켜 버리고 만다. 더구나 시민적 참여 혹은 감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왔던 폐쇄적 의사결정구조는 사법부를 정치권력 혹은 경제권력에 취약한 것으로 만들 뿐 아니라 사법작용 그 자체에 대한 국민 일반의 불신을 야기하게 되어 법치의 실패는 물론 남상소로 인한 법원운영의 비경제성까지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글은 계층적 인사제도의 철폐 및 법조일원화의 실현, 고등법원과 지방법원인사의 분리, 하급심의 강화, 배심제도의 도입 및 판결문의 완전한 공개, 법원행정처의 해체 및 법원과 법관 등 사법자원의 양적 확대를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내러티브·스토리텔링으로서의 법조윤리

        송시섭(Song, Si Seob)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먼저 내러티브 · 스토리텔링으로서의 법조윤리가 무엇이며, 또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검토하고, 나아가 미국의 법조윤리에서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들을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의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보았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법조윤리 관련판례를 내러티브화하기 위한 방향도 제시해보았다. 한계로서는, 사건에 대한 자세한 사실관계가 판결문상의 ‘사건 그 자체’에 국한되고, 그 전후의 사정 등을 알 수 있는 2차 자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둘째로 위 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당사자들의 역동적인 삶의 모습들이 드러나야 할 것이나, 국내 신문기사와 판결을 통해서는 이러한 요소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 셋째로 법조윤리적인 쟁점들에 대한 토론의 장에 소송을 직접 수행한 변호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등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으로는 우선, 판결문의 제한적 · 선별적 실명화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둘째로는, 판결문상에 사실관계의 전후사정이 자세히 기재되도록 사실인정부분의 서술을 확대하는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마지막으로는 법조윤리를 가르치거나 연구하는 학자들이 사실관계의 이면을 파헤치는데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defining the meaning of legal ethics as narrative and storytelling. Reconstructing the court’s case into story and narrative for the purpose of more efficient storytelling about legal ethics has been tried. And also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better storytelling of decision are reviewed. Relating to the limitations, first of all, full factual information can not be found in the text of court’s decision and second materials for more details are not sufficient. Secondly, persons involved with case do not disclose information to the public. Thirdly, attorney representing the case does not want to reveal the story. For improvements, the first to be noticed is the process of publicizing the court’s decisions under the protection of privacy. Judges presiding and writing the decisions have to try to describe the case with more details. Lastly, scholars and professors have to analyze the court’s decisions more diligently and more deeply.

      • KCI등재

        이명박 정부 하에서의 사법개혁작업 논의과정과 그 평가

        신평(Shin, Pyu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4

        한국의 사법제도는 외관에 있어서는 다른 외국의 것에 비하여 크게 손색이 없다. 오히려 그 효율성에 있어서는 커다란 경쟁력을 갖는다. 이는 세계은행이 발표한 ‘기업환경평가보고서’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2009년의 위 보고서에서 사법시스템의 효용성에 직결되는 ‘계약의 강제이행’ 부문에서 무려 세계 5위에 랭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려한 외관의 꺼풀을 조금 벗겨나가면, 우리는 국민들의 강한 사법불신과 만나게 된다. 특히 ‘전관예우’라는, 우리 사회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는 엄정무사해야 할 사법권의 행사와 본질적으로 상충하는 의미를 갖는다. 바로 이 단어의 잦은 사용이야말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뿌리깊은 사법불신의 실증적 예이다. 사법불신을 바탕으로 해서 전개된 사법개혁의 작업은 한국의 민주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김영삼 정권에서부터이다. 그리고 노무현 정권에 이르러서 이것은 일단 완성을 보게 된다. 그것은 모두 정권의 파워 엘리트들이 강하게 그 과정에 간섭하며 이루어졌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여전히 국민들의 사법불신은 강하고, 따라서 사법개혁은 또다시 요구되는 실정이다. 현재의 보수적인 이명박 정권은 ‘법과 질서의 확립’을 국정의 가장 큰 과제로 삼아 출발하였는데, 이는 법집행의 흠결을 지적하며 그 개선을 요구하는 사법개혁과는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지난 사법개혁의 역사에서와는 전혀 다르게 이번에는 정권이 아닌, 국회에서 먼저 사법개혁의 움직임이 시작하였다. 그리고 대법원이 이에 자극을 받아 새로운 사법개혁의 안을 내놓았다. 국회의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회는 법원관계법 심사소위원회, 검찰관계법 심사소위원회, 변호사관계법 심사소위원회의 3개 소위원회에 작업을 분장시켰다. 대법원은 국회에서의 의제를 참작하며, 상고심사부의 도입, 법조일원화, 1․2심 법원 이원화, 판결문의 공개 등의 안을 먼저 내놓았다. 국회는 대법원의 안에 대하여 원론적인 부분에서의 찬성을 표시하고 있으나, 다만 상고심사부의 도입보다는 프랑스와 독일의 대법원 조직운영을 참고하여 대법관의 증원을 꾀하고 있다. 사법개혁에 관한 안은 어느 쪽에서 추진한 것이건, 국회에서 입법화되어야 그 성과를 낼 수 있다. 법원관계 개혁안은 여하튼 어떤 형식으로든 조만간 결론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안, 검경수사권의 조정안등처럼 첨예한 정치적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검찰관계 개혁안은 앞으로도 난항을 거듭할 것으로 본다. 전관예우의 금지 등을 시도하는 변호사관계 개혁안은 큰 정치적 이슈가 없는 이상 국회에서 원만한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데 과거 대법원이 주도적으로 관여해온 사법개혁은 사실은 개혁의 대상이 되어야 할 곳에서 개혁의 주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우선 비판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국민의 대표로서 사법개혁을 추진할 가장 적합한 기관인 국회가 이번에 나서 사법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그 성과가 제대로 나지 않고 과거 대법원이 추진한 것만큼도 못하다면 이는 아주 불행한 선례로 기억될 것이다. We could say the Korean judicial system is not inferior to those of other nations. In some meanings, especially in the part of effectiveness or compatibility, the Korean judicial system has many prominent merits. For example, 'The Report of Doing Business 2009' surveyed by IBRD said Korea ranked 5th among 183 nations in the section of 'Enforcing Contract', which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effectiveness of judicial system. It's a amazing accomplishment of a country to have an experience of some 60 years of administrating modern judicial system. But this gorgeous appearance does not last long if we begin to look into the details of Korean judicial system. At first, the judicial-distrust by people has come to the critical point. The word of 'Once Official-to-be-Merited', which means that if a lawyer once worked for courts or prosecutions, he will be benefited from courts and prosecutions working his job, is symbolizing the dangerous distrust situation. Many persons have thrown doubts on judicial procedures, particularly on the aspect of fairness, which is the true nature of judicial system. In Korea the work of democratization had been energetically pursued after President Kim, Yeongsam inaugurated in 1993 till President Noh, Muhyeon quitted in 2008, during which judicial reforms had been done as an essential agenda for democratization. However, the current conservative government led by President Lee, Myeongbak have represented no interest in judicial reform. but we can't say that there has been no needs for judicial reform these days. In the contrary, the Korean unicameral Parliament begun to speak of judicial reform. It initiated firstly, the special committee for judicial reform, which comprised 3 sub-committees, namely, sub-committee for reviewing laws related to the courts, sub-committee for reviewing laws related to the prosecutions, sub-committee for reviewing laws related to lawyers. The Korean Supreme Court proposed the outlines of judicial reform propositions limited to the court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committee in Parliament, which included ① The panels in appellate courts reviewing appeals to Supreme Court, ② The system of nominating judges in the pool of experienced lawyers and prosecutors, ③ The dual system between the first trial courts and the appellate courts, ④ The publication of judicial decisions and so on. The special committee for judicial reform in Parliament has suggested some proposals for judicial reform regarding to courts, which are in line with Supreme Court's suggestions, that overall not contradicts against Supreme Court's suggestions but in one point, that is, the proposal of the panels in appellate courts reviewing appeals to Supreme Court, the committee strongly disagree, instead of that the committee proposed the increase of Justices, by which it claims the Supreme Court can manage the disposal of the increased number of cases. But anyway, we could say a cautious prospect of an agreement on some important points of judicial reform with regard to courts relating laws and lawyers relating laws, the latter of which has no serious political points. Nevertheless, we have a gloomy prospect for the prosecution reform, which involves politically critical interests crush, for example in initiation of the agency for investigation against high ranking officials independent from the prosecution and the adjustment for the decision of main body of investigation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So we might say that the first attempt of the Parliament in the history of the judicial reform in Korea might not be the full grade of success.

      • KCI등재

        내러티브⋅스토리텔링으로서의 법조윤리

        송시섭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먼저 내러티브⋅스토리텔링으로서의 법조윤리가 무엇이며, 또한 어떤 의미 를 가지는가를 검토하고, 나아가 미국의 법조윤리에서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들을 내러 티브와 스토리텔링의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보았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법조윤리 관련판례 를 내러티브화하기 위한 방향도 제시해보았다. 한계로서는, 사건에 대한 자세한 사실관계가 판결문상의 ‘사건 그 자체’에 국한되고, 그 전후의 사정 등을 알 수 있는 2차 자료들이 존재 하지 않는다는 점, 둘째로 위 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당사자들의 역동적인 삶의 모습들 이 드러나야 할 것이나, 국내 신문기사와 판결을 통해서는 이러한 요소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 셋째로 법조윤리적인 쟁점들에 대한 토론의 장에 소송을 직접 수행한 변호사들이 적극적 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등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으로는 우선, 판결문의 제 한적⋅선별적 실명화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둘째로는, 판결문상에 사실관계의 전후사 정이 자세히 기재되도록 사실인정부분의 서술을 확대하는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마지막 으로는 법조윤리를 가르치거나 연구하는 학자들이 사실관계의 이면을 파헤치는데 보다 적극 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 This article focuses on defining the meaning of legal ethics as narrative and storytelling. Reconstructing the court’s case into story and narrative for the purpose of more efficient storytelling about legal ethics has been tried. And also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better storytelling of decision are reviewed. Relating to the limitations, first of all, full factual information can not be found in the text of court’s decision and second materials for more details are not sufficient. Secondly, persons involved with case do not disclose information to the public. Thirdly, attorney representing the case does not want to reveal the story. For improvements, the first to be noticed is the process of publicizing the court’s decisions under the protection of privacy. Judges presiding and writing the decisions have to try to describe the case with more details. Lastly, scholars and professors have to analyze the court’s decisions more diligently and more deeply.

      • 개인정보 보호법의 제문제

        구태언(Taeeon Ko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2 법학평론 Vol.3 No.-

        대한민국은 단시간에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이로써 우리는 ‘항상 온라인에 접속한 삶(always connected)’을 살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들은 “개인정보 유출 및 명의도용”을 인터넷 기반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며 우려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관련 법령의 규율범위가 정보통신망, 의료, 금융 등으로 한정되어 있어 입법적 공백이 많아 개인정보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일반법인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정되어 2011. 9. 30.부터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개인정보 보호법은 약 350만 개의 공공기관, 사업자, 각종 비영리단체, 개인 모두를 규율대상으로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입법적 공백 자체는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외국 입법례와 달리 우리나라는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개별법을 존치시킨 관계로 규범간의 충돌, 집행기관 사이의 권한배분 문제 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유권해석·재판례 등이 충분히 축적되지 못하여 법의 해석·적용· 집행에 있어서 상당한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개인정보 보호법이 법조계는 물론이고 사회 전체의 관심을 받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세간의 관심이 유독 개인정보 유출과 기업이미지 하락, 집단소송을 통한 손해배상 정도로 한정되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특정 사건이나 주제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보다는 개인정보 보호법과 관련하여 그 동안 실무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여러 사례들을 개인정보 보호법 조문 순서에 맞춰 개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개인정보 보호법이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중요한 법인지를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In Korea, the world’s highest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as been built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we are now living ‘the life of always connected to the online’. But the citizens are recognizing and worrying ‘personal information leak and identity theft’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the internet based society. Befor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was legislated, the range of regulation of related laws was limited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field, the medical field, and the financial field. To solve this problem, the PIPA was established and was enforced from Sep. 30, 2011. Now all about 3.5 million of public institution, business operator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e in the range of regulation of PIPA, and now the gap of regulation has been almost reduced. But because the specific laws remain in Korea - different from the foreign legislation cases,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such as conflicts between the specific laws, problems of distribution of the authority, and also lack of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and judicial precedent brings considerable confusion to the interpretation,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law.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entire society, including the legal field, is now interested in the PIPA with continuous occurrence of the big personal information leak affairs, but it is very regrettable that the main public concern is limi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leak issues, the damage of the company’s image, and the group damage suit. So this document contains some case reviews in the sequence of the PIPA provisions rather than in-depth discussion of the specific cases or specific subjects, and we can recognize why the PIPA i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ves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