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통치자의 초상화에 나타난 인간의 권력 : 티치아노의 "황제 카를 5세"를 중심으로

        고종희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7

        본 고의 연구 목적은 티치아노가 그린 카를 5세의 4편의 초상화를 통해 작품의 도상학적 의미와 유래, 그리고 이들 작품에 담겨 있는 정치적의미 및 회화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티치아노는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로서 그 시대의 통치자를 비롯한 절대 권력자, 귀족, 사회 지도층등의 초상화를 다수 제작하였다. 역사적으로 초상화가로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명성은 바로 티치아노가 누렸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가 제작한 많은 초상화 중에서 카를 5세를 모델로 하여 그린 4점의 초상화는 두 가지 점에서 흥미롭다. 첫째는 이들 네 작품이 당대 최고의 세속 권력자이자 통치자인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기획적이고 의도적으로 그렸다는 데에 있다. 둘째는 이들 네 작품은 흉상, 입상, 기마상, 좌상으로서 바로 이들 네 유형이 후대까지 전해지는 통치자 초상화의 전형이 되었다는 점이다. 통치자의 초상화는 단순한 인물화가 아니라 이미지가 곧 국가를 상징케 하는 정치적 의도의 산물이므로 고도의 계산된 이미지 조성 작업이 필요하다. 모델의 이미지가 지나치게 구체적으로 표현되면 인간의 존재가 강조되므로 국가를 상징해야 하는 절대자의 모습에 적절치 않다. 반면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그려지면 대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게 되므로 제작의도 및 기능에 충실할 수 없게 된다. 이 두 경계 사이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며, 그야말로 고도의 계산된 기술과 예술적 심미안이 필요한 분야가 바로 통치자의 초상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후대까지 전해진 통치자초상화의 개념은 16세기 티치아노와 라파엘로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 두 화가는 통치자 초상화의 이상적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중 티치아노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들이 바로 황제 카를 5세의 초상화이다. 티치아노가 그린 초상화들은 후대에 수없이 많이 그려진 통치자 초상화의 전형이 된다는 점에서 역사적 중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비록 내용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이 있겠으나 통치자 초상화의 개념과 그 출발점이 되는 작품들을 분석하였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Il ritratto italiano del Cinquecento ha una vicenda complessa. Tra i diversi tipi di ritratti nasce it cosidetto Ritratto di Stato di cui i modelli furono i capi di uno stato, quali i papi, i sovrani, gli imperatori e i principi. I carratteri peculiari di questi ritratti rispetto ai ritratti precedenti furono diversi: uno dei aspetti diversi fu la nuova dimensione del quadro the fu pin grande rispetto alle opere eseguiti precedente. Nel ritratto di Stato it soggetto fu rappresentato in modo da far risaltare it carattere pubblico del personaggio che simboleggia to stato stesso che egli dominava. Si tratta di mettere in evidenza i segni dell'esercizio del potere, nelle vesti, negli attribuiti, nella posa, nell'espressione del volto ect. Tra i pittori pill importanti del Cinquecento, Raffaello e Tiziano furono i due fondatori dei tipi del Ritratto di Stato. I due ritratti di Raffaello, quali "Giulio II" e "Leone X e I due cardinali" furono i primi esemplari del ritratto di stato in cui sono espressi la dignity del personaggio e lo scopo politico. Nel "Giulio II" il papa a rappresentato seduto, imponente, su un poltrona, la figura non e mezzo busto ma tagliata sotto le ginocchia, una formula che deriva dai quadri religiosi. It pontefice non guarda spettatore ma to sguaro e fisso verso il basso. Questo formula accentua le caratteristiche di monumentality del dipinto che colpi Tiziano, che aveva copiato ii quadro di Raffaello, "I1 papa Giulio II". Il Ritratto di Raffaello fu un punto di partenza per it Ritratto di stato di Tiziano. Tiziano ha dipinto una centinaia di ritratti di personaggi contemporanei di cui molti furono i capi degli stati italiani ed europei. Tra i ritratti eseguiti da Tiziano it personaggio pill importante fu t'imperatore Carlo V dell'Impero Sacro Romano. Tiziano ha eseguito 4 ritratti per questo sovrano. Le opere sono, "Carlo V armato" "Carlo V in piede" "Carlo V a Melberg in forma equestre" ed infine "Calo V seduto a figura intera". Questi 4 ritratti furono diventati gli esemplari del Ritratto di Stato per t'intera 1'Europa fin dal Cinquecento fino a nostro tempo. In quest'articolo ho anatizzato 4 Ritratti di Stati dipinto da Tiziano per Carlo V, dimostrando i significati nascosti nelle immagini ed i problemi dell'iconografia. Infine ho dimostrato la capacity artistica di questo grande artista del Cinquecento e l'importanza delle sue opere nella Storia dell'arte Europea.

      • KCI등재

        티치아노의 〈나에게 손대지 말라〉 연구

        양윤정(Yang YoonJung) 서양미술사학회 201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3 No.-

        Titian’s Noli me tangere, which is currently possessed by the National Gallery in London, is presenting the dramatic scene in the Gospel of John. Compared with previous or contemporary paintings in Rome and Florence with same theme, it is very unique in terms of iconography and composition. Since the middle ages, ‘Noli me Tangere’ had been treated as a major theme of Christ’s resurrection. Mostly, resurrected Christ wearing toga or shroud (sometimes carrying a hoe in his hand) rebuffed Mary Magdalene who was about to approach to Jesus Christ with full of joy. However, the way Titian painted this subject was far from the traditional iconography and composition. Christ with nudity takes a dramatic gesture toward Mary Magdalene, gazing directly and tenderly into her eyes. Titian’s Noli me Tangere reflects the religious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Venice. Titian executed this painting to represent venetians who endeavor to overcome all difficulties of Venice with sincere piety.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theme and iconography of this painting, it is indispensable that we consider the context of complex situations of Venice in early sixteenth century. The League of Cambrai, including Roman Papal State, France, Milan, Spain, Holy Roman Empire, delivered a containing attack against Venice to obstruct venetian expansion. As a result, most of terraferma in Venice such as Padua, Brecia and Bergamo were lost. Furthermore, conflagration in Rialto, famine and black plague made the city even worse. In 1509, Roman Pope, Jullius II, finally excommunicated Venice from the Catholic Church. Isolated venetians were engrossed in their own religious activities like grand processions or liturgy dramas. Originally, liturgy drama was designed to make the new baptized or illiterate Christians understand the biblical contents better and easier. In liturgy drama, Christ was given a new character as not an austere teacher but a tender adviser or guider. In Titian’s painting, Christ is representing this new character of Christ. Titian took one more step forward to further, presented Christ with nudity. Body of Christ(Corpus Christ) had been core in incarnation theology, reminding Christ’s sacrifice and Eucharist. Especially, Christ as young nude male had been shown of humanity of Holy Son. In the period of Cambrai League, strong doubts were expressed in Venice and venetians tried to purge themselves from sinful lives by following incarnation theology. Incarnation theology, also, influenced in venetian renaissance paintings that describe the moment of Christ’s resurrection, such as Giovanni Bellini and Jacopo Tintoretto. Titian’s Noli me Tangere functioned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atholic dogma and Christ’s new character in liturgy drama. The innovative iconography and its composition perfectly fit into these contexts. In sum, iconography and composition of Noli me Tangere are results of re-construct to fit into the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 in early sixteenth century Ven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티치아노 롯시의 시세계: 최근의 세 작품, "Il Movimento dell Adagio", "Pare che il Paradiso", "Gente di Corsa"에 대한 소고

        젬마고리 ( Gemma Gori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2 지중해지역연구 Vol.4 No.2

        티치아노 롯시는 1935년 밀라노에서 태어나, 대학을 마치고 줄곧 그곳에서 생활해오며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는 문학 비평과 문학사, 언어학, 시의 출판사업에 이르는 다양한 방면에서 정력적인 문학 활동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1963년에 첫 시집을 발표한 이래로 "롬바르디아 계열"의 시인으로 분류되는 시인의 여러 작품들 중에서 가장 최근의 작품집, 1993년의 "Il Movimento dell` Adagio"과 1993년의 "Pare che il Paradiso" 그리고 2000년의 "Gente di Corsa"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2002년 3월 부산외국어 대학교에서 있었던 초청강연회에서 이루어졌던 시인과의 만남과 그 뒤로 시인의 시세계를 주제로 나누었던 서신들이 계기가 되어 가능할 수 있었다. 시인은 그의 작품들의 영원한 주인공들인 인간들을 끊임없이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관조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인간들은 자신들의 편의에 따라 만들었으나 동시에 자신들을 얽매고 도덕적으로 타락시키는 규범들에 사로잡힌, 빈 껍데기로 전락해버린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또한 인간들에게 돌이킬 수 없이 가혹한 벌을 내리는 세월의 흐름을 잊기 위해서는 옛날을 회상하고 잠시 숨을 돌리며 숙고함과 동시에 분주한 현실생활로부터 물러설 수 있는 미덕이 필요함을 이야기하며 이렇기 때문에 노인들과 병자들, 그리고 아이들만이 이러한 함정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유일한 개체로 보고있다. 노인들과 병자들은 어쩔 수 없이 소외되고 시간적인 제약을 받기 때문에 현실생활과 동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결국 이들은 시간이 많아지고 잠시 여유를 가지고 과거를 떠올릴 시간을 가지게 되고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아이들은 어른들의 시간 밖에서 생활한다. 어른들이 자신들이 만들어 놓은 규범들 속으로 아이들을 억압하려 하지만 아이들은 아직 "모든 것이 자신들의 권한 밖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시간의 흐름에 버틸 수 있는 것이다. 시인은 시집 "il Movimento dell` Adagio"를 통하여 주로 노인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즉, 노인들의 전형적인 기다림의 시간을 표현하고 있다. "Pare che il Paradiso" 역시 같은 개념에서 출발하였으나 순응주의에 곪은 인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인간 무리들에게 천국은 아직까지 오지 않은 것으로 현재일 수도 있고 앞으로 올 수도 있지만 계속되지는 못하는 그 어떤 것이다. 2000년도 비아렛죠 수상을 계기로 "삶 속의 사람들"이라는 한국어 제목으로 번역되어 소개된 "Gente di Corsa"는 시인의 최근 작품이다. 이 작품 역시 전작들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주로 아이들과 청소년, 중년으로 이루어진 가공 또는 실존 인물들을 그리며 다시 한번 자신의 비극적인 세계관 속으로 우리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아이들과 소년들, 어른들은 일자리,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얻기 위해 그리고 무(無)를 향한 계속되는 투쟁 속에서 그려지고 있다. 시인은 그릇된 가치관으로 왜곡된 인간성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있으나 자신 역시 이러한 범주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그의 평가는 잔인하지 않으며 포옹력과 인간미를 갖추고 있다. 결국 작가의 생각으로 우리들 각자의 내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아에 대한 탐구 속에서만 가능하다고 믿고있는 해결책에 대한 희망을 독자들에게 불러 일으키고 있다.

      • LA POETICA DI TIZIANO ROSSI : una breve prospettiva tematica delle sue ultime raccolte: Il Movimento dellAdagio, Pare che il Paradiso e Gente di Corsa 최근의 세 작품, “Il Movimento dell' Adagio”, “Pare che il Paradiso”, “Gente di Corsa”에 대한 소고

        Gori, Gemma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2 지중해지역연구 Vol.4 No.2

        티치아노 롯시는 1935년 밀라노에서 태어나, 대학을 마치고 줄곧 그곳에서 생활해오며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는 문학 비평과 문학사, 언어학, 시의 출판사업에 이르는 다양한 방면에서 정력적인 문학 활동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1963년에 첫 시집을 발표한 이래로 "롬바르디아 계열"의 시인으로 분류되는 시인의 여러 작품들 중에서 가장 최근의 작품집, 1993년의 " Ⅱ Movimento dell' Adagio"과 1993년의 "Pare che il Paradiso" 그리고 200년의 "gente di Corsa"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2002년 3월 부산외국어 대학교에서 있었던 초청강연회에서 이루어졌던 시인과의 만남과 그 뒤로 시인의 시세계를 주제로 나누었던 서신들의 계기가 되어 가능할 수 있었다. 시인은 그의 작품들의 영원한 주인공들인 인간들을 끊임없이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관조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인간들은 자대한 그의 평가는 잔인하지 않으며 포옹력과 인간미를 갖추고 있다. 결국 작가의 생각으로 우리들 각자의 내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아에 대한 탐구 속에서만 가능하다고 믿고 있는 해결책에 대한 희망을 독자들에게 불러 일으키고 있다.

      • KCI등재

        티치아노 베첼리오의 <참회하는 막달라 마리아> 연구

        김보연 미술사학연구회 2012 美術史學報 Vol.- No.38

        The Penitent Mary Magdalene(c. 1530) was commissioned from Titian (Tiziano Vecellio, c. 1485-1576) by Federico Gonzaga as a gift to Vittoria Colonna. The work is based on the legend of Mary Magdalene living a reclusive life of penitence in the wilderness. Traditionally, the image of Mary Magdalene against a background of wilderness was intimately related to the culture of worshipping h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herefore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itian’s work within the context of this culture of worship. The ultimat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k, as deduced by this interpretation, within the context of Colonna’s personal faith, taking into account that it was in fact Colonna who ordered the work. Unlike previous depictions of Mary Magdalene, which showed her as an ascetic who had long been living in reclusion, Titian’s work portrays a young and attractive woman. This sensual depiction can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artistic trends in the early 16th century. Works on worldly themes were popular during this period, and female bodies were painted in a sensual manner. Unlike other works of the time, however,which placed emphasis only on images that recalled Mary Magdalene’s past as a prostitute, Titian’s saint appears as a penitent welling up with emotion,as can be seen in her brimming tears, blood shot eyes, heavenward gaze and half-open mouth. Titian, while accommodating contemporary artistic trends by depicting Mary Magdalene as a sinner, also presents her as a paragon of penitence for salvation, by infusing her with inherent and fervent penitential emotion. The coexistence in Titian’s work of Mary Magdalene’s twin aspects of sinner and peniten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ainting’s icon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absence of the angel motif that traditionally implies the climax of Mary’s period of meditation in the wilderness suggests that Titian’s Mary is at an early stage of this period. Mary’s tears, too, which symbolize the moment she repents of her sins, indicate that Titian has portrayed the very beginning of her penitence. Titian himself also said that he had painted Mary on the first day of her penitence in order to depict her in a more charming form. This tells us that Titian intended to paint Mary Magdalene in a form closer to that of a sinner than of a penitent saint who had overcome her sins. It was also his intention, however, to show that Mary was experiencing the virtuous emotions of penitence by giving her the facial expression of a saint. Those viewing the painting in the 16th century,moreover, would probably have seen the virtue of a penitent in the saint’s sensual beauty, due to the ideology of Ficino whereby physical beauty is the product of a sacred min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ts time, ultimately,Titian’s Mary Magdalene can be regarded as the ideal image of a “sacred sinner.”It appears that Titian intended to present Mary Magdalene as an evangelist of hope for salvation, by portraying her as a “sacred sinner.”Traditionally, Mary Magdalene, as a perfect model of penitence, played a role of delivering hope to all sinners that they may attain salvation. She was especially revered among married women, widows and prostitutes, due to the legend that her sins were of a sexual nature. This belief in Mary Magdalene continued until the 16th century. Moreover, Colonna, who ordered the work, as a once married woman, took Mary Magdalene, a sexual sinner and a spiritual guide to prostitutes, as her role model. Titian’s Mary Magdalene, appearing as a repenting sinner, would therefore have been a powerful source of hope to Colonna. Colonna would have felt a sense of kinship with the saint manifested as a sinner; seeing this image would have made her want to emulate the saint and achieve salvation through penitence. The fact that Colonna took Titian’s Mary Magdalene as her model andused the work to galvanize her piety allows us to...

      • KCI등재

        조반니 바티스타 모로니의 후기 초상화에 구현된 자연주의에 관한 재고

        이지연(Lee, Jiyeo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자연주의’는 알비노 출신의 화가 조반니 바티스타 모로니(c. 1520/24-1579/80)의 작품을 평가하는 핵심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그는 트리엔트와 베르가모를 오가며 초상화가로서의 입지를 다진 후, 1560년부터 고향에 정착하여 지방 귀족부터 부르주아 계층에 이르기까지 사회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초상화들을 제작하였다. 그의 후기 초상화들을 관찰해보면, 단순명쾌한 구성과 함께 베르가모의 귀족 초상화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수사학적 장치는 사라지고 그림의 구도에 변화가 있음이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화가는 트리엔트에 남긴 초상화에서처럼 인물을 충실히 기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의 몸가짐에 초점을 맞춰 품격을 높이는데 주력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본 〈티치아노의 스승〉(c. 1575)에서 불편함을 숨기고 ‘태연한’ 자세를 취한 주인공의 모습은 당대 이탈리아의 궁정과 귀족사회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던 행동양식인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의 스프레차투라, 즉 ‘무기교의 기교’를 직간접적으로 접하며 자연스럽게 익힌 관습과 결부되어 해석될 수 있다. 신흥계층의 행동양식이 궁정사회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고려할 때, 모델의 세련되고 절제된 몸가짐을 귀족문화의 사회적 규율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가능해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모델은 즉흥적이지 않은 귀족적 포즈를 취함으로써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위상을 한층 더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요컨대 모로니의 자연주의는 반종교개혁의 정신 아래 전개된 사실주의와 귀족사회의 이상주의를 종합화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역설적인 결과로 귀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모로니의 자연주의 초상화가 내포하는 형식적 역설과 내재적 모순은 무엇인지 사회학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Naturalism has become a fundamental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works of Giovanni Battista Moroni (c. 1520/24-1579/80). Having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a portraitist in Trento and Bergamo, he settled down in 1560 in his native Albino and began portraying the sitters of varying status who ranged from local nobleman to bourgeoise. Almost all of Moroni’s late portraits, unlike his aristocratic portraits in Bergamo, show a simplified compositional formula at the expense of rhetorical expressions. Moroni would aggrandize the dignity of his sitters rather than faithfully recording them as in his Tridentine portraits. The subject’s nonchalant pose in Titian’s Schoolmaster (c. 1575) reveals the manners Moroni had acquired through direct or indirect exposure to Baldassare Castiglione’s sprezzatura or artless art. To the members of the emerging class, who were eager to follow the behavioral norms of the court society, their portrayal in naturally aristocratic pose gave a sense of elevated status. However, Moroni’s naturalism led to paradoxical results in the process of synthesis between realism under the spirit of the Counter Reformation and idealism of the aristocracy. Thus, this study examines from a sociological viewpoint the formal paradox and inherent contradiction in his portraits from nature.

      • Tiziano의 회화를 통한 베네치아미술의 이해

        허정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논문집 Vol.6 No.-

        Titian Vecellio (1487~1575) is considered to be the greatest artist in sixteenth century Venetian art. The earlier paintings of Titian show the remarkable influence of Giovanni Belini and Giorgione. As a pioneer of Baroque style, Titian is also a forerunner of artists in the seventeenth century such as Peter Paul Rubens and Rembrandt Harmensz. Succeeding the technique of oil painting of Flanders artists, Titian established the pictorial colourism in Venice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sculptural formalism in Florence. It is in the technique of expressing colour that Titian's paintings are highly appreciat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ssue of colour in Venetian art especially through Titian's work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