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극특허 정보를 이용한 기술혁신 역량의 국제 경쟁력 분석 -원자력 기술 사례-

        이태준,권찬용,김익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in the field of nuclear technology using triadic patent information. Triadic patents in the field of nuclear technology produced for 21 years from 1995 to 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national level in terms of technical competitiveness, market competitiveness and integr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riadic patent performance and domestic demand size. The empirical results find that the integr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of nuclear triadic patents,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s highly related to the market competitiveness measured by quantitative activity and has low relation to the technical competitiveness measured by patent citation. In addition, domestic demand size was highly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This result implicates that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case of nuclear technology,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triadic patent should be improved first as well as the citation of the triadic patent along with fostering domestic market. This paper notes this result comes mainly due to the large and complex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nuclear technology. 본 논문에서는 삼극특허 정보를 이용해서 원자력 기술 분야의 국가별 국제 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1년 동안 생산된원자력 기술 분야의 삼극특허를 국가 단위에서 조사·분석하여, 기술 경쟁력과 시장 경쟁력 그리고 통합적인 기술혁신 경쟁력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삼극특허 성과와 수요 규모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원자력 삼극특허의 통합적인 기술혁신경쟁력이 양적인 활동도로 측정된 시장 경쟁력과는 높은 관련성을, 특허 피인용도로 측정된 기술 경쟁력과는 낮은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국내 수요규모가 삼극특허의 총체적인 기술혁신 경쟁력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원자력 기술의 경우에 기술혁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삼극특허의 피인용도뿐만 아니라 양적인 성과를 우선적으로 높여야 하고 또한국내 시장도 육성되어야 함을 암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원자력 기술의 대규모적이고 복합적인 기술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기술경쟁력 분석

        김대기(Dae-gi Kim),이필우(Pill-woo Lee),김재성(Jae-s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1

        우리나라 정부는 최우선 국정운영 전략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하면서, ‘국민 행복과 희망의 새 시대 실현’이라는 비전달성을 위해 범정부차원에서 다양한 실천방안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가치 있는 지식재산으로 창출한다는 점에서 지식재산은 창조경제의 핵심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재산 중 대표적인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주요 5개국의 기술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기술경쟁력 분석을 위한 평가항목으로는 기술활동력, 특허경쟁력, 시장확보력, 특허집중력을 설계하였으며, 특허출원건수, 패밀리특허 수, 삼극특허 수, 특허집중지수를 평가요소로 반영하여 배점하였다. 분석대상 기술로는 KISTI에서 발표한 미래기술백서 2013의 미래기술 500선에 선정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주요 세부기술인 열전, 압전, 태양광 소자를 이용한 기술로 분류하여 각 세부기술별 각 세부기술별 특허정보를 조사?분석하여 기술경쟁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국이 열전소자와 압전소자 이용기술에서 75점, 70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태양광 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서는 일본(90점)이 1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은 압전과 태양광 소자를 이용한 분야에서 2위를 차지하였으며, 열전소자를 이용한 기술에서는 5위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five major countries by using patent information that is typical intellectual property. Technological activity, patent competitiveness, market securement and patent concentration were designed as evaluation items for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alysis, an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amily patents and triad patent families, and the paten concentration index were reflected as evaluation factors to be scored. For technologies to be analyzed, it referred to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selected as 500 future technologies in the future technologic white paper 2013 published by KISTI. They were classified into technologies using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and photovoltaic elements, which are main detailed technologies of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to investigate and analyze patent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technology to understand their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e United States ranked top with 75 and 70 points in the technology using thermoelectric and piezoelectric elements respectively, and Japan ranked top with 90 points in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using photovoltaic elements. It was analyzed that Korea held the second rank in the field using piezoelectric and photovoltaic elements, and the fifth in the technology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특허분석을 통한 사물인터넷 국가경쟁력 비교 연구

        최승우,유은,김영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 국가별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경쟁력 지수를 개발하였다. 국내외 기관에서 발표한 기존 경쟁력 지수 연구 및 국가별 역량 평가는 정성적인 면에 치우쳐 있으며, 기준이 일관적이지 않아 국가 별 비교가 어렵다. 본 연구는 OECD의 오슬로 매뉴얼에서 제시한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기반 요인, 과학 기술 요인, 확산 요인, 혁신 동력 중 특허를 과학 기술 요인의 한 변수로 활용하였다. 사물인터넷 특허 네트워크로는 국가별 중점 분야 및 최근 트랜드를 살펴보았으며, 특성지표로는 특허의 기술성, 시장성, 그리고 활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은 특허의 양에 비하여 인용도가 낮아 기술 혁신성이 낮은 편이나, 특허의 다양성이 높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사물인터넷 국가 경쟁력 및 사물인터넷 경쟁력 지수를 더 발전시킬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통상 협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표준특허 확보전략 연구

        조동민 ( Dongmin Cho ),조원길 ( Wongil Ch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통상정보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국제 통상 협상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서의 표준특허의 확보 중요성과 그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양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표준특허 확보의 중요성은, 표준특허의 선정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함과 동시에, 제정표준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킴으로써, 지원 기관의 지원 목적을 달성하고, 향후 국가 신산업 성장 동력의 새로운 기반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화를 통해, 표준을 제정한 의미를 제고함과 동시에, 국제통상 경쟁력의 새로운 원천수단으로 삼는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지속적인 제도적 지원과 아울러 다양한 특허 창출 전략별 지원책이 각 Phase별로 특화되어 세부적으로 도입되어져야 하며, 특히 개별 중소중견기업과 연구소 자체인력만으로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국제 특허 동향과 표준화 현황, 국제표준화기구들과의 다양한 정보의 획득과 확산을 정부 섹터에서 맡아, 실질적인 산관학 협력을 통하여 관련 지원성과가 단계별로 창출될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특히 기존 경쟁력 우위 산업분야의 표준특허 창출 연구는 대기업과 정부출연연이 진행하고, 4차산업혁명 및 신성장동력 (예: Block Chain, Fin-Tech 외) 산업 분야는 역량 있는 중소중견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주축으로 표준특허 창출 연구를 진행하는 맞춤형 전주기적 관리모델을 정립하고 장기적으로 이의 실행을 모니터링하여 지식재산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통상 협상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표준특허의 창출과 관리가 향후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의 통상 경쟁력의 핵심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확보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The Importance of SEP (Standard Essential Patents) Procurement Operation is on the side of Governmental and Public both to accelerate the national trade negotiation competitiveness. To operate cooperative system of SEP creation and management, Government should monitor the effect and performance periodically to public sectors. and To achieve the support objectives, it should establish the virtuous circle infrastructure between R&D and economic performance on SEP. This can make the SEP enhancement to pursu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specially the specific support approach to each phase of the SEP declaration matrix is essential to consolidate the possibility of SEP creation and acquisi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SEP to accelerate the national trade negotiation competitiveness and the prior research were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arket trend and current state of affair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 of SEP procurement and management, We have foun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eading conglomerates and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to create and acquire SEPs to accomplish the effectiveness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In second, the SMEs and Univ. Labs should focus on the quaternary sector of the economy to retain the competitiveness of speed and challenge on SEP related. From this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 tailored-support management model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the results implied an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suitability among the current SEP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trade research issues.

      • KCI등재

        주성분분석을 활용한 우리나라 주요 기업의 특허 경쟁력 분석

        김성호,김지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0 산업혁신연구 Vol.36 No.4

        As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enterpris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the amount of patents is growing rapidly. Various patent index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patents as well as the quantity of patents, but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overall level of pa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vel of patents held by companies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o that various aspects of patents should be measured objectively. We appraised the patent competitiveness of major 129 Korean companies analyzing patent information such as patent index values by PCA. Through this, companies can grasp the level of their patents compared to competitors in the same industry, and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utilize them in establishing nationwide technology policies. 기업의 기술개발은 날로 치열해지고 그에 따른 특허의 양도 급속히 늘고 있다. 특허의 양뿐만 아니라 특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양한 특허지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특허의 종합적인 수준을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특허의 다양한 측면을 동시에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이용해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허지표값과 같은 특허정보 수집이 가능한 129개 기업의 특허를 주성분분석으로 평가하여 우리나라 주요기업의 특허 경쟁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우는 같은 업종에 있는 경쟁사와 비교하여 자사의 특허수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정부는 국가 기술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의료기기 제조기업의 특허 동향 분석 : 연구개발을 통한 국내등록특허 보유기업 98개 社중심으로

        김도성,이정수,조성한,김민석,김남현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의료기기 제조기업 중 실제 연구개발을 통해 특허를 출원·등록한 기 업들을 선별하고, 해당 기업이 보유한 국내등록특허들의 양적/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인 측면 분석을 위하여 해당 기업이 보유한 특허의 출원·등록 현황과 주요 출원인에 대한 분석, 해 당 특허의 대표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질적인 측면 분석 을 위하여 SMART3(System to Measure, Analyze and Rate patent Technology 3) 분석 결과 를 바탕으로 우수특허 보유 기업 분석 및 대표IPC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기업은 KISLINE 서비스를 활용하여 한국표준산업분류(KSIC-9) 중 의료용 기기 제조업(C27) 분야에 해당하는 기업 중 연구개발 정보, 특허정보, 경영성과 정보가 모두 공시된 기업 98개 社를 선별 하였고, 해당 기업이 보유한 국내등록특허 2764건을 분석대상 특허로 설정하였으며, 특허 질적 분석은 권리가 소멸된 등록특허를 제외한 2706건에 대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의료기기 생산액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초음파 의료기기 및 치과 임플란트 분야와 관련된 기업 이 많은 수의 등록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해당 기업이 보유한 특허도 상대적 으로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에는 이러한 분야 뿐만 아니라 타 분 야 의료기기에 대한 집중적인 육성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companies that applied for and registered patents through real R&D among the nation's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and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registered patents held by the companies. For quantitative side analysis, the company analyzed the application status and registration status of the patents held by the respective companies, the key applicants, and analyzed the representative IPC of the patents and the results of the SMART analysis for qualitative side analysis. The 98 companies subject to analysis used KISLINE services to R&D information, patent inform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formation among all companies in the Medical Equipment Manufacturing (C27) field of the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KSIC-9), 2764 domestic registered patents held by the company were analyze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patents was carried out on 2706 cases, excluding those with expired rights. Analysis shows that companies involved in ultrasound medical devices and implant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share of the nation's medical device production, have a large number of registered patents, it was analyzed that the patents held by the companies were of relatively superior quality. In the future, intensive fostering of these areas as well as other medical devices is expected.

      • KCI등재

        특허데이터 기반 한국의 인공지능 경쟁력 분석: 특허지표 및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이현상,오세환,차오신,신선영,김규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4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mpeti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s around the world is intensifying. During the period 2000 ~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 applications at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and the growth rate has been steeper since the 2010s. As a result of analyzing Kore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rough patent indices, it is evaluated that patent activity, impact, and marketability are superior in areas such as auditory intelligence and visual intelligence.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overall Kore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s are good in terms of activity and marketability, but somewhat inferior in technological impact. While noise canceling and voice recognition have recently decreased as top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growth is expected in areas such as model learning optimization, smart sensors, and autonomous driving. In the case of Korea, efforts are required as there is a slight lack of patent applications in areas such asf raud detection/security and medical vision learning.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를 둘러싼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2000년~2021년 간 미국 특허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출원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10년대 들어 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허지표를 통해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청각지능, 시각지능 등의 세부 분야에서 특허활동성, 영향력, 시장성 등이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주요국과 비교하여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는 양적 활동성, 시장성 확보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하나 기술 파급력은 다소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 토픽으로 노이즈 캔슬링, 음성인식 등은 감소한 반면 모델학습 최적화, 스마트센서, 자율주행 등이 활성화되면서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기탐지/보안, 의료 비전러닝 등의 분야에서 특허출원 성과가 다소 부족하여 분발이 요구된다.

      • SCOPUSKCI등재

        생명공학분야 특허정보를 활용한 한,중,일 기술경쟁력 및 기술-산업연계구조 분석

        조성도 ( Sung Do Cho ),이천무 ( Cheon Mu Lee ),현병환 ( Byung Hwan Hyun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1

        국가성장동력으로서 생명공학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세계 각국은 생명공학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에 몰두하고 있다. 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서 효과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변국들과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술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주로 델파이와 같은 전문가 의견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같이 전문가 직관에 의존하는 방법은 주관적 성향이 강해 설문응답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기술경쟁력 분석을 위해 미국에 등록된 특허를 활용하였다. 대상국가로는 동북아의 중심국인 한국, 중국, 일본을 선택하였고, 분석 지표로서 특허수, 인용도지수, 영향력지수, 기술자립도, 기술력지수, 시장확보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특허의 IPC 코드를 44개의 산업과 매칭시킴으로써 생명공학기술과 산업의 연계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의 융합도와 활용도를 수치화하였다. 해당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생명공학분야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써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mportance of biotechnology has been increased as a growth engine for country, most countries get focused on secur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Under the fierce global compet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our neighboring countries in order to carry out effe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rt opinion survey such as Delphi is mainly conducted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ut the method based on experts` intuition may produc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survey respondents due to the strong subjective inclination. In this study, the patent registered in U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ased on objective data. Targeting countries were Korea, China and Japan which were leading nations in the Northeast Asia. As analytical indexes, NP(Number of Patents), CPP(Cites per Patent), PII(Patent Impact Index), TS(Technology Strength), TI(Technology Independence), PFS(Patent Family Size) were used for analysis. Moreover, the industrial linkage with biotechnology was analyzed by matching IPC code of patents with 44 industries. Based on this analysis,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utilization were quantified.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when policy is established to improv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의 기술패러다임 전환기에 벤처/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 기업의 조직문화와 특허전략의 적합화 관점

        차완규 ( Wankyu Cha ),안태호 ( Taeho Ah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8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1 No.3

        산업혁명시대의 기술패러다임의 전환기에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은 생존을 위해 체계적인 전략과 대응을 통해 근원적인 경쟁력 확보를 통한 성장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연계된 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필요한데 벤처/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리소스 및 역량의 내재화가 부족하여 근원적인 경쟁력을 강화를 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조직문화와 특허전략의 적합화 관점에서 특허전략을 경쟁가치모형을 활용하여 벤처/중소기업에 최적화된 특허전략을 전략관점, 확보관점, 분석관점 및 활용관점에서 유형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문화에 따른 벤처/중소기업의 특허전략과 연계된 전략방향을 제시하였고, 소규모 기업집단을 대상으로 한 기업의 조직문화와 특허전략의 적합화 관점의 최초의 연구로 실무적, 학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검증하고 확장하기 위해 실증연구를 통한 제시한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세부 특허전략의 관점에 대한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technological paradig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re required to grow through securing their fundamental competitiveness through systematic strategies and responses to surv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strategy linked with the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Venture/SMEs have a limitation in strengthening their fundament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lack of internal resources and capacity relatively possessed by large compan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atent strategy is applied to the Venture/SMEs in terms of strategic perspective, securing perspective, analytical perspective and util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adaptation of corporate culture and patent strategy. In this study, we present strategic directions connected with the patent strategy of Venture/SME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first study on the adapt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atent strategy of small business group; In order to verify and extend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further research on the structural causality of the perspective of detailed pat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present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 KCI등재

        특허 및 논문 포트폴리오 분석을 이용한 글로벌 AI 기업의 기술경쟁력 비교연구

        윤혜선,박은영,김동기,조근태 한국기술혁신학회 2023 기술혁신학회지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업을 대상으로 상대적 기술경쟁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글로벌 컨설팅 기관인 Grand View Research로부터 AI 기업을 추출하고, 그들의 특허 및 논문 자료를 확보한다. 나아가, Ernst(2003)의 특허포트폴리오 분석 틀을 이용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첫째, 미국의 Microsoft가 핵심글로벌 기술을 선도하고 있었고, IPC 메인코드를 활용한 분석결과 글로벌 AI 기술리더 기업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코드는 G섹션의 G06F, G06N이며, 현재 자동화로봇과 전기자동차, 의료산업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문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경쟁력 분석 결과 Google이 가장 선도적 위치를 선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간 기술경쟁력의 상대적 수준과 위치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mpanies. To do this, first, AI companies are extracted from Grand View Research, a global consulting institution, and their thesis and patent data are obtained. For the data analysis, Ernst's patent portfolio analysis framework is used. As a result, first, among global technology leaders, Microsoft maintained the leading position, and the analysis using IPC main codes, the most commonly used codes by global AI technology leaders are G06F and G06N in section G. They are currently focusing on automated robots, electric vehicles, and medical industries. Second, in terms of technology competitiveness using paper data, Google maintained the top leading pos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relative level and position of technology competitiveness among global companies based on the quantatic data such as patent and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