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사매매에 있어서 제69조의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김명준(Kim, Myong-Jun) 한국법학회 2011 법학연구 Vol.43 No.-

        물품매매에는 일반적으로 민사매매와 상사매매로 구분하고 있으며, 매매에 관한 법적 규율로써 명문규정으로는 민법과 상법에 몇 개의 조문만을 두고 있는데, 상사매매에 관한 규정은 우리 상법 제2편(상행위)에서는 겨우 5개조의 특칙을 두고 있을 뿐이다. 그 이유는 매매가 민법의 계약법에서도 가장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민법 채권편에서 매매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법은 매매에 관한 기본적인 규정은 민법의 규정에 맡기고 있다. 또한 상사매매는 특히 신속성을 중요시 하며 동시에 당사자의 사적자치를 가장 강하게 요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게 되면 오히려 거래의 자유로운 발전을 저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경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일방적 상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상사매매에 대하여 규율하는 규정은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상인간의 매매가 아닌 상사매매도 상행위의 일종이기 때문에 상행위법 통칙의 규정은 적용된다. 우리 상법은 당사자 중 어느 일방이 상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상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사매매에 관한 규정 중에서 상법 제69조인 매수인의 목적물의 검사와 하자통지의무에 관한 규정은 특칙규정으로써 쌍방적 상행위에만 적용된다는 판례와 통설의 입장은 거래의 안전과 신속을 요구하는 상사거래에는 문제점이 있다고 본다. 생각건대 상법 제69조의 매수인의 검사ㆍ통지의무의 규정은 반드시 매도인이 상인이어야만 적용된다는 것은 매도인을 보호하고 상거래의 결제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다는 주장은 잘못된 해석으로 본다. 즉 매도인이 상인이 아닌 경우에 민법규정을 적용한다면 매도인을 오랫동안 불안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오히려 이와 같은 입법취지에 역행한다고 본다. 따라서 매수인이 상인이라면 매도인은 상인 여부와 관계없이 상거래의 신속과 매도인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매수인이 상인이라면 일방적 상행위에도 검사ㆍ통지의무 규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작물 공급계약에 있어서 부대체물에 대한 제작물공급계약인 경우에는 상사매매계약이 아니라 민법상 도급계약으로 보고 상법 제69조 제1항의 매수인의 목적물의 검사와 하자통지의무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다. 비록 부대체물의 제작공급계약에서도 상법 제69조 제1항을 적용하는 것이 입법취지와 상법이념에 부응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상사매매에 있어서 그 계약의 효력을 민법 규정과 같이 오랫동안 불안정한 상태로 방치하는 것은 매도인에 대하여는 인도 당시의 목적물에 대한 하자의 조사를 어렵게 하고, 그 하자에 대한 다른 대체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서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대체물의 제작물공급계약도 일종의 특정물매매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작물을 수령하면 지체 없이 그 하자여부와 수량에 관하여 검사와 통지의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상거래를 신속하게 결말짓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Sale of goods is categorized into civil sale and commercial sale. Several provisions in civil law and commercial law are expressly that if the provisions are specific, then they could impeded the free development of deal because speed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private autonomy of the parties to a suit is demanded in commercial sale. Some regulations are applicable to one-sided commercial transaction, while some regulations are just applicable to both commercial transaction among regulations of commercial law about commercial sale contract. this is because only commercial sale among dealers is subject to an express provision concerning commercial law. Specifically, when a sale is made by one party, that is, the dealer, even in commercial sale, it is subject to civil law, and not to commercial law. Commercial sale not among dealers is certainly appliable to the regulation of express provision in commercial activity law because it is a kind of commercial activity. Actual trade connection is often regulated by trade customs or clauses that are legislated and used by persons in various businesses. A commercial activity by one dealer among parties is subject to commercial law. In precedent and common view, it is considered a drawback that article 69-the regulation of obligation notice to defect and the object examination of buyer-is only applicable to both commercial transaction as an express provision among the regulations of commercial sale. It is wrong idea that the regulation of obligation notice to examination, article 69, is appliable to only dealer in order to protect a seller and make rapid payment of business transaction. Precedent and common view indicates that if article 69, section 1-the regulation of the object examination of buyer and obligation notice to defect-it is not applicable to production supply contract because it is considered a contract in civil law, and not a commercial sale contract. It is natural that article 69 section 1 of commercial law should be appliable to production supply contract toward things can not substitute because of meeting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 idea of commercial law. An example of a disadvantageous position resulting from a contract in civil law is finding it difficult to investigate the defect in an object when the seller transfers the object to the buyer. Further, one cannot replace defective products. Because it is regarded production supply contract toward things that cannot be substituted as a kind of sale of a specific product, it is the buyer’s responsibility, as soon as he receives the product, to check the amount and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That ends the business transaction.

      • KCI등재

        일본 개정 매매법상의 「위험의 이전」

        박영복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외법논집 Vol.43 No.1

        A Bill to amend the current Civil Code was approved by the Diet of the Japan on 26 May 2017. This Bill will become effective on 1 April 2020 and amend the Law of Obligations section governing the sale of goods contracts.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Bill in relation to the sale of goods is to eliminate the distinction between specific goods and non-specific goods. One of the main amendments is the Transfer of risk of loss or damage to the object. Under the current Japanese Civil Code, a risk of loss in relation to specific goods passes to the buyer at the time the parties enter into the contract. “Risk of loss” means who has to pay - who bears the risk - if the goods are lost or destroyed without the fault of either party. Under the amended Civil Code, however, the risk does not pass to the buyer until the time of delivery. Therefore, if specific goods become lost or defective for causes not attributable to the seller after the contract but before the delivery, the buyer will not be held responsible for the consequence. First, the contents of the newly established Article 567 JCC. are review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Part in the paper). At this time, It is summarized based on the basic logic of the scholar who was deeply involved in legislation. Then, some issues discussed after the legislative process and revision in relation to Article 567 in the writings of Japanese scholars(Part ). Based on this argument, it is compared with the situation under the old law(Part ).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mendment are that it provides easy access in form and accepts the internationally established global standard as well as the attitude of precedents accumulated so far. Therefore, Part V of this paper it was reviewed Japan’s new rules on the transfer of risks(Article 567)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particula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Finally, It is pointed out the inadequacy of our system through the study of the amendment of the law and discussions for the revisions in Japan(Part ). Key Words: transfer of risk of loss or damage, risk of loss, passing o 2017년 6월 2일에 공포된 일본의 개정민법은 계약에 기하여 발생한 채무가 이행되는 과정 중에 일 정 시점 이후에는 채권자가 위험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고려 하에, 매매목적물의 멸실 또 는 손상에 대한 위험의 이전이 전형적으로 문제되는 매매계약에 관한 규정 중에 위험의 이전에 관한 조문(567조)을 신설하고 있다. 매매계약에 있어서 목적물이 인도된 시점을 기준으로 위험이 매도인으 로부터 매수인에게 이전하는 내용의 규정이다. 즉, 매수인에게 목적물을 인도한 경우에, 그 인도가 있 었던 때 이후에 매도인의 귀책사유없이 멸실되거나 손상된 때에는 이행의 추완 등의 구제수단을 행사 할 수 없고(급부위험의 매수인 부담), 그렇지만 매수인은 대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대가위험의 매수인 부담). 또한 매도인이 계약의 내용에 적합한 목적물을 인도하는 것으로 채무의 이행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수인이 이행을 받는 것을 거절한 경우 또는 이행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이행의 제공이 있던 때에 매수인에게 위험이 이전한다는 취지를 규정하고 있다. 개정 전 일본 민법 534조는 「특정물에 관한 물권의 설정 또는 이전을 쌍무계약의 목적으로 한 경 우에 그 물건이 채무자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멸실 또는 손상된 때」에는 채권자위 험부담주의를 취하고 있었는데, 이번 개정에서 이 조문을 삭제하였다. 신 567조는 매매 목적물이 특정 물에 한하지 않고 종류물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종류물 매매를 중심으로 567조 를 몇 가지 상이한 시각을 가지고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 신설된 567조의 내용을 살펴보고, 입법에 깊이 관여하고 있던 학자의 기본 논리에 의거하여 그 특징을 정리한다(본고 Ⅱ). 이어서 567조와 관련하여 입법과정 및 개정 이후에 논의되고 있는 논점 들을 일본 학자들의 글을 통해 살펴본다(본고 Ⅲ). 그리고 이 논의에 입각하여 구법하에서의 상황을 비교한다(본고 Ⅳ). 이번 개정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내용적으로는 그동 안 축적된 판례의 태도 및 국제적으로 확립된 global standard(국제적으로 공통하고 있는 기준이나 규 칙)를 받아들였다는 점에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고 Ⅴ.에서는 비교법적 시각, 특히 국제물품매매계약 에 관한 UN 협약(CISG)의 시각에서 일본의 새로운 위험이전에 관한 규정(567조)을 비교한다. 끝으로, 이러한 일본에서의 개정법 및 그 개정 논의를 통해 우리의 관련 제도를 검토할 점을 지적하면서 맺는말에 갈음한다(본고 Ⅵ)

      • KCI등재

        물건하자에 대한 매도인의 추완권 - 추완의 효율성과 소비자보호관점을 고려하여 -

        김봉수 한국경제법학회 2014 경제법연구 Vol.13 No.1

        According to Korean Civil Code, when there are nonconformity defects in the sales of generic goods, the buyer can request delivery of substitute goods with no defects. But these remedies for generic goods seller shall be decided only by the seller, and the generic goods seller, who delivers non-conformity goods, shall have the opportunity of re-performance to cure of defects in goods only when the buyer choose ‘the right to cure concerning non-conformity goods’ among those remedies. And when there is defect in the target of specific goods sales, despite some differences by theory, even the opinions who affirm the right to repair also accept the choices between right to repair and other remedies given to the buyer. In this way, the seller who delivers nonconformity goods can have a second chance to perform to cure defect, unless the buyer exerts the right to cure nonconformity goods preferentially. In comparative law perspectives, the international laws such as CISG, PECL or German Civil Code which had big influences to our civil law admit the second chance to the seller to perform the cure of defects. This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maintaining contracts and theory of mitigation of damages. Also, to admit the seller’s right to cure concerning non-conformity goods coincides with the actual state, and promotes the contracting partie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of contract. In this point of view, our current law which gives full option to choose the remedy to buyer and not giving any opportunity for re-performance to seller has problem. In lex ferenda, this author had the idea that the buyer’s right to require seller’s performance must be considered first of all compared with other remedies. To give seller the chance to perform subsequent accomplishment more suits to the performance priority principle and contract maintaining principle. 매수인이 수령한 물건에 하자가 있더라도 많은 경우 매도인에 의한 하자보수나 대체이행을 통해서 그 하자는 치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자치유를 통해서 계약의 이행을 완료하는 것을 추완이라고 하는데, 물건하자담보책임에 관한 현행 규정은 종류물매수인의 대체이행청구권(완전물급부청구권)만을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특정물매매와 종류물매매에서 매수인의 하자보수청구권이 인정될 수 있는지가 문제되나, 당사자의 급부이익과 민법상 이행우선의 원칙 등을 고려할 때, 이를 해석론으로서 충분히 도출할 수 있다고 본다. 이때 매수인이 여러 구제수단 중에서 추완청구권을 먼저 행사해야 하는지, 아니면 구제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이는 다른 구제수단에 대한 추완의 우선성과 효율성, 계약위반적 행태에 따른 이익상황, 그리고 소비자보호의 관점 등으로 고려해서 판단할 수 있다. 현행 법규정과 입법취지를 고려하면 매수인의 선택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입법론으로는 추완청구권이 다른 구제수단보다 우선적으로 행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추완청구권의 우선행사는 하자 없는 물건의 수령을 의도하였던 매수인의 이익에도 부합할 뿐만 아니라 다른 구제수단(계약해제․손해배상․대금감액)에 따른 부담을 면할 수 있는 매도인에게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매수인이 다른 구제수단보다 먼저 하자보수나 대체이행을 내용으로 하는 추완청구권을 행사하게 되면, 반사적으로 매도인에게 제2의 이행의 기회인 추완권이 인정된다. 추완청구권의 우선행사로부터 주어지는 매도인의 추완권의 보장은 우리 민법의 이행우선의 원칙과 계약유지의 원칙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입법론은 국제적 차원의 입법례(CISG)나 우리 민법의 큰 영향을 끼친 독일민법도 추완청구권의 우선행사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추완의 양방식인 하자보수와 대체이행 간의 선택권은 해석론은 물론이고 입법론 측면에서도 매수인에게 인정되어야 한다.

      • KCI등재

        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

        김봉수(KIM, Bong-Su)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15 No.3

        특정물매도인이 인도한 물건에 원시적인 하자가 있는 경우, 이때 매도인이 급부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종래 법정책임설과 채무불이행설에 의하면 달리 이해된다. 특히 법정책임설은 특정물도그마와 원시적 불능론에 기초하여, 특정물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특정물도그마는 계약당사자의 의사나 거래관념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원시적 불능론 역시 당사자들의 합의, 불능의 규범적 측면, 민법의 내적 체계성 측면에서도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비교법적으로도 매매목적물의 종류를 불문하고 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는 긍정된다는 점에서 현행 민법에서도 특정물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가 인정되어야 한다. 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는 이론적으로는 일반채무불이행체계와 하자담보책임의 통합적 이해의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하자로 인한 구제수단 중 하자의 추완을 내용으로 하는 구제수단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다만 현행 민법상 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의 법적인 근거에 대해서는 종래 민법 제568조라는 견해와 제580조라는 견해가 대립하나 매도인의 하자 없는 급부의무가 매수인과의 계약에 있다는 점에서 민법 제563조와 제568조가 그 법적 근거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다만 입법적으로는 독일과 같이 이에 대한 명문의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When the seller in sales of specific goods delivers goods that do not conform with the contract, the decision of whether the seller violated obligation or no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legal liability theory or non-performance liability theory. Especially the legal liability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specific goods dogma and theory of initial impossibility, did not admit the duty of delivery free from non-defect from seller of specific goods. But the specific goods dogma has a problem that it doesn’t coincide with the intent of the contracting parties or dealing sense, and the theory of initial impossibility is not also in accord with the agreement with contracting parties and the inner systemicity of civil law. And also since the duty of delivery free from non-defect of seller is affirmative, regardless of the types of sales goods, the comparative law perspectives can also accept the obligation to non-defect goods without any defects of seller of specific goods. The obligation to non-defect goods without any defects of sellers is important, since it can be the base of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non-performance system and implied warranty system, and this can be the basis of method of remedy in regards to the cure of defect, among the remedies of lack of goods. But currently the opinion about the legal basis of obligation to non-defect goods without any defects is divided into two; it is based on the Art. 568 of Korean Civil Code, or it is based on the Art 580 of Korean Civil Code. But considering that the obligation to non-defect goods of seller is in contract with the buyer, it should be based on the Art 563 and Art 568 of Korean Civil Code. But by the legislative perspectives, it would be more proper to have related substantive enactments like German Civil Code.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에서 취소채권자의 채권

        강혜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서울법학 Vol.23 No.3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the plaintiff is not allowed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debtor's transfer on the ground that not only the plaintiff's claim was the one in specifics but also the debtor's transfer was made before the debt was incurred, in 98DA56690. In the legal academia, the majority of scholars agree with the aforementioned ruling of the Supreme Court, that is, the creditors with claim in specifics cannot be allowed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debtor's transfer and future creditors are exceptively qualified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in case certain elements are established. Japan, German, France and the U.S. take a different stance on whether or not the creditors with a claim in specifics and future creditors may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My paper suggests that the creditors with claim in specifics should be qualified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1) there is no legal ground in the Civil Code not allowing the creditors with claim in specifics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2) it would be inequitable to discriminate the creditors with claim in specifics against other creditors with monetary claim; and (3) it is necessary for the first purchase in the case of real estate double contract to have an opportunity to preserve liability properties of the seller, that is, the debtor. Also, regarding the future claim, in exceptional cases the future creditors should be qualified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which is the same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In the aforementioned 98DA56690, the plaintiff should have been allowed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because the plaintiff's claim was the one in specifics and the elements necessary for future creditors to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were established. 대상판결은 원고의 사해행위 주장에 관하여, 원고의 채권은 특정물채권이거나 장래채권이어서 사해행위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다고 판시하고 있다. 우리 학설도 특정물채권은 예외 없이, 장래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특정물채권과 장래채권의 사해행위 피보전채권 적격성에 관하여 일본, 독일, 미국, 프랑스의 입법례․판례․학설은 다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견으로는 특정물채권을 불특정물채권과 달리 취급할 민법상 근거가 없고, 달리 취급하는 것은 형평의 관점에도 반하며, 특히 부동산이중매매 사안에서는 제1매수인 보호를 위한 정책적인 고려가 필요하므로, 원칙적으로 특정물채권은 사해행위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장래채권에 관하여는 채권이 성립하기도 전에 그 채권을 해한다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으므로 원칙적으로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고 다만 예외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대상판결 사안에서 원고가 주장하는 채권은 첫째로는 특정물채권이고, 둘째로는 장래채권 중 예외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채권이므로, 대상판결 사안에서는 사해행위의 성립이 인정되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집합건물 분양공고상 공유대지면적과 달리 등기된 구분소유자의 보호

        신국미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0 집합건물법학 Vol.35 No.-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ecedent cases on whether the liability for warranty under Article 574 of the Civil Act could be imposed when the area of the registered transfer increases or decreases compared to the shared land areas, in other words, the area of supply (the area of housing supplied) under a parcelling-out contract. Even if an increase or decrease in land area occurs, it is difficult for a purchaser to know this at the time of the sale, but at the time of reconstruc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lear up legal issues centered on this, given that the right to share the shared land area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ase of area reduction, the liability for warranty under Article 574 applies, so we focused on the requirements theory. In the case of area increase, whether or not the right to claim the increase of money against a purchaser could be exercised as a counter interpretation of Article 574.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exemption clause (special stipulation for relief of liability for warranty) in a parcelling-out contract and the legal relationship in the case of a specific commodity sale, not the quantity-designated sale, were reviewed. In the meantime,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improvement related to the sale of apartments focused on suppressing specul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upply order for housing, but we hope that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related to the sale of apartments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regulation of public law will be made in terms of protecting the rights of a purchas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housing. 이 글은 분양계약상의 공급면적, 공유대지면적에 비해 이전등기된 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 민법 제574조의 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대지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가 발생하더라도 분양당시에는 수분양자가 이를 알기 어려우나, 재건축시점에서는 공유대지의 지분권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이를 중심으로 한 법률상의 쟁점을 정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면적감소의 경우에는 제574조의 담보책임이 적용되므로 이에 관해서는 요건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면적증가의 경우에는 제574조의 반대해석으로서 수분양자에게 대금증액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밖에 분양계약서상의 면책조항의 효력, 수량지정매매가 아니라 특정물매매인 경우의 법률관계 등을 검토하였다. 그동안 아파트 분양과 관련된 정부의 제도개선은 주택의 공급질서확립을 통한 투기억제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이와 같은 공법상의 규제뿐만 아니라 향후 아파트분양과 관련된 제도개선은 사법상의 수분양자의 권리 보호 내지 주거의 품질향상이라는 측면에서 그 노력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특정물매매와 하자 없는 물건에 대한 급부의무

        박영목 한국민사법학회 2009 民事法學 Vol.44 No.-

        Der dogmatische Charakter der Sachmängelhftung beim Spezieskauf ist umstritten. Nach der Gewährleistungstheorie ist der Verkäufer nicht verpflichtet, die Sache mangelfrei zu leisten. Die Nichterfüllunstheorie dagegen erlegt dem Verkäufer die Verpflichtung auf, eine mangelfreie Sache zu leisten. Nach dieser Theorie muß der Verkäufer nachbessern oder ersatzliefern, wenn die dem Käufer zur Erfüllung des Kaufvertrags übergebene oder angebotene Sache einen Fehler aufweist. Die Pflicht ist nicht darauf gerichtet, daß der Gegenstand von der vorgestellten Beschaffenheit "ist". Das wäre logisch und psychologisch völliger Nonsens. Denn was ist, ist bereits, kann also nicht mehr werden. Beim Spezieskauf kann daher die Pflicht des Verkäufers nur auf die Nachbesserung oder die Ersatzlieferung gerichtet sein, Dieser Pflicht kann durch das Begriff der Mangel-Heilungspflicht aufgefangen werden. Die Ansprüche des Käufers bei Vorliegen von Sachmängeln ergeben sich aus Nichterfüllung der Mangel-Heilungspflicht. Die Haftung des Verkäufers muß danach unterschieden werden, ob die Mangel-Heilung möglich ist. Hat die Kaufsache von vornherein einen nicht behebbaren Mangel, so liegt darin eigentlich ein Unterfall der anfänglichen Unmöglichkeit. Der Verkäufer muß also nach § 535 BGB haften. Bei nachträglicher Unmöglichkeit der Mangel-Heilung sind § 390, § 537 KBGB anzuwenden. Das Konkurrenzproblem zwischen Irrtumsanfechtung und Sachmängelhaftung ergibt sich insofern nicht, als die Pflicht der Mangel-Heilung anerkennt wird. Die Motivirrtum kann indessen dann in Frage kommen, wenn die Mangel-Heilung anfänlich unmöglich ist.

      • KCI등재
      • KCI등재

        독일민법상 추완청구권에 관한 소고

        서종희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叢 Vol.26 No.2

        Es ist ein internationaler Trend, den Nacherfüllungsanspruch des Käufers als allgemeine Klausel einzuführen. Aus diesem Grund sieht Artikel 388-2 des Gesetzes zur Änderung des koreanischen Zivilgesetzbuchs das Recht vor Nacherfüllungsanspruch zu stellen. Da jedoch die Vorschriften selbst abstrakt und allgemein waren, gab es im Auslegungsprozess viele Kontroversen. In der zukünftigen Überarbeitung sind konkretere Textarbeiten erforderlich. Bei der Gesetzgebung ist es auch eine gute Idee, die verschiedenen Auslegungsprobleme Urteilen und Theorien zu überlassen. Es wäre jedoch wünschenswert, das Problem durch eine legislative Entscheidung zu lösen, die keine unnötigen Kontroversen hinterlässt. Zum Beispiel hat Deutschland dieses Problem gesetzlich gelöst. Im letzten Jahr hat der deutsche Gesetzgeber hat Änderungen des BGB zur Anpassung der kaufrechtlichen Mängelhaftung an die Rechtsprechung des EuGH und des BGH vorgenommen. Gemäß § 439 Abs. 3 S. 1 BGB n.F. ist der Verkäufer im Rahmen der Nacherfüllung verpflichtet, dem Käufer die erforderlichen Aufwendungen für das Entfernen der mangelhaften und den Einbau oder das Anbringen der nachgebesserten oder gelieferten mangelfreien Sache zu ersetzen, wenn der Käufer die mangelhafte Sache gemäß ihrer Art und ihrem Verwendungszweck in eine andere Sache eingebaut oder an eine andere Sache angebracht hat. Die Vorschrift unterscheidet dabei nicht danach, obder Käufer oder Verkäufer Verbraucher oder Unternehmer ist. Ich hoffe, dass dieses Papier in Zukunft bei der Überarbeitung des Zivilrechts hilfreich sein wird.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관련하여 매수인의 추완청구권을 일반조항으로 도입하는 것이국제적인 동향이다. 이런 이유에서 우리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는 2009년 2월부터2014년 2월 17일까지 5년 동안 마련한 민법 재산편에 관한 개정안(이하 `민법개정안`으로 칭한다) 제388조의2에서 추완청구권 규정을 두었는데, 규정자체가 추상적이고 일반 규정이었다는 점에서 개정 논의과정에서 이미 해석상 많은 논쟁이 있었다. 향후 담보책임규정에 추완청구권에 관한 일반조항의 도입여부가 우리민법 개정시에 다시다투어 질 것이다. 폐기된 민법개정안 제388조의2를 그대로 참조할 수도 있겠지만, 좀 더 구체적인 조문화가 필요할 것이다. 물론 2002년 독일민법 개정 이후에 인정된추완청구권조항에 대한 학설과 판례의 해석이 다양하게 나뉘어진 점을 고려하여, 입법시에 이 문제를 우리 판례와 학설에 맡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나, 불필요한논쟁을 남길 필요가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입법적 결단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한 예로 2017년 독일에서는 매매법상의 매수인의 추완청구권과 관련된일부 쟁점에 대한 논쟁을 민법개정을 통해 종식시켰다. 예컨대 매수인의 비용상환청구권에 관한 독일민법 제439조 제3항을 통해 매수인이 매도인으로부터 구입한 하자있는물건을 그 성질과 용도에 따라 다른 물건에 설치하였거나 부착한 경우에는 추완이행의범위에서 그 하자있는 물건의 제거에 필요한 비용과 수선한 또는 완전한 물건의 재설치 또는 부착에 필요한 비용을 매도인에게 청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 다룬몇 가지 쟁점에 대한 분석이 미약하나마 향후 개정에 있어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민법상 담보책임과 관련한 몇 가지 법적 문제

        김성욱 ( Kim Sung-wook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6 法과 政策 Vol.22 No.2

        The title of this thesis is ‘Legal Matters in connection with the Responsibility for Warranty in Korea’s Civil Law’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Civil law article 569(Sale of Right Belonging to Another Person) is prescribing in the case where a right, which has been made the object of a sale, belongs to another person, the seller shall acquire such right and transfer it to the buyer. Civil law article 570(Sale of Right Belonging to Another Person-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is prescribing “If, in the ca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Article the seller is unable, by acquiring the right he has sold, to transfer it to the buyer, the buyer may rescind the contract: Provided, That if he was aware, at the time the contract was made, that the right did not belong to the seller, he may not claim damages.” Civil law article 580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Against Defect) is prescribing (1) If any defects exist in the subject-matter of a sale, the provisions of Article 575 (1)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Provided, That if the buyer was aware of or was not aware of such defects due to his negligence, this shall not apply. (2) The provisions of the preceding paragraph shall not apply to the cases of a sale by auction. Since the responsibility for warranty is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s adhesion contract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of the responsibility for warranty in Korea’s Civil Law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responsibility for warranty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responsibility for warranty in Korea’s civi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