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영화 특수효과의 정착과정에 대한 연구 : 초창기 특수효과와 정체기, 아날로그 특수효과의 정착기를 중심으로

        정승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2

        This paper is aimed at considering the special effects of Korean movies have got to develop and to be established in what process through diverse movie texts. As everyone knows, it w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the movies came to Korea. At that time, special effects were called a trick or special equipment, showing the tendency to use the special effects as a tool mostly for reality. Meanwhile,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en a film producer couldn't make movies independently, they couldn't but be directly influenced by the profession in Japanese movie circles. After the liberation, Korean movie circles came to continue their backward phenomenon of movie-making ability as the Japanese movieman's accumulated techniques or knowhow were severed instead of being inherited. Such an aspect brought about the period of stagnation with the aspect entirely reflected eve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special effects field. However, with the perception and concept of special effects gradually beginning to be established in the late 1950s, special effects came to spread their wings in earnest. The then special effects, unlike the past, were showing the aspects of continuing phenomenal development as they were diversely used as a tool not only for reality but also for fantasy. The special effects, which were like the exclusive property of Hollywood films in the past, are now being very extensively and complexly even in Korean films. The present can be called the product of the past and also result of accumulation. Therefore, it might be the technologies and know-how acquired by the preceding movieman through trial and error that made it possible the hitherto Korean movies' special effects. In such a context,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rranged the diachronic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pecial effects which were manifested and established in Korea.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ould function as useful data for various follow-up research works which will address the subject related to special effects. 본 논문은 한국영화의 특수효과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전개되고 정착하게 되었는지 다양한 영화 텍스트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에 영화가 도래한 때는 일제강점기이다. 이 시기에 특수효과는 트릭 혹은 특수 장치로 불리었으며 사실성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주체적으로 영화 제작을 할 수 없었던 시대상황으로 인해 일본영화계 종사자들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해방 직후 한국영화계는 일본영화인들의 축적된 기술이나 노하우가 전습되지 못하고 단절되면서 영화제작 능력의 낙후현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점은 특수효과 분야의 발전과 정착과정에도 영향을 미쳐 정체기를 맞이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1950년대 후반에 특수효과 기술에 대한 인식과 개념이 재확립되기 시작하면서 특수효과가 본격적으로 활개하기 시작한다. 이 때의 특수효과는 과거와 달리 사실성뿐만 아니라 환상성을 위한 도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는 양상을 보인다. 과거 특수효과는 할리우드 영화의 전유물과 같았다. 하지만 현재에는 한국영화에서도 특수효과가 매우 광범위하고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는 과거의 산물이며 축적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의 한국영화 특수효과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 영화인들이 시행착오를 통해 획득한 특수효과들을 알아보고 어떠한 방법으로 전개되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은 한국에서 발현되고 정착하였던 특수효과들을 통시적인 시각에서 바라 볼 수 있게 하는 초석이 된다. 그러므로 이후에도 이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다양한 후속연구에 유용한 자료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영화 특수효과의 정착과정에 대한 연구 -초창기 특수효과와 정체기, 아날로그 특수효과의 정착기를 중심으로-

        정승언 ( Seung Eon J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2

        본 논문은 한국영화의 특수효과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전개되고 정착하 게 되었는지 다양한 영화 텍스트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 다시피 한국에 영화가 도래한 때는 일제강점기이다. 이 시기에 특수효과는 트릭 혹은 특수 장치로 불리었으며 사실성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주체적으로 영화 제작을 할 수 없었던 시대상황으로 인해 일본 영화계 종사자들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해방 직후 한국영화계는 일본영화인들의 축적된 기술이나 노하우가 전습 되지 못하고 단절되면서 영화제작 능력의 낙후현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 러한 점은 특수효과 분야의 발전과 정착과정에도 영향을 미쳐 정체기를 맞 이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1950년대 후반에 특 수효과 기술에 대한 인식과 개념이 재확립되기 시작하면서 특수효과가 본격 적으로 활개하기 시작한다. 이때의 특수효과는 과거와 달리 사실성뿐만 아니 라 환상성을 위한 도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는 양상을 보인다. 과거 특수효과는 할리우드 영화의 전유물과 같았다. 하지만 현재에는 한국 영화에서도 특수효과가 매우 광범위하고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 다. 현재는 과거의 산물이며 축적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의 한 국영화 특수효과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 영화인들 이 시행착오를 통해 획득한 특수효과들을 알아보고 어떠한 방법으로 전개되 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은 한 국에서 발현되고 정착하였던 특수효과들을 통시적인 시각에서 바라 볼 수 있게 하는 초석이 된다. 그러므로 이후에도 이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다양 한 후속연구에 유용한 자료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considering the special effects of Korean movies have got to develop and to be established in what process through diverse movie texts. As everyone knows, it w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the movies came to Korea. At that time, special effects were called a trick or special equipment, showing the tendency to use the special effects as a tool mostly for reality. Meanwhile,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en a film producer couldn’t make movies independently, they couldn’t but be directly influenced by the profession in Japanese movie circles. After the liberation, Korean movie circles came to continue their backward phenomenon of movie-making ability as the Japanese movieman’s accumulated techniques or knowhow were severed instead of being inherited. Such an aspect brought about the period of stagnation with the aspect entirely reflected eve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special effects field. However, with the perception and concept of special effects gradually beginning to be established in the late 1950s, special effects came to spread their wings in earnest. The then special effects, unlike the past, were showing the aspects of continuing phenomenal development as they were diversely used as a tool not only for reality but also for fantasy. The special effects, which were like the exclusive property of Hollywood films in the past, are now being very extensively and complexly even in Korean films. The present can be called the product of the past and also result of accumulation. Therefore, it might be the technologies and know-how acquired by the preceding movieman through trial and error that made it possible the hitherto Korean movies’ special effects. In such a context,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rranged the diachronic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pecial effects which were manifested and established in Korea.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ould function as useful data for various follow-up research works which will address the subject related to special effects.

      • KCI등재

        조직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항 특수경비원을 중심으로

        김미선,박성수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2

        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비교했을 때 일반시설이 아닌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중요시설의 경비 및 도난, 화재 등을 방지하는 업무 특성이 있어 직무상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은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단체행동권이 제약되어 있다. 따라서 특수 경비업체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타 업종에 비해 근무환경 및 복지여건의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이 끊임없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곧 특수경비원들이 조직 내에서 ‘일한 만큼 보상받지 못한다’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특수경비원이 조직 내 임금, 승진, 부서이동 등 근무환경에 대한 공정성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특수 경비조직 내 공정성이 조직효과성 즉,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문제점을 검증하기 위해 인천시 소재 특수 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경비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응답이 부실하거나 회수가 안 된 설문지를 제외한 105명을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공항에서 근무하는 특수경비원들은 자신들의 임금 및 보상제도에 대한 절차 및 과정이 공정하다고 판단될 때 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경비원들은 일한 만큼 적절한 보상을 받는다고 느끼고, 보상에 따른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고 느끼면,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 관리의 측면에서 특수경비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여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적절한 보상체제와 근무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보상체제와 관련하여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거나, 보상 제도를 더욱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하여 조직구성원들이 회사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are under a lot of stress at work compared to regular security guards,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preventing theft and arson of key facilities of the government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instead of general facilities. However, the「Security Industry Act」limits the collective action of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who want to dem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Therefore, special guards fac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demand their rights, although they are involved in various conflicts associated with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issues, more than other occupations. The preceding studies on this issue argue that special guards believe 'they are not compensated properly for their work' in their organization.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toward their organizational justice as to their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age, promotion, and department transfer. To clar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validate the problem of this study,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working for a special security company located in Incheon City. Ultimately, 105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or uncollected respon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pecial security guards working at an airport have high organizational satisfaction when they believe the procedure and process of their wage and compensation are fair. It suggests that when special security guards feel they are receiving proper compensation for their work and the right to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as to their compensati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omes higher. Based on such findings, the first priority for special security guards should be granting the rights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as to proper compensation system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s a way to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 by boost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 KCI등재

        공상 과학 영화 속 특수효과의 예술적 창의성 연구 -<2001 : A Space Odyssey> 중심으로-

        이병춘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9 No.-

        The special effects in the movie are more fancier than ever before, and the range of expression and objects is expanded to infinity. However, a style that focuses on artistic value and scope of implementation have not expanded. This study causes the artistic depth to disappear from excessive commercialism and reveals the contradiction of the real society to reflect on it.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special effects in science fiction films,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logical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deep traces, special effects, and narratives in the film to increase artistic value along with creative expression methods and artistic depth. First of all,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science fiction films, we researched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science fiction films and the special quality of special effects as a visual art media. Second, I will analyze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ffects focus on the scenes produced in <2001: A Space Odyssey>. Third, research and analyze the literatur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virtual special effect experiments, the study is carry out in the manner of scene design added artistic depth. 영화 속 특수효과는 그 어느 때보다 화려해지고 표현영역과 대상이 무한대로 넓어졌다. 하지만 작가주의적인 예술성과 예술적 가치 및 구현 범위에 중점을 둔 스타일은 확장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나친 상업주의에 예술적인 깊이가 퇴색되는 시점에 현실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어 이를 성찰 하게하고, 공상과학 영화에서의 특수효과 연구 및 분석을 통해 창의적인 표현 방법과 예술적인 깊이와 더불어 예술적 가치 상승을 위한 영화 속에 짙은 잔영과 특수효과, 그리고 서사를 이해하는데 논리적인 시각을 제공하는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공상과학 영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상과학 영화의 표현 기법과 영상예술 매체로서의 특수효과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2001 : A Space Odyssey> 영화 속의 연출된 장면을 중심으로 특수효과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론적 배경에 대한 문헌을 조사 및 분석을 하고, 가상의 특수효과 실험을 통해 예술적 깊이를 더한 장면 디자인을 실행한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가상현실 기술수용모형(VR-TAM) 검증 및 몰입 경험의 조절 효과

        백종남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의 가상현실 기술수용모형(Virtual Reality-Technology Acceptance Model, VR-TAM)을 검증하였으며, 이 모형에서 몰입 경험에 따른 조절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대학의 유아특수교육과와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259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VR 기술 수용과 VR 몰입 경험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사의 VR-TAM의 모형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의도 간의 직접 효과가 없는 형태로서, 전통적인 TAM과는 다른 설명력을 가지면서 적합성을 갖추고 있다. 둘째, 예비 특수교사의 VR-TAM은 몰입 경험에 따른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낮은 몰입을 경험한 예비 특수교사는 높은 몰입을 경험한 예비 특수교사보다 지각된 용이성이 사용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의 VR 기술을 통한 정보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VR 기술을 설계하고 구현할 때, 낮은 몰입도를 가진 사용자들에게는 기술 사용의 용이성을 강조하고, 높은 몰입도를 가진 사용자에게는 보다 풍부하고 상호작용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VR 기술을 통해 최대한의 교육적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Virtual Reality-Technology Acceptance Model (VR-TAM) in the use of virtual re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xamin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immersion experience. For this study, VR technology acceptance and VR immersion experience were measured for 259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of univers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R-TAM model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a form that has no direct effect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and is suitable while having different explanatory power from the traditional TAM model. Second, the VR-TAM model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immersion experience. In particula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a greater influence in low-immersion groups in the relationship that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nhancing information management competencies amo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VR technology.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VR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usability for users with low immersion levels, while providing richer and more interactive experiences for users with high immersion levels. This ensures that all users can obtain maximum educational benefits through VR technolog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연구

        강석임 ( Seok-im¸ Kang ),구자정 ( Ja-jeong¸ Ku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 지역 내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을 돌보는 특수교육실무원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특수교육실무원의 경력이 높을수록, 돌보는 장애아동의 유형이 지적장애아동을 돌보는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돌보는 아동 장애유형이 지적장애일 경우 다른 장애유형을 돌보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하는 학생 수가 적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세 하위요인이 직무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세 하위요인은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적지지에는 스트레스증상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적지지에는 직무자체 및 직무여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증상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자체 및 직무여건 스트레스는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증상은 정서적지지, 물리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 향후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만족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제고 및 실천적 지원전략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18 special education workers who take care of disabled students at a special school within Chungcheongdo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a group-based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career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leads to the lower job satisfaction in case of taking care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in a type of disabled children who are taken care. Given being the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disability type of children who are taken care, the job stress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who take care of other disability type, appeared to be high. It was shown that the fewer number of students who are supported leads to the higher social support. Second, all the three sub-factors of job stress were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Third, all the three sub-factors of job stres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otional support, which is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Only the stress symptom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upport. The evaluative support was indicate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job itself, job condition stress, and stress symptom. Finally, in the influence of human-relation stress out of sub-factors in job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the emotional support was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job itself and job condition stress, the emotional support and the evaluative support appear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stress symptom, the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ere indicat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 plan was proposed for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There was a pursuit for the quality improvement in special education and for the practical support strategy through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henceforth.

      •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의 효과성에 근거한 학급 교수 전략

        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3 특수교육 Vol.2 No.2

        현재까지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의 교수 실제들의 효과성과 관련해서, 특정한 영역에 대한 연구 자료들을 보편적인 척도 흑은 효과 크기로 변환한 메타분석을 검토한 연구들을 종합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전략들에 대한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학급에서 사용할 때 그 효과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서 최대화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검토해 보았다. 특수교육 및 관련서비스들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적용의 실제 맥락들을 교수가 시행되는 장소·교수의 거시적 맥락인 교육과정과 교사의 역할·학급에서의 교수 맥락에서의 특정기술 교수 및 반복 학습·강화와 같은 외적 촉진의 사용과 관련된 네 가지 논제들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성을 추구하기 위한 특수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results on effectiveness of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were introduced, by meta-analyses which transformed the research data about specific intervention into general standard or effect size. Based on comparisons about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the issu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ere discussed in classroom practices, to maintain and maximize the effectiveness. Four issues on location which instructions were implemented, curriculum and teacher's role of instruction, specific skill instruction and repeated drill in class room-instructional context, use of extrinsic facilitators as reinforcement were examined. According to reviews,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to persue the effectiveness we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생 역량, 사회적 통합, 행동문제에 대한 2014년과 2017년 종단조사 결과 비교

        권현수(Kwon, Hyunsoo),김경화(Kim, Kyeonghwa),오영석(Oh, Youngse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생 역량, 사회적 통합, 행동문제 영역에 대한 특수교육의 교육적 성과를 확인하고자 2014년과 2017년 특수교육 종단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중 학년과 배치형태 등을 고려하여 층화표집의 방법으로 선발된 패널을 대상으로 2014년과 2017년에 실시된 조사 결과를 빈도분석과 t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에 비해 2017년에 학생 역량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의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통합 수준도 향상되었고 학생의 행동문제도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그리고 일반학급에서 실시되는 특수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도 치밀한 연구 설계에 의한 종단조사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고 특수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vi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in 2014 and 2017. Method: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their teachers responded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tudent capability, social inclusion,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ponses between 2014 and 2017 were compared. Results: The students’ capabilities were improved, their inclusion status was enhanced, and the behavior problems decreased during the 3 years. Especial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educated in special classroom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outcomes in every aspect.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was effective and successful in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is the first longitudinal study to confirm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and demonstrate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 academic, social, and behavioral competenc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However,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develop a better research methodology for a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ing special education needs.

      • KCI등재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기대효과 및 운영과제

        정하나 ( Jeong Ha-na ),이영철 ( Lee Young-chu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이 연구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도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기대효과 및 운영과제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15개의 특수학교 중에서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학교 각 1개교에서 중학교 수업을 지도하는 교사 150명을 편의목적표집을 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결과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수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유학기제 연수 참여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특수교사들은 자유학기제의 연수의 내용이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특수학교에 바람직한 `자유학기 활동` 운영 모형과 `자유학기 활동` 연수는 진로탐색 활동, 주제선택 활동, 예술·체육 활동, 동아리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특수교사의 가장 큰 역할에는 통합수업 운영을 통한 교과 간의 융합과 진로체험, 지역 인프라 탐색 및 적용이 가장 큰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기대효과는 학교생활의 만족도 증가와 긍정적인 학생의 정서 발달, 진로ㆍ직업교육 강화 등이었다. 셋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운영과제는 담임업무 경감과 지역 인프라 확충, 특수학교에 표준화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s, expected effectiveness and operational issues of special teacher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The subjects from 15 special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ampled. The subjects were sampled four special schools for visual, auditory, intellect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The sampled were 150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tions, expected effectiveness and operational issues of special teacher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cognitions of special teacher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are well acquainted. There were many special teachers who answered that they had not received the experience in the free semester training, but the special teachers who answer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training program. The answer of `usually` was high whether it was helpful or not. And it were recognized that the preferred period of the free semester in the special schools was the ` grade 1 semester 2` as the most desirable. The `Free Semester Activities` model, which is desirable for special schools, appeared in the order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topic selection activity, arts and sports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The `free semester activity` training required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ere appeared in the order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topic selection, arts and sports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Namely, special school teachers preferred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s `free semester activity`. The most important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integrated class operating and exploring the local infrastructure for career experience. Second, expected effectiveness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the increase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was the most expected effect and followed by positive student emotional developmen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operational issues on execu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reduction of teachers business, expansion of local infrastructure, a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free semester for special schools were the biggest operational issues. Through this study, free semesters in the special school is successful operation and activity requires to need a variety of special teacher training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special school, it may suggest that the program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free semester for student characteristics.

      • KCI등재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지영,박재국,김진희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n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ethod: A survey of 213 special teachers was conducted to ask them about their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Results: First,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teachers was work-family balance(3.37±.73), work-leisure balance(3.18±.99), work-growth balance(3.12±.94). Second, the level of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internal happiness(3.77±.74), external happiness(3.68±.69), self-regulative happiness(3.12±.80). Third, the level of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as positivity(3.65±.62), interpersonal relationship (3.54±.51), self-regulation(3.33±.59). Fourth, the direct effects of the work-life balance on the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significant, and that resilience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in part.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of the study, the basic data need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ere utilized as basic data, and the implication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ursuit of happiness in the school field were derive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관계를 알 아보고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 구방법: 특수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의 수준은 ‘일-가족 균형’에 대한 인식(3.37±.73)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여가(3.18±.99), 일-성장(3.1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은 ‘내적행복’에 대한 인식((3.77±.74)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 로 ‘외적행복(3.68±.69)’, ‘자기조절행복(3.12±.80)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의 수준 은 영역별로 살펴보면 ‘긍정성’의 수준은 3.65±..62, ‘대인관계능력’의 수준은 3.54±.51, ‘자기조절능 력’의 수준은 3.33±.59 순으로로 나타났다. 넷째,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을 때 특수교 사의 행복감에 대한 일-삶 균형의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일-삶 균 형과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학교 현장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교육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