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승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2 No.-

        트위터, 페이스 북, 미투데이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사회적으로 널리 확산되면서 다른 사람들과 정보 및 뉴스 등을 공유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교환하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의견 교환의 장으로, 오락적 가치와 정보 전달 플랫폼으로, 그리고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 요인은 정보추구 동기, 사회적 영향 동기, 습관적 오락 동기, 인적관계 형성 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자의 트위터 이용동기가 기존 매체에 대한 이요동기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트위터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갖는 특성을 반영한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기존 매체 이용동기와 구별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트위터 이용동기 요인들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정서적 친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향 동기는 공동의 공간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정보추구 동기는 정보의 신뢰성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sharing information and news and exchanging one's opinion and information easily and promptly among other people has created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me-today spread widely in a society. In particular, the service contributes to building social network as information and recreational value delivery platform and various opinion exchange site. This study analyzed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Moreover,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effect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on the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spac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emotional intimacy. As a result of study, factors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ppeared as an information pursuit motive, social influence motive, habitual entertainment motiv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etc.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re similar to ones of existing media but the motive of social network form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witter-based social network are unlikely to be different from the use motive of existing media users. Besides, factors of twitter use motive clarified by this study appeare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user's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loc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motional intimacy. Especially, th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e social influence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awareness of co-location, and the information pursuit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information reliability.

      • KCI등재

        Tweeting Politics -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motivations for Twitter use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in South Korea

        Daekyung Kim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7 N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트위터가 일상생활에서 소통과 관계의 주요한 도구로 대중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선거 공간에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동기들과 어떠한 변인들이 트위터 이용 동기를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6월 2일에 있었던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292명의 트위터 이용자들이 참여했다. 연구과제로는 첫째,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트위터를 이용한 동기에 대해서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이용 동기들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정치 이용자들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보다 더 트위터에 의존을 하여 선거 관련 뉴스와 정보를 습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거기간 동안 트위터를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들은 세 가지 주요한 동기들-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편의/오락, 사회적 유용성-을 나타냈고,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트위터 의존과 정치적 행위 간의 유의미하고 정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변인 중에는 나이, 성별, 그리고 가구 수입이 유의미한 변인들이었고, 신문 구독은 트위터의 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동기에 대한 부정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하게는, 트위터 의존과 정당 지지 강도가 트위터의 사회적 유용성 동기를 예측하는 유의미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거 기간 동안에 정치적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트위터가 유용한 토론의 장으로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트위터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서 본 연구는 앞으로 트위터가 정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nfluences of Twitter during the local election held on June 2 2010 in South Korea. First,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s for why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were using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and then explored what factors could predict the motivations for using Twitter. An online survey of 292 politically motivated Internet users in this study identified three primary reasons for accessing Twitter: political surveillance/information-seeking, convenience /entertainment, and social utility. Correlation analysi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itter reliance and political behavior,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both Twitter reliance and strength of party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utility motives for accessing Twitter, which may indicate the discursive nature of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both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witter as a political communication tool. Based on those findings, discussion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followed.

      • KCI등재후보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승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2

        트위터, 페이스 북, 미투데이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사회적으로 널리 확산되면서 다른 사람들과 정보 및 뉴스 등을 공유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교환하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의견 교환의 장으로, 오락적 가치와 정보 전달 플랫폼으로, 그리고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 요인은 정보추구 동기, 사회적 영향 동기, 습관적 오락 동기, 인적관계 형성 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자의 트위터 이용동기가 기존 매체에 대한 이요동기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트위터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갖는 특성을 반영한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기존 매체 이용동기와 구별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트위터 이용동기 요인들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정서적 친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향 동기는 공동의 공간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정보추구 동기는 정보의 신뢰성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sharing information and news and exchanging one's opinion and information easily and promptly among other people has created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me-today spread widely in a society. In particular, the service contributes to building social network as information and recreational value delivery platform and various opinion exchange site. This study analyzed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Moreover,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effect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on the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spac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emotional intimacy. As a result of study, factors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ppeared as an information pursuit motive, social influence motive, habitual entertainment motiv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etc.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re similar to ones of existing media but the motive of social network form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witter-based social network are unlikely to be different from the use motive of existing media users. Besides, factors of twitter use motive clarified by this study appeare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user's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loc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motional intimacy. Especially, th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e social influence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awareness of co-location, and the information pursuit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information reliability.

      • KCI등재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홍문기(Moon Ki H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1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는 트위터의 이용동기와 소비자의 웹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살펴봤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트위터 이용자(twitterer)의 이용동기 유형을 구분하고 기존 논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기업/제품의 브랜드 관련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분석했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온라인 설문자료를 요인 분석한 결과 "정보교환을 통한 기업/제품 관련 이슈 참여", "상호작용성에 의한 팔로우어 집단 형성", "기업/제품에 대한 정보전달의 용이성", "휴식 및 오락" 등 소비자의 네 가지 트위터 이용동기와 "웹 인지", "웹 표현", "웹 충성도" 등과 같은 기업/제품의 브랜드 관련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인이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모수추정치에 근거한 모든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이 도출됐다. 이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의 트위터 이용동기 중 팔로워를 통한 집단형성 동기가 나머지 이용동기와 소비자의 웹사이트 인지 그리고 표현 변인을 매개하고 있음이 파악됐다.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를 마케팅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소비자들이 기업/제품의 브랜드 관련 이슈에 대해 많이 논의하는 것이 상호작용성에 근거한 온라인 집단형성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가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 블로깅(Micro-blogging) 미디어를 이용해 웹 브랜드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는 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online customers` uses and motivations in along with the traits of twitter in the web brand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xt. First,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customers` motivations of twitter usage in the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surroundings. Secondly, the researcher verified the differences of the motivation according to the twitter us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online customers who use twitter for online shopping.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motivations of twitter users. Motivations of twitter usage were "Participat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Formation of Follower Group," "Convenient Communication Tool," "Easiness of Transferring Information,"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In addition, "Web Awareness," "Web Presentation," "Web Loyalty"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lated to web brand marketing. Based on these facto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uggested and tested to observe the paths among twitter users motivations and their web brand loyalty. In this study, "Formation of Follower Group" factor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on web brand marketing in the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xt.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위근(Wi-Geun Kim),최민재(Min-Jae Choi)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0 No.4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서베이 결과, SNS 이용자의 이용동기는 ‘정보’, ‘참여’, ‘교류’로 추출됐다. SNS 이용동기에 따른 SNS 이용 여부에서 SNS 이용동기는 해당 SNS의 특성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를 얻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트위터’와 ‘미투데이’와 같은 소통 중심 SNS를 더 많이 이용했다. SNS에 참여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싸이월드’를 더 많이 이용했다.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관계 중심 SNS인 ‘페이스북’과 ‘싸이월드’를 더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SNS 이용동기에 따른 SNS 이용시간 및 접속횟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편 정보를 얻고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SNS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에, SNS에 참여하는 것이 목적인 SNS 이용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SNS의 이용동기에 따라 SNS 메시지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nline survey of SNS users, SNS users’ use motivations consist of ‘informati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SNS use motivations explain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SNS very well. SNS users that aim to collect information use much more the SNS for communication like ‘Twitter’ and ‘Me2day’ than other SNS. SNS users that aim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through SNS use much more ‘Cyworld’ that is joined by the most subscriber. And SNS users that aim to interact with other users use much more the SNS for network like ‘Facebook’ and ‘Cyworld’. This tendency can also be seen in the use hours and access times of SNS by SNS use motivations. Meanwhile, the SNS Users that aim to collect information and interact with other users positively rate SNS messages. On the other hand, the SNS Users that aim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through SNS negatively rate those. This confirms that SNS use motivations affect SNS users’ recognition of SNS messages.

      • KCI등재

        SNS 이용 특성에 따른 집단 판별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소연,전범수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정보화정책 Vol.19 No.4

        본 연구는 개인 수준에서는 심리적 요인(성격, 자존감, 혁신성향, 이용 동기 등)을 중심으로 사회적 수준에서는 미디어 영향 및 준거집단의 영향, 사회적 이미지 등을 중심으로 SNS 이용 집단을 판별할 수 있는 가를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 집단과 비이용 집단을 구분짓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집단, 준거집단 영향, 자기효능감, 스마트폰 이용 여부 순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자 집단은 연령대가 낮고, 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집단으로 준거집단의 영향을 받아 이를 이용하고 있다. 둘째, 단독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이용자 집단은 내향적 성향을 지녔고, 두 개 이상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 집단에 비해 '전문적 지식 검색 및 표현'의 동기가 낮고, 혁신 추구 성향과 자기효능감 등 개인의 혁신 성향이 낮았다. 셋째,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이용하는 집단은 싸이월드만을 이용하는 집단에 비해 혁신 추구 성향 및 자기효능감 등의 개인의 혁신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전문적 지식 검색 및 의견 표현’동기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싸이월드만을 이용하는 집단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친교 및 관계유지’의 동기가 높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여러 가지 SNS를 이용하게 되는 이유는 개인 성격이나 혁신 성향과 연계되어 있으며 싸이월드와 같은 국내 SNS 이용은 기존 관계 유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보았다.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factors to analyze users, non-users, and the relation between how many sites people use and the users' tendencies, in regards of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Facebook, Twitter, and Cyworl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user group seems to be composed of people who are younger, have higher self-efficacy, and use smartphones, compared to the non-user group. Secondly, a single-site user group has lower motivation of 'expert search and expression' and a lower degree of personal tendency of innovation (novelty seeking and self-efficacy), compared to multiple-site user group. Thirdly, foreign SNS user groups have a higher degree of personal tendency of innovation and motivation of 'experts search and expression' than the Cyworld user group. On the other hand, the Cyworld user group seems to be affected by reference group in their use, while they have high motivation of 'connect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multiple SNS uses. Also, Cyworld users tended to use it for maintaining established relationships.

      • KCI우수등재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

        김균수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2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의 관계를 뉴스 생산자가 아닌 뉴스 이용자의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트위터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뉴스관을 기자 역할, 기자 규범 그리고 저널리즘 권위로 나눠 살펴봤다. 또한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이 트위터를 뉴스 미디어로서 이용하는 동기 및 트위터를 통한 저널리즘 실천 행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조사했다. 연구 결과,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은 전통적인 기자 역할 및 기자 규범에 대한 인식의 공유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기자 역할 및 기자 규범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었다. 또한 트위터를 통한 뉴스 이용 동기 및 저널리즘 실천 행위와 지각된 뉴스관의 관계가 획일적이기보다는 특정 동기 및 실제적인 저널리즘 실천 행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제도 및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저널리즘이 생산적, 기술적, 그리고 직업적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실용적 함의를 도출했다.

      • KCI등재

        리트윗은 누가 왜 하는가?

        박노일(Nohil Park),정지연(JiYeon Jeong) SBS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3

        이 연구는 트위터 이용 행위 중 리트윗(Retweet)을 주목하고, 리트윗 행위의 심리적 구조를 살피는 동시에 어떠한 사람들이 적극적인 리트윗 행위자인지를 인구사회학적 속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12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트위터 이용자 884명의 리트윗 동기구조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속성이 리트윗 행위와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리트윗 행위 동기는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가치공유’, ‘큐레이터(관리자) 역할’, ‘호혜성(이타성)’, ‘시의적 활용’, 그리고 ‘공분(公憤)공유’의 6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공분을 공유하고자 하며, 타인을 돕기 위한 이타적 리트윗 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미디어적 속성을 갖고 있는 블로그 이용동기와 유사한 면을 가지며, 특히 큐레이터 역할 욕구, 공분공유 및 호혜적 리트윗 동기 요인은 의미 있는 발견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트위터의 일반적 이용동기 분석을 넘어 실제 트위터의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인 리트윗의 심리적 동기 구조와 리트윗 행위자의 인구학적 속성을 체계적으로 탐색했다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witters’ retweeting behaviors have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recently due to its potential impact on the spreading and building of public opinion. This study surveyed 884 twitter users online from November 20, 2010 to December 15, 2010, to examine their motives for retweeting and which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witter users influence retweeting behavior and retweeting motivation factor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ix primary motivations for retweeting: social interaction, sharing of value-added information, role of curator, altruism, timeliness, and sharing of public anger.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es found that twitters’ gender variables positively predicted two retweeting motivations(altruism, sharing of public anger) and also age variable positively predicted twitters’ motivation to share public ang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witter as a social media may be used and have effects differently depending on twitters’ retweeting motivation factors as well as their attributes of socio-demographic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