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옹 성철의 불서 인용과 유필노트

        최원섭(Choe, Won-Sup)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퇴옹 성철(1912-1993)의 주요 저술은 옛 글을 인용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성철이 불서를 인용하는 방식에 ‘오류’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성철의 저술은 원 텍스트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임의로 삭제하거나 변형하거나 첨가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퇴옹 성철의 대표 저술인 『선문정로』의 불서 인용 방식이 한문 문화권의 전통적인 방식을 따른다는 점에서, ‘오류’라고 판단하는 근대 학문적 시각과는 차이가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성철이 남긴 유필노트를 활용하여 불서 인용을 확인하였다. 성철이 불서를 열람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직접 필사한 노트가 50권 이상 전하는데 이 자료를 활용하여 『선문정로』 등을 저술한 것으로 보이므로 이 노트를 통하여 성철이 불서를 인용한 방식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이 시도한 것은 성철의 유필노트가 단순히 옛 문헌을 필사하고 정리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성철의 판본’이었음을 상기시키려는 것이다. 성철은 무작정 불서를 인용한 것이 아니라 내용을 살펴보고 자신의 주장에 부합하도록 조정하고 변형하였다. 이것은 지금의 시각으로 ‘표절’이나 ‘왜곡’으로 말할 수 없는 한문불교의 특징이다. 오래 전 문헌을 인용한다는 것은 그것을 원전으로 삼아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려는 목적이다. 서적 형태의 원전을 필사본으로 재연함으로써 성철은 우리에게 또 다른 원전을 제시하였다. Ven. Toe-ong Seongcheol (1912-1993)s representative books mainly consist of sentences quoted from old Buddhist texts. However, critics say that there are errors in his way of citing texts, and that he arbitrarily deleted, modified, or added without quoting in the original text. This paper argues that the quoting way of the Seonmun-jeongno, the masterpiece of Ven. Toe-ong Seongcheol, follows the traditional method of Chinese writing culture, and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academic view which it deems to be an error. In particular, in this paper, the quotations were confirmed using the notes he left behind. There remain more than 50 notebooks where he had hand-written the necessary parts while reading the texts. Appearing to have been used to write his books, these notebooks directly identify the way he quoted Buddhist texts. What this paper attempted was to remind you that Ven. Seongcheols notes were not merely a manuscript of the old literature, but a kind of ‘Seongcheols edition.’ He did not just cite the Buddhist scriptures, but he reviewed the contents and adapted them and modified them to suit his own argument.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Buddhism, which cannot be described as ‘plagiarism’ or ‘distortion’ from this point of view. Citation of the old texts is intended to use it as a original text to create new contents. By reenacting the original books as manuscripts, Ven. Seongcheol presented us with his own manuscript.

      • KCI등재

        百日法門에 보이는 퇴옹 성철의불교 인식과 근대불교학 활용

        최원섭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 delivered by Ven. Teo-ong Seongcheol (1912~1993) who was the first supreme master of the Hae-in Chongnim, or the comprehensive monastic training complex. Using two frames, the succession of Buddhist tradition and the acceptance of modern Buddhist studies, I examined how he used a key word of his sermon, or the Middle Path, and how he provided his key to people in the 20th century, when he delivered his first sermon as the supreme master. First, using his voice recording of the sermon and his lecture notes, I listened to the whole sermon that he delivered from December 4, 1967 to January 23, 1968, and understood his ability of free using the old and the new tradition. Secondly, I asserted that the Buddhist tradition of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 is East Asian Buddhism that uses Chinese texts because Ven. Seongcheol identified himself as the Seon master and supreme master. Lastly, I understood that he accepted modern Buddhist studies as one of his skillful means, or a tool that can help the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So I criticized those who misunderstood that he was influenced by Japanese imperialistic modern Buddhist studies. 이 글은 해인총림 초대 방장 퇴옹 성철(1912~1993)의 개당설법 ‘백일법문’ 의 핵심인 중도가 어떤 맥락에서 설정되었으며 그것을 어떤 방편으로 20세기에 전하는지를 퇴옹 성철의 불교 인식과 근대불교학의 활용 측면에서 살펴본것이다. 먼저 성철의 육성 녹음과 백일법문 강의노트를 바탕으로 1967년 12월 4일부터 1968년 1월 23일까지 진행된 백일법문 전체의 내용과 구성을 파악하여옛 것과 지금의 것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성철의 면모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백일법문이 전체 불교 교리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개론서와 같은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총림 방장이라는 선사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키고 있기 때문에 백일법문에 보이는 성철의 불교 인식은 한문 문헌 중심의 불교임을 언급하였다. 선사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키면서 설해진 백일법문답게 퇴옹 성철은 철저하게 한문 문헌 중심의 불교를 ‘진실’로 삼아 상황에 따른 ‘방편’을 도입한다. 근대 과학과 근대 불교학의 성과를 활용하는 일 역시 방편 차원으로 이해할수 있다. 따라서 백일법문의 ‘중도’ 역시 제국주의적인 일본의 근대 불교학의성과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설명은 백일법문의 기본 입장을 오해한 부분이있다고 하겠다.

      • 현수법장의 교판론과 퇴옹성철의 불교관 비교 연구

        석길암 ( Seok Gil-ahm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본 논문은 현수법장(643-712)의 화엄교판관과 퇴옹성철(1912-1993)의 불교관을 비교 검토한 것이다. 특히 화엄교판에 대한 퇴옹의 해석 특징과 퇴옹이 지향한 불교관을 『백일법문』을 통해 검토하였다. 퇴옹은 “과거·현재·미래 삼세의 모든 부처님과 역대의 조사(祖師) 모두가 자기 마음을 깨쳐서 성불했지, 언어와 문자에 의지해서 도를 얻은 사람은 단 한 분도 없다”는 관점에 의해 교종 전체와 선종을 구분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백일법문』에서는 불교 교학의 정통성을 판석하는 기본적 관점으로 중도를 제시하는데, 이 중도는 화엄사상에 기반한 이해라고 생각된다. 퇴옹은 선의 이론적 기반인 화엄사상을 원용하여 불교 교학 전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퇴옹이 『백일법문』에서 강조하는 ‘진여법계의 중도’가 불교 교학전반을 이해하는 틀로 활용한 것은, 돈오돈수론을 중심으로 하는 그의 선불교 전통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다. 곧 퇴옹은 화엄사상과 화엄교판이 지향하는 본래의 의도를 드러내는 것보다는 자신이 생각한 중도의 관점을 화엄사상과 화엄교판에 의해 드러내는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퇴옹은 『백일법문』에서 자신이 지향하는 불교관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불교의 시대적 정당성 확보에도 많은 관심을 할애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같은 부분은 퇴옹의 관점에서 보면, 불교전통이 약화되었던 시대적 상황에 대한 고려,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근대불교학에 대한 대응, 다종교시대에 있어서 불교의 사회적 역할 등에 대한 고민까지 일정 부분 담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불교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승가와 불자 교육에 있어서 기본적 관점이 미비했던 현실에 대한 선사의 응병여약으로서 ‘백일법문’을 위치 지우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이것은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이지 사실 전체 『선문정로』에서 이 돈오원각론, 실참실오론, 구경무심론은 서로가 서로를 성립시키는 3위일체적 관계에 있다. This thesis is a comparative review of Xian Shou Fazang(643-712)’s Huayan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and Toeong Sungchol(1912-1993)’s view of Buddhism. In particular,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oeong҆s interpretation of Huayan Classification and the view of Buddhism appeared at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百日法門). Toeong proposed the view that “among the Buddha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ll saints of the past were awakened by their minds to achieve Buddha-hood. No one has gained awakening through relying on language and script.״ In his Sermon of One Hundred Days, the middle way is presented as a basic view point that marks the legitimacy of Buddhist teaching, which is thought to be an understanding based on the Huayan Thought. Toeong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uddhist doctrines by applying the Huayan thought,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Seon. The middle way of the dharma and the world of true suchness, emphasized in his book, was used as his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ntire Buddhist doctrines.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has deeply been related to his recognition of Seon Buddhist tradition, centered on sudden awakening with sudden practice. Indeed, he was paying more attention to revealing his view of the middle way through Huayan thought as well as its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rather than to revealing his original intention. Toeong is thought to have devoted to pay attention to secure the contemporary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In Toeong’s point of view, it has believed that a certain amount of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situation of his time when the Buddhist tradition was weakened. He was responding to the newly emerged modern Buddhism, and to the social role of Buddhism in the contemporary multi-religious era. This could be the reason why his Sermon of One Hundred Days was placed as his recipe for the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ituation where there was a gap between traditional Buddhist monks and lay Buddhists.

      • KCI등재

        분황 원효의 중도일심과 퇴옹 성철의 중도무심

        고영섭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3 불교 철학 Vol.13 No.-

        이 논문은 붓다(기원전 624~544)의 ‘중도연기’를 이어 철학하고 사상했던 분황 원효(617~686)의 ‘중도일심’과 퇴옹 성철(1912~1993)의 ‘중도무심’ 개념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고타마 싯다르타는‘중도’를 깨쳐 각자(覺者)가 되었고 ‘연기’를 발견해 견자(見者)가 되었다. 이 때문에 고타마 붓다의 깨침은 ‘중도연기’라고 할 수 있다. 붓다의 중도는 모든 존재자의 ‘치우침이 없는 본래마음’(일심지원)이며, 연기는 모든 존재자의 ‘치우침이 없는 존재원리’이다. 분황 원효는 중도 개념을 풀어내면서 일중도관, 중도제일의제, 중도제일의제관, 중도일미, 무이중도, 중도법, 중도일실, 중도정혜명 등 다양한 용어를 제시하고 있다. 원효는 ‘진금을 녹여서 장엄구를 만들고’ (속제, 진제), ‘장엄구를 녹여서 금단지를 만들며’(속제중도), 이제를 녹여 일법계/일심을 나타낸(진제중도) 일련의 비유를 통해 속제(소집상), 진제(시각의 원성실성), 속제중도(의타상), 진제중도(본각의 원성실성)를아우르면서 비진비속무변무중지중도 즉 무이중도를 제시하고 있다. 원효가 보여주는 중도는 양 극단에 치우침이 없는 존재자의 본래마음인일심(지원)의 다른 표현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반야 중관의 이제설과유가 유식의 삼성설의 무이적 통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섭은일법계 즉 일심(지원)을 나타낸 것이며 이 일심(지원)은 중도와 아울러‘중도일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퇴옹 성철은 열반경 의 쌍비쌍역을 근거로 하여 유무의 양변을 넘어서는 중도의 원리인 쌍차쌍조의 시원을 밝히고 있다. 쌍비(非有非無) 는 양변을 모두 부정하는 것이고 쌍역(亦有亦無)은 양변을 모두 긍정하는 것이다. 쌍차는 양변을 막는다는 것이니 양변을 떠나는 것이다. 쌍조는 양변을 비춘다는 것이니 양변이 완전히 융합하는 것이다. 성철은중도의 근본원리인 바른 이치[正理]에서 보면 일체의 차별 망견이 스스로 없어진다고 하였다. 그렇게 되면 모든 것을 융합하는 쌍조의 중도원리에서 보게 되어 일체의 차별 망견이 스스로 없어진다고 하였다. 그는 양변을 버리는 쌍차와 양변을 완전히 융합하는 쌍조를 넘어 차조동시의 진공묘유가 된다고 하였다. 성철은 무심을 가짜 무심과 진짜무심으로 구분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창안한 독자적인 용어이다. 이 용어는 의식 속에 아직 티끌이 남아있는 무심(無心)과 제8식의 삼세상까지 넘어선 구경무심(究竟無心)을 거론하기 위함으로 이해된다. 그는 중도와 무심의 통섭인 ‘중도무심’의 개념을 통해 자신의 철학사상을 구성하였다. 원효와 성철은 중도의 연속성을 표방하면서도 각기 일심과 무심의기호를 통해 불연속의 층위를 개척해 감으로써 저마다의 독자성을 보여주었다. 만일 붓다의 중도사상을 원효와 성철이 계승하기만 했다면이들을 철학자이자 사상가라고 부를 수는 없을 것이다. 원효와 성철은붓다를 계승하면서도 각기 일심과 무심을 통해 철학하고 사상함으로 써 붓다의 중도연기를 이어 중도일심과 중도무심의 세계를 열어갈 수있었다. 그리하여 이들은 불교사상사를 더욱 풍요롭게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Bunhwang Wonhyo’s (芬皇元曉, 617–686) “middle-way one mind” thought and Toeong Seongcheol’s (退翁性徹, 1912– 1993) “middle-way no-mind” thought, which draws from Buddha’s (624–544 BC) “middle-way dependent origin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mong these three ideas. Gotama Siddharta became an enlightened person (覺者, awakened one) by realizing the middle way and a seer (見者) of truth by discovering the dependent origination. For this reason, Gotama Buddha’s enlightenment can be called a middle-way dependent origination. Buddha’s middle way is the unbiased fundamental mind (One Mind) of all being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is the unbiased principle of all beings. Bunhwang Wonhyo utilizes various terms while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middle way, such as “contemplation of one middle way,” “middle-way ultimate truth,” “contemplation of the middle-way ultimate truth,” “the middle-way single taste,” “the non-dual middle-way,” “the principle of the middle way,” “the middle-way one truth,” and “middle-way samādhi-prajñā.” Wonhyo explains both the conventional truth aspect of “making accessories by melting gold” and the conventional-truth middle-way aspect of “making a pot of gold by melting accessories.” He then explains the aspect of the ultimate truth middle-way, which dissolves the two truths aforementioned, and represents the one-dharma realm/one mind. Next, he explains conventional truth, ultimate truth, conventional truth middle-way, and ultimate truth middle-way through a series of metaphors. As a result, he presents the middle-way wisdom of neither ultimate nor conventional, neither edge nor center, in other words, a non-dual middle way. The middle way shown by Wonhyo was another expression of the one mind, the fundamental mind of an entity that is not biased toward either extreme. This can be said to be a non-dual harmonization of the two-truth system of the Madhyamaka school and the three-nature system of the Yogâcāra school. This harmonization represents the one-dharma realm or the one mind, which can also be called the middle-way one mind along with middle way. Toeong Seongcheol reveals the origin of the idea of “blocking both and illuminating both (雙遮雙照)” which is the middle-way principle that goes beyond both sides of presence and absence, based on the idea of “denying both and recognizing both (雙非雙亦)” in the Nirvana Sutra. The idea of “denying both (雙非)” means denying both existence and non-existence (非有非無). The idea of “affirming both (雙亦)” means affirming both existence and non-existence (亦有亦無), that is, recognizing both sides. Blocking both sides (雙遮, Ssangcha) means leaving both sides of denying both and affirming both. Illuminating both sides (雙照, Ssangjo) dependent origination.” Thus, they further enriched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 KCI등재

        퇴옹 성철의 윤회사상 연구 - 윤회와 영혼의 문제에 관한 과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

        이창욱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8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raw deeper implications of Toiong Seongcheol Buddhist monk(禪師)(1912∼1993)‘s reincarnation.(輪廻). Toiong Seongcheol is the very person who left a lot of anecdotes in the Buddhist world. He read a lot of different Oriental and Western studies extensively since childhood and was mountains(山僧) who just devoted himself to Gudo(求道) as a Zen pries(禪僧) after joining the monastic order. The anecdote that he did Jangjwa Bulwa(長坐不臥) in Pagyesa(把溪寺) for 8 years and led an association organized for the success of sustained resolution of Bongamsa Temple(鳳巖寺結社) to carry out a reform of Buddhism have been the talk of the town until now. Like this he focu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and asceticism of Buddhism and took the following new steps to propagate the doctrines. First, he tried to prove Immortality(不生不滅) of Buddhism by combining it with scientific theories and emphasized in the middle(中道) ideas. Second, he brought a dispute of the Buddhist world by refuting Bojo Jinul(知訥)’s Donojeomsu(頓悟漸修) ideas, the Buddhist traditional practice method, and asserting Donodonsu(頓悟頓修). Third, he embraced the existence of souls and the afterlife which are hard to verify scientifically by bringing psychics or parapsychology to Buddhism.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existing Buddhist reincarnation and the reincarnation preached to the public differed in terms of content, and Toeong brought scientifically unproven foreign psychic cases to recognize the reality of the soul and incorporate and accept it. However, this attempt means an expansion of awareness to place value that the existence of men is not the subject of disappearance(消滅) or the existence of vanity(無常). That is, it is the delivery process to expand the essence of Buddhism and ego’s enlightenment gradually by escaping from the doctrine of reciting Buddhism scriptures and finding the actual usage from the various academic viewpoints. He rarely showed himself in the world, but he is truly meaningful in that he tried to make a ideological change of modern Buddhism under the value of the reform of Buddhism beyond Oriental and Western academic introspection and suggested new Buddhist views to us by discerning the flow of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and utilizing it as the base data to present excellence of the Buddhist doctrines and truth. 본 논문은 퇴옹 성철 禪師(1912∼1993)의 윤회사상에 담긴 심층적 의미를 도출하려는데 근본 목적이 있다. 퇴옹 성철은 한국 불교계에 많은 일화를 남겼다. 그는 어려서 동,서양의 다양한 학문을 섭렵하였고 출가 이후에는 禪僧으로서 求道에만 정진하는 山僧이었다. 그는 파계사에서 행한 8년간의 장좌불와와 불교개혁을 단행하기 위한 봉암사 결사를 주도한 일화 등은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그는 이처럼 불교의 근본정신과 수행에 중점을 두고 대중들에게 교리를 전파하는데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새로운 행보를 보였다. 첫째, 과학이론을 접목하여 불교의 불생불멸을 증명하려고 시도하고 中道사상을 강조한 점. 둘째, 불교의 전통 수행방식인 보조 지눌의 頓悟漸修사상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頓悟頓修를 주장하여 불교계의 논쟁을 불러온 점. 셋째, 심령학이나 초심리학을 끌어와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어려운 영혼의 존재나 사후세계를 포용한 점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기존 불교의 윤회사상과 대중들에게 설파한 윤회사상이 내용적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퇴옹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외국의 심령 사례를 가져와 영혼의 실체를 인정하고 이를 불교의 윤회사상에 접목하고 수용하려는 면모를 보여 의구심을 자아낸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인간을 단순히 消滅의 주체나 無常의 존재가 아닌‘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인식의 확충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대중들에게 불교 경전의 암송에 불과한 교리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실제 사례를 발굴하여 불교의 근본정신과 자아의 깨침을 점진적으로 확충하려는 전달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세상에 좀처럼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유구한 동서양의 학문적 성찰을 뛰어넘어 불교개혁이라는 기치 아래 현대 불교의 사상적 변화를 꾀하고 빠르게 변모해가는 현대과학 문명의 흐름을 통찰하여 불교 교리의 우수성과 참된 진리를 제시해줄 근거자료로 활용하여 새로운 불교관을 우리에게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 참된 의미를 부여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퇴옹 성철의『百日法門』 연구-불생불멸의 함의를 중심으로-

        이창욱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4 No.1

        1967년 12월 4일부터-1968년 2월 18일 까지 합천 해인사에서는 총림의 방장에 추대된 퇴옹 성철 대종사(1912-1993)의 백일법문이 개최되었다. 백일법문은 한국 불교의 방대한 사상을 총망라한 결집의 장(場)이었다. 퇴옹은 출가 이후 장좌불와와 봉은사 결사를 단행하는 등 구도를 지향하는 선(禪)수행 중심의 불교개혁을 꽤하고 통합과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그는 수행적 관점에서 지눌이 제창한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단박에 깨침을 강조하는 돈오돈수를 주장하여 불교계의 논쟁을 일으킨바 있다. 이러한 퇴옹의 사상은 법문에서도 그 진의가 드러난다. 퇴옹은 과학이론을 수용하여 모든 존재(自性)는 연기적 조건에 따라 형성, 소멸된다는 자성의 성질을 강조하고 색과 공에 치우치지 않는 참된 깨달음인 ‘중도’를 강조하였으며, 불생불멸이며 불구부정, 부증불감이라는 진리를 통해 진여의 실상이 상주불멸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같은 인식은 중도의 참된 의미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이는 고전역학이 질량과 에너지를 분리한 것을 정설로 여겼으나 아인슈타인이 ‘질량과 에너지가 동등하다’는 등가원리를 발견하고 기존의 학설을 재정립한 것처럼 현대과학의 원형을 가져와 인식의 틀을 전환하고 불교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과정이며, 불교에 담긴 불생불멸이 과학을 통해 비로소 해명되었다는 확철대오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대 한국 사회와 퇴옹성철의 위상과 역할

        김성철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61 No.-

        Buddhism was suppressed i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Cho-seon(朝鮮) Dynasty. But at the end of 19C the suppression was stopped and many elites of Korea entered the priesthood of Buddhism. In 1960s and 1970s many of Korean people showed interest in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New age movement in America. Venerable Sungchol(性徹) lived a life in this infant age of Korean modern Buddhism. The first half of Sungchol’s life as a monk was a time of seclusion and the last half was a time of engagement. The time of his engagement was also a period of military rule. Although he played a role as a Supreme Patriarch of Jogye(曹溪) Order, we cannot find in his sermons any mentions about the political or social problems of those days. That was because he judged that it was more urgent to restore the status of Korean monks than to concern about the political affairs of Korean society. The speeches and the life of Sungchol were very paradoxical. When a journalist asked him for a sermon, he replied as follows. “Hum, a sermon ……. Don't be deceived by my saying. … by my sermon …. Don't be deceived by my sermon. This is my sermon!”We can find here a typical formulation of ‘Liar paradox’. He required that the one who want to meet him should bow 3,000 times to the Buddha statue. He didn't give any instruction about the social affairs. He made a wall between himself and our society. But after his Nirvāṇa, so many people gathered to attend his funeral. He wa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ersons in Korea. He lived a life of seclusion, but his social influence was very great. It is also a paradoxical situation. In his Dharma poem written directly before his death, we can find two types of paradoxical sentences. The one is a typical Liar paradox and another is an emotional paradox of penance. Paradoxical situation is also found in the practice of Seon(禪) with Hwadu(話頭). Venerable Sungchol was a master of ‘Seon with Hwadu[看話禪]’. His last Dharma poem was a kind of Hwadu driven to the minds of all the people in Korea. He practiced passionately the ‘Seon with Hwadu’ during all his lifetime. So his speaking and action changed gradually, resembling more and more a paradoxical Hwadu. He was a Master of Gan-hwa-seon(看話禪), an incarnation of Paradox. 조선시대의 혹한기를 보낸 한반도의 불교였지만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된 구한말 이후 수많은 엘리트들이 발심, 출가하면서 불교부흥의 기운이 일어난다. 또 한국이 기독교 국가인 미국의 영향 하에 들어가긴 했지만 서구의 저항문화운동 세대와 보조를 맞추어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된다. 퇴옹은 이러한 현대한국불교 태동기의 한 가운데를 살았다. 퇴옹의 일생 가운데 출가 후근 30년간은 철저한 은둔수행의 기간이었지만 1965년 김용사의 설법이후 30년은 하화중생의 기간이었다. 퇴옹의 후반 활동기는 군사정권시기와 겹치는데, 그의 법어 어디에서도 사회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보이지 않는다. 당시의 정치적 혹한기에 섣부르게 사회현실에관여하는 것보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땅에 떨어진 승가의 위상을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또 퇴옹의 평소 언행이나 열반송 모두가 지극히 역설(Paradox)적인데 이는 그가 매진했던 간화선이 체화되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우리의 사유를 딜레마에 빠뜨리는 역설의 구조는 兩邊을 물리치는 간화의 방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철두철미한 간화선사였던 퇴옹을 ‘역설의 화신’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보조 간화선의 성격과 그 현대적 의의

        김방룡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5 No.-

        본 논문은 보조의 선사상 중 간화선에 대한 부분을 조망한 것으로, 간화선의 성격과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보조의 간화선은 어떠한 배경에서 주창되었는가? 둘째, 보조선의 체제 내에서 간화선은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가? 셋째, 보조와 성철의 간화선 이해에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넷째, 현대에 있어 보조 간화선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제기 아래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조에게 있어 간화선의 유입은 자신의 수행 상에 나타난 정견(情見)의 병통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던 대혜의 간화선을 종파적인 입장에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실존적으로 받아들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조선의 체계 내에서 간화선은 돈오점수의 수행 상에 나타나는 지해의 병통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행법으로서 자리함과 동시에 선문의 상근기가 가장 빨리 구경각에 도달할 수 있는 깨달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돈오점수, 원돈신해의 수행법을 배격하고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지눌과 성철 모두 간화선이 최고로 수승한 수행법이며, 교외별전인 선종의 수행법이라 보고 있다. 또한 돈오점수의 수행법이 지해의 병통에 빠지기 쉽다는 점도 똑같이 인식한다. 그런데 성철이 돈오점수를 철저히 배격하는 반면 지눌은 돈오점수의 수행을 배제하지 않는다. 오히려 돈오점수를 기본적인 수행법으로 세워 놓고 그 병통의 치유법으로 간화선을 활용하고 있다. 상근기의 경우는 곧장 간화선을 수행하여 구경각에 이를 수 있음도 말하고 있다. 이점이 보조와 성철이 간화선을 대하는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보조선에 있어서 수행의 기초는 마음이며, 깨달음의 방법은 회광반조와 간화선에 있다. 이는 조사선과 간화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현재에도 여전히 선수행의 토대로서 작용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looked into Bojo's Ganhwa-Seon(看話禪), a part of his Seon thought, about its characteristic and modern significance. First,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advocacy of Bojo's Ganhwa-Seon? Which position does Ganhwa-Seon gave within the system of Bojo's Seon? Are there ant differences between Bojo and Seongcheol in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bout Ganhwa-Seon? What is the significance of Bojo's Ganhwa-Seon in modern society? I drew there following conclusion about these questions. First, Bojo accepted Ganhwa-Seon to remove the trouble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exposed in his practice. Daehyea's Ganhwa-Seon is prevalent in China at that time. It means that he did not accept Daehyea's Ganhwa-Seon as a sectarian stand-point but subjective and existent. Second, in Bojo's system, Ganhwa-Seon was situa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practice to remove the trouble in intellectual understanding showed in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also Ganhwa-Seon was situated as a method to achieve the supreme enlightenment fastest to the trainee of high level practicing Seon. Nevertheless we can see that Bojo didn't reject the method of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Avatamska. Third, Bojo and Seongcheol regarded Ganhwa-Seon as the best method of practice in Seon-sect. And they also recognized that it is easy to fall into the trouble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n that point, Seongcheol rejected throughly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But Bojo did not reject that practice. On the contrary, Bojo set up the practice as a basic practice and applied Ganhwa-Seon to cure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n the case of the trainee of high level, Bojo said that they could achieve the supreme enlightenment without delay. This point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ojo and Seongcheol about Ganhwa-Seon. Fourth, in the standpoint of Bojo's Seon, the mind is the basic of practice and the method of enlightenment is Hoikwang-banjo(廻光返照) and Ganhwa -Seon. It is to succeed the tradition of Josa-Seon(祖師禪) and Ganhwa-Seon. And that have acted an the foundation of the practicing Seon even now.

      • KCI등재

        한국 근,현대 간화선사(看話禪師)들의 보조선(普照禪)에 대한 인식

        김방룡(Bang Ryong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본고는 근·현대 간화선사들이 보조선(普照禪)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간화선의 시원은 바로 보조 지눌이다. 지눌이 간화선을 최초로 국내에 소개하긴 하였지만 그에게 있어서 간화선은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에 들어가는 삼문(三門) 중의 하나에 속하는 것이었다. 또한 중국에 들어가 명안종사(明眼宗師)를 만나 화두를 직접 받아 간화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니라, 『대혜어록(大慧語錄)』의 한 구절을 열람하는 기연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간화선사로서의 지눌에 대한 평가는 탈중국적인 한국 간화선을 정착시켰다는 평가와 하택 신회(荷澤神會)와 규봉 종밀(圭峰宗密)의 선(禪)을 계승한 지해종도(知解宗徒)라는 상반된 평가로 나타나곤 한다. 근대 선승들은 조계종의 종명과 보조선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고 있었지만 현실적인 법맥은 태고법통설을 따르고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혼란과 재정비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하여 한암은 ``도의-보조 종조설``을 주창하였고, 성철은 ``태고법통설``을 주창하였다. 근 현대 선승 중 보조선의 계승을 통하여 간화선을 중흥한 대표적인 인물로 경허와 한암, 동산, 경봉, 효봉 그리고 구산 등을 들 수 있다. 근 현대 수많은 선지식들이 보조선풍을 드날렸지만, 그 중에서도 송광사의 효봉과 구산의 노력은 남달랐다. 이들은 보조의 계승의식이 남달랐지만, 사상적인 면에 있어서는 철저한 간화선사였다. 즉 간화선사의 입장에서 보조선을 이해하였고 돈오 후 점수 과정인 정혜쌍수에 대하여는 새롭게 해석하였다. 보조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본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주장한 사람은 성철이다. 즉 보조의 ``돈오점수설``이 혜능과 마조와 임제를 잇는 임제선의 정통에서 벗어난 이단사설이라는 것이다. 보조의 돈오점수란 사실은 ``해오점수(解悟漸修)``로 하택과 규봉을 잇는 하택종의 종지이자 화엄선(華嚴禪)이어서, 이를 따르면 선문의 금기인 지해종도가 된다고 성철은 강력히 배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경허 이후 많은 간화선사들이 돈오점수와 선교일치를 주장하는 보조선을 간화선의 수행지침으로 여겨 왔음을 밝혔다. 다만 성철은 이러한 보조선을 태고법통설과 임제-대혜를 잇는 임제종의 종풍에 입각하여 강력히 배격하고 있음을 밝혔다. Through this paper I aim at investigating how modern Ganhwaseon masters recognized Jinul`s Seon. It was Bojo Jinul who started Korean Ganhwaseon. Jinul introduced Ganhwase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yet for him it belongs to one of the three practice styles to enter into ultimate awakening. Besides, he reached enlightenment not by receiving a hwadu from a clear-eyed master in China but by opportune conditions in which he read a passage of The Record of Dahui. It is for these reasons that the assessments for him as a Ganhwaseon master run counter to one another. After all, there are some who consider him as a pioneer in Korean Ganhwaseon distinguished from that of China while there are others who underestimate him as merely an intellectual succeeding to Heze(684~758) and Zongmi`s Chan of China. Modern Seon masters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names of ``Jogye Order`` and ``Bojo`s Seon``; however, Dharma lineages of today practically acknowledge Taego as the rightful successor of the Dharma. So the problem of orthodoxy requires settling. Hanam advocated ``the theory of Doui and Bojo as the founders`` while Seongcheol proposed ``the theory of Taego inheriting the orthodoxy of the Dharma``. There are lots of Seon masters who had their names up practicing Bojo`s Seon, for example, Kyeonheo, Hanam, Dongsan, Gyeongbong, Hyobong, and Gusan. Among them Hyobong and Gusan were conspicuous. Both of them were distinct in their determination to inherit Bojo`s thought. But they were Ganhwaseon masters. In other words, they accepted Bojo`s Seon from the perspective of Ganhwaseon masters and so renewed the interpretation of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amadhi and prajna`` which was originally put forth for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awakening. It is none other than Seongcheol who criticized Bojo`s Seon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He asserted that Bojo`s approach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was heretical against orthodox Linji Ch`an succeeding from Huineng to Mazu to Linji. Bojo`s was, according to Seongcheol, in fact ``the understanding-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haeo jeomsu)`` and the main principle of the Heze School, to which Heze and Zongmi belong, and the Avatamsaka Seon. So following it meant becoming ``the follower of discriminative intellect(jihae jongdo)`` which is a taboo among the Seon practitioners. That is why he repudiated Bojo`s approach strongly.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at most Ganhwaseon masters of the post- Gyeongheo era accepted as their guidance Bojo`s Seon which insisted on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he congruence of Seon and doctrines. Among others, Hyobong and Gusan greatly exalted Bojo`s Seon centering around Songgwang Temple. Despite favorable attitudes toward Bojo`s Seon, however, as I further examined, Seongcheol repudiated Bojo`s Seon based on the Dharma orthodoxy of Taego and on the Linji and Dahui style of Ganhwaseon.

      • KCI등재

        퇴옹 성철의 선시와 윌리엄 블레이크

        설태수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8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46

        Every moment is a moment of beginning. As we are in the ever-changing world, each moment cannot be substituted by anything. Each being has its own unique quality, so there is neither superior nor inferior thing except from the relative viewpoint. The word ‘Beauty’ starts with the ‘Be’, meaning ‘existence’. Therefore, the whole existence can be construed as ‘Beauty’ itself as well. Both William Blake and a Zen monk Sungchol[性徹] realized the existence as the beauty itself. Blake said, “If the doors of perception were cleansed everything would appear to man as it is—infinity.” Similarly, Sungchol tells us that each being is no less than a Buddha. So we can find that they had shared a similar view on the world even though they belonged to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