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모색

        김혜주(Hye-Joo,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art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focus on raising awareness to external and internal method of integration, integrated analogous element and integrated subjects lea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attempt and unlimited potential of different results. In order to develop integrated art education, each field of art needs to cooperate to set better examples and create educational effect, rather than trying to be a lone main figure. Now, performing arts educators are interested not only in arts but also interested in education severely. Thu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producing play rather than performing, and dissolving all theatrical procedure into integrated arts education. This would be the moment when genuine integrated arts education will take root only when all of the theatrical works, not the prestigious works, are focused on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it is the result of the learner's satisfaction. 이 연구는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통합예술교육의 의미와 배경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통합예술교육에서의 연극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통합예술교육’의 정의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해 보고, 통합의 외적 방법과 내적방법, 유사요소 통합과 주제통합에 따른 다른 교육적 시도와 다른 결과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는 계기에 초점을 두었다. 통합예술교육이 발전하려면, 각 장르의 예술이 지닌 특성이 잘 어우러지는, 협업의 좋은 결과의 예시와 교육적 효과 창출이 중요하다. 통합예술교육은 각 분야별 예술교육의 병렬구조식 수업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이 연구에서는 연극, 미술, 사회·문화의 융합을 이룬 광고를 활용한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예술교육의 융합 프로그램의 실천 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극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모색은 연극의 장점과 교육의 의의, 무엇보다도 통합을 통해서 탄생한 새로운 종합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 연구를 통해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의 교육적 결과 창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를 희망한다.

      • 유아예술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이경혜,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예술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유아예술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시안의 이론적 준거 수립을 위한 문헌 고찰 및 분석 단계, 프로그램 시안 구성 단계, 실제적 준거 수립을 위한 현장 적용 적합성 검증과 현장 적용 및 수정단계, 모형 수립의 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교육목적은 유아의 심미적 체험과 창의성의 증진을 돕는 것이다. 교육목표는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 갖기와 예술 작품 감상 기회 자주 갖기, 아름다움과 지식 탐색, 발견, 감상하기 등이다. 교육내용은 음악, 움직임과 춤, 미술, 극놀이, 문학, 통합 예술 등 예술경험 영역내의 교육내용 통합하기, 예술경험 영역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자연탐구 영역 교육내용과의 통합하기 등이다. 교육내용 요소는 탐색, 감상, 표현, 창작, 상상, 의사소통을 포함한다. 교수-학습 방법은 1단계에서 5단계로 순차적으로 구성한다. 다양한 예술 표현 활동과 예술통합창작물 창출 활동을 한다 등이다. 교수-학습 원리는 주제 중심의 원리, 영역 통합의 원리, 창작 중심의 원리, 감성 표현의 원리, 협력의 원리, 문제해결의 원리 등이다. 교육평가는 유아 평가 항목은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 예술 작품 감상과 탐색, 창의적 예술통합표현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과 태도 분석하기 등이며, 교사 평가 항목은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적 평가하기, 교육목적 및 목표 달성 여부 평가하기 등이다. 본 프로그램은 전문가 협의 및 유아교육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적용 적합성을 검증 받았으며, 프로그램 적용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합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에 관한 연구

        표원섭,임재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지역의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이 점차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 발전해나가는 현대적 경향 속 에서 연극놀이를 포함한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통합문화예술교 육과 교육연극의 상호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통합수업과정 사례중심 분석으로 통합문화예술교육의 개념 을 다시 살펴보고,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과 멀리 있는 소외 지역의 지역성이 심할수록 전문교사에 의한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은 현격히 떨어지고, 그에 반해 지역민들의 요구는 더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소외 지역이라 할 수 있는 전남 완도군 고금도에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미술과 연극, 지역 역사 교육이 통합된 전남문화재단 꿈다락토요문화학교사업 통합예술수업 사례분석을 통해 통합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교육연극의 실제 적 용 사례와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교육연극의 궁극적 목적이 자신이 자신만의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고, 그것을 위해서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행동과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고, 타인과 함께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나누는 문화적 훈련과 예술적 경험이 필요하 다. 이번 통합수업 사례의 특징은 단청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을 주도적 교육 커리큘럼으로 삼고, 그 지 역의 역사를 이해하고 그것을 이야기로 담아내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교육연극을 함께 진행하는 방식이 다. 교육연극은 본연의 탁월한 교육적 기능 이외에도 이렇듯 어떤 다양한 예술분야와 어울려서 그것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예술교육 도구임을 확인하고자 이번 연구를 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role of educational theater techniques including theater play are increasing i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mid the tendency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gradually develop into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refor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relationship and role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educational theater and analyze them based on cases. The more severe the locality of the underprivileged area far from Seoul, the less accessibi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professional teachers, while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re increasing.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theater i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Gogeumdo, Wando-gun, Jeollanam-do.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al theater is to develop one's ability to express oneself freely, and for that, one must be able to express in various actions and form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ultural training and artistic experience of acknowledging and sharing differences with others. The characteristic of this integrated class case is that art education centered on Dancheong(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is used as a lead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plays using theatrical games that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region and capture it as a story. In addition to its natural excellent educational function, I would like to study that educational theater is a useful art education tool that can play a role in making it stand out in harmony with various art fields.

      • KCI등재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윤혜선 ( Yoon Hye-sun ),김예진 ( Kim Yeh-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중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 동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무용의 적용형태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의 범위를 국내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의 범주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를 위한 주요 검색어로 유아 대상 ‘통합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 연구로 간주할 수 있는 주제어를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도출된 연구물 중 프로그램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논문을 선별하여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논문의 발표연도 분석결과, 2001년부터 2015년도 까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총 연구물 중 과반수이상의 연구가 2011년도 이후에 진행되었다. 그리고 연구논문의 발표형태 분석 결과, 예술관련 학과의 박사 학위논문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예술관련 학회의 연구에 비해 부족하였다. 둘째, 학문분야간의 통합적 적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예술-비예술의 통합적 구성이 예술-예술의 통합적 구성 비중보다 높았으며, 통합된 학문분야의 종류는 예술분야의 경우 무용, 미술, 음악, 극놀이, 미디어, 문학으로 분류되었고, 비예술분야는 수학, 과학, 치료, 언어, 기타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무용의 통합적 적용형태의 분석 결과, 무용과 비예술 학문 간의 통합적 구성보다 무용과 다른 예술 학문 간의 통합적 구성 비중이 높았고, 무용의 통합적 구성형태의 분석 결과, 음악, 미술, 문학, 극놀이와 무용을 통합한 예술교육의 구성 형태가 가장 많았다. 또한 통합적 예술교육에서 무용의 적용 방법은 유아가 스스로 탐구하며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통합적인 예술교육에서 무용 활동을 누리과정의 5개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예술경험영역과 신체운동건강영역의 활동이 가장 많았고, 무용을 적용한 통합예술교육의 효과는 심미적 활동이나 상징적 표현활동과 같은 예술소양증진에 대한 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에서 무용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s and forms of applications of dance by conducting an intensive analysis focused mainly on research trends on the application of dance of studies o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 conducted in our country from 2001 to 2015.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ategory of domestic doctoral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papers. In addition, keyword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studying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infants a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Of the selected papers, those that specified the contents of program of research materials derived were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analysis of the publication year of research papers revealed a steadily increasing trend of number of research from 2001 to 2015, and the majority of studies of total research material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11.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esentation form of research papers showed that interest and research in programs development conducted in doctoral thesis of art related department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tudy of art related society.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tegrated application form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non art was higher than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art. Integrated disciplines for the arts were classified as dance, art, music, dramatic play, media, and literature. Mathematics, science, therapy, language, and so on were classified as non-artistic field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grated application of dance form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ance and other art disciplines was higher than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ance and non-art disciplines.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grated composition of dance forms revealed that composition form of art education integrating music, art, literature, dramatic play and dance was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thod of dance in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mainly utilized as the method for infants to explore themselves and engage in free play.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dance activities based on five areas of Nouri process in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nd body exercise health field were most common, and the effect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pplying dance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improving arts literacy like aesthetic activities or symbolic represent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meaningful basic data in exploring effective ways of applying dance to the future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infants.

      • KCI등재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학교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 여행(여기에서 행복하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강민서,김향미,양보은,정다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학교 통합예술교육 프로젝트 활동 경험이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COVID 19 환경 및 학업 스트레스 해소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다. 이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문 교과와 예술 교과의 통합예술교육 프로젝트를 구안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학교 통합예술교육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Y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여행(여기에서 행복하기)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하고, 순환적 과정의 실천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된 프로그램은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서로 다른 예술적 배경을 가진 두 명의 예술가교사와 인문 교과 교사가 함께 기획하고 팀티칭으로 운영한 통합예술교육 프로젝트이다. 그 결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술 교과를 교육의 중심에 두고 학생들이 예술 경험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강화함으로써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행한 본 연구의 기록은 통합예술교육을 실천하려는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통합예술교육의 질적 개선과 향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We have heightened interest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founded good result whin the study about that. As a result, a lot of integrated education has related subjects be formed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But it was not prepared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grade 3 up. So a teacher must reconfigure the curriculum and integrate learning content. This work is time-consuming and complex. Therefore in this study, I de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focused on the culture and arts from grade 3 to grade 6 in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I analyze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grade 3 to grade 6. As a result, I have found that subjects except mathematics and creative activities has the learning contents to related culture and arts. Based on that analysis I developed integrated curriculum focused on the culture and arts from grade 3 to grade 6 in elementary school. First, I decided o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have set up three areas. Three areas are comprehension, experience, utilization. Next, I created a content system and selected achievement standards appropriate for three area and grade. As abo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I look forward to integrated education be fully activated in all the elementary school. Following from this study, I hope to continue the study about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 for achievement standards.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통합교육에 대한 성과가 확인되면서 초등학교 3학년 이후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과를 연계한 통합교육이 활발해졌다. 하지만 초등학교 3학년 이상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이 마련되지 않아 교과별 교육과정에 의거 교사가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내용을 통합하는 세심한 연구와 수고를 거쳐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이상에서도 통합교육과정이 필요함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3~6학년에 적합한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구상하여 보았다. 우리 문화 예술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 3~6학년의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교과를 제외한 모든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우리 문화 예술과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우선 교육과정의 목표와 목적을 정하고 이해, 체험, 활용 등 세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학년군에 따른 내용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내용 선정을 근거로 영역별․학년군별 성취기준도 마련해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 문화 예술 교육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학기말과 학년말의 수업 공백을 줄이고 보다 교육적이면서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다.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초등학교 3~6학년에서 정식으로 통합교육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고 학교 현장에서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앞으로 본 연구에 이어 성취 기준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 활동을 선정하여 제시한다면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이 보다 더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 연구 — ‘문화예술 경험에서 응용까지 1’의 개발과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주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3

        ‘문화예술 경험에서 응용까지 1’은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이하 <1+3 예술통합교육>) 개발 연구 수행과정 중의 한 형태이다. 3년씩 2단계로 수행되는 <1+3 예술통합교육> 연구의 1단계 목적은 문학, 미술, 음악, 영화 등 문화예술 각 분야의 소통과 통합을 촉진하는 21세기형 미적 교육과 탈경계 문화예술 교육의 전략 및 실천 모델을 제시하고 예술의 혼종화 현상에 대응하는 대학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새로운 예술가, 예술매개자, 예술 향유자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 첫 교과과정으로서 감각을 주제로 한 가지 예술 장르를 중심에 두고 그 외의 여러 예술 장르를 통합하는 교육 모델을 제시했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예술 장르들을 감각이란 주제 아래 통합하며 주도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했다. 본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문화예술, 더 나아가 사회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있다는 것과 그 시각을 표현하는 다양한 매체가 있음을, 그리고 그 매체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 또한 표현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주요한 것은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고 공유하는 즐거움을 느꼈다는 점이다. 문화예술을 즐기는 자가 ‘예술가’도 되고 ‘예술 매개자’도 또 ‘예술 향유자’도 될 것이기 때문이다. ‘From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to application 1’ is one embodiment of the development research process of <1+3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1+3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first stage of the <1+3 Art Integration Education> research, which is conducted in two stages of three years, is to propose educational strategies and practice models that promote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of each field of culture and arts, such as literature, art, music, and film for the 21st century aesthetic education and cross-border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o propose a new model for artists, art mediators, and art enjoyers by presenting arts and developing a university arts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that responds to the hybridization phenomenon of arts. As the first program, it presented an educational model that integrates each other art genre with one art genre at the center under the theme of the senses. The students actively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by integrating different art genres under the theme of sense. Through this education, students learned that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on society, including culture and art, and that there are various media that express those perspectives, and that they can express themselves using those media. But most of all,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felt pleasure while participating in the class, embodying and sharing their thoughts. This is because those who enjoy culture and arts will become ‘artists’, ‘art mediators’ and ‘art enjoyers’.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예술통합교육,무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만나기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정하 ( Jung Ha Kim ),박현옥 ( Hyeon Ok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2 No.-

        본 연구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21세기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 적합한 예술통합교육·무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변화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무용 중심 예술통합교육의 효과성과 실효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술만나기 수업을 시행한 G초등학교 2학년 25명과 예술만나기 수업을 시행하지 않은 S초등학교 2학년 25명을 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창의성 검사(K-FCTES)를 이용해 사전·사후검사로 집단 간의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3월 7일부터 2011년 7월 18일까지 주 1회씩 19주간 실시하여 총 19차시의 수업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18.0을 이용하였으며 독립 t-test를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예술통합교육·무용(예술만나기)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수업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창의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검사 결과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에 대해서 두 집단이 비슷하게 반응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성 검증이 확보되었다. 사후검사 결과 유창성을 제외한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개방성은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두 배 이상의 높은 점수결과를 보였고 유창성은 미미한 점수의 차이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독창성은 다른 하위변인에 비해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민감성은 사후 검사 결과 개방성 다음으로 높은 점수의 결과를 보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창의성검사결과 예술만나기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성 하위변인들이 높게 나타났음을 증명할 수 있다. 예술통합교육·무용은 무용을 중심으로 다각적 인지능력과 창조적 인간을 성장시키는 통합적인 교육으로 개인의 통합과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이다. 또한 21세기를 살아가는 아동에게는 무엇보다 창의적인 사고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므로 아동기 동안의 창의적인 능력과 태도의 함양은 이후 성인기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예술통합교육·무용은 신체발달과 교육적, 문화적 그리고 예술적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아동의 창의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방법으로 초등학생들에게 무용 중심의 예술통합수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예술만나기 내용에 따른 창의성 구성요인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주제와 내용들이 창의성의 어떤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함으로써 향후 예술통합교육·무용 프로그램개발과 아동들에게 보다 좋은 교육효과를 내는지에 대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rt integrated education and dance, which is appropriate to bring up creative Koreans who will lead 21C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practical effect of art integrated education, which is mainly on dance, at the education site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analyzation of change of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o testify the purpose of such study, pre- and post-test were done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fluency, uniqueness, openness and sensitivity, between groups, using K-FCTES, classifying each 25 students of second graders of G elementary school with art meeting class, and 25 students of secon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without the class, as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udy was done on total 19 times of classes, once a week for 19 weeks from March 7 to July 18, 2011. SPSS/WIN statistic program 18.0 was used for collected data,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Through this process, the results were gotten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with art integrated education and dance (to meet art) class and control group without the class. Homogeneity was secured because the pre-test showed no difference in fluency, uniqueness, openness and sensitivity The result of pos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queness, openness and sensitivity, only without fluency, with higher result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wo times higher result especially in openness, and a little higher result in fluency, and least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score than other sub-variables, in uniqueness. As for sensitivity, it showed the second highest result after openness, through post-test. Thus, as for creativity test, it was testifi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rt meeting class showed higher creativity sub-variables than in control group. Art integrated education and dance is an integrated education to bring up a creative human and multiple recognition abilities, and which is an activity which enables individual`s integration and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very desirable to supply with the opportunity of dance-centered art integrated class to elementary students as an educational method to develop their creativity, satisfying physical development and educational, cultural and art purpose at the same time, because improving their creative ability and attitude can give effect till their adulthood in the future, because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is one of the most required one for the children in 21C. It seems that more discussion is in need on the change of composing factors of creativit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rt meeting, which was not researched in this study. Concretely speaking,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to testify what kind of themes and contents gives positive effects on what sub-factors of creativity, in order for future developing of programs for art integrated education and dance program, and to find out better educational effect for children.

      • KCI등재

        영유아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박선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영유아기의 통합예술교육은 그들의 창의성 향상, 전인격체로의 성장, 융통성 발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장점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를 통하여 통합예술교육의 효과와 내용, 필요성 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이며, 서울시 거주 미취학 자녀를 둔 학부모 2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로는 학부모들의 영유아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 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예술적 창의성에 관한 이해 부족, 영유아 통합예술교육의 비용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고, 영유아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수준, 다양성, 공급량 측면에서 아직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많다고 응답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의 영유아 통합예술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여 국내 영유아 통합예술 프로그램 대중화 및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Integrated arts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helps improve creativity, growth as a whole person, and flexibility. Until now,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in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arts education by studying this pa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verify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through survey with par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9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turned out that the parents had a lack of awareness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equipped their children with learning education rather than arts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y are lacking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rtistic creativity and show a sensitive reaction to the cost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refore, it is note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the consensus of the public concerning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integrated arts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integrated arts areas during early childhood.

      • KCI등재후보

        예술교과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소고 : '즐거운 생활' 교과를 중심으로

        최은아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통합예술교과 '즐거운 생활'의 성격과 구성 원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4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시작된 '즐거운 생활'교과는 다학문, 간학문적으로 통합하는 방식을 거쳐, 동들의 생활 경험에서 나오는 주제롤 중심으로 한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 변화되어 왔다. 특히 2007년 개정 통합교육과정은 '즐거운 생활'이 아동의 발달 특성에 부합하는 교과로서 '놀이와 활동' 중심의 통합 교과이며, 이동들의 생활 경험에 바탕을 두고 구성된 '주제' 중심의 통합 교과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이 보완되길 제언한다; 첫째, '놀이와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통합교과의 성격 및 통합교과와 각 예술교과들의 관계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둘째, 예술교육은 느낌과 함께 정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으로서, 생활경험 중심의 주제와 함께 개별 예술교과들에 대한 이해가 논리적 계열성을 갖고 전개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실질적인 교사연수의 실시와 통합교육에 적합한 학교 행정 체제 및 학급 환경의 조성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and the basic framework of 'Pleasant Life', one of the integrated art subjects. The subject 'Pleasant Life‘ was created by integrating courses of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4th curriculum. It has changed from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subject to a theme- based subject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s.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the characteristic of 'Pleasant Life’ as follows : the subject based on play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the subject based on theme derived from the student‘s experiences. I suggest as follows : First, more discussion an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about the identity of new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individual art curriculums. Second, 'Pleasant Life' should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logical system of individual subjects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students. Third,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for in-service training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ntegrated art curriculum and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o operate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