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재개발사업과 주택재건축사업의 법적쟁점 비교 고찰

        성중탁 대한변호사협회 201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3

        Prior to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the housing redevelopment and the housing reconstruction have been treated in a different legal area, in spite of their similar functions in reality. One in the public law and the other in the private law. Such separation has been creating a lot of difficulties in solving legal matters. The current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are applied to both and as a result of it, such difficulties are addressed partially. However, there still some ambiguity exists under this new law. The element of public interest in the housing reconstruction has been emphasized. Also the housing reconstruc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private law plays some role in city rebuilding and the housing reconstruction issue has been dragged into public law area. Likewise, such phenomenon causes inevitable conflicts between private individual right and public interest. Current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made mainly for the old and deteriorated houses. Subsequently, residents have inevitably been confronted with the housing safety problem. They oppose the projects itself or disagree with the terms and conditions of contract proposed by the contractor trying to purchase their property and seeking residents’consents. Sinc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has been enforced from July 1st 2003, the process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re under the same procedure. Still, the way to acquire the land from owners who don’t consent to contract or is different case by case. Housing redevelopment adopts expropri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housing reconstruction takes the system of sale request. Yet, being different from public expropriation system, 「Act on Acquisition and Compensation of Land for Public Service」 is not applied to sale request system and there is no public office to take charge of its procedure. For these reasons, in sale request system, litigations are more frequent than arbitration to resolve the problem in regards to requirement, procedure and sales price. Though the right of selling claims by the housing construction is belong to the private law, its exercise procedure is very similar to the expropriation claims under the public law. Therefore, as long as housing construction is admitted to public utilities, it must be done smoothly by giving the expropriation claims to the private businessmen according to changing the current system. But after private businessmen have bought more than 70∼80% of the necessary housing land, the expropriation claims might be given to them only to acquire the rest land. 현행 도시정비법은 주택재개발사업과 주택재건축사업을 이원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재개발사업과 재건축사업은 조합의 설립인가 요건부터 서로 다르며, 무엇보다 사업대상 지역의 토지취득방식을 이원화하고 있는데, 재건축사업에서의 매도청구제도와 재개발사업에서의 토지수용제도가 그것이다. 또한, 조세법적 측면에서도 재개발조합과 재건축조합은 전자가 비영리법인으로서의 성격이 강한반면에 후자는 영리법인으로서의 성격이 강하여 법인세 과세 등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이 있다. 다만,주택재건축사업과정에서의 매도청구제도와 주택재개발사업과정에서의 토지수용제도는 양자 모두 사인의 토지 등 재산권을 사실상 일방적으로 강제 취득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양 제도를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민사 특별법인 집합건물법상 재건축결의에 의한 주택재건축사업과 그보다 공공성의강도가 큰 도시정비법과 주택법상 주택재건축사업을 동일시하여 도시정비법상 주택재건축사업에는 주택재개발사업과 달리 수용권을 인정하지 아니한 채 단지 매도청구라는 집합건물법상의 제도를 도입하여 일반 사법상 민사소송으로 규율하고 있는 현행 법제는, 도시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정비한다는 주택재건축사업이 가지는 공공적 또는 공법적 성격과도 맞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주택재건축사업의 경우적어도 대상 주택재건축사업 부지의 70∼80%를 취득한 사업주체에게는 나머지 사업부지에 대하여 매도청구권이 아닌 공익사업법상 토지수용권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관련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 매도청구가액 및 수용보상금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성중탁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법학논고 Vol.0 No.39

        Sale request and expropriation of private land by developers which are approved under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have a great chance to be against existence guarantee under Constitution since both would deprive people of their property right. Guaranteed property right primarily covers existence guarantee of property. If there is an inevitable public necessity, it is possible to invade private property with fair compensation exceptionally. In this case, the contents of guaranteed property right converted into guarantee of realized property. Since such sale request and expropriation of land in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have in common, which both actually acquire private land and property rights by force. Consequently, securing unity of these two system would be problematic. By equating housing reconstruction in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Aggregate Buildings with that in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only approving sale request in reconstruction in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and regulating system by Civil Procedure are against characteristics of public law. Therefore, housing reconstruction in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needs to be reformed to approve expropriation instead of sales request. In such point of view, official land value which is main criterion for compensation needs to be evaluated reasonably in case of estimating value for compensation of expropriation and value for sale request. By supplementing other criteria, unified standard for compensation which reflects development gain is required to be enacted. 현행 도시정비법과 주택법 등은 주택재개발사업과 주택재건축사업에 있어 정비구역내 토지취득방식을 이원화 하고 있는데, 재건축사업에서의 매도청구제도와 재개발사업에서의 토지수용제도가 그것이다. 그런데 재건축사업과정에서의 토지취득방식으로서 매도청구는 재개발사업과정에서의 수용과 마찬가지로 사인의 재산권을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박탈한 채 금전보상만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위 재건축, 재개발 사업추진과정에서는 매도청구가액과 손실보상금액에 개발이익과 영업이익 등을 포함할지를 두고서 사업시행자 측과 토지 등 소유자 사이에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위와 같이, 매도청구와 수용은 양자 모두 사인의 토지 등 재산권을 사실상 강제로 취득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양 제도를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민사 특별법인 집합건물법상 재건축결의에 의한 재건축사업과 그 보다 공공성의 강도가 훨씬 큰 도시정비법과 주택법상 재건축사업을 동일시하여 도시정비법상 재건축사업에는 재개발 사업과 달리 토지수용권을 인정하지 아니한 채 단지 매도청구라는 집합건물법상 제도를 도입하여 이를 민사소송으로 규율하고 있는 것은, 도시주거환경 정비, 개선사업의 일환으로서 주택 재건축사업이 가지는 공공적 또는 공법적 성격과도 맞지 않은 측면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재건축사업의 경우에도 매도청구 대신 공익사업법이 적용되는 수용방식으로 사인의 재산권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도시정비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견지에서 매도청구가액 및 수용보상금의 산정시 문제가 되고 있는 개발이익과 영업이익 등의 포함여부에 관한 문제도 보상기준이 되는 공시지가 개념 속에 개발이익이 어느 정도 반영이 된 실거래가 수준으로 현실화하고, ‘기타 요인의 보정’ 등을 통하여 영업이익과 생활보상의 개념이 상당부분 반영된 통일된 보상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