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착화와 메타모포시스

        방원일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1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Indigenization theology’s debates in the 1960s and develop the metamorphosis cultural theory by comparing them with Goethe's botanical theory. Indigenization theologians argued that Christianity is composed of the gospel and culture, and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take root in different cultural soils, forming various forms of Christianity. But the gospel and culture, the seed and the soil are not so easily divided, and the debate has raged. However, the logic of rejecting acculturation while insisting on cultural change resulted in theological argument emphasizing the essence of faith. In the later Indigenization theology, the discussion went one step further by proposing methodological syncretism that the inculturation inevitably entails syncretism. The German poet Goethe has proposed a unique botany that explains plant growth through metamorphosis, a process in which an archetypal plant transforms into its roots, stems, and forward. He explained the growth of plant individuals and the formation of plant species through metamorphosis. Indigenization theology and Goethe's botany have in common that they establish the matrix of change while explaining it. In Indigenization theology, it is the concept of the seed, and in Goethe's botany, it is the archetypal plant. Goethe's archetypal plant is a more flexible concept than the solid identity of the seed metaphor. Through reexamining the points of contention encountered when Indigenization theology tried to explain changes in Christianity, and referring to the archetype concept and types of transformation in Goethe's botanical theory, we can systematize metamorphosis theory of culture.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토착화 신학 논쟁을 재고찰하고 괴테의 식물학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메타모포시스 문화 이론을 정교화하는 것이다. 토착화(土着化)는 복음이라는 씨앗이 다른 문화의 토양에서 움터 뿌리내림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토착화 신학자들은 기독교가 복음과 문화로 구성되어 있고, 복음의 본질이라는 씨앗이 가기 다른 문화적 토양에서 뿌리 내리는 양상에 따라 다양한 모습의 기독교를 형성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복음과 문화, 씨앗과 토양은 그렇게 간단히 나누어지지 않기에 논쟁이 격렬해졌다. 토착화 신학자들은 토착화가 부분별한 혼합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문화의 변동을 주장하면서 문화접변을 거부하는 논리는 신앙의 본질을 강조하는 신학적 주장으로 귀결되었다. 후기 토착화 신학에서는 토착화가 혼합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는 방법론적 혼합주의를 제안하여 논의가 한 단계 진전되었다. 독일의 시인 괴테는 식물의 생장을 원형 식물이 뿌리, 줄기, 앞으로 변형하는 과정, 즉 메타모포시스로 설명하는 독자적인 식물학을 제안한 바 있다. 그는 메타모포시스를 통해 식물 개체의 성장, 나아가 식물 종의 형성을 설명하였다. 토착화 신학과 괴테 식물학은 변화를 설명하면서 변화의 모태를 설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토착화 신학에서 씨앗 개념이 그것이고, 괴테 식물학에서는 원형 잎, 원형 식물이 그것이다. 괴테의 원형 식물은 씨앗에 내재한 구조라는 점에서 토착화 신학과 비슷해 보이기도 하지만, 형태적 변화가 자유롭다는 점에서 씨앗 비유의 단단한 정체성보다 유연한 개념이다. 토착화 신학이 기독교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했을 때 부딪혔던 논쟁의 지점들을 재점검하고, 괴테의 식물학 이론에서 원형 개념과 변형의 유형을 참고하는 것은 우리가 문화의 메타모포시스를 체계화하는 데 긴요한 이론적 자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토착화신학의 실천성을 향한 선교학적 성찰

        이후천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토착화신학(indigenous theology)은 선교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가장 실천적인 개념이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 선교의 역사는 문화와 복음의 만남을 통한 토착화의 역사이다. 복음과 문화의 만남이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데, 복음이 문화 속에 동화 되던지, 복음이 문화를 정복하던지, 복음과 문화가 적절히 타협하는 것이 그것이다. 우리가 잘 아는 리챠드 니버의 문화와 복음과의 관계 다섯 가지 유형과 스테븐 베반스의 상황화신학 다섯 모델 등은 이를 좀 더 확대 심화시킨 이론적 유형화이다. 그런데 이 토착화를 신학적으로 정리한 토착화신학이 한국에서는 60년대의 논쟁을 통한 이론적 성과 외에 실천적 모습을 거의 발견할 수 없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를 특징짓는 뚜렷한 토착화 된 예전이나 교회문화를 좀처럼 발견하기 힘들다는 말이다. 전통 가옥을 본 딴 예배당, 우리 가락 음악, 장례절차 및 추도예배, 성찬의 도구, 미술 등 극히 한정된 부분에서 제한된 모습만을 보여준다. 특히 9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현대 서구의 기독교 음악을 바탕으로 진행하는 경배와 예배에서는 토착화에 대한 가능성을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서 한국 교회의 모습에는 서구적인 예배와 건물이 가득하고, 선교적 차원에서의 토착화 모델을 발견하기 힘든 상황이 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국 토착화 신학이 그러면 왜 비실천적이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점의 지적이 필요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토착화신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밝히는데서 시작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초기 토착화논쟁의 성격, 토착화신학의 주도자들로서 감리교의 대표적 토착화 신학자 윤성범, 유동식, 변선환의 간략한 경력과 그리고 이들의 신학적 특징으로서 종교신학으로서 토착화신학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에 대한 또 다른 이해로서 교회성장학자 도널드 맥가브란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토착화신학과의 비교를 통해 선교학적 성찰을시도해 본다. 결국 이 둘의 비교와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한국 토착화신학의 내용과 형식이 어떻게 전개되었어야 하느냐의 문제를 따지며 상황화로 나아갈 때에 교회의 실천적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려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Indigenous theolog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missiological theology. It is not only concerned with theory but also practical.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is none other than the history of indigenization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culture and the gospel. This encounter appears in three ways in large, which are gospel absorbed by the local culture, gospel over the culture, and gospel compromising with the culture respectively. R. Niebuhr's five models and S. Bevan's models of contextual theology are the theoretical models that deepened and expanded these three relationship model. However, no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in terms of practicality except for some theoretical achievements in 1960s in Korea. That is,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is only found in liturgies and church culture that represent the typical Korean church cannot easily found. Some examples of church architecture imitating traditional Korean building, church music following the traditional folk tunes, funerals liturgy and sacred things for the eucharist and paintings etc. Furthermore, the shift of pastoral paradigm of 1990s in Korean church values the modern and western Christian culture, which are found in the praise and worship in modern style. Therefore, Korean church is characterized by the modern and wester styles of worship service and buildings, and it is not easy to find the models of indigenous Christianity in a missiological aspect. It is necessary to answer the questions why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has ignored the practicality,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o this matters. This process begins with config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indigenous theology. This paper surveys the debates on indigenization in early periods of Korean indigenous theology. It is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some theologians such as Sung-bum Yoon, Dong-sik You, Sun-whan Byeon. It will also make an missi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indigenous theology by comparing it with D. McGavran's perspectives on it.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s of practicality in Korean church.

      • [토착화 부문] 토착화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30년- 그 성찰과 전망

        황경훈(Kyung Hoon, Hwang)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본 논문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지난 30년 동안 『한국그리스도사상』에 발표하고 축적한 신학과 종교학 관련 연구, 특히 그 가운데서도 ‘토착화’ 주제 논문 15편을 다룬다. 이를 평가한다고 함은 그간 연구소가 천착해온 토착화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연구소가 나아가야 할 전망을 가늠해보자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논문 15편을 평가하는 데에서 지적된 것처럼 토착화 신학연구가 종교문화 중심으로 쏠려 있는 현실에서 토착화 미래 전망과 관련해 ‘사회적 토착화’라는 개념을 주요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토착화 논의가 주로 종교문화적 토착화에 집중해왔고 또 일정한 성과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을 포함하지 않은 약점이 지적되었고, 이것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사회적 토착화’라는 용어가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토착화의 전망을 사회 경제적 개념의 토착화로 확장해 내면서도, 다른 한편 기존의 종교문화의 토착화도 ‘과거의 종교전통종교이나 문화’로의 뿌리내림이 아니라 현대인과 호흡하는, 현대의 다양한 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자리잡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먼저 ‘토착화’라는 용어가 갖는 주객이원론적 측면을 발전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문화적 상호성’(inter-culturality)을 바탕으로 두 문화가 주객의 구분없이 공평하고 동등하게 만나는 ‘상호적 종교문화간 신학’(interreligiousand-intercultural theology)이 제안될 수 있다. 이는 서구 신학의 산물이자 식민지 시대의 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이원론의 극복이면서, 동시에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타자성과 다양성을 적극 포용할 수 있는 후기근대에 적합한 신학의 방향이라고 보인다. 나아가 세상을 향한 교회의 공적 역할을 뒷받침할 할 수 있는 신학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현재의 토착화 신학이 바뀌어야 한다. 공적 신학은 하느님 나라라는 더 큰 지평에서 전 인류의 공통 관심사를 숙고하고 실천하는 문제와 씨름함으로써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더욱 포용적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보인다. This paper deals with 15 papers on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published and accumulated by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n the past 30 years, especially ‘Inculturation.’ Evaluating this means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s of studies of Inculturation that the institute has been exploring so far, and envision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e institute. As pointed out in evaluating 15 papers,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social Inculturation”as a major alternative in relation to the future prospects of Inculturation in the reality that inculturation theology has been much stuck to religious culture. Although discussions on inculturation have focused on religious and cultural inculturation, and even if there have been certain achievements, weaknesses that do not includ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have been pointed out, and the term Social Inculturation symbolically shows in which direction this should go. While expanding the prospect of inculturation to that of socioeconomic concepts, it also suggests that the inculturation of existing religious cultures should not be rooted in traditional religions or cultures of the past” but one of various modern cultures. As a methodology to do this, ‘interreligious-andintercultural theology’, in which the two cultures meet fairly and equally based on inter-culturality, can first be proposed to change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term inculturation. This is a product of Western theology and a relic of the colonial era, overcoming dualism, and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be a suitable direction for post-modern theology that can actively embrace ‘otherness’ and ‘diversity’ in a pluralistic modern society. Furthermore, the current theology of inculturation should be changed to emphasize the public nature of theology that can support the churchs public role in the world. Public theology should help build a more inclusive community in a pluralistic society by wrestling with the problem of deliberating and practicing the common interests of all humanity in the greater horiz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seems to be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 KCI등재

        한중(韓中) 토착화신학 비교 연구

        김병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9 No.-

        ‘Indigenous Theology'는 한국에서 ‘토착화신학,’ 그리고 중국에서는 ‘본색화신학’(本色化神學) 또는 ‘본토화신학’(本土化神學)으로 번역, 사용되었다. 따라서 ‘토착화신학’과 ‘본색화신학’은 같은 의미를 지닌 번역어이다. 한중 토착화신학은 기독교가 양국에서 하나의 신종교로 정착해 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났는데, 양국의 ‘토착화’는 시대적, 지역적으로 다르고, 성격도 다를 수 있다. 토착화신학은 애초에 서구교회의 해외선교가 벽에 부딪치면서 시작되었다. 기독교의 선교사와 이론가들은 ‘토착화’를 통해서 기독교의 ‘보편성’과 ‘초문화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한국과 중국에서의 토착화신학 연구는 애초의 역사적 배경을 충실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주로 조직신학이나 비교종교학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토착화신학의 동기는 역사적인 것이고, 그렇다면 신학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던 신앙양태의 종합과 분석이라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먼저 한중 기독교의 토착화를 요구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보자. 19세기 말 ‘중화체제’의 몰락은 중국 중심 세계의 해체와 일본의 등장, 그리고 일본을 매개로 한 서구 열강의 진출로 요약된다. 이에 저항하여 일어난 민족운동이 중국에서는 한국과 달리 반기독교 운동으로 표출되었고, 이것은 선교전략의 수정으로 이어졌다. 그리하여 토착교회 운동과 토착화신학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에서 의화단 운동 이후 자립교회 운동과 연합운동, 기독교 의례의 중국화 그리고 신학의 본색화가 유ㆍ불ㆍ도의 종교문화 중심으로 일어났다. 중국의 본색화신학은 ‘성취론’에 기초한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급격한 반기독교운동에 부응한 것이고, 신학적 깊이를 더하는 신학논쟁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결국 항일전쟁, 해방전쟁을 거치면서 쉽게 체제에 흡수되고 말았으며, 개혁개방 이후에야 다시 등장하고 있다. 한국은 20세기 초의 부흥운동을 통해 강한 토착적 체험의 시기를 거쳤고, 토착교회의 특징을 갖추었다. ‘성취론’에 입각한 신학적 토착화의 흔적이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역사적 이유에서 초기에는 토착화신학이 두드러지게 진행되지 않았다. 한국의 토착화신학은 아시아 식민지 국가의 해방과 건국이 이루어진 1960년대에 일어났지만, 이것은 한국전쟁과 해방정국에 등장한 도피주의, 반공주의 등의 신앙경험을 충실하게 반영한 것이 아니었다. 한중의 토착화신학이 양국의 신앙체험을 충실히 반영하며 발전하지 못한 것은, ‘본색’과 ‘토착’이 무엇을 의미하느냐 하는 문제제기로 이어졌다. 토착화신학이 이미 박제화된 전통 유물을 대화상대로 상정했다는 것이다. 토착화신학의 진정한 과제는, 신학의 내적 구조보다 먼저 그 발생의 계기와 전면적 양상에 대한 비교검토를 통해서, 한중 기독교의 정착과정을 살피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교학ㆍ사회학ㆍ역사학 등의 도움을 받아, 소박한 포괄주의가 아니라 상호침투적인 종교정착 과정에 대해 종합적인 관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편적인 전체상을 보려고 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 KCI등재

        한중(韓中) 토착화신학 비교 연구

        김병태(金柄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9 No.-

        ‘Indigenous Theology'는 한국에서 ‘토착화신학,’ 그리고 중국에서는 ‘본색화신학’(本色化神學) 또는 ‘본토화신학’(本土化神學)으로 번역, 사용되었다. 따라서 ‘토착화 신학’과 ‘본색화신학’은 같은 의미를 지닌 번역어이다. 한중 토착화신학은 기독교가 양국에서 하나의 신종교로 정착해 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났는데, 양국의 ‘토착화’는 시대적, 지역적으로 다르고, 성격도 다를 수 있다. 토착화신학은 애초에 서구교회의 해외선교가 벽에 부딪치면서 시작되었다. 기독교의 선교사와 이론가들은 ‘토착화’를 통해서 기독교의 ‘보편성’과 ‘초문화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한국과 중국에서의 토착화신학 연구는 애초의 역사적 배경을 충실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주로 조직신학이나 비교종교학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토착화신학의 동기는 역사적인 것이고, 그렇다면 신학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던 신앙양태의 종합과 분석이라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먼저 한중 기독교의 토착화를 요구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보자. 19세기 말 ‘중화체제’의 몰락은 중국 중심 세계의 해체와 일본의 등장, 그리고 일본을 매개로 한 서구 열강의 진출로 요약된다. 이에 저항하여 일어난 민족운동이 중국에서는 한국과 달리 반기독교 운동으로 표출되었고, 이것은 선교전략의 수정으로 이어졌다. 그리하여 토착교회 운동과 토착화신학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에서 의화단 운동 이후 자립교회 운동과 연합운동, 기독교 의례의 중국화 그리고 신학의 본색화가 유ㆍ불ㆍ도의 종교문화 중심으로 일어났다. 중국의 본색화신학은 ‘성취론’에 기초한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급격한 반기독교운동에 부응한 것이고, 신학적 깊이를 더하는 신학논쟁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결국 항일전쟁, 해방전쟁을 거치면서 쉽게 체제에 흡수되고 말았으며, 개혁개방 이후에야 다시 등장하고 있다. 한국은 20세기 초의 부흥운동을 통해 강한 토착적 체험의 시기를 거쳤고, 토착교회의 특징을 갖추었다. ‘성취론’에 입각한 신학적 토착화의 흔적이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역사적 이유에서 초기에는 토착화신학이 두드러지게 진행되지 않았다. 한국의 토착화신학은 아시아 식민지 국가의 해방과 건국이 이루어진 1960년대에 일어났지만, 이것은 한국전쟁과 해방정국에 등장한 도피주의, 반공주의 등의 신앙경험을 충실하게 반영한 것이 아니었다. 한중의 토착화신학이 양국의 신앙체험을 충실히 반영하며 발전하지 못한 것은, ‘본색’과 ‘토착’이 무엇을 의미하느냐 하는 문제제기로 이어졌다. 토착화신학이 이미 박제화된 전통 유물을 대화상대로 상정했다는 것이다. 토착화신학의 진정한 과제는, 신학의 내적 구조보다 먼저 그 발생의 계기와 전면적 양상에 대한 비교검토를 통해서, 한중 기독교의 정착과정을 살피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교학ㆍ사회학ㆍ역사학 등의 도움을 받아, 소박한 포괄주의가 아니라 상호침투적인 종교정착 과정에 대해 종합적인 관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편적인 전체상을 보려고 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 KCI등재

        한국적 신학을 향한 여정 : 춘계 이종성의 3단계 토착화론에 대한 소고

        김정형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In August 1962, Daniel T. Niles, bishop of the Sri Lankan Methodist Church, visited Korea and insisted on the need of indigenization — that is, the seed of the gospel should be rooted in the soil of each national culture to grow into a characteristic plant. Inspired by Niles’s lecture, Dong-sik Ryu, who had already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idea of indigenzation, interpreted the incarnation as an indigenization of God’s Word and argued for the de-mythologization and de-westernization of biblical interpretation for the sake of the indigenization of the gospel. Objecting to Ryu’s argument, however, Gyeong-yeon Jeon insisted that the idea of indigenization which ignores the history of Christianity means simply the primitivization of the gospel, and asked for prudence on the issue of indigenization.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since then there have been two prominent streams of indigenous theology in Korea — one focusing on the indigenization of the gospel in the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indigenization of the gospel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alm. In my judgment, however, there is another important stream which has thus far been relatively ignored in the discussions of indigenization — that is, one that has developed the theological heritage of Jong-sung Rhee, who sought a third way between Ryu's idea of indigenization and Jeon’s call for prudence. The former two streams, which dominated discourses on indigenization for the past fifty years, have largely remained away from general Korean congregations. On the other hand, the third stream that has developed Rhee's proposal of the three-stage indigenization (indigenization, de-indigenization, re-indigenization) began to speak a unique voice in the 1980s. This paper introduces Rhee's unique position on the issue of indigeniz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new indigenous theology that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Korean churches and Korean society both of which are suffering from severe divisions. 1962년 8월 스리랑카 감리교회의 감독회장 다니엘 나일즈은 한국을 방문하여 복음의 씨가 각 민족문화의 토양에 뿌리내려 특색있는 화초(교회)로 자라나야 한다는 토착화의 논리를 주장했다. 이미 그 이전부터 토착화에 깊은 관심을 두고있던 유동식은 나일즈의 국내강연에서 자극을 받아, 성육신사건을 하나님 말씀의 토착화로 해석하며 복음의 토착화를 위한 성서해석의 비신화화 및 비서구화를 주장했다. 이에 전경연은 기독교역사를 무시한 토착화이론은 원시화를 의미한다고 말하며 유동식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토착화 문제에 있어 신중론을 주장했다. 근본적인 복음이해와 신학방법론에 있어 차이가 있었던 두사람의 논쟁은 결국 유의미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일반적인 평가에 따르면, 이후 국내 토착화운동은 한국의 전통종교문화 속에서 복음의 토착화를 주장하는 감리교신학대학교의 흐름과, 한국의 정치경제 현실 속에서 복음의 토착화(민중신학)를 주장하는 한신대학교의 흐름으로 양분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토착화신학 연구에서 별로 주목받지 못한 또 하나의 중요한 흐름이 있었는데, 그것은 유동식의 토착화론과 유동식의 신중론 사이에서 제3의 길을 모색했던 이종성의 신학적 유산을 이어받은 장로회신학대학교의 흐름이다. 앞선 두 흐름은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한국 신학계 내 토착화 담론을 주도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그 담론은 대체로 한국교회의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었다. 한편 이종성이 제안한 3단계 토착화론(토착화‧ 비토착화‧ 재토착화)를 발전시킨 세번째 흐름은 1980년대 중반부터 당시의 한국적 상황속에서 고유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본 소고는 토착화신학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이종성의 신학적 유산을 소개하면서, 오늘날 사분오열된 한국교회와 한국사회의 통합을 위해 공헌할 수 있는 새로운 토착화 신학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토착화 신학의 흐름과 재고: 윤성범, 변선환, 이정배를 중심으로

        이한영(Lee Hahn-Yo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7

        이 글은 감리교신학대학교 토착화신학자들의 사상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정리하고 평가하며 이를 토대로 소위 제3세대 토착화 신학이 나아갈 방향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것을 짚어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일각에서는 탈주체, 탈민족, 탈전통, 탈문화라는 탈토착화의 관점에서 토착화 신학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가난, 억압 등에 무관심한 비정치적인 신학이 아닌가하는 관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물음들에 답하면서 복음의 뿌리내리기라는 인상을 풍기는 토착화라는 개념이 지금에도 여전히 유효한가 하는 물음에 대해서도 돌아보고자 한다. 이 글은 개념적인 논쟁의 자리가 아니라, 토착화 신학이 주장해 온 사상적 발자취를 시간의 자리(역사)와 장소적 자리(이 땅)라는 관점에서 되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위에서 던진 물음들이 과연 토착화 신학에 대한 올바른 물음이며, 역으로 토착화 신학은 그러한 물음들에 대해 어떻게 응답해 왔는가 하는 것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것은 문화적 아 프리오리로서의 토착화 신학과 한국적 신학으로서의 성의 신학을 주창하여 독특한 한국적 사상을 전개했던 윤성범의 신학, 비서구화의 출발점을 다원주의로 발전시켰으며, 비서구화 연대로서의 토착화 신학과 민중신학을 합류시키려는 시도 속에서 종교해방신학을 주장했던 변선환의 신학, 이 두 스승을 계승하면서도 생명의 문제를 성령론과 수행론의 관점에서 풀어감으로써 토착화 신학의 새로운 전환을 시도했던 이정배의 신학이 가지는 의미와 평가에 대한 것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들이 현재 다문화 시대, 교차적 문화시대를 살아가는 토착화 제3세대의 방향을 제시하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inspect and evaluate thoughts of indigenization theology. And it have a intention to find where the third generation of indigenization theology is. it is also an answer to some postmodern’s perspective that have a argument of nosubject, no-nation, no-tradition, no-culture and strong politic interest. On the other side, it reviews that the concept “indigenization”does still have the validity and fitness in Korean situation 21c today. I look back to upon the trace from past to presence of indigenization theology with such questions, and examine whether it is right or not. On the contrary, I make a close inquiry into how indigenization theology have answered that question. That is the study of theological succession and differentiation of indigenization theology: Yoon sung-bum’s “theology of sung(誠), Byun sun-hwan’s “theology of religion and liberation”, Lee jungbae’s “Korean theology of life.”

      • [토착화 부문]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설립 30주년 기념 평가와 전망 - ‘토착화 부문’

        유희석(Hee-Suk Yoo)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본인에게 맡겨진 총 18편의 논문들을 토착화(inculturation)라는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18편 이외에 더 많은 관련 논문들은 또 한 명의 평가자에게 맡겨졌다. 말하자면 여기서는 연구지에 수록된 모든 논문이 아닌 18편에 한정하여 토착화적 평가를 시도한 것이다. 그래서 총평이라고 하지만 실은 부분적인 평가에 불과하며, 다른 평가자의 평가를 보충해야 비로소 완전한 총평이 될 것이다. 첫째, 분야마다 나름의 토착화적 기여와 업적이 눈에 띄는 것도 있지만, 학문적으로 더 나아가야 할 것처럼 보이는 미약한 부분도 보인다. 둘째, 한국교회의 토착화 작업의 올바른 방향을 위하여 성서, 특히 구약성서에 관한 토착화적 인 연구성과가 절실히 요청된다. 토착화적 입장에서 볼 때, 신약성서의 토착화적 연구가 여전히 부족하지만, 구약성서는 거의 눈에 띠질 않아서 상대적인 빈약함이 더 크다. 셋째, 바람직한 토착화 작업이 되려면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있어야 하며, 그것들이 종합되어야 한다. 성서적 연구도 중요하지만 신학의 더 다양한 분야에서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연구의 방향은 과거의 전통을 살피되 오늘의 현실상황을 염두에 둔 조화로움이 있어야 더욱 현실성있는 토착화 연구가 될 것이다. 넷째, 한국가톨릭교회의 경우는 대체로 교의분야(dogma)에서 토착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서 다른 신학 분야의 분발이 필요해 보이고, 현장감도 많이 부족해 보인다.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된 신학연구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복합적으로 연구하는 풍토가 필요하다. 또한 오늘의 현실을 감안하는 연구라야 현대인들에게 더 설득력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I looked at a total of 18 thesis papers entrusted to me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In addition to the 18 papers, more other relating papers were entrusted to another reviewer. That is to say, I strived to evaluate the subject matter of Inculturation with a limit of 18 papers rather than all of the research papers. Thus, although it is stated as a General Review, it is actually a partial evaluation, and will become a complete general review only when the evaluations of the other reviewer are supplemented. First of all, despite some research fields having their own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to the Inculturation, there are also weaker areas that might need further academic progresses. Secondly, the outcomes of Inculturation research on the Bible, specifically the Old Testament, are desperately requested for the proper work direction of the Inculturation pertaining to the Korean church. From an Inculturation point of view, studies of the New Testament are lacking, but studies of the Old Testament are barely noticeable, so its relative weakness is greater. Thirdly, in order to perform a desirable study on Inculturation, there must be researches in a wide variety of fields, and they must all be synthesized. Biblical study is also important, but research must be implemented alongside of more diverse fields of theology. More realistic Inculturation research would be accomplished only when having harmony by bearing in mind the present situation while looking at the traditions of the past in respect of the direction of the study. Lastly, in the case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nculturation studies are generally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dogma, so it seems that a lot of efforts in other theological fields are needed, but I see the lacking awareness of reality in these fields.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research climate embracing various fields, not theological research that is biased in either direction. Also, a research taking into account today’s reality will be more convincing for modern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세계기독교와 한국 토착화 신학: 윤성범의 성(誠)의 신학의 선교신학적 재평가

        전사하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5 No.-

        이 논문은 한국의 토착화 신학, 그 가운데 윤성범의 성의 신학과 그의 토착화 논의들을 세계기독교의 번역이론을 통해 재평가를 시도한 다. 토착화 신학은 민중 신학과 함께 한국적 선교 신학의 독창적 시도임 에도 불구하고 계승, 발전되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그 원인을 토착화 신학을 바라보는 신학계의 인식론적 한계에 두고, 근래 선교학계에서 기독교를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세계기독교’의 관점으로 토착화 신학을 재평가하여야 함을 주장한다. 특별히 세계기독교의 관점에서 주장되는 ‘번역이론’을 통해 윤성범의 성(誠)의 신학을 다시 들여다봄으 로써 한국적 신학을 주창했던 윤성범의 토착화 논의가 이 이론과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밝힌다. 윤성범은 한국 유교의 성(誠)의 개념을 기독교의 신론, 계시론, 그리스도론, 인간론에 적용하였고 성의 실천적 형태인 효(孝)를 통해 예수의 신앙을, 또한 한국의 건국 설화인 단군신화 를 삼위일체론으로 바라보는 창의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 논문은 윤성범을 선교신학자로서 그리고 세계기독교인으로서 바라보았을 때 그의 토착화 논의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가능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paper reevaluates Korean indigenization theology, focusing on Yun Sung-bum’s theology of Seong(성) and his discussions, using the Translation theory of World Christianity. Korean indigenization theology has not been adequately developed due to epistemological limitations within the theological community. This paper argues for its reassessment through World Christianity, a new paradigm in missiology. Yun Sung-bum’s exploration of sincerity in Korean Confucianism influenced his interpretations of Christian theology, revelation, Christology, and humanism. He creatively linked Jesus’ faith to filial piety and interpreted the Dangun myth in a trinitarian context. This paper asserts that Yun’s contributions are best understood in his roles as a missionary theologian and advocate of World Christianity, rather than as a systematic theologi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