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청소년의 안전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영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9 No.특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orean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saf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This paper examines Korean adolescents' experience of the type of accidents they were involved in, what they perceived to be the cause of the accident, the type of social support received after the accident, and the prevention needed to avoid future accidents. The indigenous understanding of accidents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s, gender, and safety efficacy beliefs. Secon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afety efficacy beliefs, the differences across 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examin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fficacy belief and attitudes toward preventing future accidents is explored. Third, the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s' safety efficacy belief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safety efficacy belief on their children's safety efficacy belief and behavior. The review of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ve main points: (1) decrease in safety efficacy belief with increasing age, (2)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fficacy belief and behavior, (3) the utility of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4) the parental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safety efficacy beliefs and behavior, and (5) the need to further explore, promote, and educate the importance of human life and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accidents and promoting safe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in Korea. 이 글에서는 한국 사람들의 안전과 관련된 심리 중에서도 특히, 한국 청소년의 안전관련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선행연구 결과들을 개관하고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한 고유한 표상을 파악하기 위해, 안전사고의 내용,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사고 후의 사회적 지원, 안전사고의 예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이 학교수준별, 성별, 안전효능감수준별로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둘째, 한국 청소년 안전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안전효능감의 개념을 정의하고, 초 중 고등학생의 안전효능감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셋째, 안전효능감과 안전사고 예방행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부모가 청소년 자녀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였다. 즉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와 부모의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안전사고 행동이 청소년 자녀의 안전효능감 및 안전사고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개관을 통해, 다섯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1) 청소년 발달과정에서 안전효능감의 감소 경향성, 2)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의 관계, 3) 토착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4) 부모가 청소년의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5) 한국 사회문제 맥락 속에서의 접근: 인간 생명 존엄성에 대한 인식과 사회 전반의 신뢰 구축.

      • KCI등재

        청소년기 신뢰의식의 형성과 집단별 차이 비교:인간관계 신뢰에서의 토착심리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3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lational trust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Among adolescents, we examine the basis of trust of their parents, friends and teacher and also their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A total of 968 adolescents (227 elementary, 284 middle school, 213 high school, and 24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contains the Relational Trust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a), Generalized Trust Scale developed by Yamagishi (1998) and a scale measuring trust of people and institutions (Kim, Helgesen & Ahn,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trust their parents due to their sacrifice, followed by their counsel and advice, dependability, consanguinity and respects. They trust their teachers due to their counsel and advice, followed by respect, sacrifice, and mutual trust. They trust their friends due to their advice, followed by empathy, mutual trust, dependability, friendship and sacrifice. Second, trust of their parents are highes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wes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lower for older age groups. The trust in teachers are highes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west among the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rust in friends increas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older age groups. Third, among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they are highest for parents and family and lowest for politicians and political parties. Except for trust in friends, trust of significant others and institutions (family, teachers, neighbors, company executives and politicians) is highest among the youngest age group and it decreases with older age group. Fourth, Yamagishi's generalized trust was highest among the older age groups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patterns of results for relational trust and generalized trust is different and it points t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rust from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인간관계 신뢰의식에서의 토착심리를 규명하고, 이러한 신뢰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 중 고 대학생의 부모 교사 친구에 대한 신뢰의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주위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 일반적 신뢰의식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남녀 청소년 968명이었다(초 227, 중 284, 고 213, 대 244). 인간관계 신뢰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지는 신뢰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결과에 토대하여 연구자가 제작(박영신, 김의철, 2005c)했으며, 일반적 신뢰의식은 Yamagishi (1998)의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대한 신뢰의식을 형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구인은 부모의 희생에 대한 지각이었으며, 그 다음은 지도 조언, 의지함, 혈연관계, 존경함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였다. 교사에 대한 신뢰는 지도 조언, 존경함, 희생, 믿어줌이 중요하였으며, 이외에도 의지함과 스승제자관계가 포함되었다. 친구에 대한 신뢰에서는 조언, 공감, 믿어줌, 의지함, 친구관계, 희생이 중요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동안 부모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 시기에 가장 높고 중학생 이후부터 낮아졌다. 교사에 대한 신뢰도 초등학생 시기에 가장 높고 중학생 시기에 낮아지나, 고등학생 시기에 다시 증가하였다가 대학생 시기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이와 달리 친구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 이후에 성장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셋째, 주위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를 분석한 결과, 가족이나 가정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으며, 정치가나 정당에 대한 신뢰는 매우 낮았다. 친구에 대한 신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가족, 교사, 이웃, 기업가, 정치가)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대학생 시기까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Yamagishi에 의해 제안된 일반적 신뢰의식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높았다. 따라서 일반적 신뢰의식의 변화 패턴은 한국 청소년의 인간관계 신뢰에서의 다양한 변화 패턴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인간관계 신뢰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해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특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trust in Korean culture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First, this paper raises central questions that arise in Korean families, schools, companies and society: 1) Why are some Korean families disintegrating? 2) What core values do Korean schools teach? 3) What are the goals that Korean companies pursue? 4) Does trust exist in Korean society? Second, this paper reviews a series of empirical studies conducted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y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three major themes: 1) trust is based on relational culture and ingroup identity; 2) emotional attachment and bond provide the basis of trust; 3) the emphasis on cultivation of virtue through constant self-cultivation rather than ability and the control of the environment. Third, this paper raises centr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1) the extension and expansion of trust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the family and ingroup to include outgroup members; 2) recognition and balance of public rationality and private emotions and relations in society; 3) the achievement of balance between self-regulation and the control of the environment.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신뢰의식과 관련된 경험 과학적인 연구들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함으로써, 그 심층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이 글의 서론에 해당하는 ‘탐색을 시작하며 던지는 질문들’에서는, 한국의 가정 학교 직장 사회에서의 신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을 하였다: 1) 한국의 가정은 흔들리고 있는가? 2) 한국의 학교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3) 한국의 직장은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4) 한국 사회에 신뢰가 존재하는가? 둘째,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경험 과학적 탐구’에서는,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경험 과학적 연구 결과들을 종합 정리함으로써, 한국인의 신뢰의식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토착심리를 세 가지 특성으로 정리하여 논의를 시도하였다: 1) 관계문화의 뿌리: 신뢰형성에서 우리 관계의 중요성 2) 정서적인 유대관계의 중요성 3) 능력보다는 도덕성: 끊임없이 자기수양 하는 인격자에 대한 인정과 역할 충실의 중요성. 셋째, 이 글의 결론에 해당하는 ‘앞으로의 과제’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의 종합을 토대로, 발전적 한국 문화의 창조를 위해 보완해 나가야 할 세 가지 내용을 제안하였다: 1) 신뢰형성과정에서 가족관계의 확대와 외집단에 대한 개방적 태도 2) 합리와 정서의 조화 및 공과 사의 분별 3) 신뢰의 기준으로서 자기조절과 더불어 환경 통제 및 객관적인 능력의 균형.

      • KCI등재후보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박영신,김의철,김묘성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amo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fter Korea recovered from the recent economic crisis. A total of 634 students(primary school=135, junior high school=118, senior high school=168, and university =213) and 842 parents (fathers=421, mothers= 421), for a total of 1,476 participan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For students, the most painful experience was related to problems in academic life, followed by problems in relationship. For father, the most painful experience was financial problems and for mothers, it was conflicts in the family. In stress situations, self-regul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coping style by both students and adults. The second most frequently reported coping style was avoidance. In terms of social support, students reported receiving most support from friends, and the importance of friends became greater for the older students. Parents reported receiving most social support from their spouse. As for the type of social support, around half of students and parents reported receiving emo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was viewed as being very important in reducing the stress experience related to academic life, problems in relationships, family conflict, and financial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compared to similar studies conducted before and during the economic crisi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studi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indigenous Korean psychology, will be discuss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을 토착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는데 있다. 최종분석대상은 1,476명으로서, 학생 634명(초 135명, 중 118명, 고 168명, 대 213명), 부모 842명(부 421명, 모 421명)이었다. 고통스러운 스트레스 경험으로 학생은 학업과 인간관계를, 아버지는 경제적 문제를, 어머니는 가정생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가정생활 스트레스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내용은 가족관계 갈등과 자녀교육 문제였다.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는 학생과 부모 모두 스스로 노력하고 인내하는 자기조절 대처를 가장 많이 하고, 그 다음으로 포기/회피 대처를 많이 하였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도움을 준 사람으로, 학생은 친구를, 부모는 배우자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사회적 지원의 제공자로서 친구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었다. 과반수 이상의 학생과 부모가, 사회적 지원의 내용으로서 격려와 위로로 대표되는 정서적 도움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정서적 도움은 학업, 인간관계, 가정생활, 경제문제 등 학생과 성인의 대표적인 스트레스 경험에서 일관되게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IMF시대 이전과 IMF지원을 받은 직후에 토착심리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연구한 누적된 결과들과 이 연구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스트레스 경험,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에 관련하여 한국 사람들이 갖고 있는 사회적 표상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한국 사람의 스트레스 관련 토착심리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다양한 후속연구의 방향이 모색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 탐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focusing specifically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 total 268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their parents and 251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two studies. In the first study, qualitativ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ups of adolescents were most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than any other person and reason for their trust is reported to be based on blood relationship. Similarly, majority of parents of both groups reported trusting their children because of the blood relationship. Parents hope that their children will be sincere a person and will be able to maintain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sobedience as being most problematic, whereas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report providing soc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being the most difficult. In the second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four groups and the following set of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amily backgrou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as lower, they are less likely to live with both parents or natural parents, and more likely to have ran away from home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and more likely to view their parents as being hostile. Third,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children, more likely to view their relationship as being conflictual and hostile, and feel that they had to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linquency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탈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토착심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038명이었으며, 보호관찰 청소년 268명과 그들의 부모, 고등학생 251명과 그들의 부모로 구성되었다.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집단별 부모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 이 세상에서 가장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믿고 신뢰하는 이유로서 혈연관계가 가장 중요하였다. 둘째, 부모 집단별 자녀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자녀가 보호관찰을 받는 일탈 청소년이든 학교를 잘 다니고 있든, 모두 혈연관계로 맺어진 자녀이기 때문에 무조건 믿는다는 생각을 과반수 의 부모가 하였다. 또한 두 부모집단 모두 자녀가 성실한 태도를 갖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도록 기대하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자녀 양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내용에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불순종을, 일반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성적이나 대학진학 등 학업문제와 자녀교육을 뒷받침해야 하는 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양적 자료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구조적 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은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았으며, 친부모가 아니거나,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가출경험이 많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신뢰가 낮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욱 적대적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의 부모가 자녀에 대해 더욱 낮은 신뢰를 보였다. 자녀 양육태도에서도 더욱 갈등을 느끼고, 적대적이었으며, 자녀 때문에 희생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가 시도되었다.

      • KCI등재후보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박영신,김의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1

        Korean society has significantly changed with the onset of a dramatic economic crisis in 1998. From 2000, however, the Korean economy has recovered and currently Korea is enjoying a similar standard of living and economic growth as the pre-1998 levels. This study is a follow-up analysis, comparing the results examining the success attribution of Korean students and adults in 2001 with the results obtained befor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 students and adults' attribution of their personal success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A total of 988 participants, consisting of 481 primary, junior high, senior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507 adults (236 fathers and 271 mothers of th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Park (1998).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ceiv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dults perceived successful family life as their most proud achievement. Successful family life included items such as academic success of children, health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harmonious family life. The person who provided the most significant support for students were parents and for adults, it was their spouse. For students, the importance of friends' social support increased during the high school years. In terms of type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was report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r both students and adults. As for the reason for their success, majority of students and men reported self-regulation and for women, supportive family environment was reported as being the most important. Comparing 2001 results with the 1997 results, the importance of family increased after the economic crisis. Even with the dramatic economic crisis, however, some of the underlying pattern remain strong (such as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family life for adult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especially emotional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believing that self-regulation would lead to success). The similar pattern of results obtain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dicate that the above results reflect a fundamental values and belief system deeply imbedded in Korean mentality. 한국사회는 IMF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제불황기를 경험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동 이후에 한국사람의 성공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김의철, 박영신, 1998)와 비교하므로써, 한국사람의 성공에 관련된 사회적 표상을 토착심리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988명으로, 초 중 고 대학생 481명과 그들의 부(236명) 모(271명)로 구성된 성인 507명이었다. 분석결과, 가장 자랑스러운 성공경험으로 학생은 학업성취를, 성인은 성공적인 가정생활을 지적하였다. 한국사람들에게 성공적인 가정생활이란, 자녀의 교육적 성취와 자녀의 발전 및 화목한 가정을 주로 의미하였다. 성공에 가장 큰 도움을 준 사람은 가족이었는데, 학생의 경우는 부모, 성인의 경우는 배우자가 가장 많았다. 초 중학생에서는 부모가 특히 중요하고, 고등학생 이후는 친구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어떠한 분야에서든 성공하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도움으로서, 학생과 성인 모두 정서적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성공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서 과반수 정도의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지적하였고, 성인 남자는 자기조절을, 성인 여자는 가정환경을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가적인 경제 위기상황 이후에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이 더욱 증가하였지만, 학업성취 및 성공적인 가정생활의 중요성, 사회적 지원의 제공자로서 부모와 배우자, 이러한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 성공의 원인으로서 자기조절에 대한 강조와 같은 핵심적인 결과가 일치하였다. 이와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 유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토착적인 성공의식을 종합하고, 이러한 의식의 기저에 있는 신념 및 가치체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아동과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지각: 토착심리학적 접근

        박영신,김의철,한기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perceive their parents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first two authors to investigate reasons why children and adolescents feel grateful, respect, indebted, close, conflict, and distance with their parents. A total of 763 participants (212 grade three students, 267 grade eight students, and 284 grade eleven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points. First, the vast major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eel grateful, respect, and indebted to their parents. They feel grateful, respect and indebted for the sacrifice and suffering they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family. Moreover, they respects their parents because of their sincerity, blood relationship, benevolence, guidance and educational support. They feel indebted since they did not obey them, were not able to meet their expectations, and were not diligent in their schoolwork. They felt especially close to their mother. The conflict they felt was due to generational gap and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Second, age affects how they perceive their parents. The parent-child conflict increases with age. The feeling of indebtedness also increase with age. However, the feeling of gratefulness and respects decreases with age. The feeling of closeness with father also decreases with age. Third, socio-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 affect the perception of their parents. Those with higher academic grade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feel respect and indebtedness and less likely to feel conflict and distance.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아동과 청소년들이 부모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 하는 토착심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과 청소년들이 부모에 대해 고마움, 존경심, 죄송함, 친밀감, 갈등, 거리감을 느끼는 정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763명으로서, 초등학교 3학년 212명, 중학교 2학년 267명, 고등학교 2학년 284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면에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한국 아동과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토착적인 지각과 관련된 내용이다. 부모에 대해 매우 고맙게 생각하였으며, 존경심을 갖고, 동시에 죄송한 마음을 갖고 있었는데, 부모의 가족을 위한 희생과 고생이 부모에 대한 고마움과 존경심의 가장 대표적인 이유였다. 이외에도 부모에 대한 존경의 이유로는 성실함, 혈연관계, 인자함, 높은 교육열과 지도가 포함되었다. 또한 한국의 아동과 청소년은 부모에 대해 강한 죄송함을 갖고 있었는데, 죄송한 이유로는 순종하지 않음과 부모의 기대에 못 미침 및 학업에 소홀함이 지적되었다. 부모 중에서 특히 어머니에 대해 강한 친밀감이 있었으며, 부모와 갈등의 이유로서 세대차이와 학업문제가 대표적으로 부각되었다. 둘째,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 부모에 대한 지각의 변화 측면이다. 부모와의 갈등은 점차 증가되었다. 부모에 대한 죄송한 마음도 증가하였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부모에 대한 고마움과 존경심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친밀감은 감소하였다. 셋째, 하위집단별 아동과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지각의 차이와 관련된 결과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또한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부모에 대해 고마움과 존경 및 죄송함을 느끼는 정도가 더욱 높았고, 갈등이나 거리감은 적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특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eight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the tasks of psychological researches in terms of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feeling of trust is emerged from the family relationship formed by the blood ties based on father-son relation. In this respect, the meaning of trust might b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culture, which is emerged from the market relationship formed by the contract based on husband-wife relation. Now, the Korean family seems to be disorganized rapidly, so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that recent Korean society might be the trust-absent society rather than the mistrust society. Also,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psychological researches must be performed in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indigene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이 글은 본 특집호에 게재된 여덟 편의 논문을 소개하면서 현재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대한 연구의 과제를 문화심리학적 입장에서 제안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 문화에서 신뢰는 혈연을 기초로 맺어진 부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적 관계에서 배태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계약에 의해 맺어진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시장적 관계에서 배태된 서양의 신뢰와는 서로 다른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적 가족 관계가 급하게 해체되어 가는 현재 한국 사회는 불신의 사회가 아니라 신뢰부재의 사회라고 명명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심리학적 연구는 이런 한국적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배려한 토착심리학적 고려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행복 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이수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Happiness Scale for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previously developed empirical evidence and FGI, 102 preliminary items are yield. The data of 565 students were used for conducting an exploring factor analysis. In result, the 23 items scale consist of six-factor of a Happiness subscale(4 items of majority satisfaction, orientation for appearance, sociability, family relationship, orientation for Achievement and 3 items of opposite-sex relationship). For the final scale, 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the data of 378 students. A result revealed that the six- factor structure of a Happiness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happy structur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reasonably high ranging from .86 to .68.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토착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 초기 대학생에게 사용할 수 있는 행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와 FGI를 통해 설문문항 102개를 추출하였다. 예비검사로 565명 남녀 대학생의 설문조사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전공만족, 외모지향, 사회성, 가족관계, 성취지향, 이성친구의 6요인에 대한 23문항을 구성하였다. 378명 남녀 대학생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여 행복 척도에 대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고,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의 행복 요인구조는 6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의 요인계수도 적절한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대해 요약하고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6개 요인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후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사람들이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개인 삶의 질로는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에서의 삶의 질이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3,406명으로서 남녀 초, 중, 고, 대학생 1,331명과 그들의 부모 및 교사 2,075명이었다. 김의철과 박영신(2004b)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경제적 요인, 국민들의 노력, 문화/여가생활, 원만한 인간관계, 올바른 정책, 교육수준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경제 불안, 정치 불안, 시민의식 결여, 집단 이기주의, 부정부패/비리, 여가생활 부족, 과도한 교육열이 지적되었다. 둘째, 개인의 가정생활에서 삶의 질은 화목한 가족관계와 경제적 여유가,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은 친구관계와 학업성취가,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경제적 요인 및 성취감이,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은 경제적이고 시간적인 여유 및 인간관계가 중요하였다. 셋째, 세대집단별 인식 차이가 있었다. 한국 사회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정치 불안을, 성인은 경제 불안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가정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가족 간의 갈등을, 성인은 경제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여가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시간 부족을, 성인은 경제적 여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은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학업성적이 좋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성인의 경우는 나이와 관계없이,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생활에서 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삶의 질 인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원만한 인간관계,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교육적 성취의 네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in the family, school or workplace, leisure settings, and Korean soci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consisting of 1,331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2,075 parents and teacher,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b).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s follows: Economic condition, collective effort, leisure and cultural life,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ective government policy, and educational attainment. The factors that redu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Economic uncertainty, political instability, lack of citizenry, ingroup favoritism, corruption,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and social life, and overempha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the family are as follows: Harmonious family relations and financial security. For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school. For adults,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the workplace. For leisure and social leisure life, financial security, leisure ti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Third, as for generational differences, students reported political instability and adults reported economic uncertain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For family life, students reported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r leisure and social life, students reported lack of leisure time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urth, for stud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younger,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or adul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greater achievement their social lif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focusing on human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self-regul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