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낙진방사성동위원소 (<SUP>137</SUP>Cs and <SUP>210</SUP>Pb<SUB>ex</SUB>)를 이용한 토양침식 조사

        윤정환(Jung-Hwan Yoon),김혁수(Hyucksoo Kim),양재의(Jae E. Yang),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토양 침식은 전세계적인 문제로 이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고, 침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다양한 국가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조사 방법은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이다. 이 방법은 경험적인 방법으로 강우, 토양특성, 경사, 작물, 관리 인자를 산출하고 모델식에 적용하는 것이다. 여러 장점이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인자 산정에 필요한 많은 정보가 필요한 점과 침식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침식과 퇴적에 따른 공간적인 패턴을 조사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낙진방사성동위원소(fallout radionuclides, FRN)를 이용한 토양 침식 연구가 대안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FRN은 강우시 대기에서부터 토양으로 낙진되며 토양입자와 강한 흡착을 통해 토양침식 과정에서 토양입자와 같이 이동한다. 이를 선행연구에서 토양침식 패턴과 FRN 농도 변화가 매우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대표적인 FRN은 인공방사성물질인 <SUP>137</SUP>Cs과 자연방사성물질인 <SUP>210</SUP>Pb<SUB>ex</SUB>, <SUP>7</SUP>Be 등이 있다. FRN을 이용한 토양 침식 조사 방법의 장점은 현장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FRN 농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량적으로 침식량과 퇴적량, 그리고 공간적인 토양 이동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N을 이용한 토양침식 조사방법의 우리나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토양 침식이 가장 심하다고 보고되고 있는 고랭지(안반데기)와 울릉도 토양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침식에 사용한 FRN은 <SUP>137</SUP>Cs과 <SUP>210</SUP>Pb<SUB>ex</SUB>이며, 산출한 결과를 비교하고자 USLE로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다. 안반데기의 한 경사면(20 x 120 m)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SUP>137</SUP>Cs과 <SUP>210</SUP>Pb<SUB>ex</SUB>의 공간적인 분포 패턴이 지형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모델식에 적용하여 공간적인 토양 침식량을 평가한 결과 <SUP>137</SUP>Cs을 이용하였을 때는 83.5 ton ha<SUP>-1</SUP> yr<SUP>-1</SUP>이, <SUP>210</SUP>Pb<SUB>ex</SUB>을 이용하였을 때는 112.5 ton ha<SUP>-1 </SUP>yr<SUP>-1</SUP>이었다. USLE를 이용해 조사한 토양침식량은 166.0 ton ha<SUP>-1</SUP> yr<SUP>-1</SUP>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울릉도 토양(14지점)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울릉도 토양의 평균 토양침식량은 <SUP>137</SUP>Cs으로는 19.5 ton ha<SUP>-1</SUP> yr<SUP>-1</SUP>이, <SUP>210</SUP>Pb<SUB>ex</SUB>은 24.0 ton ha<SUP>-1</SUP> yr<SUP>-1</SUP>이었고, USLE로는 221.6 ton ha<SUP>-1</SUP> yr<SUP>-1</SUP>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울릉도는 USLE를 이용하였을 때 침식량이 매우 높게 산정되는데 이는 울릉도의 경사인자가 매우 큰 것과 더불어 화산회토에 대한 토양특성을 반영하는 침식인자 산정식과 울릉도에서 주로 재배되는 재배 작물에 대한 C, P 인자 산정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토양 이용 형태 및 지점별 특징적인 토양 특성 및 관리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USLE와 달리 토양 분석만으로 토양 침식량 산정 뿐 아니라 공간적인 토양 침식 및 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FRN을 이용한 조사 방법은 큰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김경탁,김주훈 한국습지학회 2005 한국습지학회지 Vol.7 No.1

        토양침식은 강우분포, 토양, 토지이용과 같은 많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런 요인들은 시간과 공간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의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토양침식량 계산은 RUSLE를 이용하였고, RUSLE의 지형 및 공간정보 관련 인자들은 DEM,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유역으로는 한강수계 제1지류인 경안천유역의 농경지로 하였으며, 토양침식량 분석결과 보통, 특수작물(1210) 재배지역, 과수원(1220), 미경지정리답(1120), 경지정리답(1110)의 순으로 가장 큰 토양침식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재배지역의 평균 토양침식량 또한 보통, 특수작물 재배지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토양침식량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농경지의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토양침식의 위험성이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5등급의 경우 전체 농경지의 2.4%에 해당하는 72.5ha정도가 침식위험지역으로 판단하였다. 이 침식위험지역은 밭작물재배지역이 72.4ha이고 과수원이 0.1ha로 분석되었으며, 기타의 농경지역에서는 5등급의 위험지역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토지이용 상황에 관계없이 2등급(1~50ton/ha/yr) 지역이 전체 농경지의 70.2%로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Soil erosion is influenced from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rainfall distribution, soil type, land use, etc.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soil erosion hazard zone in cropland. RUSLE was used for an analysis of soil erosion amount, and for the spatial data of basin, soil erosion amount was calculated by extracting the respect topography space related factors of RUSLE using DEM, Landuse, Soil map as base map. This paper is targeting at the watershed of Gyeongan stream in Gyeonggi-do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soil erosion amount showed that soil erosion occurred in the order of crop field(1210) planting area, orchard(1220), non-adjusted paddy fields(1120), and adjusted paddy fields(1110), and also the average soil erosion in these planting areas has the most amount in crop field planting area. As a result of analysis on soil erosion hazard zone of farm land by classifying it into 5 classes using the result of that result of analysis on the amount of soil erosion, in case of Class 5 in which the hazard of soil erosion is the highest, approximately 72.5ha that corresponds to 2.4% of the total farm land was decided as erosion hazard zone. For this erosion hazard zone, it was analyzed that dry field crop planting area was 72.4ha and orchard was 0.1ha, and Class 5 hazard zone did not appear in other farming areas. Also, it showed that Class II(1~50ton/ha/yr) area had the most ratio of the entire farm land, i.e., 70.2%, regardless of land use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soil erosion hazard zone of farm land by classifying it into 5 classes, the Class V has the highest soil erosion hazard, approximately 72.5ha that corresponds to 2.4% of the total farm land was estimated as an erosion hazard zone. This erosion hazard shows 72.4ha in dry field crop planting area, 0.1ha in an orchard, but the highest hazard zone, the Class V was not shown in other farming areas. Also, it showed that Class II area had the most ratio of the entire farm land, i.e., 70.2%, regardless of land use state.

      • KCI등재

        USLE를 활용한 만경강 상류지역에서의 토양침식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이재혁,심은증,이연길,김태웅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범용토양유실예측공식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축적하는데 있다. 봉동 수위관측소의 유역면적은 342.27㎢이며, 유역에서의 유사유출량을 모의하고 이를 실측치와의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양침식량 산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기 위해 연도별 강우사상을 활용하였고, 연평균토양침식량 산정을 위해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격자기반의 토양침식도를 생성하여 산정하였다. 토양침식도(30m×30m)는 강우침식인자(R), 지형인자(LS), 토양침식인자(K), 식생피복인자(C), 침식조절인자(P)를 ArcView Map Calculator에서 각각의 인자들을 곱하여 생성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유역에서 토양침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토양침식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 평가

        심우진(Woo Jin Shim),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우리나라는 높은 산지 비율과 인구밀도,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침식의 위험성이 높다. 토양침식은 토지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로, 최근에는 토양침식 추정 모형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형은 반영하는 변수에 따라 추정 결과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실제 발생하는 침식량을 산정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특히 대부분의 모형이 단기적인 환경변수들을 활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나타나는 침식량의 추정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UP>137</SUP>Cs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1960년대 이후 평균 침식량을 살펴본 후 국내 토양침식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와 매개변수를 공유하는 USPED(Unit Stream Power-based Erosion Deposition) 두 모형과 비교하여 토양침식 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SUP>137</SUP>Cs기법을 통한 침식량 분석 결과, 연구지역은 1960년대 중반 이후 평균 28.97ton/ha의 침식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지 이용 별로 살펴보면 경작지의 침식량은 67.58ton/ha/yr, 산지는 0.02ton/ha/yr으로 분석되었다. RUSLE모형과 USPED모형이 추정한 연구 지역의 연 평균 침식량은 각각 21.28ton/ha, 12.82ton/ha로 약 2배의 격차가 나타난다. <SUP>137</SUP>Cs기법을 기준으로 두 모형의 침식추정량을 비교한 결과, RUSLE의 연 평균 침식량은 0.73배, USPED는 0.43배 더 낮게 추정했다. 침식의 공간적 분포형태는 RUSLE가 실제 발생하는 침식 및 퇴적의 분포 형태를 USPED에 비해 더 잘 추정했다. 그러나 두 모형 모두 산지에서 보다 경작지의 침식량이 월등히 높은 현실에 맞지 않게, 경작지의 침식 추정량을 산지보다 부정확하게 추정했다. 이는 토양 침식 추정 모형이 국내의 집약적인 토지이용과 중단기 기간의 침식 현상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국내 상황에 맞는 변수 개발 및 모형 보정 등의 보완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토양침식 연구에 모형의 적용과 해석에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할 것이다.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re is a high risk of soil erosion caused by torrential rains of summer, high mountain rate, and population density. There are several ways to study soil erosion. Recently,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is most commonly used to study. However, the results of the soil erosion model are predicted value, not observed one.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models utilize short-term environmental variables,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stimation of erosion amou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P>137</SUP>Cs method is used calculating a soil erosion and spatial distribution to identify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that suits domestic condition, and compared with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s applied by RUSLE and USP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nnual average of soil erosion amount is 28.97ton/ha in the study area, Since each type of land use, the cultivated area has the annual 67.58ton/ha, forest area occurred 0.02ton/ha of soil erosion amount. Secondly, the average annual soil erosion amount of the study area estimated by RUSLE model and the USPED model resulted as 21.28ton/ha and 12.82ton/ha, respectively. RUSLE model estimated adequately in soil erosion amount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than USPED model. However, both models estimated incorrectly in the erosion of cultivated land. This result shows that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does not fully reflect the intensive land use in Korea and the medium- and short-term soil erosion.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ables and calibration of model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domestic situation would be necessary, and a critical view on applying and interpreting models in soil erosion research would be needed.

      • KCI등재

        토양침식에서의 강우특성, 토양경사 및 지질의 영향

        남경훈 ( Koung Hoon Nam ),이달희 ( Dal Heui Lee ),정성래 ( Sung Rae Chung ),정교철 ( Gyo 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2014 지질공학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토양침식에 관련되는 강우특성, 토양경사도, 그리고 지질특성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우강도, 토양경사도, 지질특성의 각각 다른 조건에서 실내 인공강우실험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실내시험 결과에 의하면, 토양침식 량은 토양 경사도가 강우강도보다 크게 영향을 받았다. 유출량은 강우량에 비례하며, 점토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토양의 유기물과 점토 함량이 큰 토양에서 토양침식 량이 크게 증가 하였다. 현장시험 결과로는 토양경사가 큰 지역 및 퇴적암 지역보다 변성암 지역에서 보다 큰 침식량이 계산되었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는 토양침식 량을 예측하는 모델개발에 있어서 기반암 풍화의 산물인 토양에서의 지질특성이 침식 및 침식후의 퇴적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soil slope, and rainfall intensity in relation to soil erosion. To this end, indoor rainfall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rainfall intensities, soil slope,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affect soil erosion in the order of soil slope > rainfall intensity > organic content in the soil. Erosion rates were proportional to rainfall, and increase with increasing clay content. Therefore, the soil erosion rate increases strongly with increasing organic content and clay cont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soil erosion rate in areas of metamorphic rocks shows a marked increase compared with areas of steep slope and sedimentary rock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to produce soil are closely related to sedimentation before and after erosio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ls to predict soil erosion rates.

      • KCI등재

        양양 산불지역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회복의 영향

        신승숙(Shin Seung Sook),박상덕(Park Sang Deog),조재웅(Cho Jae Woong),이규송(Lee Kyu Song)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4B

        양양 산불 피해 지역 당해년도의 극심한 지표 변화에 따른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 산지사면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여, 지형, 토양, 식생, 강우사상별 유출 및 토양침식량을 측정하였다. 조사는 총 15개 단일강우사상을 기준하여 이루어졌다. 산불이후 식생회복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않은 사면의 유출 및 토양침식량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식생회복이 빠른 조사구들은 대조구보다 약 2배 많은 평균 유출량 및 토양침식량을 나타냈으나, 나지상태 조사구들에서는 대조구의 약 10배 이내의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되었다.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주요 인지들과의 상관분석에 의하면 강우인자 및 식생인자는 유출과 토양침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는 식생지수들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불에 의해 교란된 지표식생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회복되고, 산불초기에 다량의 토사유출이 발생된 이후 사면 토양의 안정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안되거나, 식생회복이 더딘 지역은 지속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불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Whil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soil, and vegetation coverage were surveyed, also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for each rainfall event were measured to analyze effect of change of land cover conditions in mountain areas, Yangyang, directly after wildfire. Fifteen rainfall events were taken in total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result of this survey appeared that the amount of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are a great difference between plots with rapidly recovered vegetation and bare plots after wildfire. The burned plots where vegetation recovered rapidly generated two times or more of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than control plots, as burned plots with bare soil showed about ten times of surface runoff and sediment than control plot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in parameters of the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presented that rainfall factors and vegetation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unoff and soil erosion. The sensitivity of runoff and soil erosion showed 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vegetation indices. If the land surface disturbed by wildfire are recovered by natural vegetation as time passes, runoff and soil erosion may be decreased gradually. Because runoff and soil erosion in the areas with rare vegetation or bare soil are generated continuously, the discriminated mediation strategies would be established as condition of each region.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임하댐 유역의 GIS 기반 토양침식 추정

        이길하(Lee Khil Ha),이근상(Lee Geun Sang),조홍연(Cho Hong Ye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3D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에 의한 미래 토양침식을 추정하는 것이다. 기후모형인 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에 의해 예측된 강우자료 중 2030년에서 2050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토양침식 모의를 수행한 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즉, 현재의 토양침식 관측값과 예측된 미래의 조건에 따른 토양침식 결과에 대한 상대비교를 통해 기후변화가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경제 변화에 의해 예상되는 토지이용 변화와 기온 및 의 증가에 따른 식물성장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고려하였다. A2 시나리오와 B2 시나리오에 의해 예측된 2030년에서 2050년 기간의 모의된 강우평균을 1966년에서 1998년 사이의 관측 강우평균과 비교한 결과 각각 17.7%와 24.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 시나리오에 의한 토양침식량이 A2 시나리오에 의한 값보다 크게 예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6개 시나리오(일부 농촌 지역의 도시화 2개 시나리오, 전 농촌 지역의 도시화 2개 시나리오, 식물성장을 가정한 시나리오 2개) 중 일부 농촌 지역이 순차적 도시화가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제외한 나머지의 경우 토양침식이 48%에서 90%까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의한 식물성장속도의 가속, 높은 증발산을, 그리고 거름효과가 미치는 영향 등을 가정한 시나리오가 토양침식결과는 이를 가정하지 않은 시나리오보다 약 25% 정도 작게 예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본 대상유역의 미래에는 강우량과 토양침식량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and use on soil erosion in the mideast Korea. Simulated precipitation by CCCma climate model during 2030-2050 is used to model predicted soil erosion, and results are compared to observation. Simulation results allow relative comparison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oil erosion between current and predicted future condition. Expected land use changes driven by socio-economic change and plant growth driven by the increase of temperature and are taken into accounts in a comprehensive way. Mean precipitation increases by 17.7% (24.5%) for A2 (B2) during 2030-2050 compared to the observation period (1966-1998). In general predicted soil erosion for the B2 scenario is larger than that for the A2 scenario. Predicted soil erosion increases by 48%~90% under climate change except the scenario 1 and 2. Predicted soil erosion under the influence of temperature-induced fast plant growth, higher evapotranspiration rate, and fertilization effect (scenario 5 and 6) is approximately 25% less than that in the scenario 3 and 4.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is said that precipitation and the corresponding soil erosion is likely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care needs to be taken in the study area.

      • KCI등재후보

        태풍 루사에 의한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GIS와 범용토양손실공식(USLE) 연계

        함창학(Hahm Chang Hahk),김병식(Kim Byung Sik)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토양침식의 산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 한 지역에서 토양침식을 예측하기 위한 많은 모형들이 있지만, 범용토양손실공식(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이 연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경험식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토양침식은 강우강도, 토양의 종류, 토지 피복과 토지이용, 사면경사와 경사길이, 그리고 토양보전을 위한 시설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모든 변수들은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지형정보시스템(GIS)이 토양침식 영향평가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HP 대표 유역인 보청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정보시스템(GIS)과 범용토양손실 공식을 연계하여 태풍루사의 강우에 의한 유역에서의 토양 침식량을 산정하였다. Assessment of soil erosion is a cost and time-consuming task. There are many models developed to predict soil erosion from an area, but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is most widely used empirical equation for estimating annual soil erosion. Soil erosion depends upon-rainfall intensity, type of soil, land cover and land use, slope degree, slope length and soil conservation practice. All these parameters are have spatial distribution and hence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re applicable in the assessment of the influence on soil erosion. GIS has been integrated with the 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odel in identification of rainfall-based erosion to the Bocheong River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asin of IHP due to Typhoon Rusa. Similar studies are available in literature, ranging from those that use a simple model such as USLE to others of a more sophisticated nature.

      • 1분 강우자료를 이용한 RUSLE의 강우침식인자 (R) 산정 프로그램 개발 및 추정

        정충길 ( Chung Gil Jung ),장원진 ( Won Jin Jang ),김성준 ( Seong 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토양유실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로는 강우, 기온, 바람, 습도 및 태양열 복사 등이 있다. 이들 중 강우는 토양침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토립장의 이탈로 인한 토양침식을 유발한다. 토양침식을 예측하는데 있어 강우의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강우침식인자는 각 강우사상에 대한 강우에너지와 30분 최대 강우강도의 곱의 합으로 정의된다. 강우침식도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년간 측정된 분단위 강우자료가 필요하며, 강우자료 획득의 제한과 강우의 분류 및 계산과정 등이 복잡하여 실무적으로 산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분 상세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의 강우침식도 R의 추정을 위해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5년간 전국 61개 기상청 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별로 새롭게 계산한 연 강우침식도 및 경험식을 산정하였으며 남한전체(99,720 km²)를 대상으로 연 강우침식량의 공간분포맵을 작성하였다. 지점별 산정된 경험식은 연평균 강우량과 1분 강우자료로부터 산정된 강우침식도와의 상관관계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1분 강우자료로 계산된 강우침식도와 연평균 강우량의 상관관계로부터 도출된 경험식과의 결정계수(R<sup>2</sup>, determination coefficient)는 0.70 ∼ 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기존의 국내에서 적용된 경험식과 비교하여 평균 R<sup>2</sup>가 0.59에서 0.80로 실측값과의 정확성이 높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강우침식인자의 계산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Python GUI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강우침식인자가 계산이 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GUI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토지이용도, RUSLE, 그리고 산사태 위험도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양 침식에 대한 위험성 및 잠재성 분석

        지운,황만하,여운광,임광섭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6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토양 침식 및 유실의 위험성을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해 토지이용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유역별 토양침식 발생의 위험성을 순위화하였다. 또한, 토양침식량을 RUSLE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지이용도 분석 결과와 함께 토양침식 위험성이 높은 유역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해당 유역에 산사태 위험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유역내 토양유실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의 활용 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토양침식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선정된 유역은 내성천유역으로 토지이용도 분석결과와 RUSLE 모형의 결과에서 모두 토양유실 측면에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USLE 모형 결과에서 토양침식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유실의 위험성은 RUSLE를 이용한 산정결과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The land use map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was classified by each land use contents and analyzed to rank the risk of soil loss and erosion. Also, the soil loss and erosion was evaluated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nd the subbasin with high risk of soil loss was evaluate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land use contents. Finally, the analyzed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landslide risk map, henc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using developed and analyzed resul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land use analysis and RUSLE calculation, it was represented that the Naesung Stream watershed had the high risk for soil loss among the subbasin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It was also presented that the high risk area identified by computation of RUSLE was corresponding to the landslide risk area. However, the high risk of soil erosion by land use near the river or wetland was confirmed only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s of RUS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