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토박이말 교육 실행 연구

        이창수(Lee, Chang-s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가운데 토박이말 관련 성취기준의 성공적 도달을 위한 토박이말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학급 전교생을 대상으로 토박이말 앎(지식), 삶(활용), 품(태도)을 기르는 토박이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토박이말 관련 교육 활동이 토박이말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함은 말할 것도 없고, 토박이말에 대한 지식을 넓힐 수 있었다. 배운 토박이말을 활용한 표현 활동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표현력을 기를 수 있었으며, 토박이말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고 익힌 토박이말을 활용함으로써 바르고 고운 언어생활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 연계해서 지도할 수 있는 토박이말 목록, 스마트 기기용 앱 등 다양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ducation plan for successfully achieving the standards of proper word (Tobagimal)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llowing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ducational program on proper word (Tobagimal)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all students in six grades to cultivate the learning (knowledge), living (utilization) and characteristic (attitude) of a native proper word speaker.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on proper word (Tobagimal) not only renewed student awareness but also widened their knowledge of the proper word (Tobagimal). The students were able to use creative expressions by participating in expressive activities that utilized previously learned proper word (Tobagimal). These activities also helped to develop student appreciation for the proper word (Tobagimal). Also, in order to motivate students to develop a proper and refined attitude for the language through learning and practicing the proper word (Tobagim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books on proper word (Tobagimal)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to guide the students in line with the course curriculum.

      • KCI등재

        토박이말 교육 까닭 찾기

        이창수(Lee Chang Soo)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이 연구는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하는 까닭을 찾아 보임으로써 토박이말 교육 실천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토박이말에는 우리 겨레의 삶과 정신이 고스란히 깃들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토박이말은 국어교육이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도 반드시 교육을 해야 할 필요가 있는 좋은 교육 내용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토박이말 교육 관련 성취기준이 하나도 없는 실정이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끊임없이 토박이말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그래서 교사와 학생들이 공유할 수 있는 토박이말 교육의 필요성을 찾아봐 달라는 현장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다. 이에 발맞추려고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하는 까닭을 크게 말 안에서 찾기와 말 밖에서 찾기로 나눠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 안에서 찾은 까닭은 모두 다섯 가지이다. 첫째, 말이 가진 힘을 제대로 안다면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둘째, 한국인다운 한국인을 기르려면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셋째, 토박이말이 자랑스러운 한글의 어머니와 같기 때문에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넷째, 뿌리를 잃은 우리말의 뿌리를 되찾는 지름길이기 때문에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다섯째, 토박이말을 잘 알고 쓰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말 밖에서 찾는 까닭은 모두 다섯 가지이다. 첫째, 인문학을 강조하는 만큼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둘째,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만큼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셋째, 환경교육, 생태교육을 강조하는 만큼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넷째, 인류애를 강조하는 만큼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다섯째 몸에 좋은 먹거리를 강조하는 만큼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토박이말 교육을 해야 하는 까닭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토박이말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고 그에 맞는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토박이말 교육에 도움을 주는 연수를 마련하고 교수ㆍ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주는 등 짜임새 있는 체계적 도움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teaching of words of native Korean origin (or “native Korean language”) by identifying and outlining the necessity of such education. As words of native Korean origin are infused with the culture, spirit, and lives of the Korean people, they need to be taught, through n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preserve our traditional culture for posterity. Currently,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of 2015 does not contain performance criteria for n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ools are still teaching it as a subject. Moreover, teachers have requested the exploration and introduction of n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accommodate this request, this paper examines two areas in order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n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ative Korean language itself and external factors. The necessity of n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found in native Korean language itself. It needs to be taught because it influences our thoughts and actions, helps our young students grow to become true Korean citizens, represents the origin of modern Korean language, and is the best means of restoring the lost roots of the Korean language. The necessity of n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also be found in external factors. In particular, its necessity is clear considering our emphasis on the humanities, humanistic education, the environment, ecology, love of humans, and healthy food.

      • KCI등재후보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 만들기

        이창수(Lee Chang soo),문병무(Mun Byoung m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1-2학년군 문법 영역 성취기준 가운데 토박이말 관련 성취기준의 성취를 돕는 데 있다. 토박이말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토박이말 교수ㆍ학습 자료현황을 살펴본 결과 시사점을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개발의 바탕으로 삼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살핀 결과 토박이말을 지도할 수 있는 시간과 양이 턱없이 모자라서 국어 교과 외 시간을 활용할 필요성과 놀이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박이말 교수ㆍ학습 자료가 PC용 홈페이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현재 강조되고 있는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활용하기에 불편하여 스마트폰에서 활용 가능한 앱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클립스(Eclipse)를 활용하여 자바언어로 안드로이드용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앱은 크게 다양한 토박이말 자료를 보고 익힐 수 있는 텍스트와 동영상, 그림 자료와 놀이 자료로 나눌 수 있다. 에스엔에스(SNS)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토박이말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놀이를 하면서 토박이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배달말누리 누리집'과 이어져 확장성이 높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올리고 순위 겨루기(랭킹 시스템 도입)으로 흥미와 관심을 갖고 토박이말을 배우고 익힐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이 앱은 단순한 자료실이 아니라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토박이말 클라우드로 가는 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앱이 또 다른 더 나은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자극제 또는 본보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proper words and expressions. This is an effort to help first and second grade learners attain the necessary level of achievement in Korean grammar, according to the school curricula revised in 2009. The development of this application for effective learning of the proper word is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existing materials and systems of teaching and learning native words and expressions, including related school curricula and textbooks. Research of the existing curricula and textbooks revealed a grave lack of learning hours and, hence, in the quantity learned, a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d learning hours outside the regular Korean language classes and develop new, play-based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Considering the recent and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 in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PC-based programs, the research also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e research result led to the development of an android application using the Java-based Eclipse development platform. The application consists of texts, videos, pictures, and games designed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materials for education on native Korean words and expressions. It encourages learners to use SNS to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on the native Korean language with others and practice expressions through games. The app is expandable and designed to work with the Baedalmalnuri website, allowing easy access to new and updated materials and a ranking system, which is designed to make learning fun. In addition, it can guide users to the proper word "cloud", where they can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other users to improve their learning skills. The developers of this mobile application expect it to set the standard for mobile education software in this field and inspire others who are developing advanced learning applications for the proper word.

      • KCI등재

        초등학교 토박이말 어휘지도 자료 개발

        이창수,송두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도 토박이말을 지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그것을 지도할 때 쓸 수 있는 토박이말 학습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연구자들 가까이에서 만난 많은 교사들과 학생들은 쉽게 쓸 수 있는 토박이말 자료가 없는 것을 아쉬워했다. 그리고 토박이말 관련 자료들을 모아 놓은 인터넷 누리집이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이야기했다. 이러한 교육자료 수요자들의 요구에 맞춘 동영상 자료와 토박이말 전문 누리집을 마련하였다. 동영상 자료를 보고 토박이말에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도록 했으며, 토박이말놀이 딱지와 토박이말 익힘책으로 더 많은 토박이말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를 담고 있으면서 더 많은 토박이말 자료를 볼 수 있는 전문 누리집을 만들어 교실, 집 등 인터넷이이 되는 곳에서 두루 활용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 자료를 활용해 본 뒤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자료제작 목적을 달성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clud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the Korean text,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2 007 was a rrang ed t o instruct T obag imal ( a native tong u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lesson materials about Tobagimal when teachers tried doing. A lot of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felt regret at lacking in the materials about a easy and useful Tobagimal, and so they expected to build an Internet website collected the materials relating to Tobagimal. Meeting these educational needs, the materials of moving picture and the special Internet website for Tobagimal were created. The materials of moving picture consisted of the motivating factors to learn Tobagimal. In addition, game cards as well as activity book on Tobagimal made students study and use it. With the above data, the special Internet website enabled students and teachers to search for more materials on Tobagimal anywhere, like a classroom or a house, to access Internet. After utilizing this data, the present writer realized that the aim of this study was achieved through teachers' and students' feedback.

      • KCI등재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한자말에 대응하는 토박이말 땅이름

        곽재용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39

        이 글은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한자말 땅이름의 짝이 되는 토박이말 땅이름의 모습과 유래, 어종, 동의 경쟁 양상을 알기 위해 이루어졌다. ‘병요산(甁要山)’은 하동군 진교면 양포리와 금남면 중평리에 있는 산이다. 오늘날 소오산 혹은 금오산(金鰲山)이다. 소오산은 산이 솟아올랐다는 뜻이다. ‘옹암(甕巖)’은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에 위치한 바위이름이다. 독을 닮았다고 독바위라고 한다. ‘마현(馬峴)’은 진주시 초전동에서 진주시 옥봉동으로 넘어오는 고갯길 이름이다. 오늘날 말띠(티)고개로, 큰 고개라는 뜻이다. ‘서흘산(鉏屹山)’은 지금의 써리봉이다. 써리봉의 ‘써리’는 ‘써레’의 경상도 방언이다. ‘혈암(血巖)’은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와 인월면 인월리 사이의 남천 가에 위치한 붉은색을 띤 바위다. 토박이말인 피바위와 동의 경쟁 중이다. ‘토현(兎峴)/묘봉(卯峯)’은 남원시 산내면과 하동군 화개면 경계에 있는 지리산의 봉우리로 오늘날 토끼봉이다. ‘검암(劍巖)/도암(刀巖)’은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지리산에 있는 바위다. 칼처럼 생긴 바위라고 칼바위라 부른다. ‘탄촌(炭村)’은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에 있는 마을이다. 숯꾸지라고 한다. 숯을 굽는 곳이었다. ‘수월치(水越峙)’는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에 있는 지리산의 고개 이름이다. 무넹기이다. 한자말에 대응하는 어종별 양상을 보면 토박이말은 28개(50.91%), 토박이말+한자말은 11개(20.00%), 한자말+토박이말은 14개(25.45%), 토박이말+한자말+토박이말은 2개(3.64%)였다. 한자말 55개에 대응하는 토박이말 땅이름의 동의 경쟁 양상을 보면 토박이말로 정착한 것 33개(60.00%),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동의 경쟁 중인 것 19개(34.55%), 사라진 것 3개(5.45%)였다.

      • KCI등재

        편수 자료 이전의 수학 용어에 대해

        허민 한국수학사학회 2018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31 No.3

        At present, most of school mathematical term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s of Korea are Sino-Korean words. 1964 Mathematical Editing Material, which aimed to unify mathematical terms into mainly Sino-Korean words, was considered a key factor for this situation. 1964 Editing Material depended heavily on 1956 Mathematical Terminology, which contains a lot of Korean native words and displays the school mathematical terms after 1945. There are many Korean native words in the Second Mathematical Curriculum. This shows that Korean native words of mathematics had been consolidated to some extent at that time. In North Korea, a lot of Korean native words are still used in mathematics. Some Sino-Korean words were recently changed to Korean native words in South Korea. 1956 Mathematical Terminology tells the method to make Korean native words of mathematics and will be an excellent guide for making Korean native words. 현재 초ㆍ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 용어는 대부분 한자말이다. 이렇게 된 주요한 계기는 수학 용어를 한자말 중심으로 단일화한 1964 수학 편수 자료로 보이는데, 이 편수 자료는 1956 수학 용어집에 크게 의존했다. 1956 수학 용어집은 광복 이후에 학교 수학에서 사용된 용어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데, 많은 용어를 토박이말로 나타내고 있다. 제2차 수학 교육과정 문서에도 토박이말 용어가 많은 들어 있을 정도로, 당시에 이런 토박이말 용어는 어느 정도 공고화됐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서는 여전히 토박이말 수학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에 우리의 학교 수학 용어에서 일부 한자말이 토박이말로 바뀌고 있다. 1956 수학 용어집은 토박이말을 사용해서 수학 용어를 만드는 방법도 알려주므로, 토박이말 수학 용어를 만드는 훌륭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나라 갈배움길 고치기에 생각 보태기 : 국가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소고

        이창수(Lee, Chang-Soo)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50

        이 글은 수시 개정 체제로 바뀐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우리만의 빛깔을 가진 교육과정, 좀 더 나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고자 쓴 글입니다. 본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좀 더 우리다운, 우리 빛깔이 나는 ‘교육과정학’을 만들기 위해 갈말(학술용어)을 다듬어 보자는 것입니다. 나머지 하나는 좀 더 나은 교육과정을 마련하고자 할 때 교육과정 개발, 운영, 성과의 각 단계별로 놓치고 있는 것들을 살펴보고 하나씩 챙겨갈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먼저 갈말(학술용어)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이라는 말과 ‘개정’이라는 말을글쓴이 나름대로 ‘갈배움길 고치기’라고 다듬어 보고 더 나은 말들을 만들어갈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이어서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분석’과 관련하여 더 알찬 요구 분석으로 교육과정 개정의 첫 단추를 잘 꿸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그리고 설문조사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나오는 ‘핵심역량’과 관련해 ‘핵심역량’을 좀 더구체적으로 밝히되 그 수를 줄인 다음 각론 개발자들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있다는 것을 ‘자기관리 역량’과 국어 교과의 ‘고유어(토박이말)’ 관련 성취기준삭제와 관련지어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교수 요목기 때 일본식 한자어를 토박이말로 바꿔서 교과서를 만들었던 보기를 통해 진정한 학습자 중심이라 할 수 있을 쉬운 말로 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마련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교육과정 운영단계에서 학습자 특성, 반응,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개발, 교사, 학부모 연수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교육과정 성과단계에서 실험용 교과서 적용 연구와 같이 교과별 교육과정실행 연구학교를 지정 운영함으로써 성취기준 하나하나에 대한 객관적 성취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정 때 성취기준을 조정하는근거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무엇보다 더 나은 국가교육과정 마련을 위해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평가이론에 있는 절차와 내용을 충실하게 따르고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별 교육과정 평가 준거에 따른 꼼꼼한 평가가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그 과정 속에 충분히 토론하고 소통할 시간을 넉넉하게 확보한 다음 느긋한 마음으로 천천히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 평가함으로써 우리만의 빛깔을 가진 교육과정, 더 나은 교육과정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on “curriculum revision,” which frequently takes place as part of efforts to create a better nationa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text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In the first part, I addressed the issue of galmal (academic terminology) and proposed changes so that the “curriculum studies” offered in Korea could be made more unique to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Korea. In the second part of the text, I provided an overview of areas of improvement at each curriculum stag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suggested ways to establish a better curriculum. First of all, in relation to the galmal (academic terminology), I refined the words “gyoyuggwajeong” and the word “gaejeong,” reflecting both ideas in the term “galbaeumgil gochigi,” which can be translated as “correcting the way of learning.” 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tage, I suggested first steps that should be taken to revise curriculum using more meaningful demand analysis. I also asserted that “Core Competencies” should be outlined in greater detail in relation to the “Core Competencies” that first appea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dditionally, I addressed the need for curriculum developer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certain curriculum elements, and advocated the elimi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Native Language”(tobagimal in Korean). In addition, I stated that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ineasier ways—such as by transforming Japanese-style Chinese characters to native Korean words in the Syllabus Period—to make educational texts truly learner-oriented. Furthermore, I suggested the evalu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and responses,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parents. I suggested designating and operating curriculum research schools for each subject, similarly to those used for the creation of experimental textbooks, to objectively evaluate achievement standards. I further suggested that these evaluations by specialized research schools be used as the basis for adjusting achievement standards during curriculum revisions. Above all, in order to establish a better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follow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utlined in existing curriculum and curriculum evaluation theory. It is equally important to thoroughly evaluate curriculum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each subject, as established by relevant prior studies. By slowly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and securing enough time for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I believe that we will be able to create a better curriculum that better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s a nation.

      • KCI등재

        수학 용어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허민 ( Min Her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우리의 수학 용어는 대부분 한자말로 되어 있다.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 대부분이 한글 세대인 현 상황에서는한자말 수학 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데, 부적절해서 잘못된 개념을 심어줄 수 있는 용어는 피하고 뜻은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용어는 가능하면 한글만으로도 구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토박이말을 활용할 여지가 있으며, 국가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체적인 예를 통해 수학용어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살펴본다. Most of mathematical terms in Korean are Sino-Korean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efficient ways to teach Sino-Korean mathematical terms to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who dot not know Chinese characters well and use only Korean alphabet in mathematics. Especially, we have to avoid the inappropriate Sino-Korean words which can cause misconceptions and can distinguish homophones by Korean alphabet. We may use native Korean terms to do that and the national curriculum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way of improving mathematics terms in Korea with concrete exampl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 지역화를 해야 하는 까닭

        김수업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1992년에 고시한 제6차에서부터 지역화 교육을 해야 한다고 했다. 1997년에 고시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지역화 교육을 해야 한다고 거듭 내세웠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국어교육의 지역화는 조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5차 교육과정 때부터 별도로 지역화 교육을 시작한 사회과를 빼고 나머지 교과들이 모두 같은 사정이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10년을 넘도록 현실에서 이처럼 외면당하고 있는데도 국가의 교육 부처에서는 아무런 조처도 마련하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의도가 현장에서 실현되지 않아도 국가의 부처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까닭은 지역화 교육의 의지가 부실했던 탓이다. 지역화 교육을 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지역화 교육의 명분과 이념을 우리 교육 안에서 찾아야 한다. 남들이 하니까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지역화 교육을 해야 하는 말미를 찾아 붙들어야 한다. 그것은 세 가지 길로서 찾을 수 있다. 첫째는 지난 1700년 동안 이어온 학교 교육이 잘못 걸어온 길을 뼈아프게 뉘우치는 길이다. 둘째는, 지난 50년 또는 100년 동안 걸어온 국어 교육의 길을 가슴 아프게 뉘우치며 나아가고자 하는 길이다. 셋째는, 지구 가족의 시대가 열리면서 세상 구석구석에 지역화 운동을 일으킨 채찍에서 찾은 길이다. 나를 내버려두고 남을 쫓아서 배우려 달려가던 1700년의 학교교육을 되돌리고, 토박이말을 업신여기고 남의 말을 우러러보며 내달려온 반세기 동안의 국어교육을 바로잡고, 세상 곳곳에서 불러일으킨 지역화의 바람에 힘입어 저절로 찾아나가는 길이다. 이것은 우리 겨레의 얼을 깨우고 삶을 북돋우는 커다란 문화사의 사건이지만 억지로 만들어 일으키는 일이라기보다 우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기운에 말미암은 일이다. In 1992, the National Curriculum stated that, from the 6th Curriculum onward, it would be necessary to localize educational aims,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is was subsequently reitera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localization has yet to be implemented. This holds for every school subject, with the exception of Sociology, for which localization started with the advent of the 5th Curriculum. It would appear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ts related institutions have so far been reluctant to initiate the move required from presenting the policy of localization to the public to putting it into actual practice. Meanwhile, teachers have been carefully sidestepping the issue for over a decade. The chief reason why the governmental bodies avoid recognizing the fact that this curriculum policy has held little appeal for people in schools, the author contends, is that the governmental policy was lacking in earnestness right from the outset A sure fact is that the government should not pursue the ideology of localization because it is being done elsewhere. Instead, we should ask ourselves whether localization is desirable in our educational setting, and if so, on what grounds. The issue can be dealt with in at least three ways. First, we could examine the whole history of our 1700 year-old school system in order to see what defects may have been inherited. Second, we could also admit that, for the past century or a half (if counts after the independece 1945), the teaching of Korean in schools has been less than successful, and we could then set out to find what was wrong with it. Third, we could also compare a number of localization initiatives abroad in order to seek an answer. These approaches have one feature in common: They do not rely on simply imitating a foreign trend.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would do well to stop trying to initiate policies gleaned from other countries and to stop using foreign, pedantic jargon because this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y devalue our mother tongue. Localization will represent a true 'paradigm shift' in our education system if, rather than being foisted upon us, it is interpreted as a policy sprouting from a natural tendency to acknowledge our 'national spirit,' and as an initiative that gives a greater sense of purpose ou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