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탐구활동 활성화를 위한 시나리오기반탐구(Scenario-Based Inquiry) 모델 개발

        임병노 ( Byung Ro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1

        현재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교육이 전통적인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자 중심의 학습모형을 답습함으로써 개방성, 융통성, 분산성을 지닌 이러닝 학습환경을 올바르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환경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탐구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의 개발에 있다. 시나리오기반학습의 원리를 인터넷상에서 적용한 시나리오기반탐구(scenario-based inquiry) 모델은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며, 탐구를 위한 정보자원으로서의 학습콘텐츠, 인지적 학습도구, 자발적 탐구를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활용하여 대학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교수학습모델이다. 시나리오기반탐구는 학습자의 탐구를 중심으로 콘텐츠와 학습환경, 학습도구, 튜터리얼 자료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학습모형으로 멀티미디어기반의 내용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이러닝 모형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시나리오기반탐구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시나리오기반학습을 정의하고, 시나리오기반학습의 한 유형으로서 시나리오기반탐구의 설계원칙을 규명하였다. 또한 시나리오기반탐구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나리오기반탐구 설계 원리에 기초하여 강좌를 개발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해보았다. 끝으로, 적용결과에 기초하여 시나리오기반탐구의 설계원칙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enario-based learning model in online environment to activate learners` inquiry and to identify design principles of the model. Currently, practices of the college classroom are still based on the traditional delivery methods and models. These practices do not fully utilize the strengths of e-learning and online tools. In this respec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altern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overcome current practices. Scenario-based learning, one of the innovative models, has two types in terms of learner`s involvement in inquiry: a simulation type and an inquiry type. Scenario-based inquiry(SBI), which is an inquiry type of scenario-based learning, is designed to provide inquiry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resources for students. The model consists of scenarios, contents, information resources, cognitive tools, and tutoring materials as well as the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SBI is an effort to integrate traditional e-learning elements like tutorials and video lectures into constructivist framework. Learners do inquiry while reading purposefully traditional supplemen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posed by the scenario situation. This study used formative research method to define the design principles of SBI. First of all, the researcher has done literature review and cased studies to identify main principles. developed a college-level course based on SBI model, and applied it to the real setting in a 4 year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BI can be a good model for higher education which is able to innovate current content-driven teaching practices.

      • KCI등재

        PISA 2015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동기에 대한 탐구기반 수업과 교사 지도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신다정(Shin, Dajung Diane),이민혜(Lee, Minhy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4

        탐구기반 과학 수업에 대한 학계와 현장의 관심이 높다. 탐구기반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과학적 현상을 탐구하며 지식을 축적할 뿐만 아니라, 전문 과학자들의 탐구과정을 내면화하게 돕는 수업 방식이다. 그러나 여전히 탐구기반 수업이 학생들의 성취와 동기 증진에 효과적인지, 탐구를 진행할 때 교사의 지도는 얼마나,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분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 한국 자료를 활용해 학생성취와 동기에 대한 탐구기반 수업의 효과와 이를 조절하는 교사의 네 가지 지도방식(교사주도 직접교수, 학생중심 맞춤형 교수, 피드백-피드포워드 제공, 학업적 지원 제공)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탐구기반 수업의 빈도가 잦다고 느낄수록 과학에 대한 성취는 낮은 반면, 과학에 대한 동기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들이 과학교사의 지도가 많다고 느낄수록, 탐구기반 수업의 성취에 대한 부적효과는 상쇄되고 동기에 대한 정적효과는 증폭되었다. 이러한 탐구기반 수업과 교사의 지도방식 간의 상호작용 양상은 지도방식 유형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다. 교사주도 직접교수와 피드백-피드포워드 제공의 직접적인 교사 지도방식은 탐구기반 수업의 효과를 가장 강력하게 조절하였다. 반면, 학생중심 맞춤형 교수와 학업적 지원 제공과 같은 상대적으로 간접적인 형태의 교사 지도방식은 탐구기반 수업의 효과를 약하게 조절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다 명시적이고 개별화된 형태의 교사 지도방식이 탐구기반 수업으로 인한 학령기 학생들의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낮춤으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promises of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which enables students to acquire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self-directed investigation, have long been advocated b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owever, disagreements prevail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inquiry-based teaching on student outcomes and the kinds of teacher guidance necessary to support such teaching. We used the Korean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5 data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inquiry-based teaching and four types of teacher guidance (teacher-directed instruction, adaptive instruction, feedback-feedforward, and academic support)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literacy,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interest, self-efficacy, participation in science-related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requent occurrence of inquiry-based teaching in science class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science motiv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reater teacher guidance in science class compensated for the peril of inquiry-based teaching on achievement and boosted the benefit on motivation. The strengths of interactions between inquiry-based teaching and teacher guidanc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guidance students deemed prevalent in their science classroom. Of the four different guidance styles, teacher-directed instruction and feedback-feedforward most strong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based teaching and student outcomes. Adaptive instruction and academic support played minimal roles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licit and personalized teacher-directed guidance, rather than implicit and less direct guidance, may be key to making inquiry-based teaching more fruitful.

      • 과학교과의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 동향

        박현경,노지예,정연화,이정민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진행된 과학교과 웹 기반 탐구학습에 관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및 설계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 논문은 국내·외의 과학교과, 교육공학 관련 저명 저널 15개 학술지에 게재된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이다. 논문 목록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 검색 키워드는 ``웹 기반 탐구학습``, ``웹 기반 교육``, ``웹 기반``, ``탐구학습``, ``WBI``, ``Web-based inquiry learning``, ``Web-based learning``, ``inquiry learning``, ``WISE`` 이었다. 검색 결과 중 K-12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 분야의 양적연구로 범위를 축소시켜 최종 분석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국내 16편, 국외 41편으로 총 57편이다. 분석 내용은 이들 논문의 교수학습 모형, 테크놀로지 활용유형,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분류되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 웹 기반 탐구학습 연구는 국내·외 모두 모형을 제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보는 연구들이었다. 둘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웹 기반 탐구학습 연구에서 국내 연구의 경우 대다수가 웹 기반 탐구학습을 위해 프로그램을 새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국외연구의 경우 기존에 설계된 WISE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웹 기반 탐구학습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효과성을 측정하는 변인으로 학습자의 과학탐구능력의 변화, 과학 학습에 대한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는 변인들이 가장 많이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웹 기반 탐구학습 과정에서 고려돼야 할 연구방향이 제언되었다.

      • KCI등재

        과학교과 웹 기반 탐구학습의 효과성 연구 동향

        이정민 ( Jeongmin Lee ),박현경 ( Hyunkyung Park ),정연화 ( Yeonhwa Jung ),노지예 ( Jiya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진행된 과학교과 웹 기반 탐구학습 효과성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및 설계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 논문은 국내 · 외의 과학교과, 교육공학 관련 저명 저널 15개 학술지에 게재된 웹 기반 탐구학습 효과성 연구로 국내 16편, 국외 27편으로 총 43편이다. 논문 목록을 추출하기 위하여 ‘웹 기반 탐구학습’, ‘탐구학습’, ‘WBI’, ‘Web-based inquiry learning’, ‘WISE’ 등의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였으며 과학 분야와 관련된 연구들중 초, 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양적연구와 혼합연구로 진행한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제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모두 2000년대 초반에는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련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국내의 경우에는 특정대상에 집중된 연구는 없었지만, 국외의 경우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둘째, 많은 연구에서 웹 기반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여 여러 종속변인들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연구와 개발연구가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에서 과학교과에서 웹 기반 탐구학습은 과학 성취도와 과학 탐구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메타분석 결과, 중간정도의 효과로 보고되었다. 셋째, 국내·외 웹 기반 탐구학습에 관련한 연구들은 학습 환경 설계 시, 상이한 학습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국내 연구의 경우 웹 기반 탐구학습을 위해 웹사이트를 새로 설계하고 효과성을 검증한 경우가 많았지만, 국외에서는 다양한 테크놀로지 환경(WISE, SCY 등)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web-based inquiry learning effectiveness in science education,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This study compiled data on 43 articles in Korea and international journals. The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were from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from 2000 to 20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domestic articles, the participants ranged from school children to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ontrary, among foreign articles, the participants are centralized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most used experimental studies; most of the studies resulted with web-based inquiry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howing effectiveness on science learning performance or science inquiry ability; all web-based inquiry learning were designed using different models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 the result in the case of domestic research, the utilized models refer to the STS learning model, Internet utilization problem-center inquiry learning model, Procedural model, while in the case of overseas research, the utilized models are SCY, IBLE, and TESI mode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then discussed, which implies considerations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web-based inquiry learning.

      • KCI등재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 사례 연구

        한미영,김현정,정대홍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elements of data literacy and scientific inquiry that appear in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To do this, four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reports conducted autonomously by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four reports applied different inquiry designs and had different purposes of data util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erms of data literacy elemen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data-based questions and responses, data analysis, and data evaluation, but they reflected various elements of data literacy. In terms of scientific inquiry elements, excluding conduct of experiments, all elements were reflected, but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of a problem, interpreting data, and drawing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can supplement temporal and spatial limits of traditional experiment-based scientific inquiry and can develop elaborate and specialized data literacy.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데이터 리터러시와 과학 탐구 요소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를 자유 탐구로 진행하였다. 4팀의 학생들이 한 달간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를 자율적으로 수행하고 탐구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이를 데이터 리터러시와 과학 탐구 요소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의 사례들에서는 전통적인 과학 탐구와 유사하게 가설 연역적, 귀추적, 귀납적 탐구 방식이 나타났다. 둘째, 데이터 리터러시의 측면에서 데이터의 복잡성과 데이터 리터러시 특성이 각 사례의 탐구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탐구 요소의 측면도 각 사례의 탐구 방식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각 사례는 탐구 방식에 따라 데이터 처리 능력과 과학 지식의 활용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 리터러시를 과학 교육의 맥락에서 도입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정은주,손정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科學敎育硏究誌 Vol.43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quiry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For this purpose, 20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classes were conducted in 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City. After selecting the inquiry problem, students conducted an inquiry process to collect data using digital inquiry instru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fter the classes: First, students perceived the step on 'inquiry design and execution' as the most useful in the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Second,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scientific ability and cooperation improved through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with the selection of inquiry problems being the most difficult.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the improvement of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inquiry activities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inquiry that can cultivate various abilities needed for students living in the future.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활동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도시의 초등학생 고학년 26명을 대상으로 20차시의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탐구 문제를 선정한 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탐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수업 후 인식 조사 설문과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 설계 및 수행’ 단계가 가장 유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적 능력과 협동심이 향상되었고, 탐구문제 선정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탐구활동의 개발과 연구를 통해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는 탐구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싱가포르 중등학교 역사 탐구 기반 평가의 운영과 시사점: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 문항을 중심으로

        김수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 적용을 앞둔 시점에서 ‘탐구’에 기반한 수업과 평가를 위해 국외 사례 연구로 싱가포르 중등학교 역사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사 탐구’의 의미와 절차를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역사 탐구 기반 평가’가 중등학교 졸업자격시험이라 할 수 있는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어떻게 출제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우선 중등학교 고학년 역사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역사 과목은 어떻게 반영되는가?, 다음으로 싱가포르 중등학교 고학년 역사교육과정에서 역사 탐구란 무엇이며, 역사 탐구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중등학교 졸업자격시험인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의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에서 역사 탐구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으로 싱가포르 중등학교 2013 고학년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에 기반한 수업과 평가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에서는 탐구 질문에 대해 다양한 사료를 기반으로 신뢰성을 평가하고, 비교, 비판, 해석하면서, 과거 사람들의 관점에서 자신의 결론을 내리는 역사 탐구의 경험이 ‘GCE O-레벨’, ‘GCE N(A)-레벨’ 문항에서 단계별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역사지식의 본질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역사교육의 가치가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문항에서 일관되게 구현되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둘째, 학생이 ‘역사 하기’를 통해 역사학 고유의 본질적 사고 과정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도록 내용을 줄이고 사료 기반 사례 연구의 지점과 과정은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구조화된 논술형 문항은 형식면에서 우리나라의 서·논술형 문항과 유사한 면도 있지만, 쟁점에 대해 평가하고 판단하도록 하는 문항은 역사적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탐구의 결과로서 역사 글쓰기 수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overseas case study of inquiry-based teaching and assessment, as a preparation for school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rocedures of ‘history inquiry’ emphasized in Singapore secondary school history curriculum and to obtain some implications by exploring how ‘history inquiry-based assessment’, which is based on ‘history inquiry’, is presented in the ‘GCE O-level’ and ‘GCE (N(A))-level’ examinations, the secondary school graduation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the purpos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First, how is the history curriculum administered in the upper grades of secondary school and how is the history subject applied in the ‘GCE O-level’ and ‘GCE N(A)-level’ examination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historical inquiry in the history curriculum for upper grades of secondary schools in Singapore, and how is historical inquiry implemented? Third, how is history inquiry evaluated in the humanities(history selection) of the ‘GCE O-level’ and ‘GCE N(A)-level’ examinations, the secondary school graduation qualification examin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where the Singapore secondary school 2013 upper grade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 humanities (history selection) questions at GCE O-level and GCE N(A)-level were analyzed. The obtaine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based on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was measured based on various sources for the exploratory questions, and an experience of historical inquiry that draws conclus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s of people in the past through comparison,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was implemented step by step in the Singapore GCE O-level and GCE N(A)-level questions. Therefore, the implication was drawn that the value of history education, which i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bout the essence of historical knowledge, is consistently implemented in curriculum, textbooks, and assessment questions. Second, for the students to explore deeply the essential thinking process unique to history through ‘doing history’,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content and reflection of curriculum-based case studies are required. Questions that lead to assessment and judgment on issues suggest the need for history writing classes as a result of inquiry that enables students to answer historical questions.

      • KCI등재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데이터 기반 탐구활동 분석

        윤진아,남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4 교과교육학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필수탐구 활동 중 데이터 활용과 관련된 탐구활동을 분석 함으로써, 탐구활동에서 제시된 데이터 활용의 목적과 범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요소를 정의하였으며,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활동 분석기준을 범주화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필수탐구 활동 중 데이터 기반 탐구 목록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기준에 근거하여 2022 교육과정에 제시된 21개 중등 과학 과목에 제시된 필수 탐구활동에 대해 탐구요소 및 데이터활용 가능성과 출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데이터 기반 탐구활동에서 요구되는 기초탐구 기능으로 예상과 추리, 측정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통합탐구 기능에서는 자료변환과 자료분석 및 해석 활동이 가장 많았다. 또한 탐구활동에서 활용되는 데이터 출처에 대한 분석결과, 기존의 데이터(공공기관 자료 API, 빅데이터 등)활용 및 직접 데이터 수집 활동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존의 데이터 활용의 경우 빅데이터 기반의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22 개정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탐구활동 중 데이터를 다루는 탐구활동에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탐구를 설계하는 활동 보다는 제공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해석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필수 탐구활동이 학생들의 지식정보 처리 역량 증진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교과서 집필 및 현장교사 교육에 데이터 기반 탐구 실행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urpose and scope of data use in inquiry activities by analyzing the data-based inquiry activities in the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standard.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s first defined scientific inquiry element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established analysis standards for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hen, a list of essential research activities was selected. Lastly, using the analysis criteria,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inquiry process skills and data utilization possibilities and sources for the required inquiry activities secondary science secondary subjects in the 2022 national science standar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basic process skills in data-based activities were prediction, reasoning, and measurement. The most frequently integrated process skills involved data conversion,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addition, data sources used in research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those that utilize public institution data APIs, big data, etc., and those that collect data directly, and the use of existing data mainly focuses on big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standard primarily involve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rovided data, rather than student-initiated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design. To ensure that these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enhance students'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multifaceted efforts, including textbook writ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s, to implement data-based inquiry effectively.

      •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형민,김남일,임채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뇌 영역과 과학의 진화적 속성을 바탕으로 개발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적 과학(authentic science)을 기반으로 한모둠 자유탐구 활동에 적합하게 개정하고, 이 개정된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기존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각 단계 사이에서 느끼는 학생들의 곤란을 줄이고자, 진화적 요소를 적용한 세 단계(다양화, 비교ㆍ선택ㆍ실행, 적용ㆍ확장) 사이에 선택 기준 선정과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이라는 두 가지 비계를 추가로 설정하였다. 서울 소재 N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8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비교반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자유탐구 수업에 참여하였고, 실험반 학생들은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에 참여하였다(각각 2주간 6차시). 수업 전과 후에 TOSRA(Fraser, 1981)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권재술과 김범기, 1994)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관찰지 분석, 면담 등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여 정량적 검사지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변화나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의 과학과 관련한 정의적ㆍ행동적 영역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 뇌기반 교육 연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함의들을 논의한다.

      • KCI등재

        창의성 교육에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재개념화 -브루너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노진규,강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에서 잘못 이해되고 적용되고 있는 탐구의 문제에 주목하여 개념 기반탐구학습을 브루너의 내러티브에 기초하여 재개념화 하고 거기에 비추어 교원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신토피컬 리딩 방식에 기초한 문헌 리뷰 방법으로, 기본적인 논의방식은 Short(1991)의 철학적탐구 방법 중의 하나인 확장적 비평(ampliative criticism)이다. 이 통합적 비평을 통하여 창의성 교육에서내러티브에 기초한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의 재개념화를 논의한다. 연구결과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은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와 질문으로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촉진한다. 학생들의 개념 형성 과정과 의미 생성, 전이 문제는 내러티브로서 의미를 만들고, 삶에 적용하며, 주체로서학생들이 성장하는 과정과 유사점이 많다. 본 연구는 브루너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학생들의 개념 탐구 과정을 재개념화 하고자 한 것이다. 결론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한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은 내러티브 사고와 내러티브 도식, 내러티브 자아로개념 기반 탐구학습을 재개념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브루너의 내러티브는 창의력교육의 중요한 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