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권력에 의한 로컬의 탈장소성과 갈등: 울산공업지구를 사례로

        박규택 ( Kyu Taeg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4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how locals in a nation-state were inclusively excluded by the nation`s sovereign power and therefore local people`s life has been changed. To do that, the Ulsan Industrial District (UID) designated by the nation`s sovereign power in 1962 has been analyzed by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Giorgio Agamben`s political theory. The designation of the UID can be interpreted as the state of exception produced by the nation`s sovereign power. So the residents were inclusively excluded by the rule of law and they did not implement their rights given by sovereignty. The living place of local residents with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s has been transformed as an abstract space in which the nation`s sovereign power and the logics of capital can be freely workable. It is not explicitly shown for the local residents to resist the state of exception under the oppressive conditions in the 1960s to the 1980s. Agamben`s political theory has a limit in both the residents`s resistance and future alternatives to the inclusive exclusion by the nation`s sovereign power. In the future,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major concepts of Agamben`s political theory should be articulated in terms of the relations of the selected concepts and it be applied to different cases.

      • KCI등재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과 탈경계적 공간 인식 - 손장순과 김지원의 유학·이민 서사를 중심으로

        임정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how women perceive spaces as investigating the women’s overseas dwelling experience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study focused on novels written by Jang-sun Son and Ji-won Kim and analyzed how placeness of these cities, Paris and New York, and residential types such as studying abroad and immigration would get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novel by Jang-sun Son breaks these images of Paris, freedom and generosity, into pieces and re-produces Paris as a city of illusion. Son’s going to Paris to study gave her a chance to enter the inside of Paris and dig into the hidden and deep side of the city. As making use of her being a ‘woman student from South Korea’, not only does she deal with contradictions and repressions of the Korean society but also describes paternalistic violence internalized in the women. The women are considered an in-between with a ‘Parisian’ body but ‘Korean’ thinking, and they do not belong to any of France or South Korea but dispart. Paris is understood as ‘space of drift’ and there, the women realize these differences from the West and fragmentize the cor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by Ji-won Kim is New York, and the novel talks about identities and self-awareness of female immigrants. Troubles that the women in Kim’s novel go through are basically caused by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Men are considered selfish and paternalistic while the women dream of stable lives through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men. The women confirm otherness through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and there, New York, the signifier, becomes a symbol of everyday insignificance. As far as the women understand, New York is ‘space of absence’ filled with silence, deportation, deficiency and loss. 이 논문은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을 통해 여성의 공간 인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손장순과 김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유학과 이민 체험이 파리와 뉴욕의 장소 정체성과 상호 결합하는 방식 및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손장순과 김지원 소설의 여성들은 배타적 남성 공간의 안과 밖, 중심과 주변을 동시에 점유함으로써 경계 너머를 상상하게 만드는 ‘역설적 공간’을 탐색해간다. 이렇게 유학과 이민은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파리와 뉴욕은 거주와 이주 사이의 경계 공간으로 재표상된다. 손장순은 자유와 관용, 예술과 문학, 낭만과 매혹이라는 프랑스 파리의 장소 표상을 해체한 지점에서 유학 모티프와 ‘유학생 세대’의 초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다. 손장순 소설은 ‘한국인’ ‘여성’ ‘유학생’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중첩되는 지점에서 성과 연애의 문제를 통해 인종, 민족, 젠더 간의 잠재되었던 충돌과 차이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차이’를 또 다른 이주의 동력으로 타진하면서 파리를 탈중심적 ‘표류공간’으로 형상화한다. 김지원 소설에서 여성인물들의 존재 탐색과정은 ‘뉴욕’이라는 장소가 제공하는 삶의 양식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김지원은 남성들과 친밀한 관계 맺기에 실패한 여성들을 통해 뉴욕이라는 기표를 일상적인 무의미의 기호로 환치시킴으로써 뉴욕을 침묵과 추방, 결핍과 상실의 ‘부재 공간’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모국과 이국, 그 어느 공간에도 정착하지 못하는 여성의 모습은 새로운 이주, 혹은 경계 넘나듦의 삶의 모델로서 유목민적 주체의 탄생을 시사한다. 이렇게 손장순과 김지원은 경계 공간에서 젠더적 삶의 양식을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이 모든 장소에서 실존적 외부성을 체험하고 탈장소성을 실천하는 존재란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1950-80년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 체험과 장소 감수성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1 No.-

        이 논문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異國) 체험과 장소 감수성의 젠더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1950-1980년대 해외여행 모티프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과 장소정체성이 맺는 상호 관련성을 규명한다. 1950년대 여성의 이국체험은 시찰과 견문이라는 공적 목적에 종속된 `교양 여행`의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이국체험은 여성을 일방적으로 `보이는` 대상이 아닌 `보는` 주체의 위치로 이동시켜 한국 사회의 모순과 젠더 불평등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자기와 타자를 응시하는 시선, 즉 시선의 외부성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이국은 여성에게 고정된 젠더 질서와 체계를 역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사유된다. 김말봉은 「바퀴소리」와 『방초탑』에서 서양식 풍요와 동양식 미덕, 우월한 남성과 열등한 여성이라는 지리적, 젠더적 이항대립 관계를 역전시키고 재배치(repositioning)하려는 시도를 한다. 다양한 경로를 통한 해외여행이 가능해진 1970년대 이후 여성 여행서사에는 소속과 정체성을 숨기고 자유롭게 거리를 활보하는 여성 산책자가 등장한다. 송원희, 정연희, 손소희 등은 자유로운 감수성으로 유럽 도시에 대한 대중적 표상을 해체하고 자신의 감각으로 재구성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장소에 대한 기억을 거부하거나 소속을 은폐하고 불투명하게 만드는 여성 인물을 통해 모든 장소를 무질서하고 불안정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공간으로 재현한다. 이렇게 여성 여행서사는 모국과 이국에 대한 이중적인 비판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탈장소성과 무국적성이라는 젠더적 글쓰기에 대한 지향성을 드러낸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female gender`s attributes of different country experience and place sensitivity seen in female trip narratives since in 1950s. Female trip narratives reveals the process that the ethnic identity and the gender identity make the mutual relationship and seek for a new identity. In Korea, an overseas trip was a privilege experience until 1980s. Especially, in 1950s-60s,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uppermost elite women went for foreign countries for formal purposes of facility inspection or visit. Like a novel written by Mal-Bong, Kim, Korean female trip narratives considered that the U.S.A was the hybrid place mixing American-style civilization and oriental values at that time. Like that, in the trip narratives, the U.S.A was reproduced as a place of possibility to shake the fixed genders order. In 1970-80s, female writers made their European trips through their private channels, and narrated their trip experiences. In the female trip narratives, a place was not expressed as a fixed symbol or image. Rather, the meaning of each city was restructured from the sensitivity aspect. That is, in female trip narratives, each place has some heterotopia characteristic. In the place, a woman tourist hides, refuses her identity and pursue a no-nationality life. Like that, a trip become a chance to dismantle and subvert the relationships among ethnic groups, races and gen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