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숭고의 탈경계성 - 김유정 소설의 ‘아내 팔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

        김미현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Kim, Yu-Jeong,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1930’s, agonized over the optimistic capacity of literature in the desperate realit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Concentrating on such ‘capsized reality’, his novels can be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Kantian ‘Sublime’ concept. Criticizing the ‘Logocentrism’ that penetrates the Western Cultural history in an attempt to revise the ‘Modernity’, Kant seceded from the aesthetics of Classicism valuing the order, symmetry, balance, consistency, and translocated the sublime of the Modern aesthetics valuing the asymmetry, rupture, inconsistency, chaos, and destruction; he confronted the respective stages of the ‘clash-transference-extension’ with ‘coexistence between the unpleasant and the pleasant’, ‘transition from the unpleasant to the pleasant’, ‘pursuit of the pleasant through the unpleasant’ an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ublime concept. Also in the same manner, the novels of Kim, Yu-Jeong incarnate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of the sublime focused on the motif of the ‘selling wife’, which exposes the variation of the boundary and cross-boundary between the pleasant with the unpleasant. 기존의 연구에서 들병이 모티프와 연결된 부도덕성과 일탈적 성격을 통해 수난의 역사나 사회적 폭력을 폭로하는 부정적 양상으로 평가되었던 김유정 소설의 대표적 특징인 ‘아내 팔기’ 모티프에는 불쾌와 쾌의 공존(충돌), 불쾌에서 쾌로의 변화(이행), 불쾌를 통한 쾌의 추구(확장)라는 ‘숭고’의 메커니즘이 첨예하게 드러난다. 숭고는 서구문화사를 관통해 온 로고스 중심주의가 배제하거나 은폐해온 것들을 복권시킴으로써 근대를 교정하려는 시도와 연결된다. 질서․조화․균형․일치 중심의 ‘미’에서 부조화․부정형․혼돈․파격 중심의 ‘숭고’로 관점을 새롭게 이동시킴으로써 미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복잡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숭고의 메커니즘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숭고가 지닌 탈경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숭고의 탈경계성은 단순히 경계를 무시하거나 완전히 초월하면서 ‘경계-너머’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다. 김유정은 경계 너머로 건너가려 하지 않는다. 경계가 곧 한계임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유정은 현실적 경계의 필연성에 대한 인정과 이상적 탈경계의 가능성에 대한 추구를 동시에 보여준다. 현실이라는 경계의 내변(內邊)과 외변(外邊)이 맞물려서 진행되는 것이 바로 김유정 소설 속 숭고가 지닌 탈경계성의 특징이자 김유정 소설이 지닌 건강성과 현실성이다.

      • KCI등재

        재일 한인 문학의 탈경계성과 수행성 연구

        윤송아(Yoon, Song-Ah)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literary reproduction aspects of ‘trans- boundary’ and ‘performativity’ together with practical semantic network shown in Korean-Japanese literature. This study was progressed by dividing Korean-Japanese literature into trans-boundary consideration and performativity one largely. In ‘trans-boundary consideration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First, the study clarified ‘trans-boundary’ by analyzing works that implemented trans-nationalism, post-nationalism, post- ideological ideal based on ‘trans-boundary imagination’. Second, this study closely examined creating process of hybrid junction and transfiguration centering on language, culture, and regions, and lightened up a fact that such reproduction of hybridity composed multinational, multicultural, ‘trans-boundary’ identity. Thirdly, the study looked into a fact that contemporary Korean-Japanese literature triggered positive awareness of issues on multicultural, multiracial society by overturning the notion like inferior physicality of Korean-Japanese that made colonial, imperial gazes solidified through trans-boundary, hybrid ideas. In ‘performativity consideration on Korean-Japanese literature,’ this study looked at a fact that Korean-Japanese literature was awakening ethnical responsibility and duties that would prepare universal field of hospitality on oppressive others after overcoming colonial history by means of divulging violent origins of imperialistic colony policy and on-sites of human right abuses together with performing literary reproduction on historical others, minority, ‘Homo Sacer’ after Korean-Japanese literature turned others viewpoints directed to inside toward outside. Moreover, the study intended to clarify another fact that Korean-Japanese literature devised the rise of ethnical subject that went into practical steps by making solidarity with others exceeding the reproduction of others. 본고는 재일 한인 문학에 나타나는 ‘탈경계성’ 및 ‘수행성’의 문학적 재현 양상과 실천적 의미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재일 한인 문학의 탈경계성 고찰’에서는 첫째, ‘탈경계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초국가, 탈민족, 탈이데올로기의 이상을 구현하고 있는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재일 한인 문학의 ‘탈경계성’을 규명하였으며, 둘째, 언어, 문화, 지역을 중심으로 혼종적 접합과 변용이 생성되는 과정을 고찰하고 이러한 혼종성의 발현이 다국가적이고 다문화적인 ‘탈경계적’ 정체성을 구성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식민주의적, 제국주의적 시선이 구획해온 재일 한인의 열등한 신체성이라는 관념을 현 세대 재일 한인 문학이 탈경계적, 혼종적 발상과 기획을 통해 전복하면서 다문화, 다인종 사회에 대한 긍정적 문제의식을 촉발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재일 한인 문학의 수행성 고찰’에서는 재일 한인 문학이 자기 내부로 향하던 타자적 시선을 외부로 돌려 제국주의적 식민 정책의 폭력적 기원과 인권 유린의 현장을 폭로하고 역사적 타자들, 소수자들, ‘호모 사케르’에 대한 문학적 재현을 수행함으로써, 식민의 역사를 극복하고 억압적 타자들에 대한 보편적 환대의 장을 마련할 윤리적 책무를 환기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타자의 재현을 넘어 그러한 타자와 연대함으로써 실천적 단계로까지 진입하는 윤리적 주체의 발흥을 도모하고 있음도 더불어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자유주제 : 숭고의 탈경계성 -김유정 소설의 "아내 팔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미현 ( Mi Hyun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기존의 연구에서 들병이 모티프와 연결된 부도덕성과 일탈적 성격을 통해 수난의 역사나 사회적 폭력을 폭로하는 부정적 양상으로 평가되었던 김유정 소설의 대표적 특징인 ``아내 팔기`` 모티프에는 불쾌와 쾌의공존(충돌), 불쾌에서 쾌로의 변화(이행), 불쾌를 통한 쾌의 추구(확장)라는 ``숭고``의 메커니즘이 첨예하게 드러난다. 숭고는 서구문화사를 관통해 온 로고스 중심주의가 배제하거나 은폐해온 것들을 복권시킴으로써 근대를 교정하려는 시도와 연결된다. 질서·조화·균형·일치 중심의 ``미``에서 부조화·부정형·혼돈·파격 중심의 ``숭고``로 관점을 새롭게 이동시킴으로써 미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복잡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숭고의 메커니즘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숭고가 지닌탈경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숭고의 탈경계성은 단순히 경계를 무시하거나 완전히 초월하면서 ``경계-너머``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다. 김유정은 경계 너머로 건너가려 하지 않는다. 경계가 곧 한계임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유정은 현실적 경계의 필연성에 대한 인정과 이상적 탈경계의 가능성에 대한 추구를 동시에 보여준다. 현실이라는 경계의 내변(內邊)과 외변(外邊)이 맞물려서 진행되는 것이 바로 김유정 소설 속 숭고가 지닌 탈경계성의 특징이자 김유정 소설이 지닌 건강성과 현실성이다. Kim, Yu-Jeong,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1930`s, agonized over the optimistic capacity of literature in the desperate realit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Concentrating on such ``capsized reality``, his novels can be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Kantian ``Sublime`` concept. Criticizing the ``Logocentrism`` that penetrates the Western Cultural history in an attempt to revise the ``Modernity``, Kant seceded from the aesthetics of Classicism valuing the order, symmetry, balance, consistency, and translocated the sublime of the Modern aesthetics valuing the asymmetry, rupture, inconsistency, chaos, and destruction; he confronted the respective stages of the ``clash-transference-extension`` with ``coexistence between the unpleasant and the pleasant``, ``transition from the unpleasant to the pleasant``, ``pursuit of the pleasant through the unpleasant`` an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ublime concept. Also in the same manner, the novels of Kim, Yu-Jeong incarnate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of the sublime focused on the motif of the ``selling wife``, which exposes the variation of the boundary and cross-boundary between the pleasant with the unpleasant.

      • KCI등재

        이상 소설의 영화적 제휴 양상과 의미 : 소설 〈실화〉의 환술과 스크린 이미지

        전우형(Chon Woohyung)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3

        이상 문학을 거울에 비유할 수 있다면, 그것은 항상 작가 이상이나 문학의 이미지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다양한 외부의 이미지들마저 함께 반사하는 이상스러운 거울이다. 그리고 그 거울을 들여다 볼 때면 항상 그 이미지들에 매료되고 이상 문학의 본질을 그곳에서 구하기도 한다. 이는 흔히 이상 문학의 탈경계적 성격이라고 지시되는데, 이때 영화의 간섭이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크다. 이 논문은 이상 문학의 탈경계성을 구성하는 매개로서 영화와의 제휴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씌었다. 그간 이상 문학의 영화적 상상력을 주제로 한 연구는 이중노출과 같은 영화의 기본적인 표현기법의 문면화 방식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분명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런 식의 연구는 이상 문학세계를 오히려 후퇴시킬 우려가 있다. 이상의 문학을 영화의 일반적인 형식과 효과 너머의 거울로 비추어보는 일, 혹은 이상의 영화이해가 갖는 독특함과 그 실험적 형식을 살펴보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이때 독특함은 영화, 특히 르네 끌레르 영화에 대한 창조적 해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영화의 본질에 대한 가장 근접한 이해를 토대로 하고 있기도 하다. 도일 이후 유일한 소설인 〈실화〉에는 같은 시기영화에 대한 그의 관심이 급상승하는 계기이기도 했던 르네 끌레르 영화와의 제휴 양상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실과 환상의 둔갑과 병치라는 르네 끌레르식 영화의 특징은 스스로를 속이며 존재하는 현실과 환상의 환술, 그리고 화려하지만 아무것도 반사하지 않는 스크린이라는 독특한 거울구조로 변하여 이상의 문학세계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기입되었다. 이상이 끈질기게 천착한 기호놀이는 적어도 〈실화〉에 이르러 ‘부재하는 기표’와 ‘의식적 환상’이라는 영화적 상상력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처럼 보인다. 이상 문학의 영화적 제휴양상이 갖는 의미는 그가 맞닥뜨린 현실의 환멸을 몽환적이거나 화려하게 전시하고 그것이 실은 아무것도 반영하지 못하는 스크린 위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그 환멸로부터 벗어나는 실험적 형식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how Yisang's literature "crosses the boundary"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affiliation with cinema. His later works remarkably shows the influences of cinematic imagination, especially those of Rene Clair. True to cinema's essential qualities, Rene Clair's films tend to juxtapose reality and illusion. In his films, showy signifiers on screen do not yield any signified. Yisang has shown a predilection for Rene Clair's flims and "Shil-wha"(losing flowers), written by Yisang after his visit to Tokyo, attests to his influence. Reverberating with Rene Clair's flims, reality is transformed into illusion and vice versa in this novel. This can amount to 'magic art', a representative rhetorical device in Yisang's literature. This device reveals an empty signifier without any signified in it, accentuating Yisang's leading motif of "a modified mirror" paralleling cinema screen. In a word, this affiliation with cinematic imagination is crucial to Yisang's literature in general. Through the infinite play of the signifiers emptied of the signified and 'the conscious illusion,' Yisang could free himself from his frustration with the abject daily life and the depraved modern civilization he experienced in Tokyo as well as Kyungsung.

      • KCI등재

        시뮬라크르의 탈경계성에 의한 하이브리드적 스토리텔링 - 케니 샤프(K. Scharf)의 팝아트를 중심으로 -

        김소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9

        Pop artist Kenny Scharf has reflected american cultural contents and social message. In his works, there are fears of wars and AIDS in the late of 1970s. This his view of world inflected to virtual images filled with positive energy and humor. Thus this article explores the analysis of simulacre with trans-boundaries focusing on hybrid storytelling in his pop ar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llowing four elements. Firstly, his works have the characteristics hybridity bound for universe. Scharf makes use of common things, sciences, and religion and connected within universe and utilizes comic, animation, soap opera and etc. Secondly, we can see relational rebirth of common objects. Many objects in his works, they go forth from independent thing to interactive relationships. Thirdly, double functions of pop arts such as enjoyment and criticism which is one of main purposes in pop art. Finally, artist’s ontological behavior from dystopia to utopia. This is represented by spacial exhibition based on artitist’s imagination. In the third chapter, these four characteristics have explained with pop arts relevant to each categories. Recently various simulacres have been represented in many areas due to digital technology. Advanc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mixed reality will be showed in anot only costumers’ technological experiences in exhibitions but also fine art itself. Thus we need to be interested in an artistic representation of technological simulacre in modern society. This article considers trans-boundaries of simulacre and expects hybrid visual images in art. ‘1980년대 뉴욕 미술계의 반역자’, ‘팝 초현실주의자’ 등으로 불리는 세계적인 팝아티스트 케니 샤프(Kenny Scharf)는 공상과학만화 등의 문화콘텐츠에 사회적인 메시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재조명해 왔다. 그는 1970년대 후반에 일어난 전쟁과 에이즈(AIDS)의 공포를 작품 속에서 지속적으로 스토리텔링한다. 이러한 종말론적 세계관은 작가의 긍정적 에너지와 유머로 가득 찬 시공간 이미지로 탄생하여, 예술계와 관람객의 이목을 끌어왔다. 이에 본고는 예술과 문화콘텐츠의 탈경계적 시뮬라크르를 통해 하이브리드적 스토리텔링하는 샤프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샤프의 팝아트를 다음의 네 기준으로 분석한다. 첫째로 우주지향적 하이브리드의 특성이다. 그는 우주를 소재로 하는 일상, 과학, 종교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하이브리드적 스토리텔링의 매체로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팝아트의 소재로 활용하는 오브제들의 관계적 재탄생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다른 영역의 오브제들이 작가의 세계관을 토대로 독립적인 관계로부터 상호적 관계로 나아감을 볼 수 있다. 셋째로 팝아트의 가장 보편적인 주제의식과 연동되는 것으로, 소비의 사회 속 예술의 재생산을 재현한 작품들이 이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지구 종말의 순간에 유토피아의 세계로 이동하려는 존재론적 몸부림이다. 이는 특유의 상상력으로 탈바꿈한 공간 전시 작품으로 구현된다. 본론에서는 상술한 네 항목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사례로 들어, 작품에 내재된 작가의 세계관과 시뮬라크르의 특성을 상세하게 살펴볼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시뮬라크르의 양상이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예술과 문화콘텐츠의 영역에도 AR, VR, MR 등의 첨단기술이 관객들로 하여금 경험의 장을 넓히고 있다. 그런즉 모든 것이 하이브리드적으로 뒤엉키는 기술중심사회에서, 관람자는 시공간을 넘나드는 기술적 시뮬라크르의 재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과 문화콘텐츠를 넘나드는 샤프의 팝아트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탈경계성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소비사회의 하이브리드적 시각이미지를 예측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자화상 영화

        여금미(Yeo Keum M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9

        본 논문은 현대 영화의 주목할 만한 경향으로서의 ‘자화상 영화’가 지니는 서사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아녜스 바르다의 최근 작품들을 고찰한다.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아녜스의 해변>, <이곳 저곳의 아녜스 바르다> 등 바르다가 2000년부터 최근까지 발표한 영상작품 및 멀티미디어 설치작품들을 대상으로 미셸 보주르, 레몽 벨루르 등에 의해 전개된 자전적 서술에 관한 논의에 근거해 자화상 영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자전적 서사의 속성을 살펴보면서 자화상 장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자서전이 연속된 이야기를 토대로 한 시간성의 서사라면, 자화상은 파편적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한 공간성의 서사라 할 수 있다. 바르다의 자화상 영화에서 부각되는 공간성과 자아의 형상화에 대해 조명한다. 둘째, 자화상 장르가 지닌 탈경계성이라는 측면을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한다. 텍스트의 안과 밖, 자아와 타자 사이, 이질적 매체 사이에 발생하는 역동성과 긴장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이러한 탈경계적 서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특징적 측면을 살펴본다. 종결 없는 유연한 글쓰기로서의 자화상은 바르다 고유의 ‘시네크리튀르’ 개념과도 연관되며, 즉흥성과 생기, 유머의 원천이 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genre in cinema, focusing principally on Agnès Varda"s recent films, such as The Gleaners and I (2000), Two years after (2002), The Beaches of Agnès (2008), Agnès de ci de là Varda (2011). It examines also her video installations exhibited between 2006 and 2013, which are related to those self-portrait films. First, we will think about the narrative features of self-portrait, revisiting the concepts by Philippe Lejeune, Michel Beaujour, and Jacques Derrida. While the autobiography in general is constructed in a chronological structure, the self-portrait has specific characters that lead a fluid writing about aleatory topics or fragmentary images. This "lack of continuous narrative" or "the fragmentary discours" opens the possibility of a freer writing for intimate representation. Then, the trans-boundary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film will be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notion of "Between-the-image" coined by Raymond Bellour. In Varda"s films, her self-image gets new forms and significations in Between-the-image, as it passes from cinematic images to photographs or video installations. Finally, the utopian writing that constitutes her self-portrait films will be considered. This can be related to the "cinécriture", which describes Varda"s unique method of filmmaking, whereby a film is a continuous writing through all the process of production.

      • KCI등재

        분단 트라우마를 횡단하는 2000년대 한국영화의 탈경계적 상상력

        김소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글은 <공동경비구역 JSA>의 성공과 함께 2000년 이후 40편 이상 제작된 분단영화들이 통일의 (불)가능성을 어떻게 상상해왔는지를 다룬다. 분단영화는 탈냉전, 탈영토주의 시대에 남북 간 경계성의 문제,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두를 관통하며 작용하는 차이와 모순의 차원을 보는 관점을 크게 반전시킨 영화들이다. 즉 남북한의 이웃-관계를 가능한 것으로 상상하면서 통일한국의 미래를 소망한 영화들이다. 그러나 영화의 서사, 인물, 공간, 시간이 전달하는 통일 지향적인 의미는 그 이면에 자기모순적인 욕망을 동반하고 있다. 우선 분단서사가 보여준 남북 간 화해 무드는 배타적 민족주의라는 경계성에 기초해 있다. 또한 그 서사의 주인공인 통일 주체는 애도되지도, 상징화되지도 못할 공백의 위상을 갖는 (북한 출신) 인물로서 경계성이 작동하지 않는 예외시간과 예외공간에서 헌신하다가 희생되곤 한다. 민족주의는 공동체를 (재)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발적 희생을 끌어내며 도덕적 가치와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보편적 시민성을 함양한다는 긍정적 가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분단영화들이 누설하는 남한 대중의 욕망은 남한이 시혜자의 입장에서 북한을 변화시키고 자본의 위력을 북한 영토까지 팽창시킴으로써 경제적 풍요를 누리겠다는 데서 멈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여 년간 분단영화가 통일과 탈경계성을 상상한 방식은 끊임없이 변해왔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육사오>가 통일 공동체를 상상하는 새로운 방식은 분단영화사의 또 다른 분절을 예고하는 듯 보인다.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division films over 40 or more, produced after the year 2000 in conjunction with the success of Joint Security Area, have imagined the (im)possibility of reunification by examin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division films substantially overturn the perspective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nd contradictions that penetrate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pecifically addressing the issue of bordering in the era of post-Cold War and post-territorialism. These films envision a possible neighborhood-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the unification-oriented meaning conveyed by the films’ narrative, characters, spaces, and time is accompanied by inherent self-contradictory desires beneath the surface. Primarily, the reconciliatory moo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epicted in the division narratives is based on exclusivist nationalism stemming from border-consciousness. Furthermore, the protagonists embodying the essence of the unification subject, often hailing from North Korea, commit and sacrifice themselves within exceptional times and spaces where the border-consciousness holds no sway. In this context, they remain unmourned and unsymbolized. Nationalism carries a positive value as it by eliciting voluntary sacrifices necessary for (re)constructing the community, fostering moral values, upholding democracy, and nurturing a universal citizenship. However, the desires projected by South Korean audiences revealed through division films come to a halt in the aspiration of enjoying economic prosperity by effecting changes in North Korea as the beneficiary and extending the influence of capitalism across North Korean territory. Despite this, the ways in which division films have imagined reunification and bordering have continually evolved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at sense, the recent film 6/45 seems to herald another chapter in the history of division films, as it introduces a new approach to envisioning a reunified community.

      • KCI등재후보

        위기관리 역량제고를 위한 법적 개선과제

        이호동(Ho Dong Lee)(李好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4

        오늘날 새로운 위기등장과 영향력의 다양성으로 인해 대처의 난이도가 변화되고 있고, 지금까지 구축한 위기 관리체계 역량제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안보법제 중심이고, 국내외 위기사안을 포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제기반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현행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보강ㆍ개정하여 개별 법률을 체계화하고, 행정기본계획을 통해 위기관리체계 구축 및 역량제고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지침적 성격으로의 보강을 통해 효과적으로 국가위기관리체계의 전체상과 기본방향이 설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국제정세와 위기사안의 탈경계성을 감안하여 안전보장과 위기관리를 포괄할 수 있는 법제 수립, 그리고 우리 사회에 적합한 위기관리 맥락을 구체화하여 현행 위기관리 관련 법률 전체에 내장시키고 체계화함으로써 효과적인 국가위기관리 기반구축을 모색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we have witnessed a series of spectacular crises and disasters. The world of crises and disasters seems to be changing. Unfortunately, contemporary societies are becoming more vulnerable to relatively small disturbanc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the focus of crisis management must shift from response- oriented and recovery toward mitigation. In 2004, the Council of Korea Government has enacted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ct, which incorporates a broader focus based on principles of disaster management process. But, the government requires promote a national strategy that emphasizes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for crisis management process and hazard risk reduction. Furthermore, the law needed to improve with revisions that the purpose of identifying, assessing, and its to built in crisis management context. It requires that the government make to a law on comprehensiv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emporarily called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Act.

      • KCI등재
      • KCI등재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자화상 영화-아녜스 바르다의 200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여금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9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genre in cinema, focusing principally on Agnès Varda's recent films, such as The Gleaners and I (2000), Two years after (2002), The Beaches of Agnès (2008), Agnès de ci de là Varda (2011). It examines also her video installations exhibited between 2006 and 2013, which are related to those self-portrait films. First, we will think about the narrative features of self-portrait, revisiting the concepts by Philippe Lejeune, Michel Beaujour, and Jacques Derrida. While the autobiography in general is constructed in a chronological structure, the self-portrait has specific characters that lead a fluid writing about aleatory topics or fragmentary images. This 'lack of continuous narrative' or 'the fragmentary discours' opens the possibility of a freer writing for intimate representation. Then, the trans-boundary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film will be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notion of 'Between-the-image' coined by Raymond Bellour. In Varda's films, her self-image gets new forms and significations in Between-the-image, as it passes from cinematic images to photographs or video installations. Finally, the utopian writing that constitutes her self-portrait films will be considered. This can be related to the 'cinécriture', which describes Varda's unique method of filmmaking, whereby a film is a continuous writing through all the process of production. 본 논문은 현대 영화의 주목할 만한 경향으로서의 ‘자화상 영화’가 지니는 서사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아녜스 바르다의 최근 작품들을 고찰한다.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아녜스의 해변>, <이곳 저곳의 아녜스 바르다> 등 바르다가 2000년부터 최근까지 발표한 영상작품 및 멀티미디어 설치작품들을 대상으로 미셸 보주르, 레몽 벨루르 등에 의해 전개된 자전적 서술에 관한 논의에 근거해 자화상 영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자전적 서사의 속성을 살펴보면서 자화상 장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자서전이 연속된 이야기를 토대로 한 시간성의 서사라면, 자화상은 파편적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한 공간성의 서사라 할 수 있다. 바르다의 자화상 영화에서 부각되는 공간성과 자아의 형상화에 대해 조명한다. 둘째, 자화상 장르가 지닌 탈경계성이라는 측면을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한다. 텍스트의 안과 밖, 자아와 타자 사이, 이질적 매체 사이에 발생하는 역동성과 긴장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이러한 탈경계적 서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특징적 측면을 살펴본다. 종결 없는 유연한 글쓰기로서의 자화상은 바르다 고유의 ‘시네크리튀르’ 개념과도 연관되며, 즉흥성과 생기, 유머의 원천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