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미 천생산 타포니의 풍화과정에 관한 연구: GIS 보간법을 활용한 함수율 측정 자료의 해석

        신재열,이진국,추창오,박경근 한국지구과학회 201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6 No.6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of rock weathering and tafoni formation targeting tafoni at Mt. Cheonsaeng, Gumi-si, Gyeongsangbuk-do. In the study area, a frequency of tafoni is high in conglomerate and conglomeratic sandstone among regional sedimentary rocks, which means that an initial stage of the formation begins a breakaway of gravel from bedrock and also exfoliation from rock surface. Geomorphologically tafoni have intensively been developed at the south-facing slope with exposed rocks, which means that its formation was favorably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strong influences of mechanical weathering in winter and chemical weathering in summer times. The results of measuring water content at a tafoni-bearing rock surface using GIS interpolation analysis indicate that moisture rate in/around tafoni is higher than the periphery. Thus, it is considered that moisture distribution at a rock surface plays a role in its formation. Analysis of percipitation and secondary minerals induced by chemical weathering is in progress.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 천생산 지역에서 발달하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암석의 풍화 과정 및 타포니의 형성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지역의 타포니 발달은 조립질 퇴적암인 역암과 역질사암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타포니의 발생은 역의 이탈 및 박리가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적으로는 산지의 남사면 암석 노출지에서 타포니의 집중적 발달이 관찰되는데 이는 겨울철 기계적 풍화와 여름철 화학적 풍화의 진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적 조건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타포니가 발달한 암석 표면에서 측정한 함수율의 분포 특성은 타포니 발생 지점이 주변에 비해 높은 함수율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어 암석 표면의 수분 분포는 어떤 기제로든 타포니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타포니 내에서 확인되는 풍화 침전물 및 이차광물에 관한 분석은 후속 연구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 KCI등재

        경주 골굴사 응회암 사면의 타포니 분포 특성과 미세구조

        추창오,이진국 대한지질공학회 2022 지질공학 Vol.32 No.3

        경주시 골굴사 신생대 응회암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타포니가 다수 발달한다. 응회암은 풍화변질되어 있는데, 석영, 장석류, 운모, 버미큘라이트, 녹니석, 스멕타이트와 제올라이트 광물인 아날사이트 등으로구성된다. 타포니는 초기 단계에서는 각력이 제거된 동공이나, 응회암 결정 입자의 풍화변질에 의해 형성된 미세 동공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확대된다. 타포니는 사면의 반대방향으로 약하게 경사지면서 발달한다. 타포니의 상관계수는 폭-높이 0.839, 폭-깊이 0.900, 높이-깊이 0.856인데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있다. 타포니 벽체가 제거되면 반달형이나 신장된 타포니로 되는데, 작은 동공들이 횡적으로 병합되면서 확대된다. 커다란 타포니 동공들은 암반 사면에 비하여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암반의 강도가 더 낮다. 따라서 타포니 사면의 강도, 동공의 비율, 체적, 합병 양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독도 동도 서쪽 해안의 타포니 지형 발달

        황상일(Sang Ill Hwang),박경근(Kyung Geun Park)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4

        독도는 일본과의 영토문제와 관련하여 정치적,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며, 울릉도와 더불어 동해상에 노출된 화산섬으로서 동해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안지형 및 기반암 풍화지역이 넓게 분포하므로 지형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독도의 전체 지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들 가운데 하나인 타포니 지형 발달을 논의하였다. 타포니는 독도의 거의 모든 해안에 분포하며, 노출된 기반암을 삭박하고 있으므로 독도의 보전에 있어서 가장 주목하여야 하는 지형들 가운데 하나이다. 동도 서해안에서 이 지형은 기반암이 응회암으로 된 해안선 부근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타포니의 형태는 괴상각력응회암 층준에서는 불규칙한 모양이 주를 이루며 원형, 타원형 형태가 나타나고, 층상라필리응회암에서는 층리를 따라서 수평으로 길게 만들어 졌다. 독도의 타포니는 홀로세(Holocene) 중기 해면이 현재 수준에 도달한 이후 파식에 의해 만들어진 해식애의 표면에 분포한다. 염풍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타포니는 독도의 지형 해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인들 가운데 하나이다. 타포니의 바닥에는 초본 식물들이 분포하며 조류들의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포니의 발달에 의한 기반암의 해체를 지체시키기 위해서는 토양 및 식생의 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Dokdo has historical and political meaning in relation to the territorial problems with Japan. The area can be the main factor to expla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East-Sea as exposure volcanic island at East-Sea with Ulreong-island. Accordingly, it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of physical geography aspects In this research, it is perceived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process of slope due to the salt weathering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whole geomorphology of Dokdo. And researched how a geomorphology of this sort affects to animal and plants. The peculiar geomorphology is tafoni which is a weathering geomorphology and one of the remarkable geomorphology in preservation of Dokdo. Tafoni at west part of Dongdo is distributed intensively near shoreline which is composed tuff. The shape of tafoni is mainly massive, circle and oval in Massive tuff breccia layer also is formed toward horizontality bedding direction in Bedded lapilli tuff. Tafoni in Dokdo is constituted after middle of Holocene. This fact can be proved by ranging at surface of sea-cliff which is formed wave erosion after middle of Holocene sea-level reaching to present level. Tafoni is also the most contribute factor of geomorphology dissection of Dokdo as it is eroded the bed rock with salt weathering. In bottom part of tafoni it has an important function for habitat of birds. Herbaceous plants are on it. To procrastinate of bed rock dissection by growth of Tafoni, conservation of vegetation and soil are most important factor.

      • KCI등재

        목포시 부흥산 일대에 분포하는 타포니의 발달 특성과 풍화 과정

        박경근(Park, Kyung Geun),신재열(Shin, Jae Ryu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전라남도 목포시 부흥산 일대에 발달하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그 발달 특성과 풍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함수율 측정 및 XRF, XRD 분석과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타포니의 발달에 있어서 사면향, 식생의 밀생정도, 풍향 등은 특히 발달 초기 단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되며, 함수율 측정, XRD 분석 및 화학적 풍화 지수(CIA) 등의 결과를 종합하면 타포니 발달 및 암석 풍화 과정에는 물리-화학적 풍화 작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XRF 분석 결과 나타나는 높은 Na와 Cl 값은 인접한 해안으로부터 공급된 해염(NaCl)이 침전된 것으로 판단되어, 염 풍화 작용에 의한 암석 풍화 과정도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istribution of tafoni at Mt. Buheung in Mokpo, Jeollanam-do and examines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s,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rate, XRF, XRD and water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taponi is judged to be primarily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slope, degree of vegetation, wind direction. Also, it is judged by the water content rate, XRD analysis, and the chemical weathering index (CIA) that physical-chemical weathering processes has a complex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afoni in the study area. The high Na and Cl values by XRF analysis indicates sedimentation of sea salt (NaCl) supplied from the adjacent coast.

      • KCI우수등재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김선웅(Sun-Woong Kim),김항묵(Haang-Mook Kim),황병훈(Byoung-Hoon Hwang),양경희(Kyounghee Yang),김진섭(Jin-Seop Kim)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울산시 이진리 지역에 분포하는 미문상 화강암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이 지형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화강암은 대부분 담갈색 내지 회백색을 띠며, 1~2 ㎜ 내외의 중립 내지 세립의 석영 및 정장석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부분 석영과 정장석이 연정을 형성하여 미문상 조직을 보인다. 미문상화강암이 분포한 연구지역에는 인셀베르그, 토르, 타포니, 나마와 같은 미지형이 관찰된다. 연구지역의 북측에는 타포니가, 남측에는 나마가 주로 발달해 있으며,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플루팅 코어와 래이즈드 림이 나타난다. 미문상 화강암의 조직적 특징을 분류기준으로 하여 외대(A)와 내대(B)로 구분하였으며, 미문상 조직이 내대에서 외대로 갈수록 뚜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형학적 특징이 이에 부합하여 나타난다. 즉, 외대의 지형학적 특징은 범바위 같은 타포니로 이루어진 미지형이 주로 나타나며, 내대는 차일암과 같은 대(platform)로 대표되는데 이는 암석학적 특성이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플루팅 코어, 래이즈드 림 등의 특이지형은 미문상 화강암의 성인과 관련된 정동의 발달과 연관되어 있으며, 타포니, 나마 등의 미지형 형성에도 기원적인 요소로 작용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암석의 입도와 정동의 분포 상태 등의 조직적 차이가 미지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crographic granite and the topographic features around Ijin-ri. Light-brown to light- gray granite is composed of intergrown fine-grained quartz + orthoclase, displaying micrographic textures. Miarolitic cavities are abundant. Many micro-landforms including tor, tafoni, and gnamma occurred in the micrographic granite of the study area. Tafoni is dominant in the north and gnamma is dominant in south. From our study of the occurrence and textural properties, two alteration zones were clearly identified; one is an external zone (A) characterized by abundant of small sized miarolitic cavities and the other is an internal zone (B) having them less than zone A. The former is dominant in north, and the latter is dominant in south. Particular geomorphologic features such as fluting cores and raised rims are present in the Ijin-ri area. This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miarolitic ca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various geomorphologic features. Consequently, the petrogenesis of the micrographic granite is related to geomorphologic features in the external zone typified by abundant tafoni such as the tiger rock, and the formation of a platform as micro-landforms is influenced by thetextural differences of host rock in the internal zone.

      • KCI등재

        신안 비금도 덕산의 지형 및 지질

        정철환,김정빈 한국지구과학회 2017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8 No.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t. Deok on Bigeum Island, Shinan, on the basi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analyses. K-Ar dating was carried out on two samples of the acidic lapilli tuff developed in the study area, and the obtained K-Ar ages are 70.4±1.4 and 76.9±1.5 Ma, which correspond to the Late Cretaceous (Campanian). Mt. Deok is surrounded by rock cliff, and various weathering microtopographic features, such as tafoni, tor and gnamma, are developed. Tafoni with diverse morphologic types is the most dominant feature, indicative of intense salt weath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orous tuff and join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afoni and rock cliff.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Mt. Deok reflect paleoenvironmental change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in the coastal area.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도의 덕산에 대한 지형 및 지질학적 분석을 통하여 그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산성 라필리응회암에 대한 K-Ar 연대측정을 실시하였고, 중생대 백악기 말(Campanian)에해당하는 70.4±1.4 Ma 내지 76.9±1.5 Ma의 연대를 얻었다. 덕산은 암반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타포니, 토르, 나마와 같은 풍화 미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타포니가 발달되어 있어 활발한 염풍화의 영향을 지시하고있다. 다공질의 응회암 및 절리의 발달과 같은 지질학적 특성이 타포니와 암반절벽 등의 지형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준 것으로 판단된다. 덕산의 지형 및 지질은 과거 환경변화와 해안지역에서의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사천시 다평리 해안에서 발달한 풍화혈에 관한 연구

        탁한명(Hanmyeong Tak)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5

        다양한 암석에서 발달하는 풍화혈은 기반암의 암석학적 특징과 형성과정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지형이다. 사천시 다평리 해안은 이암과 사암의 호층이 분포하는 곳으로 사암이 노출된 지역의 쇼어플랫폼과 해식애에서 다양한 풍화혈이 발달하였다. 절리의 발달, 광맥의 관입, 암석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풍화혈의 발달 특성과 분포의 공간적 한계를 분석하기 위해 지형조사, XRD분석, 편광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이곳은 타포니와 나마가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는 지역적 특성을 보이며, 절리의 확대, 성장에 의해 기존 풍화혈이 파괴되고 새로운 타포니가 형성되고 있다. 석영맥으로 밝혀진 광맥은 절리와 결합하여 풍화혈의 발달을 가속화시키기도 하지만, 풍화혈의 성장방향에 수직으로 관입한 광맥은 성장을 방해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풍화혈은 암석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암석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암과 같이 쪼개짐과 깨짐이 발달한 미립질의 암석에서는 풍화혈의 성장이 제한된다. Weathering hollows which develop on various rocks are the terrain whose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the bed rock is under active discussion. The shore in Dapyeong-ri, Sacheonsi has alternation of strata of pelite and sandstone, and the weathering hollows develop on the shore platform and the sea cliff where sandstone is exposed. To analyze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weathering hollows by development of joints, interpenetration of veins and physical and chemical features of the stone, the study conducted a topographic investigation, XRD analysis and an observation using a polarizing microscope. A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afoni and gnamma are spread in the same area and new tafoni is being formed as the existing weathering hollows are destroyed by the expansion and growth of the joint. The vein, which was found to be a quartz vein, may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weathering hollows combining with the joint but may also hamper their growth if the veins are penetrating perpendicularly. It is generally known that weathering hollows develop regardless of the type of rocks, however, the analysis on the lithological features show that the development is limited on the fractured and broken rocks.

      • KCI등재

        풍화지형에 대한 지형학적 분석과 고고민속학적 접근에 관한 비교 연구 - 타포니와 나마, 감실과 알터를 중심으로 -

        박경 ( Kyeong Park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3

        Typical weathering landforms and phenomena including tafoni and gnamma are usually interpreted as man-made alteo (praying water bowl) or dragon-alteo by folklore researchers. Despite some terminological ambiguity, they are certainly natural weathering pits and are introduced in our discipline for fifty years, however, unfortunately most of them are interpreted as petroglyphs used and prepared for ritual ceremony. Several seemingly artificially-made rock holes are also found in many places, but most of them are weathered landforms by salt weathering. Author believes that communication effort to use common language and publish more researches in interdisciplinary journals are very essential to propagate scientific achievements made by geomorphologists to other discipline. Also geomorphologists specialized in weathering processe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preservation of stone artifacts and archaeological remains.

      • KCI등재

        강릉 심곡 해안에 발달한 타포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초한 풍화 진행 양상

        김유정 ( Kim Yu Jung ),김종연 ( Kim Jong Yeon ),김종욱 ( Kim Jong Wook ),한민 ( Han Min ) 한국지형학회 2018 한국지형학회지 Vol.25 No.3

        In this study, we surveyed weathering progressing aspect by major elements variation and rock hardness by using XRF analysis, schmidt hammer, and thin section analysis. This observation suggested that the weathering process is likely to develop differently according to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R-value on the inside wall are lower than those on the outside. Also, the shadier the environment was, the closer it was to inshore areas, the R-value appeared to be lower. The movement of the elements such as Ca, Na and K shows that feldspar is hydrolyzed and can form salt crystallization like a gypsum or halite when they combine with the elements such as S or Cl. It proved a high CaO, Na<sub>2</sub>O and K<sub>2</sub>O content on flaking inside wall and rock meal. The exfoliation was mainly observed along the shady backwall and ceiling of tafoni. This helped in predicting the growth of tafoni as well as the direction of its progress.

      • KCI등재

        양양 죽도의 장소성과 지형경관의 지명 고찰 및 비정

        노재현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which starting from Yangyang Jukdo's topography formation and questioning revealed in landscape guide and landscape commentary board, is to sort out the characteristics of Jukdo natural landscap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observation research and stakeholder interview as part of the proper recognition of Jokdo landscape and search for landscape resources, and pursued a review of nominations and critic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Yangyang Jukdo is an island named because it was full of blue bamboo. From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re was a Gwanlan-pavilion to see the sea and the bamboo in the west. The time when the original island, the Jukdo, have been a land-tied island connected with the land by the tombolo formed by the erosion of the sand. I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and befor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n Jukdo, colorful weathered terrains, coastal terrain, and structural terrain formed by long-time weathering are found. Among them, the type of weathering, the tafoni style and the gnamma style are the scenic landscapes with the key stories of legend and poetry that are brought to Jukdo. In addition, there are seven kinds of letters caved in the rocks in Jukdo. The rocks found on the coast, basketball cannons, shrines, and sutras are seen as shrouds based on a Taoist hermit motifs and style. In addition, it can be interred from the photography of “jeongssisejeog” that the souvenir of Jukdo was the family of Chogyejeong of mid 18th Century. In terms of observational geography and poetry, Jukdo has been handed down a great deal of missionary color with key motifs such as ‘Jukdo-seongoo', ‘Jukdo-Dolgooyoo', or ‘Stone mortar of Taoist hermit' It is proved that the pearl which is called ‘The stone of the Taoist hermit' is a porthole formed in a separate space rather than the topography of the geomorphology in terms of shape, size and function. Currently named Shun-tang is a product of the ridiculous ‘naming' of interest. The present landscape guide and commentary is not only incompatible with the place of Jukdo, but also does not match the 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 Future scenery information such as guide signs and commentary boards should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positively highlighting the stories and motifs related to the present that are present in order to enhance the landscape identity of Yangyang Jukdo. 양양 죽도의 지형 형성과 경관안내판, 경관해설판에 드러난 의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죽도 경관의 올바른 인식과 경관자원탐색의 일환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죽도 자연경관의 특성을 정리하는 한편, 전래 문화경관에 대한 지명 고찰과 경물 비정(批正)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양 죽도는 푸른 대나무가 가득했기 때문에 이름 붙여진 섬으로, 최소 14세기 전반 이전부터 18세기 중반 이전까지 주변에는바다와 죽도를 관망하기 위한 관란정이 존재했다. 원래 섬이었던 죽도가 모래의 퇴식작용에 의해 육계도로 연륙화된 시기는 대략19세기 후반 이후로 추정된다. 죽도에는 오랜 시간 풍화로 형성된 다채로운 풍화지형과 해안지형 그리고 구조지형이 발견된다. 그중풍화혈의 일종인 타포니와 나마 지형경관은 죽도에 전래되는 전설과 시문의 핵심적 이야기와 관련된 경관요체이다. 죽도에는 총7개소의 바위글씨가 존재하는데 해안에서 발견되는 방선암, 농구암, 청허대, 연사대 등은 신선 풍류와 은자(隱者) 모티브를 바탕으로한 경물로 보인다. ‘정씨세적(鄭氏世蹟)’이란 바위글씨를 통해 볼 때 죽도의 주된 경관 향유자는 18C 중반의 초계정씨(草溪鄭氏) 가문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관찬지리지나 시문으로 볼 때 죽도는 ‘죽도선구(竹島仙臼)’, ‘죽도 돌구유’, 또는 ‘신선절구’ 등을 주요 모티브로 한 선교적(仙敎的) 색채가 짙게 전승됐다. 이 ‘신선의 돌절구’라 알려져 온 경물은 형태나 크기 그리고 기능으로 유추해볼 때 나마 지형의 선녀탕이 아닌 별도 공간에 형성된 포트홀인 것으로 확증된다. 따라서 근대 명명된 선녀탕은 흥미 본의의 터무니 없는‘이름붙이기’의 산물로 보인다. 현재의 경관 안내와 해설 내용은 죽도의 장소성과 부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전승되어 온 문화경관과 일치되지 않는다. 향후 경관안내판과해설판 등 관련 경관정보는 양양 죽도의 경관정체성을 제고하기 위해 신선 관련 스토리 및 모티브를 적극 부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