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 기법으로서의 퀴어-김영하의 소설 “사진관 살인 사건”, “거울에 대한 명상” 그리고 영화 “주홍글씨”의 서사 구조 분석-

        윤정화 대중서사학회 2012 대중서사연구 Vol.- No.28

        이 논문은 변혁 감독의 영화 <주홍글씨>(2004)에 서사적 틀을 제공한 김영하의 <사진관 살인사건><거울에 대한 명상>의 작품들의 퀴어적 서사내용이 영화 <주홍글씨>에서 어떻게 영상의 서사구조로 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영화 <주홍글씨>는 구조적 미학을 위해 제목과 서사 구조에 이르기까지 형식과 내용의 일치성을 고려한 작품이다. 나다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의 소설 제목을 영화제목으로 내세운 기획 자체에 ‘퀴어’의 위반과 전복성을 함의하고 있다. 영화 <주홍글씨>는 소설 <사진관 살인 사건>을 두 이야기의 병행 서사 중 외적 서사로 이용하면서 소설 <거울에 대한 명상>을 내적 서사로 진행한다. 이 내적 서사의 진행에서 ‘퀴어’의 발견 시점을 클라이막스(절정)에 배치함으로써 관객이 발견하는 충격의 크기를 폭발적으로 강화한다. 관객의 예상을 뒤엎는 깨달음과 충격의 반전을 내적 서사의 후기에 배치하고 급히 종료하는 것이다. 중심 서사가 종료된 후에 소설에는 없는 <사진관 살인 사건>의 이야기를 영화의 뒷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영화에서는 소설과는 다른 효과를 창조한다. 영화 <주홍글씨>에서는 ‘퀴어’라는 서사내용이 서사 기법의 ‘반전’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서사 구조 내에서 남성 화자의 지배적 위치를 전복시키는 기능을 한다. 동시에 주인공을 비극적 깨달음의 최고치에 이르도록 이끄는 기법적 작용까지 하고 있다. 이러한 반전의 ‘발견’과 그에 따르는 ‘깨달은 자’의 재현에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가 기획했던 ‘퀴어’의 전복성이 개입하게 된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는 서사구조 분석을 통하여 밝혀 보았다. 소설 서사구조의 재미와 영화에서 기획하고 있는 두 가지 이야기의 융합의 재미는 다르다. 소설이 영화로 매체적으로 변이하면서 ‘퀴어’라는 서사가 어떠한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또 다르게 사용되었다면 그 의도는 무엇인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서 ‘퀴어’에 대한 체온감각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 볼 수 있다. 그 다른 지점의 차이에 주목할 때 영화에서 감독이 추구하고자 했던 ‘퀴어’에 대한 인식 또한 발견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근대 퀴어 서사의 계보학

        백종륜 ( Baek Jong-r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69 No.-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적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금지했다. 동성 간의 친밀성을 그린 ‘퀴어 서사 시대’의 작품들은 이러한 감정-공동체의 모순적인 명령을 적절히 수행하기도 했고, 또한 그 명령의 균열 양상을 현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 이후 동성애 담론이 수용·정착되면서,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문학적 재현의 위상은 ‘문명’에서 ‘야만’으로 역전되었다. 그 결과 작가들은 동성애를 재현했다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나아가 작가 자신이 동성애자로 ‘오인’되지 않기 위해,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묘사를 의식적으로 배제했다. 이는 지식의 전달자이자 사유의 전파자라는 지위를 점유·유지하려던 지식인-문인들의 갈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이처럼 동성애 담론이 수용·정착된 192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까지의 퀴어 서사는 ① 회고담, ② 데카당스의 징표, ③ 이성애 서사로의 은폐 등의 방식으로 억압·굴절·은폐되어 나타났다. 한편 동성애 담론의 수입 이후, 남성 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가 점차 감소했던 반면, 여성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본고는 ‘퀴어 서사 시대’부터 존재해 온 ‘여성의 이익을 증진하는 여성들’의 감정-공동체 속에서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들’의 이야기가 다수 등장할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tore the emotion and desire of queer existence within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has not been fully treated by Korean literary history. By capturing the original moment when the Korean literary field was reorganized heterocentri-cally, this thesis focuses on proving that the heteronormativity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is not natural. This thesis seeks to redefine the period from the 1910s to the early 1920s as “The Era of Queer Narrative.” The male youth of this period was represented as a pioneering spirit of the times, leading Joseon into a civilized society, as an emblem of hope pushing history constantly forward. Male youth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confirmed their “sympathy=love” towards each other with physical contact such as hugging and kissing, on the basis of which they constructed an Emotional-Community. However, while the Emotional-Community required a male-oriented same-sex “love”, it also forbade male youth from expressing their romantic love, namely queer emotion, to another male. Literary work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which demonstrate a same-sex intimacy, performed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letter, while also revealing the cracks in its facade. However, the status of literary representation of same-sex intimacy was reversed from “civilization” to “barbarism” after the mid-1920s, when discourses on homosexuality were introduced and accepted. As a result,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that they represented homosexuality, and to avoid being “misconceived” as homosexuals themselves, writers con- sciously endeavored to exclude depictions of same-sex intimacy. This was closely related to a longing of the intelligentsia-literati to occupy and retain their status as transmitter of knowledge and disseminator of thought. From the mid-1920s to the 1940s, after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the queer narrative was repressed, refracted and concealed in three different ways : ① reminiscence, ② a token of decadence, and ③ concealment within a heterosexual narrative. Meanwhile, after the importation of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men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women increased. This thesis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fact that many stories about “women loving women” emerged from an Emotional-Community of “women promoting the interests of women”, which had existed since “The Era of Queer Narrative.”

      • KCI등재후보

        동시대 한국 퀴어 영화의 정동적 수행과 퀴어 시간성 : <벌새>, <아워 바디>, <윤희에게>를 중심으로

        김경태(Kim, Kyung-Tae) 숙명인문학연구소 2020 횡단인문학 Vol.6 No.1

        동시대 한국 퀴어 영화인 <벌새>, <아워 바디>, <윤희에게>는 동성애규범적 진보 서사가 추구해온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애착을 찾을 수 없다. 대신, 특정한 정체성으로 담아낼 수 없는 복합적인 퀴어한 정동이 등장인물들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퀴어 서사는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타자와의 조우에서 비롯되는 강렬한 정동으로부터 추동된다. 정체성에 묶여있지 않은 관계는 관성화된 관계에 균열을 내는 반대급부로 존재한다. 동성애적 외양일 띠더라도 관계는 동성애규범적 진보 서사로 정향하기보다는 고착된 관계에 대한 성찰로 이어진다. 그 관계는 구획 지을 수 없으나 강렬한 정동을 그 변화의 작인으로 상정한다. 퀴어한 것은 더 이상 정체성이 아니라 관계성이자 정동이다. 퀴어한 관계들은 자신들을 통제하려는 규범적 시간성을 거부하며 퀴어 시간성을 탄생시킨다. 그리고 타자의 상처에 뛰어난 감응력을 지닌 퀴어 아이들이 그 미래를 이끌어 간다. In contemporary Korean queer films such as House of Hunmmingbird, Our Body, and Moonlit Winter, there is no special interest in identity politics which homonormative progressive narrative keeps pursuing. Instead, complex and queer affects which couldn t end up in a specific identity are generated between the characters. Thus, the queer narratives are driven by intense affects based on their encounters with each other, not by considerations about their own identity. The relationship not fixed on a identity cracks the relationship stuck in a rut. Even if the relations look like homosexual ones, they are not so much oriented to homonormative progressive narrative as reconsider all the established relations. The relations, which couldn t be classified exactly, consider the intense affect as the agency of their transformation. The queer is no more identity but relationship and affect. The queer relations reject the normative temporality which tries to regulate themselves and give a birth to queer temporality. Furthermore, the queer children who react sensitively to other s pain would lead the future.

      • KCI등재

        친밀성, 퀴어 슬픔과 애도: 퀴어 서사로 읽는 최은영의 「먼 곳에서 온 노래」

        박미선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5

        이 글은 최은영의 단편소설 「먼 곳에서 온 노래」(2016)를 사례로 삼아 사회적으로 공표되지 않는 퀴어 친밀성을 사유한다. 우울증과 애착심으로 표출되는 퀴어 친밀성을 역사화할 때 어떻게 퀴어 상실과 슬픔을 정치화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 작품에서 퀴어 친밀성은 커밍아웃 없는 퀴어 애착심으로 재현되고 죽음과 애도를 통해 뒤늦게 인정된다. 이 작품을 친밀성을 초점으로 읽으면, 상실과 애도 사이에 지연된 삶의 시간성, 이 시간성에서 펼쳐지는 삶의 정서적 밀도, 초국가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죽음과 애도를 더 풍부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 글은 「먼 곳에서 온 노래」를 퀴어 서사로 읽으면서 이 작품이 퀴어 친밀성을 경험한 여성들을 사회운동의 역사적 주체로서 재현한 작품이라고 주장한다. 1절은 이 작품에 재현된 친밀성을 퀴어 세계의 비가시적 특성과 연결하여 논의한다. 2절은 퀴어 친밀성을 우울증과 퀴어 멜랑콜리로 논의한다. 3절은 퀴어 슬픔이 초국가적 여성 공동체에서 해소되는 방식과 소은의 애도 과정을 분석한다. 4절은 소은의 이야기는 미진의 삶과 유산을 기록함으로써 퀴어 친밀성에 역사성을 부여하고 퀴어 슬픔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한 서사라고 논의한다. In Choi Eunyoung’s short story, “A Song from Afar”(2016), queer existence, intimacy, and loss are rendered visible only through death. The narrator Soeun tells us her double loss of her beloved Meejin, her several years senior at her university, while performing to mourn the loss in a transnational space, a decade after her first loss happened in Korea. When Soeun’s unresolved grief is expressed in her belated act of mourning Meejin’s death, it reveals histories that are not shared. This article provides a queer feminist reading of “A Song from Afar” and explores queer intimacy and grief that are barely recognized both in the matrix of social intelligibility in Korea and from identity-based queer positions. In doing so, this article argues that “A Song from Afar” is a queer text that represents women experiencing queer intimacy as the historical subjects of Korea’s social movement.

      • KCI등재

        여성 서사의 진화: 2020년대 여성 서사와 가족 서사의 재발견

        소영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4 외국문학연구 Vol.0 No.95

        페미니즘의 대중화 이후 여성 서사는 패턴화된 형식을 넘어 다양한 서사로 변모해 왔다. 최근의 여성 서사는 가족 서사의 형식을 취하거나 가족 서사와 중첩된 형태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사실 가족 서사는 꽤 오랫동안 그저 낡은 것으로 치부되었다. 국가와 공동체로부터 자유로운 개인이 부상하던 1990년대 이후로, 한국문학에서 가족은 버리고 싶지만 버릴 수 없는 족쇄 같은 것으로 다루어졌다. 최근 여성 서사의 확장태는 퀴어 가족이나 비혈연적 생활 공동체를 기반으로 유동적인 가족 관념을 상상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본고에서는 집과 가족에 주목하면서 여성 서사와 가족 서사의 교차적 면모를 보여주는 이서수 소설과 퀴어를 혈연 가족 내 존재로 복원하고 가족 서사를 다시 쓰고 있는 김병운 소설을 통해 가족 서사의 형식을 취하는 여성 서사와 퀴어 서사의 면모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이해는 새로운 친밀성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으로서, 가부장제의 차원에 갇혀 있는 가족 담론을 가족 정치화 요청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이해되어야 한다. After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the woman's narrative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narratives beyond the patterned form. Recent woman's narratives that imagine fluid family ideas based on queer families and non-blood living communiti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take the form of family narratives or appear in a form overlapping with family narratives. In this paper, through Lee Seosu's novel and Kim Byungwoon's novel I confirmed the appearance of woman's narratives in the form of family narratives and explored their meaning. This understanding is embodied as a request to understand family discourse trapped in the dimension of patriarchy as family politicization, which is a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intimacy.

      • KCI등재후보

        행복한 불행으로서의 퀴어 서사 -윤이형의 「루카」를 중심으로-

        최다정(Dajeong Choi) 한국문화연구학회 2020 문화연구 Vol.8 No.1

        이 글은 한국 문학장에서 이른바 ‘퀴어 서사’로 많은 주목을 받았던 단편소설 중 하나인 윤이형의 「루카」를 통해 퀴어한 삶의 시간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 소설은 연인에 대한 사랑, 자식에 대한 사랑, 신에 대한 사랑이 어떠한 ‘행복’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두면서 우리의 삶을 규범화하는지 보여준다. 사라 아메드에 따르면 행복 담론은 이성애 결합 그리고 나아가 결혼과 재생산 등을 의무화된 목표로 설정하여 그 선형적인 시간성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경험들을 배제하고 억압한다. 즉 정상성을 규정하는 행복의 기준에 의거하면 퀴어 존재로서의 사랑은 언제나 불행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퀴어 서사에 나타나는 불행한 결말은 기존의 행복으로부터 떠나오는 방식으로 독해됨으로써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글은 「루카」에서 퀴어 관계가 맞이하는 비극 역시 도달해야 할 단계를 상정해놓는 발전론적 시간을 거절함으로써 오히려 (불)가능해지는 사랑에 대하여 환기하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The article aims to deal with the queer temporality through Yun Yi-hyung s Luke , one of the short stories that received much attention for a so-called Queer Narrative in the Korean literary scene. The story shows how the love for lovers, children and God, based on belief in happiness , dominates our whole lives. According to Sara Ahmed, the discussions around happiness made heterosexual bond, marriage and reproduction the best goal in life, ruling out and suppressing experiences that were away from their linear temporality. In other words, where the norms of happiness prevail, the love as a queer existence eventually ends up in unhappiness. But if the unhappy ending in the queer narrative could be read as breaking out of the existing norm of happiness, it paradoxicall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new form of life.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tragedy of the Queer relationship in Luke is evoking an (Im)possible love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norms of happiness and also rejects the idea of developmental time which presumes a goal to be reached.

      • KCI등재

        퀴어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서사 전략과 재현의 정치성

        정혜경(Chung, Hye-ky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퀴어(Queer)’는 동성애 혐오자들의 명명으로 시작된 것이지만 LGBT 운동이 적극적으로 재(再)전유함으로써 성 소수자동성애자의 주체적인 명명이 되었다. 본고는 과거 소설과 달리 실존적인 20∼30대 레즈비언 혹은 게이가 등장하는 2010년대 소설을 집중 분석하여 동성애 모티프 소설이 ‘퀴어소설’로 변신하는 과정을 밝혔다. 과연 2010년대 젊은 작가들은 소설에서 레즈비언 혹은 게이의 삶을 어떻게 ‘탈식민화’ 하는가 라는 문제에 주목하였다. 이는 달리 말하면 이성애 규범 사회의 식민주의적 호명(interpellation)에 문학담론이 어떻게 대응하느냐 하는 것이다. 황정은의 「뼈 도둑」(2011)은 ‘나/그’의 간극을 활용하여 게이라는 식민지를 보여 주는 동시에 불/가능한 것의 에로스라는 역설을 암시하였다. 윤이형의 「루카」(2014)는 게이 서사에 다른 두 가지 서사를 겹쳐놓는 동시에 이탈시킴으로써 타자성의 공간을 확보하고 무지(無知)의 윤리를 구성하였다. 박민정의 「아내들의 학교」(2014)는 동성혼이 허용된 미래를 가정하여 권리담론으로 포장되는 정체성 정치의 아이러니를 보여 주었다. 위 소설들은 동성애자의 정체성을 구축하기보다는 ‘역설과 아이러니, 복수성(複數性)’의 서사전략을 통해 이성애 규범에 균열을 내면서 부정성(否定性)의 방식으로 타자의 타자성을 보전(保全)하는 ‘탈(脫)정체성 서사’를 구성한다. 이는 이성애 규범 사회의 식민주의적 호명에 비동일화(dis-identification)의 방식으로 대응함으로써 대항(counter-identification)담론의 이분법적 한계를 벗어나 정체성 정치를 재전유하는 퀴어소설로 향한다. At first ‘the Queer’ was called by homophobia but it turned into the subjective word of ‘the sexual minority-the homosexuals’ through repossessing by the LGBT movement. This article analyzed the 2010s Korean short stories with gay or lesbian motif. I focused on how the young writers cope with the colonial interpellation of the heteronormative society. That is to say, it’s a sort of ‘de-colonialism’ which goes beyond colonialism. The Bone Thief written by Hwang, Jeong Eun showed the paradox of im/possibility by using the gap between ‘I’ and ‘He’. Luka written by Yoon, E Hyung got the space of the otherness by overlapping/deviating the three stories and built the ethics of ‘ignorance’. The Wives’ School written by Park, Min Jeong assumed the future permitting the same sex marriage and showed the irony of identity politics. With paradox, irony and the plural stories, they made cracks against hetero-norms and showed the ‘dis-identification’ narrtive preserving the otherness of the others rather tha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homosexuals. These dis-identification narratives respond to the colonialistic interpellation of the heteronormative society and head for the Queer narratives that get out of the binary limit of counter-identification discourse and repossess the identification politics.

      • KCI등재

        영화 <세이빙 페이스>의 퀴어 서사에 대한 독해

        진성희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5

        근래 들어 개봉 당시에는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으나 OTT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가치가 재발견되는 영화들이 생겨나고 있다. 영화 <세이빙 페이스, Saving Face>는 넷플릭스에서 2020년부터 상영되기 시작한 <반쪽의 이야기, The Half of It>가 주목을 받으며 재조명된 대만 출신 미국인 감독 앨리스 우의 작품이다. 이 영화는 중국계 미국인 이주자 엄마와 동성애자 딸의 사랑 및 성장에 관한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이야기 소재와 주제를 중국의 전통 관념인 ‘체면 살리기’ 문화를 통해 위트있게 묘사해 대중으로부터 주목받았다. 최근 다양성 서사가 세계 문화 시장에서 주요한 흐름을 형성하게 되며 OTT 서비스 플랫폼은 현재 문화계의 메인스트림과 주류 관객은 누구인가를 포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부응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퀴어’, ‘이주’ 문화와 관련된 새로운 담론들이 생성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보편적 다수와 소수자의 문화를 차별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사회에서 퀴어 서사를 향한 불안과 혐오의 감정을 드러내는 일은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세이빙 페이스>는 전통과 현대적 가치관 사이에서 방황하는 이주자 집단 속 개인의 갈등과, 진로 설정 문제와 그것의 해결에만 머무르던 청춘영화 속 인물들의 고민을 인종, 성적 지향의 영역으로까지 넓혔다. 그리고 이 속에서 소수자들을 향한 묵직한 질문을 로맨틱 드라마의 구조적 관습을 경유하고 모호함의 전략을 통해 구현하며 그간 ‘차이’에 반응하는 대중의 호기심에 답하며 기이한 장르물로 소비되는 것에 그치지 않았던 퀴어 서사의 지평을 확장했다고 볼 수 있다. 퀴어 서사는 명확할 수 없고 미끄러질 수밖에 없기에 퀴어 재현 작업에서 다양한 층위와 매력을 꾀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사회는 퀴어를 향한 무수한 질문을 쏟아내다가도 그들을 함부로 재단하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세이빙 페이스>는 퀴어와 퀴어 문화를 향한 일방적 판단과 욕망 투사의 사슬을 끊고 보다 넓은 사유의 장으로 대중을 이끌고 있다.

      • KCI등재

        “형이라 불리는 여자”에서 “색다른 남자”로:“성초월자” 이동숙/이문기의 자기서사와 남성적 정체성의 재/구성

        백종륜 동악어문학회 2023 동악어문학 Vol.90 No.-

        이 글은 이동숙/이문기의 자기서사가 세 차례에 걸친 반복과 변주의 과정을 거쳐 자신의 젠더화된 경험을 재조직하는 장면을 포착하고, 이를 토대로 이원 섹스/젠더 체제의 무능함을 폭로하는 트랜스* 자기서사의 문학적․문화적 역량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서전은 현재의 ‘나’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과거의 경험을 선택적으로 재조립함으로써 정체성을 생산․공표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숙/이문기의 자전적 서사 역시 이성애규범적 주류 사회가 저자의 트랜스남성 정체성을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정한 유년기와 청소년기 경험을 부각시키는 양상을 보인다. 나아가 이동숙/이문기의 자기서사 연작은 반복과 변주를 통해 자신의 범죄 행위와 성적 경험을 ‘과장’함으로써 당대의 특정한 남성성들을 체현하려 시도한다. 이동숙/이문기의 페르소나인 ‘동혁’은 이소룡의 강인한 남성성과 옴므파탈의 유혹적 남성성을 모방함으로써, 트랜스남성은 남성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내면화된) 편견에 맞서 그 ‘결핍’된 남성성을 대리보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처럼 지배적/이상적 남성성을 모방하려는 시도는 한편으로 유독한 초남성성의 과시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이동숙/이문기의 자기서사를 ‘퀴어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이 유독한 초남성성이 더 다양한 성적 실천의 서사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이원 섹스/젠더 체제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성초월자”라는 새로운 자기인식으로 나아갈 수 있게 했다는 역설이다. 한편 하리수라는 ‘상징’과 ‘사건’이 도래한 이후, 다시 말해 한국 사회에서 트랜스젠더가 폭발적으로 가시화된 이후, 이동숙/이문기의 삶이 더욱 불행해지고 말았다는 사실은 이 자기서사 연작이 보여 주는 또 하나의 역설에 해당한다. 나는 이러한 역설을 염두에 두면서, 가시화를 제일의적 가치로 삼는 퀴어 정치에 의문을 제기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가시화되어야 하는 것은 트랜스*라는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라, 트랜스*를 ‘이질적인’ 존재로 구성하는 주류 사회의 규범임을 역설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예술텍스트의 소통 가능성, 미완의 교차성(intersectionality) 탐색 — 1990년대 지다웨이(紀大偉)소설을 중심으로

        고운선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7 No.-

        Chi, Ta-wei (1972-present) is the writer representing the Taiwanese SF Ku’er novel, well-known as translating the English word ‘queer’ into the Chinese language ‘酷兒 (Ku’er, Extremely Naughty Child)’. This writer criticized dichotomous and alternative gender identity, and cited the English word ‘queer’, in order to embrace differences of multiple sexual minority not in gay, lesbian. And, he translated the English word ‘queer’ into the Chinese language ‘酷兒 (Ku’er)’, in order to express the state or behavior of picking up quarrels like a naughty boy. Through this ‘Ku’er’, Chi, Ta-wei attempted to emphasize ‘attitude’, instead of ‘boundary’ or ‘category’. He hoped that sexual minority treated as ‘maverick’ in heterosexual-centered society would rather take the initiative to loosen the established order, by doing a mischief to the society which shows a hypocritical attitude toward gender politics and sexual passion, capitalizing on their peripheral position. Taiwanese sexual minority’s human rights movement was organized in a full swing, throughout the 1990s, divided into two, social movement and university campus camp. Chi, Ta-wei pursued the method to get rid of the established discourse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resisting against cultural hegemon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reinterpreted and investigated avant garde’s narrative pattern that the Japanese movie director Oshima Nagisa and the French movie director Alain Resnais had established, with the main focus on texts covering agenda on Taiwanese sexual minority.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ons with Ku’er and Post-Human presence, mainly focusing on ‘Membrane’ known as the work representing the Taiwanese SF Ku’er novel, to consider a limit of intersectionality intended to present, through ‘Ku’er’. ‘Intersectionality’ can be of significance when there is an accompanying consideration about methods to establish relations, beyond an act of breaking boundary. 지다웨이(1972-현재)는 영어 ‘queer’를 중국어 ‘酷兒’로 번역한 타이완 SF 퀴어소설의 대표 작가이다. 지다웨이는 이분법적이고 양자택일적인 성 정체성을 비판하고 게이⋅레즈비언에 속하지 않는 다양한 성소수자의 차이성을 포용하기 위해서, 영어의 ‘queer’를 가져왔다. 그리고 유쾌한 아이의 장난처럼 시비를 거는 존재 또는 그런 행위를 표현하기 위해 중국어 ‘酷兒’로 번역했다. 지다웨이는 이런 ‘타이완 퀴어(酷兒)’를 통해 ‘경계’나 ‘범주’가 아니라 ‘태도’를 강조하고자 했다. 이성애 중심적 사회에서 ‘이단’ 취급을 받는 자들이 오히려 자신의 ‘주변적 위치’를 활용하여, 성별 정치 및 정욕에 위선적인 사회에 장난을 거는 능동적인 방식으로 기존의 질서를 느슨하게 만들 수 있기를 바랐다. 1990년대에 본격화된 타이완의 성소수자인권운동은 사회운동과 대학캠퍼스 진영으로 양분되어 진행되었는데, 지다웨이는 문화 패권에 저항하기 위해 기존의 담론의 구조를 전복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그중 본고에서는 지다웨이가 일본 영화감독 오시마 나기사(Oshima Nagisa), 프랑스 영화감독 알랭 레네(Alain Resnais)의 전위적 서사양식을 재해석하여 타이완의 성소수자 의제를 다룬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타이완 SF퀴어소설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막(膜)>을 중심으로, 퀴어와 포스트휴먼적 존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퀴어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 ‘교차성’의 한계를 고찰했다. ‘교차성’은 경계를 넘어서는 것 외에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고민이 동반될 때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