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쾌락적 가치가 관광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종희,진이환 대한관광경영학회 2007 觀光硏究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관광쇼핑시 관광객의 쾌락적 가치가 관광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쾌락적 가치와 관련된 5개의 변수에 대하여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관광객이 쇼핑을 할 때에는 기능적 요소를 쾌락적 요소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쇼핑만족과의 관계에서는 쾌락적 요소가 쇼핑만족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객이 쾌락적 가치에 대한 중요도가 클수록 관광쇼핑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쾌락적 쇼핑가치와 관광쇼핑 관여도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쾌락적 쇼핑가치가 큰 관광객은 관광쇼핑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구매성향이 높은 관광객이 쾌락적 쇼핑가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광쇼핑에서의 충동구매 행동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쾌락적 쇼핑가치는 관광객의 감각추구 성향과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쾌락적 쇼핑가치가 높은 관광객은 모험심, 신기성, 일상으로부터의 변화추구 등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edonic value affects the tourist shopping behavior. The empirical study found the followings: (1) the tourists think the utilitarian value is more important than the hedonic value in his/her shopping decision, but the hedonic value affects more than the utilitarian value on shopping satisfaction. (2) the more hedonic value the tourist has, the more tourist involves in shopping. (3) the more hedonic value the tourist has, the more tendency of impulsive buying the tourist has in shopping behavior. (4) hedonic shopping value is closely correlated with tourist's sensation seeking. the results suggest that hedonic value is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tourist's shopping behavior.

      • KCI등재

        패션 팝업 스토어에 있어서 소비자 특성이 청년층 소비자의 쇼핑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효린(Li, Ling Yun),문준연(Moon, Junyea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5

        이 연구는 소비자 특성 변수가 패션 팝업 스토어의 쇼핑가치에 대한 소비자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소비자 특성 변수로 소비자 혁신성, 쇼핑 즐거움, 패션 관여도, 독특성의 네 가지 변수가 도입된다. 쇼핑가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로 구분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팝업 스토어방문 경험이 있는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며, 편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 27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가설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소비자 혁신성, 쇼핑 즐거움, 패션 관여도, 독특성의 네 가지 소비자 특성이 전반적으로 쾌락적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각 특성이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독특성 욕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쾌락적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개인 특성 변수가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를 보면 쾌락적 가치의 경우, 패션 관여도가 1순위이고 다음으로 독특성 욕구, 소비자 혁신성, 쇼핑 즐거움의 순이다. 실용적 가치의 경우, 독특성욕구, 패션 관여도, 쇼핑 즐거움, 소비자 혁신성의 순으로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패션 관여도와 독특성 욕구가 중요한 개인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실용적 쇼핑 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각기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영향의 정도를 보면 쾌락적 가치가 실용적 가치에 비하여 훨씬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nsumer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ed the consumer’s perceived shopping values of a fashion pop-up store and whether the shopping values affecte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t the store. The se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s include consumer innovativeness, shopping enjoyment, fashion involvement, and needs for uniqueness. The shopping values are classified as either utilitarian values or hedonic values. The sample frame of the study consists of 20-30 years old consumers having experience of visiting fashion pop-up stores. A convenience sample of 279 Koreans and Chinese consumer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consumer characteristics factors influenced hedonic shopping values more than utilitarian values, except the needs for uniqueness. Second, fashion involvement was the strongest in affecting hedonic shopping values, needs for uniqueness the nex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hopping enjoyment in order. Needs for uniqueness was the strongest in affecting utilitarian shopping values, then fashion involvement, shopping enjoymen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in order. We can note that overall, fashion involvement and needs for uniqueness are critical consumer characteristics variables. Third,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s each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size hedonic values had much greater impact than utilitarian values.

      • KCI등재후보

        한국 온천의 서비스품질이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매개로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숙진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 온천의 서비스 품질과 보양온천관광과의 영향관계를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매개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온천의 서비스품질은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온천의 서비스 품질에 포커스를 맞추어 온천관광지가 경유지가 아닌, 체류관광지로서 보건관광구매를 자극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온천의 서비스품질은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온천관광지에서 숙식이 해결되고 휴양과 휴식, 레저 활동이 가능한 복합형 온천지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매개효과로서의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는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유쾌함, 행복감, 즐거움 등 감성에 호소하는 온천관광의 쾌락적 가치를 증가시킬 전략적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용적 가치와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서는 피부병,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위장병 등 치료효과를 중심으로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천의 실용적 가치를 지식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치료효과의 소통메커니즘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실용적 가치에 쾌락적 가치를 동시적으로 추구하는 최근 소비자의 행동패턴에 부응하여 온천시설의 변화와 온천관광 컨셉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류의료관광’ 및 ‘지역경제활성화’에 대한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광호,이하늘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4

        In the past, retailers secured customer loyalty by offering convenient locations, unique assortments of goods, better services than competitors, and good credit policy. All this has changed. Goods assortments among stores have become more alike as national-brand manufacturers place their goods in more and more retail stores. Service differentiation also has eroded. Many department stores have trimmed services, and many discount stores have increased theirs. Customers have become smarter shoppers. They don't pay more for identical brands, especially when service differences have diminished. In the face of increased competition from discount storess and specialty stores, department stores are waging a comeback war. Growth of intertype competition, competition between store-based and non-store-based retailing and growing investment in technology are changing the way consumers shop and retailers sell. Different types of stores-discount stores, catalog showrooms, department stores-all compete for the same consumers by carrying the same type of merchandise. The biggest winners are retailers that have helped shoppers to be economically cautious, simplified their increasingly busy and complicated lives, and provided an emotional connection. The growth of e-retailers has forced traditional brick-and-mortar retailers to respond. Basically brick-and-mortar retailers utilize their natural advantages, such as products that shoppers can actually see, touch, and test, real-life customer service, and no delivery lag time for small-sized purchases. They also provide a shopping experience as a strong differentiator. They are adopting practices as calling each shopper a “guest”. The store atmosphere should match the basic motivations of the shopper. If targe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be in a task-oriented and functional mindset, then a simpler, more restrained in-store environment may be better. Consistent with this reasoning, some retailers of experiential products are creating in-store entertainment to attract customers who want fun and excitement. The retail experience must deliver value to turn a one-time visitor into a loyal customer. Retailers need a tool that measures the full range of components that define experience-based value. This study uses an experiential value scale(EVS) developed by Mathwick, Malhotra and Rigdon(2001) which reflects the benefits derived from perceptions of playfulness, aesthetics, customer “return on investment” and service excellence. EVS is useful to predict differences in shopping preferences and patronage behavior of customers. EVS consists of items measuring efficiency, economic value, visual appeal, entertainment value, service excellence, escapism, and intrinsic enjoyment, which are subscales of experiencial value. Efficiency, economic value, service excellence are linked to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visual appeal, entertainment value, escapism and intrinsic enjoyment are linked to hedonic shopping value. It has been found that consumers value hedonic experiences activated from escapism and attractiveness of shopping environment as much as the product quality, price, and the convenient location. As a result, many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and other retailers are introducing differential marketing strategy based on emotional/hedonic values. Many researches suggest that consumers go shopping not only for buying products but also for various shopping experiences. In other words, they seek the practical, rational value as well as social, recreational values in the shopping process(Babin et al, 1994; Bloch et al, 1994). Retailers may enhance buyer's loyalty to store by providing excellent emotional/hedonic value such as the excitement from shopping, not just the practical value of buying good products efficientl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hopping values on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store loyalty based on the EVS(Experiential Value Scales) developed by Holbr... 본 연구는 경험가치척도(EVS; Experiential Value Scale)를 바탕으로 측정된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가 백화점과 할인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했다. 실증분석결과 점포에서 제공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용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서비스우수성, 효율성, 경제적 가치가 증가할수록,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쾌락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시각적 매력, 오락적 가치, 일상탈출, 내재적 즐거움이 높은 것으로 지각할수록, 쇼핑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는 소비자들이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직접적 영향이 아닌 점포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형성은 점포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보다 할인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수제맥주 브루어리의 점포선택속성이 고객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를 중심으로

        이준섭 ( Lee¸ Junseop ),김지영 ( Kim¸ Jiyoung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수제맥주 브루어리(Brewery, 수제맥주 제조 양조장)의 점포선택속성이 방문고객의 소비가치에 미치는 효과와 방문고객의 소비가치가 고객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비가치를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로 이분화하여 점포선택속성 각 차원들과의 차별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강원도 강릉시에 거주하는 소비자와 방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먼저 수제맥주 브루어리 점포선택속성의 하위차원인 제품구색, 제품가격은 실용적 소비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물리적 공간은 실용적 소비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제맥주 브루어리 점포선택속성의 하위차원인 제품구색, 제품가격, 물리적 공간은 쾌락적 소비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용적 소비가치와 쾌락적 소비가치는 고객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수제맥주 브루어리가 제공하는 실용적이고 쾌락적인 요소를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raft beer brewery selection attributes on the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f visiting customers and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consumption value was divided into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and to identify discriminatory relationships with each of the store selection attribute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llected on residents and tourists in Gangneung and collected data was utiliz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oduct assortment, product prices have been positively affected by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However,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not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utilitarian value. Second, product assortment, product prices, and physical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impact on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Finally,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and hedonic consumption value showe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how to design and utilize utilitarian and hedonic factors provided by hcraft beer breweries.

      • 문화재 특성이 지각된 가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훈(Ji-Hu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5

        본 연구는 문화재가 가지고 있는 특성 중 예술성, 교육성, 역사성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효용적 가치, 쾌락적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쳐 문화재에 대한 방문의도를 가지고 있는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가 가지고 있는 예술성은 효용적 가치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쾌락적 가치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성은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사성은 효용적 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쾌락적 가치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용적 가치는 쾌락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가치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아내었다. 첫째, 문화재 지역이 갖는 예술성으로 인해 실용성과 정신적인 가치 판단들이 문화재 지역 방문객에게 제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문화재 지역을 경험하는 이에게 문화재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미와 체험의 의미가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과거 문화재 형성과 관련된 내용들이 문화재 지역 방문객에게 기능적, 도구적, 인지적 성격보다는 상징적 측면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문화재 지역을 방문하고자 하는 이가 방문을 위해 희생되는 시간, 금전 등의 가치보다는 방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문화재 체험, 즐거움, 신기성 등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문화재 지역 경험시 방문객이 얻는 가치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문화재 관리자들은 문화재 지역에 대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광고를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욕구가 발생하도록 유발시켜야 할 것이다.

      • 프로야구 관중의 관람가치와 팀동일시, 팀감정 및 재관람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용만(Kim Yong-Man),정정희(Jung Jung-Hee),이계석(Lee Kye-Sok)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7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2 No.3

        이 연구는 프로야구관중의 관람경험에 대한 관람가치를 지각된 실용적/쾌락적가치와 기대된 실용적/쾌락적 가치로 구분하여 팀동일시, 팀감정 그리고 재관람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7 삼성 PAW 프로야구’ 8개 구단의 고등학생 이상 흠 관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표집한 후 자료로써 적합하지 않는 57부를 제외한 총 343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2.0과 AMOS 4.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실용적가치는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각된 쾌락적가치는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대된 실용적가치는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쳤고, 기대된 쾌락적가치는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동일시는 팀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동일시는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감정은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utilitarian/hedonic value, expectation utilitarian/hedonic value, team identification, team emo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The subjects were home spectators for eight teams, which were participated in 'Samsung PAVV 2007', and 400 data were collected and 343 of them were chosen as for final data analysis. Data processing was done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WIN Ver. 12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4.0. Based on the above study method and procedure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utilitarian value had significant not influence on team identification, but perceived hedonic valu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identification. Second, expectation utilitarian valu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identification, but expectation hedonic value had significant not influence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team identific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emotion. Fourth, team emo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웹 광고메일이 제공한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가 오픈마켓 기업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

        박진수(Jinsoo Park),편제범(Jebum Py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과 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는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의 효과가 오픈마켓의 기업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들이 이미 지각하고 있는 오픈마켓 기업의 관계몰입 정도와 연령,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오픈마켓 서비스 운영관리자들이 그들의 잠재적인 고객들에게 보낸 웹 메일의 정보에 대해 고객들이 지각한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가 오픈마켓 기업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관계몰입과 연령 혹은 관계몰입과 성별이 통제된 상태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라 웹 광고메일이 제공한 실용적, 쾌락적 가치가 오픈마켓 기업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관계몰입의 정도와 연령, 성별이 모두 통제되었을 때,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 모두 오픈마켓 기업의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용적 가치가 오픈마켓의 기업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쾌락적 가치는 앞선 관계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In this study, we mainly examined the effect of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prevalently used in the marketing and services literatures on the firm’s loyalty in open market. For specific, in control of the level of open market firm’s relational commitment already perceived by customers, age and gender, we intend to examine the effect of web mail information that open market service operators provide their potential users on the firm’s loyalty in open market in terms of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In addition, in control of either relational commitment and age or relational commitment and gender, we als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web mail information which provides potential customers with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on the firm’s loyalty in open market. Our results show that both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significantly affect the open market firm’s loyalty under controlling all variables including the relational commitment, age and gender. Lastly, even if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utilitarian value on the firm’s loyalty in terms of age and gender, we empirically validated that the statistical difference is found in the influences of hedonic value on the firms’ loyalty in the same situation.

      • KCI등재

        쇼핑관광객의 지각된 쇼핑몰 속성이 쇼핑가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해 및 여주 아울렛을 중심으로 -

        오송대,전재균,이상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

        This paper tes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attributes of the shopping mall, tourists' shopping valu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ith the support of empirical evidence. The model consisted of nine latent variables and 15-path hypotheses based on 384 vali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ourists at two outlets for shopping tourists in Korea. Model results show that shopping tourists' perceived hedonic value was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physical environment, product traits, and convenience of the shopping mall,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tourists' hedonic value. Likewise, shopping tourists' perceived utilitarian value was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physical environment, product traits,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ir utilitarian value. Therefor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hopping values were verified. Nonetheless,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f added service and staff service with shopping values as well as of the utilitarian value with behavioral intentions were rejected. 본 연구는 쇼핑관광객들이 쇼핑몰의 속성에서 지각하는 쇼핑 가치에 관한 연구로서 쇼핑관광객이 지각하는 쇼핑가치의 선행변수와 종속변수를 구분하여 매개변수로서 쇼핑가치의 역할을 확인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쇼핑 가치를 쾌락적 가치와 효용적 가치로 구분하여 쇼핑 가치의 선행변수로서 쇼핑몰의 속성을 물리적 환경, 인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 상품특성, 그리고 편의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고객만족과 행동의도를 고려했다. 국내 아울렛에서 쇼핑관광객을 대상으로 384부의 유효설문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쇼핑몰의 속성들 가운데 물리적 환경과 상품특성이 쾌락적 가치와 효용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편의성은 쾌락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쾌락적 가치와 효용적 가치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그리고 고객만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용적 가치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에서의 양면적 쇼핑가치가 패션제품의 온라인 구전과 구매실태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 Kim Eunyoung ),황진숙 ( Hwang Ji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7 No.-

        오늘날 무선인터넷이 발달하고 글로벌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풍부해진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의 쇼핑가치 추구에 따라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온라인 쇼핑가치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고, 둘째, 온라인 쇼핑가치 집단별 온라인 구전의 차이를 알아보고, 셋째, 온라인 쇼핑가치 집단별 온라인 구매실태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총 31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308부가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 패키지 SPSSWin 12.0을 이용하여 군집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 Scheffe 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온라인 쇼핑가치에 따라 소비자를 세분화한 결과, 양면적 가치 집단, 쾌락적 가치 집단, 실용적 가치 집단, 무관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세분집단별 온라인 구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양면적 가치 집단의 소비자들이 온라인 구전의 전달이나 수용을 가장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쾌락적 가치 집단의 소비자들이 높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가치 세분집단별 온라인 구매실태에서 차이를 본 결과, 양면적 가치 집단의 소비자들은 자주 이용하는 온라인 쇼핑몰이 오픈마켓이나 인터넷 개인 쇼핑몰로 해당 쇼핑몰에 거의 매일 방문하여 1개월에 2~3회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쇼핑몰의 주요 고객으로 나타났다. Today, as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rapid progress of globalization, consumers moved toward a more rational consumption that is to make choic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based on rich information rather than standardized and repetitive consumptions. In these circumstances, consumers pursue a variety of value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subdivide consumer groups based on the value of online shopping, 2)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online word of mouth among online shopping value groups, and 3)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online purchase behavior among online shopping value groups. The study distributed 312 questionnaire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for the study were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Scheffe 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consumer subdivision based on online shopping value, it is divided into ambivalent value group, hedonic value group, utilitarian value group, indifferent group. Secondly, in regard to word of mouth communication, the ambivalent value group showed the highest delivery and acceptance of online word of mouth, followed by the consumers of hedonic value group.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regard to online purchase behavior. Ambivalent value group used open market or internet private sites, visited shopping malls almost every day, and purchased fashion products two or three times per mon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