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학 성과 및 도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 코칭학을 중심으로

        김유천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왜 코칭학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국내에서 코칭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코칭을 좀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코칭에 대한 근본적 탐색 및 성찰이 필요하다. 이는 코칭학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적 질문으로 연결된다. 코칭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코칭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코칭학을 명확히 하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칭학의 과거, 현재 및 미래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코칭학의 현재까지의 성과는 무엇인가? 둘째, 코칭학의 미래를 위한 도전 과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고찰을 하 였으며, 사회과학적 고찰과 사회문화적 고찰을 통하여 코칭학에 대한 기반을 분석하였다. 둘째, 코칭학에 대한 현재까지의 성과를 알아보고자 국내 코칭학, 코칭동향 및 코칭심리학 연구를 포함하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고 현재까지의 코칭학 발전 관련하여 국내 코칭학 및 국외 코칭학에 대한 지 금까지의 현황과 관련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셋째, 미래의 코칭학을 위한 도전 과제로 융합을 통한 연계성 추구, 미래 변화의 불확실성에 준비, 개인 및 관계의 복잡성 해결을 위한 기본 및 혁신성 추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y there should be coaching.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aching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more effective coaching, fundamental exploration and reflection on coaching are needed. This leads to an exploratory question about what coaching is. It is necessary to clarify coaching so that coaching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an recogniz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aching.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domestic coaching studie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iscussed. What is the history and academic review of coaching? What are the achievements of coaching so far? How do we take on the challenges for the future of co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view of coaching was conducted, and the basis for coaching was analyzed through social science and sociocultural consideration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of coaching studies to date, related studies including domestic coaching studies, coaching trends, and coaching psychology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The mean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rane was analyzed. Third, as a challenge for future coaching studies, the pursuit of connectivity through convergence, preparation for the uncertainty of future change, and pursuit of basic and innovativeness for solving the complexity of individuals and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의 코칭학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윤형식,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 코칭학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의 국내의 코칭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칭 학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는 코칭관련 학회의 활동내용과 실제 코칭학이 현장에서 적용되 고 있는 코칭산업계의 동향 및 코칭학에 기대하는 사회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대한 가치 기준이 바뀌 고 있고,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 등으로 인구․사회 구조 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코칭에 대한 사회적 요구(Social needs)가 더욱 증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칭산업계가 현재 학계의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는 코칭효과의 객관적 검증방법, 세분화되고 있는 코칭유형에 따른 적합한 프로세스의 구축, 코치 의 역량 증대,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코칭 모델의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학문 으로서의 코칭학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인근 학문들과의 융합적 연구가 인문학 분야와 뇌 과학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뇌괴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들은 코칭의 효 과에 대해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코칭학이 사람 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내면 체험과 통찰을 촉진함으로써 변혁적 성장을 이루어 내는 데 매우 유용한 융합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aching scien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 trends on coaching, reported from 1995 to 2015, were analyzed. This study also reviewed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academic associations to support the theoretical basis of coaching science and to examine current tendency and the future of the coaching industry. In conclusion of these analyses, we have identified three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aching science. First, coaching science should respond more actively to escalating social needs for coaching. It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through this social role. Second, it is very necessary to expand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he industries and universities beyond what it is now, especi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coaching effect, building a process for each type of coaching that is more fragmented by market segmentation, and increasing the expertise of coaches. Third, coaching science can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s a convergence study.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udy of various adjacent fields. This is because coaching science i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a human being is, and it provokes inner experience and insights.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have supported this fact. Coaching science should be elaborated as a more systematic theory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be an area of convergence studies to understand people by creating empirical resul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 KCI등재후보

        한국의 코칭학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윤형식,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aching scien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 trends on coaching, reported from 1995 to 2015, were analyzed. This study also reviewed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academic associations to support the theoretical basis of coaching science and to examine current tendency and the future of the coaching industry. In conclusion of these analyses, we have identified three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aching science. First, coaching science should respond more actively to escalating social needs for coaching. It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through this social role. Second, it is very necessary to expand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he industries and universities beyond what it is now, especi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coaching effect, building a process for each type of coaching that is more fragmented by market segmentation, and increasing the expertise of coaches. Third, coaching science can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s a convergence study.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udy of various adjacent fields. This is because coaching science i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a human being is, and it provokes inner experience and insights.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have supported this fact. Coaching science should be elaborated as a more systematic theory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be an area of convergence studies to understand people by creating empirical resul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 코칭학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위해 1995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의 국내의 코칭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칭학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는 코칭관련 학회의 활동내용과 실제 코칭학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코칭산업계의 동향 및 코칭학에 기대하는 사회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대한 가치 기준이 바뀌고 있고,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 등으로 인구․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코칭에 대한 사회적 요구(Social needs)가 더욱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칭산업계가 현재 학계의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는코칭효과의 객관적 검증방법, 세분화되고 있는 코칭유형에 따른 적합한 프로세스의 구축, 코치의 역량 증대,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코칭 모델의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학문으로서의 코칭학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인근 학문들과의 융합적 연구가 인문학분야와 뇌 과학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뇌괴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들은 코칭의 효과에 대해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코칭학이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내면 체험과 통찰을 촉진함으로써 변혁적 성장을 이루어 내는데 매우 유용한 융합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코칭학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유영훈,김유천 한국코칭학회 2024 코칭연구 Vol.16 No.4

        In this study, sustainable coaching science is conceptualized as an academic framework aiming to harmonize coaching's autonomous development with its social and public relevance. The study's objective is to develop methods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coaching science, involv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field's empirical contributions and scholarly suggestions. Since its introduction in South Korea in the early 2000s, coaching has exhibited quantitative growth and diverse academic attention.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empirical validations of coaching's effectiveness and variable-centric studies, with less emphasis on foundational theories. Quantitative studies, especially targeting corporate personnel, have been more prevalent than qualitative approaches.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diversifying research themes, enhancing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dopting innovative methodologie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coaching science and Eastern philosophy, continuous adoption of novel methods lik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and research closely aligned with current social challenges, to lay the groundwork for sustainable coaching science.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코칭학을 ‘사회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코칭의 독자적 발전 및 사회적 공공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학적 체계’로 정의하고, 지속 가능한 코칭학 구축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코칭 분야 연구 성과 및 코칭학 발전을 위한 연구자들의 제언을 분석하고 종합하였다. 코칭 분야의 연구는 2000년대 초반 코칭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로 꾸준한 양적 성장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코칭 관련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코칭의 특정 분야를 상세히 다루는 연구는 다소 비중이 적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주제에 있어서는 코칭의 효과 검증이나 변인 관련 연구 비중이 높게 나타났던 반면, 기초 이론에 대한 연구 비중이 낮음이 보고되었다. 연구 대상과 방법에 있어서는 기업 관련 인원을 연구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다는 점, 양적 연구의 비중이 질적 연구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자들은 연구 주제의 다양화 및 시의성 확보, 코칭에 대한 기초 이론 연구 확대, 사회 문제와 연관된 연구 대상의 다각화, 새로운 연구 방법론 도입의 필요성 등을 주요한 과제로 제기했다. 이 같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코칭학 구축을 위하여 코칭학과 동양 철학과의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 IPA와 같은 새로운 연구 방법의 지속적 도입, 사회적 이슈에 밀접하게 대응한 연구 수행을 후속 과제로 제시하였다.

      • 코칭학,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융합코칭저널 Vol.1 No.1

        본 연구는 코칭 연구에 관한 현주소를 파악하고, 나아가 코칭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연구과제들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코칭 관련 선행 연구들과 코칭동향 분석 논문들을 살펴본 후에, 학술적·실용적·교육적 측면에서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할 과제들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코칭의 기본적인 개념과 성격, 코칭의 구성요인과 세부 요소들, 코칭 효과의 깊이와 범위 확대, 코칭 언어와 용어의 정리와 표준화, 코칭 리더십의 구성개념과 구성요소 및 척도개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 등과 같은 연구과제들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용적 측면의 연구과제들은 전문코치들과 연구자들의 산학 협력체제 구축, 코치의 역량 향상을 통한 전문성 제고 방안 마련, 코치 자격의 공신력 확보와 관련 제도의 신뢰성 제고 방안 등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측면의 연구과제들은 코칭 전문가 양성을 위한 표준교육모델 마련, 코치 인증 프로그램을 평가할 합리적인 기준 마련 등이다. 향후 이런 연구과제들에 관한 다각적이고 꾸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코칭학의 이론체계나 토대 구축은 한층 쉬워질 것이다. 본 연구는 코칭학의 체계적인 토대 구축에 필요한 여러 가지 연구주제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연구자의 주관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aching research and further explore the research tasks necessary for coaching to establish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To this end, after examining previous coaching studies and coaching trend analysis papers, tasks to be further studied in the future were derived from academic, practical, and educational aspec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tasks in the academic aspect include basic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aching, the factors of coaching and detailed elements, expanding the depth and scope of the coaching effects, organizing and standardizing coaching language and terminology, coaching leadership constricts and components, scale development of coaching leadership,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etc. Second, research tasks in the practical aspect include establishing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between coaches and researchers, preparing a plan to enhance professionalism by improving the coach's competency, securing public confidence in the coach's qualifications, an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related systems. Lastly, the research tasks in the educational aspect are to prepare a standard education model for nurturing coaching experts, and to prepare reasonable standards for evaluating coach certification programs. If multifaceted and steady research on these research tasks is conducted in the future, it will be easi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or foundation for coachology. This study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that it presented various research topic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foundation for coacholog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completely exclude the subjectivity of this researcher.

      • KCI등재

        코칭의 학문 가능성을 위한 기초적 접근

        선종욱 한국코칭학회 2009 코칭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코칭이 학문으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기초적이고 논리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코칭의 학문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증명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우선 코칭을 학문으로 연구한 사례를 논문과 학술대회 발표 주제 등으로 고찰하였다. 이후 학문이 무엇인지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내리고 코칭학의 관련성, 학문의 분류와 코칭학의 관련성, 학문의 특성과 코칭학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문의 요소들을 고찰하고 학문가능성으로서의 코칭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의 정의, 분류, 특성, 요소들과 코칭과의 관련성을 고찰한 결과로서 코칭의 학문 가능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s basically and logically to approach to prove the coaching takes the academic values. Thenpurpose is to prove the academic possibilities of coaching. First of all, The study is considered academicnexamples which are the theses and the papers subjects in academic conference. After considering, definednthe word which was academic and considered relations with coaching,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ndivisions and coaching, between academic characters and coaching, Finally considered the academic elementsnand showed academic coaching included academic possibility.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e academicnpossibilities of coaching as the result that are definition, divisions, characters, elements and relations withncoaching.

      • [논문발표문 1] 코칭학의 현재와 미래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5

        본 연구는 코칭 연구에 관한 현주소를 파악하고, 나아가 코칭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연구과제들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코칭 관련 선행 연구들과 코칭동향 분석 논문들을 살펴본 후에, 학술적·실용적·교육적 측면에서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할 과제들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코칭의 기본적인 개념과 성격, 코칭의 구성요인과 세부 요소들, 코칭 효과의 깊이와 범위 확대, 코칭 언어와 용어의 정리와 표준화, 코칭 리더십의 구성개념과 구성요소 및 척도개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 등과 같은 연구과제들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용적 측면의 연구과제들은 코치들과 연구자들의 산학 협력체제 구축, 코치의 역량 향상을 통한 전문성 제고 방안 마련, 코치 자격의 공신력 확보와 관련 제도의 신뢰성 제고 방안 등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측면의 연구과제들은 코칭 전문가 양성을 위한 표준교육모델 마련, 코치 인증 프로그램을 평가할 합리적인 기준 마련 등이다. 향후 이런 연구과제들에 관한 다각적이고 꾸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코칭학의 이론체계나 토대 구축은 한층 쉬워질 것이다. 본 연구는 코칭학의 체계적인 토대 구축에 필요한 여러 가지 연구주제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연구자의 주관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aching research and further explore the research tasks necessary for coaching to establish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To this end, after examining previous coaching studies and coaching trend analysis papers, tasks to be further studied in the future were derived from academic, practical, and educational aspec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tasks in the academic aspect include basic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aching, the factors of coaching and detailed elements, expanding the depth and scope of the coaching effects, organizing and standardizing coaching language and terminology, coaching leadership constricts and components, scale development of coaching leadership,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etc. Second, research tasks in the practical aspect include establishing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between coaches and researchers, preparing a plan to enhance professionalism by improving the coach's competency, securing public confidence in the coach's qualifications, an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related systems. Lastly, the research tasks in the educational aspect are to prepare a standard education model for nurturing coaching experts, and to prepare reasonable standards for evaluating coach certification programs. If multifaceted and steady research on these research tasks is conducted in the future, it will be easi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or foundation for coachology. This study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that it presented various research topic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foundation for coacholog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completely exclude the subjectivity of this researcher.

      • KCI등재

        대학에서의 코칭학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도미향,정은미 한국코칭학회 2012 코칭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코칭의 학문적 동향과 국내외 대학의 코칭전공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서 대학에서의 코칭전공 개설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국내외 대학, 학회, 협회 등의 사이트 검색을 통한 코칭전공 교육과정을 수집하였고, 코칭전공 및 교과목에 관한 개설현황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분석자료를 토대로 코칭전공 표준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계와 학계에서 보이고 있는 코칭의 학문적 동향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 학부 과정에서 코칭이 학과목으 로 선정되어 코치를 양성하고 있고, 평생교육으로 코칭 강의가 이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 학원에 코칭전공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석박사논문과 학술지 논문발표가 2005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한국코칭학회, 한국코치협회 등과 같은 협회 및 학회의 창설로 코칭학의 체계적 정립을 위한 다각적인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둘째, 국내외 대학의 코칭전공 및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결과, 외국대학의 경우,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코칭전공이 대학에 개설되어 있으며,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코칭교육이 활발하 게 이뤄지고 있는 대학들도 다수로 나타났다. 국내대학은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거나 코칭전 공이 석사과정에 도입되고 있는 대학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셋째, 코칭전공 표준교육과정 (안)은 기초과정, 심화과정, 실습과정, 논문작성과 제출을 통해 코칭전공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coaching educational curriculum that are provided in Korea and in other foreign universities and also, attempted to develop standard educ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constructing coaching major in universities. For this, research on past studies and web search on universities, associations, and cooperations were done to collect coaching educational programs for major. Through this collection of programs, current status of coaching majors and curriculums were compared and based on those analyzed data, standard educational curriculums were inv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scholarly trends of coaching shows that coaching classes are offered to train professional coaches in undergraduate level and in extension schools and recently, coaching majors are opening up in graduate schools. Also, the dissertations of that were published since 2005 are quickly increasing in amount and associations such as Korea Coaching Association and Korea Coach Association were founded to expand coaching foundations in various perspectives. Second, analyzed data of comparison shows that foreign universities such as ones in United States, England, Aun shlia, and Canada already had coaching majors that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many universities that are offering undergraduate level courses on coaching. Korean universities are also introducing coaching majors in graduate schools and ss i are already offering courses on coaching. Third, the standard educational curriculum on coaching was invented. The curriculum for majoring in coaching is composed of foundational course, advanced courses, field place int, and lastly, proposing thesis and submission.

      • KCI등재

        코칭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길영환 한국코칭학회 2011 코칭연구 Vol.4 No.2

        현대를 살아가면서 코칭의 요구는 점차로 증대되고 있다. 코칭은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유행과 같은 것이 아닌 것이 분명하다. 그것은 코칭이 고대로부터 인간을 지혜롭게 하고 그 지혜를 따라 살게 하는 탁월한 지혜의 도구로서 오늘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코칭이 보다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학문으로 남아지고 연구되어진다면 더욱 우리에게 필요하고 유익한 학문이 될 것이다. 우리는 코칭이 대학 현장에서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고 성숙한 학문이 되길 바란다. 그러나 코칭이 코칭학으로 승화되기까지는 많은 과정이 남아 있다. 한국코칭학회는 코칭이 학문화되기 위한 초석을 닦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문이 되기 위한 조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에서 코칭이 학문적 기초와 틀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인접 학문들과 적극적인 교류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코칭과 유사한 학제 간에 활발한 교류는 물론이고 최근 제기 되고 있는 융·복합적 학문 간에 참여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칭이 학문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코칭학의 독립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갖추어 나가야 할 것이다. Living in the modern world, the demand for coaching has been increasing. It is obviousnthat coaching is not just a temporary passing craze. That is because it has given wisdomnto us since ancient times and is used today as the tool of wisdom allowing us to livenfollowing that wisdom. However, coaching remains as the study which teaches humannbeings to become happier and if researched upon, will become a necessary and beneficialnacademic field for us.nWe hope that coaching will become a field of study which is recognized and matured innthe university. However, there is still a long process remaining for coaching to becomeninstitutionalized. This establishment is polishing the foundations for it to become annacademic field.nThis text is the keynote address acting as a link to this effort. It is stated here that forncoaching to create the basis for an academic field, it requires active cooperation withnadjacent fields and for this matter coaching is having brisk cooperation with similar fieldsnas well as great expectations for the convergence between complex academics which hasnrecently been initiated. Despite all this, for coaching to become institutionalized, it has tonfurnish a concrete independent asp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