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학의 21세기 전개: 각성과 도전을 통한 혁신적 변화의 양상들

        박미경 세계음악학회 2019 음악과 문화 Vol.0 No.40

        This paper asks what is happening in musicology in the 21st century. It is no different than asking how the flow of innovation – the shift of the paradigm based on philosophy and science around the 21st century, the fourth revolution of economy, capital and knowledge - is emerging in musicology. Since 1885, when musicology first entered the European academic world, it had formed a knowledge base of those days, over which the 150 years of activities of scholars have been accumulated. Musicological scholarship has developed eventually into a dichotomized system of disciplines: one is historical musicology focusing on the historical flow of Western art music and the other is ethnomusicology, covering stylistically heterogeneous non-Western music, thus having been struggling to search for common method to deal with all. The system maintained so long as such that, two disciplines became compartmentalized without any common ground competing for hegemonic power. With the reflection, retrospection, and critical discussions on this situation, 21st century musicologists are now setting new disciplinary goals with the spirit of the age of global society seeking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processing accumulated compartmental knowledge. Recognizing the huge gap in the accomplished knowledge, the 21st century musicologists are attempting to crossover the disciplinary boundary. They are also explores research that is relevant to the new age, mobilizes new methods and technologies, and connects and collaborates while working. This innovation movement in 21st century musicology is now calling for a new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for musicologists.

      • KCI등재

        한국민요학의 문제의식 추이와 경기도 민요연구의 과제

        강등학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It is Gyenggi-do folksong that accepted the some professional music of 19th century at Seoul. And Gyenggi-do folksong is more variety than the rest area in main section of uses. These mean that Gyenggi-do folksong developed widely and dynamically than the rest area. But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didn’t achieve a good product that much. More concrete state is this. We have a lot of data of Gyenggi-do folksong which was evenly inquired in area. But it wasn’t made sufficiently vocal and video data from the inquiry of Gyenggi-do folksong, also wasn’t inquired about the details of individual folksong. And the information service of Gyenggi-do folksong on computer network sh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a lot of data about aspect of the scene and culture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have mainly researched in aspect of musicology, except a little of performative, ecologic and traditional aspect. Therefore the majority of papers on Gyenggi-do folksong have discussed in aspect of musicology, it is both that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didn’t evenly develop to academical fields. And besides aspect of musicology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is still in the general stage, so it has the needs of research on more detailed level. 경기도의 민요는 통속민요의 수용이 많은 편이다. <논매는소리>에 통속민요가 여럿 수용되어 있는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개성난봉가>, <경복궁타령>, <양산도타령>, <방아타령> 등이 모두 <논매는소리>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방아타령>은 경기도의 <논매는소리>로서는 <상사소리>, <방아소리>에 이어 그 분포가 세 번째로 넓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가하면, 경기도는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운상하는소리>, <묘다지는소리> 등 각각의 부류에 속하는 개체요가 가장 많은 곳이다. 그런데 논농사요와 장례의식요는 각각 노동요와 의식요의 범주에 있어서 그 분포와 밀도가 가장 높은 부류에 해당한다. 통속민요의 수용이 많고, 또 민요의 중심 부류가 그 전개를 활발히 한 것은 경기도가 문화적으로 그만큼 강한 탄력을 지닌 곳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민요학은 경기도의 민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경기도 민요연구는 문화적 탄력이 강한 곳으로서 한국민요학에 대한 그만한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경기도의 민요연구는 한국민요학의 연구추이와 어떠한 호흡을 이루고 있는가? 이러한 생각들을 바탕으로 삼으면서 그 동안 경기도 민요연구의 성과를 검토하고, 아울러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중심적 의도이다. 경기도의 민요자료는 지역적으로 고르게 축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 민요수집의 추이에 비추어보면, 경기도의 민요수집은 성음자료 및 영상자료의 작성, 그리고 국소확장적 조사에 미흡한 상황에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민요수집은 앞으로 현장복사의 작업과 현장 관찰 작업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민요의 전산서비스 역시 현장과 문화에 관한 정보를 보완하여 수용자가 상황을 입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결국 경기도 민요수집의 과제는 앞으로 현장의 복사와 전달, 관찰 등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경기도 민요연구는 각 범주가 고르게 전개되지 못했다. 최근 한국민요학의 연구추이는 생태론적 연구, 문학학적 연구, 음악학적 연구, 연행론적 연구, 국외민요연구, 북한지역 민요연구, 소비양상과 문화성향 연구, 가창자 연구, 문헌민요 연구, 전승 및 현재화 연구 등 여러 범주에 걸쳐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이 가운데 경기도 민요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음악학적 연구뿐이다. 생태론적 연구, 연행론적 연구, 전승 및 현재화 연구 등에 일부 논의가 이루어진 상황이며, 나머지 범주는 작업 자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대신 경기도의 민요연구는 음악론적 연구를 제외한 작업의 대부분이 조사연구와 총괄적 연구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러하기에 경기도 민요연구가 범주별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사연구나 총괄적 연구를 넘어서서 국면을 보다 세부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학학적 연구, 생태론적 연구, 문화성향 연구가 보다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문제의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문학학적 연구와 생태론적 연구는 조사연구와 총괄적 논의를 넘어서서 세부적 국면을 읽어내는 데 대해 토대가 될 수 있는 작업이며, 아울러 문화성향 연구는 경기도 민요가 여타지역과 구분되는 문화적 탄력과 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