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 연결망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윤영태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1 인간과 문화 연구 Vol.18 No.-

        현대 사회의 속성을 규명하려는 노력 중 하나인 네트워크사회론의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사회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해선 사회 연결망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규명하는 일은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인터넷, 휴대전화, 스마트폰, 모마일 기기 등의 이용 증가에 따른 개인 간 연결의 변화는 사회 연결망 분석과 커뮤니케이션연구에서 시도해야 할 새로운 주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사회 연결망 이론을 이론적 맥락에서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사회과학적 이론들과의 비교 속에서 사회 연결망 이론의 의미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는 다시 커뮤니케이션연구와의 접합점을 찾기 위한 작업으로 연결될 것이다. 사회 연결망 이론의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한 재고찰, 이를 토대로 커뮤니케이션연구를 위한 사회 연결망 이론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1940년대 이후 커뮤니케이션연구는 커뮤니케이션현상을 송신자-메시지-채널(매체)-수용자-효과와 같은 구성요소로 분할하여 요소들 간의 관계에 집중했다. 그러나 분석의 수준 또는 관념의 수준에서 송신자와 수용자의 구분은 의미가 있을지언정 실제 커뮤니케이션현상은 상호작용적인 과정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의 확대 등 커뮤니케이션기술의 발전은 커뮤니케이션학에서 관행적으로 다루었던 분석수준의 구분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다양한 층위에 위치한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정보교환과 흐름은 연결망이라는 사회적 구성형태로 나타난다. 기존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연구는 이에 대해 한계를 보여줄 수 밖에 없다. 사회 연결망 분석과의 교류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 극복하고자하는 하나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행위자의 개별 속성에 앞서 관계적 속성이 분석의 대상이므로 연결망 분석은 상호작용의 과정이며 동시에 연결망 구조로 연계되는 커뮤니케이션현상의 존재론적 성격을 보다 충실히 반영한다. 게다가 미시의 행위자와 거시의 구조를 이론적 측면에서 그리고 방법론적 측면에서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분석의 도구를 제공한다. This study theoretically analyzes the communication concept of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research. It introduces the theoretical approach with a special focus on theoretic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guid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has been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mbining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tructural analysis. The foundation of existing models of communication also has been criticized in comparison with network model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expansion of transactional model. And proposals are presented for the paradigm shift of communication research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경모(Kyungmo Kim)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이 글은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결망 분석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사유와 방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연구의 기본 내용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연결망 분석의 기저에 담긴 관계적 관점과 구조적 분석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결망 관점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 지닌 한계를 연결망 관점에서 비판한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고찰한 뒤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 연구를 개관할 수 있는 메타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해 본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focus on theoretic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guid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has been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mbining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tructural analysis. A body of existing models of communication(e.g., linear mood, interactional model) also has been criticized in comparison with the network mcx:lel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expansion of transactional model. Finally, a meta-theoretical framework is suggested for the overview of research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 KCI등재

        사회 연결망을 통한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필요성과 전망

        송현주 한국언론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7 No.2

        Political communication like other communication phenomena happens in the wider context of social circumstances. Research on political communication has been focusing more on the effects of news media, igno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r attributes of political communication.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at social networks could be a useful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political communication more comprehensively. Specifically, this article suggests political polarization, political socializ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 research topics to be studied based on the social networks perspective. Also, the prospect of political communication via SNS's is briefly referred to. 그동안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뉴스 미디어 효과 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다른 모든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정치컴은 복잡하게 얽힌 사회 연결망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최근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촉발된 온라인 사회 연결망에 대한 관심을 오프라인 사회 연결망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사회 연결망을 통한 정치컴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뉴스 미디어 효과 연구와 사회 자본 연구, 그리고 인터넷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고찰하고 사회 연결망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연구에 의해 규명될 수 있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그 의미를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향후 SNS에서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간략하게나마 덧붙였다.

      • KCI등재

        협동학습 상황에서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사회연결망 중심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일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협동학습 환경에서 팀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그리고 신뢰 및 지식 공유 네트워크 연결중심도가 개인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여자대학교 학부생 56명이었다. NetMiner 3.4와 AMOS 7.0을 활용한 분석 결과, 변수 간 인과적 영향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 및 그 통계적 유의도는 1) 커뮤니케이션 능력 → 신뢰 네트워크 중심도 (β = .244, p = .129), 2) 커뮤니케이션 능력 → 지식공유 네트워크 중심도 (β = .456, p = .000), 3) 신뢰 네트워크 중심도 → 지식공유 네트워크 중심도 (β = .411, p = .000), 그리고 4) 지식공유 네트워크 중심도 → 학습 성과 (β = .549, p = .00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협동학습 운영 시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degree centralities of their social networks on learning outcome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6 students of educational technology at a women's university in Korea. Path analyses of the data using NetMiner 3.3 and AMOS 7.0 indicated that: 1) communicative competence caused trust network degree centrality (β = .244, p= .129),2) communication competence caused knowledge sharing network degree centrality (β = .456, p= .000), 3) trust network degree centrality caused knowledge sharing network degree centrality (β = .411, p= .000), and 4) knowledge sharing network degree centrality affected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outcomes (β = .549, p= .000).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t collective effects of network degree centrality measures and individual communicative competence on learners'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eam organization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건강과 자살 리터러시에 대한 탐색: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매개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중심으로

        이하나 ( Hannah Lee ),안순태 ( Soontae A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온 정신건강문제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두고, 우울증 및 자살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전반적인 이해수준을 파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한 현 시대적 환경을 반영,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개로 발생한 정신건강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설정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상, 우울증, 자살 위기 상황을 설명하는 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들이 우울증 및 자살 위기상황에 대해 얼마나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당사자들이 처한 상황을 도움이 필요한 위기 상황으로 받아들이는지, 위기자들에게 어떠한 조언들을 제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주관식 답변들을 토대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은 정상과 우울증, 자살 징후에 대해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증상의 심각성 수준에 따른 걱정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제안된 조언들의 유형도 대체로 소극적 수준에 머물렀다. 종합하면, 참가자의 정신건강 이해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으며, 우울증 및 자살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방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위기 상황에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개입이 진행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자살 시도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으며, 자살 위기 상황에 대한 소극적인 개입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정신건강 이해수준을 높일 수 있는 리터러시 교육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symptom and treatment, focusing on interpersonal health communication that have been overlooked. This study set up communication situation through instant messenger reflecting the cur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mobile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whether participants were correctly aware of depression and suicide crisis and suggested appropriate coping advice for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s,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coul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normal, depression, and suicidal symptom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worry depends on severity of symptoms. Recommendations for health crisis also mostly passive coping strategies. Taken together, most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low mental health literacy, so there was no a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in crisis situations. Untreated depression has a high risk of attempting suicide, and passive intervention in a suicidal crisis can lead to suic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urgent for literacy education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level of mental health.

      • 커뮤니케이션 연구들의 일반적 특징과 언급된 주요 이론들에 관한 메타분석

        안민호,고혜승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6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학의 구조 및 상태를 살피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미국과 한국의 주요 커뮤니케이션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개별 논문에 포함된 이론(Theory), 명제(Proposition) 그리고 개념(Concept)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동시언급 경향으로 볼때 미국저널은 181개의 이론, 명제 그리고 개념 중 60%에 해당하는 109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한국저널은 79개의 이론, 명제 그리고 개념 중 41.7%에 해당하는 33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들의 지적처럼 커뮤니케이션학 및 연구영역이 이분화 된 채 고립된 영역으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크레이그(Craig, 1999)의 주장처럼 그것들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이 지속·발전될 때, 커뮤니케이션학 및 연구영역은 통합적인 학문영역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SNS 기반 온라인 메신저 의사소통의 특징적 현상 연구 – 한국 대학생의 단문형식 메신저(SMS) 사용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최명원 한국독어학회 2015 독어학 Vol.31 No.-

        Menschen wollen von einander durch Gespräche wahrgenommen werden und ständig bestrebt auf der Suche nach gemeinsamen Gefühlen, Bindungen und gesellschaftliche Aktivität zu schaffen. Der wichtigste Aspekt der Entwicklung auf Informationstechnologie basierten digitalen Kultur ist die enorme Verbreitung v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und die damit verknüpften Veränderungen von menschlichem Verhalten, Bewusstsein und Denken. Mit dem Aufkommen des Internets entstanden verschiedene Kommunikationsmethoden, die sich ständig weiterentwickeln und die diversifiziert werden, wie beispielsweise Kakao Talk, Twitter, Facebook, Instagram, Band usw.. Eine Unmenge von Online-Kommunikationsplattformen locken erfolgreich zur aktiven Gesprächsteilnahme. Da der virtuelle Raum kommunikative Phänomene erschafft, die sich von denen der Offline-Welt unterscheidet, wird sich diese Untersuchung vor allem auf das Phänomen der dialogischen Finger-Eingabe-Sprache konzentrieren, die überwiegend in den kommunikativen SNS verwendet wird und dadurch der Schlüsselmechanismus der Online-Kommunikation ist. In dieser Arbeit wird untersucht, wie SNS-basierte Kommunikation, die besonders auf Short Message Service (SMS) zurückgreift, Einfluss auf Sprachgewohnheiten ausübt. Der größte Teil dieser Arbeit bezieht sich dann auf die Verhaltensänderungen auf sprechsprachlicher Ebene, die sich aber auch als schriftsprachliche, d.h. getextete Sprache charakterisieren lässt. Demzufolge wird diese Untersuchung zunächst sprachliche Phänomene der SNS-basierten SMS-Kommunikation analysieren, die am besten die Änderungen widerspiegeln, die von der Entwicklung in der Online-Ära ausgelöst wurden. Der Schwerpunkt dieser Forschung liegt auf den linguistischen Phänomenen der Online-Gespräche, ihren Gebrauch und das sprachliche Verhalten der Gesprächsteilnehmer im Kontext der SMS-Kommunikation und deren Prozesse. 하이테크놀로지의 디지털 문명으로 비유되는 IT 기술혁명의 수혜자로서 현대인의 삶의 방식은 가상과 현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복합적이며 혼재된 형태로 꾸려지고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두 개의 형식으로 존재하면서, 특히 온라인 세상은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손 안의 세상’으로 창출되어 삶이 영위되는 시·공간의 개념을 혁명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처럼 사람들은 환경과 의식의 커다란 변화를 경험하는 가운데오프라인에서는 도저히 실현될 수 없었던 온라인 형식의 접촉과 소통을 통해역동적인 사회연결망을 통한 정보사회로의 진입을 경험하고 있다. 온라인상의사회연결망을 통한 다양한 형식의 접촉방식은 디지털 문명 안에서 소통의 전제조건으로서 모든 종류의 사회적 관여에 대한 시작점이 된다. 때문에 우리는IT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문명의 발전과 변화 속에서 사회연결망이 제공하는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줄여서 SNS) 시대의 전개와 함께이를 소비하는 주체자로서 우리의 사고와 의식구조, 그리고 이를 반영하는 행동양식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멀티미디어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되는 온라인 공간은 오프라인과는 완전히다른 형식의 사회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SNS에 기반을 둔 온라인 메신저 소통과정에서의 언어행동을 글자판의 터치를 통한 일종 의 ‘손끝언어’로, 이러한 소통기제의 사용자를 ‘언어소비’의 주체자로 파악하여 핵심적 키워드로 삼아, SNS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환경에서 특히 단문형식의 메신저 (Short Message Service, 이하 줄여서 SMS) 소통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주제는 온라인 시대의전개와 더불어 변화의 징후들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SMS 소통방식에서관찰되는 언어현상들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러한 온라인 매체들을 매개로 하는 언어행동습관이 우리의 사고체계와 행동습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되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SNS를 통한 소통의장에서 통제의 한계를 넘어 난무하는 정보의 양과 이들의 확장속도에 의한개인과 집단의식, 이를 반영하는 사회구조의 변화를 가늠케 하는 징후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문명사회에서 구성원들의 역할과 역학관계의 변동 등을 사회현상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진단과 예측을 통한 문제제시와 해결을 위한 대안적 관점들이 논의될 수 있는 기초 작업으로서 의미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1장에서는 SNS기반 온라인 메신저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적 현상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2장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실제 SNS메신저 사용자들 가운데 한국의 4년제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설문연구를 바탕으로 그 실태에 대한분석과 해석을 내리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 3부의 결론으로 구성된다.

      • KCI등재

        사회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품질

        이준웅(Jun-woong Rhee),문태준(Tae-joon Moon),김은미(Eun-mee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9 No.1

        이 글에서 우리는 사회자본 개념이 복잡하게 전개되는 이유가 사회자본의 형성원, 연결망, 그리고 효과 등의 세 요소가 포괄적으로 논의되기 때문이라 보고, 이 세 요소의 구분을 통해서 사회자본의 다차원적. 역동적, 가변적 특성을 설하려 한다. 이 글은 사회자본의 다차원성, 역동성, 가변성 등을 이해하는 데 커뮤니케이션 양, 품질, 관계, 양식 등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본다. 커뮤니케이션 품질이란 ‘상호성’, ‘합리성’, ‘공정성’, ‘표현성’, ‘예절’ 등 커뮤니케이션의 질적인 차원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다. 우리는 커뮤니케이션 품질 개념을 활용해서 사회적 연결망의 특성과 신뢰의 형성 등에 대한 이해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nding the difficulties within which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applied to account for different functions and effects of social relations, this study takes up three distinguished but interconnected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 sources, networks, and effects - and explores them separately to sort out the difficulties with the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employment of the notion of quality of communication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dynamism, and changeability of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it is suggested that qualities of communication such as rationality, fairness, and expressive decorativeness should account for the formation of different types of social networks and the processes by which social networks build social trust.

      • 변혁적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 네트워크 형성

        임성범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청소년기 대학 신입생의 변혁적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관계를 사회연결망 안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들은 심리적으로 매우 민감하며, 자아에 대한 존재감과 상대방에 대한 이해, 집단에 대한 소속감이 강하게 존재하는 시점이다. 특히 이러한 특성이 대학생활이라는 특성과 맞물려 4년간 개인 및 집단의 행태결정과 이후 사회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대학 신입생으로부터 74명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평균검정과 상관관계 분석뿐 아니라 UCINET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중심성 분석, 사이중앙성, 보나시치 권력지수, 구조공백 - 효과크기)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친교망’에서 여학생의 네트워크 활동성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교환망’에서 남학생의 네트워크 활동성이 여학생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조언망’에서 여학생의 네트워크 활동성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사회연결망에서 중요한 연결고리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코로나19 관련 언론 보도 프레임 분석 : 자료기반 자동화 프레임 추출 방법을 중심으로

        조민정,이신행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1

        본 논문은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위험 상황을 보도해 온 국내 주요 일간지의 프레임 분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참여 주체인 언론이 장기간 지속 되고 있는 코로나19를 어떠한 시각과 방식으로 보도해 왔는가를 분석하여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의 언론 보도의 특징과 역할을 진단했다. 우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위험 보 도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6가지 뉴스 프레임을 선정하고 구조적 주제모형으로 2020 년 1월 20일부터 6개월간 64,702개의 코로나19 관련 기사로부터 잠재적 주제를 도출했 다. 이후, 인간 코딩 방식의 내용분석으로 도출된 주제를 프레임 정의에 따라 유목화하 고 코로나19의 위험 전개를 5시기로 구분하여 각 프레임의 출현 정도를 추적하고 비교 했다. 그리고 시기별 특성과 맥락을 고려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주제적 특성들이 어떠 한 내용적 의미 관계를 구성하며 변화해가는지를 의미연결망 분석으로 파악했다. 이러 한 혼합적 연구방법으로 코로나19 관련 보도에서 두드러지는 프레임과 그 내용적 특성 이 시기별로 달라지는지를 탐색했다. 본 논문은 국가적 위험 상황의 전개 상황에 따라 이를 보도하는 언론이 강조하는 프레임의 내용적 변화 양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자료 기반 자동화 프레임 추출에 있어 구조적 주제모형과 의미연결망 분석의 상호보완적 방 법을 제시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news frames extracted from the coverage of COVID-19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how major newspapers reported the pandemic situation as a leading participant in risk communication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 of the news media in the national disaster.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risk reporting, six news frames were identified a priori. Next, we applied structural topic modeling to a corpus of 64,702 COVID-19 related articles for six months from January 20, 2020, to automatically extract their underlying themes. These themes were, then, classified into the pre-defined set of frames to trace and compare the extent to which each frame was emphasized over the five periods divided by the risk development of COVID-19. Furthermor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explicate how the thematic elements of news frames were organized during the different phases of the pandemic. Using this mixed-method approach to frame analysis, we explored the emphasis frame of the COVID-19 related news coverage and its period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underlying themes. This study not only demonstrates the changing pattern in news frames emphasized by the news media over the periods of national risk development, but also presents a complementary approach to automated frame analysis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discuss its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