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행위 대립 극복으로서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이철(Lee Chul)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5

        본 논문은 니클라스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이론이 구조/행위 대립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한다. 본 논문의 해석에 따르면, 루만적 해법의 출발점은 행위도 구조도 아니다. 가장 먼저 발생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행위와 구조는 커뮤니케이션 다음에야 발생한다. 그때그때 발생한 행위와 구조는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이 된다. 이 해법은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이론의 세 개념 혹은 관점의 조합에서 도출된다. 첫째, 사회적 행위 개념을 행위를 구성하며 후속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개념으로 대체한다. 둘째, 역시 분석의 출발점으로서 최종적인 어떤 것으로 이해되는 구조 개념을, 시간 축 위에서 발현과 휴지(休止)를 반복하는 기대(의 구조)로서 파악한다. 셋째, 시간 차원에서의 행위/구조의 변화가 “사건/구조”의 상보적 진행 유형을 통해 나타난다는 점을 분석한다. 사건/구조(혹은 행위/구조)의 반복은, 타자준거를 실행하는 개방체계와 자기준거를 실행하는 폐쇄체계의 반복에 의해 진행된다. This paper interpret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system by Niklas Luhmann has the potential to solve the dilemma of structure/action.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is paper, neither action nor struc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Luhmann’s solution. The starting point is communication which occurs before anything else. Action occurs, and structure takes effect only after communication. The very action and structure build the precondition of the following communication. This kind of solution i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three concepts or perspectives from the Luhmann"s Supertheorie. The first concept is to replace the concept social action with that of communication constituting social action and stimulating the following communication. Also the concept structure, generally understood as starting point of analysis and used as the last independent variable, is dealt with as (the structure) of expectation repeating the pattern of emergence and pause on the time axis. And thirdly, it is analyzed that changes of action/structure on the time dimension reveals the complementary progressive pattern of event/structure. The repeating progress of event/structure (or event/structure) is explained through the repeating of the open system doing foreign reference and the closed system doing self referenc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직급별 감사시간을 중심으로

        박종일,이윤정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 corporate governance (hereafter GOV) and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GCOM)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We als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GCOM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BIG4 with the external auditors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COM and BIG4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Prior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total audit hours (i.e., Choi and Yang 2008; Kim and Kim 2012). Thus, we extend and complement this line of p rior research by p roviding new evidence, and we will exp lore these issues in more detail, systematic evidence suggesting that auditors consider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in their audit planning and audit practices with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Our study therefore contributes to and extends the literature on audit hours,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For analysis, we use the GOV and ESG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grade data produced by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s a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Following Kim and Jeon (2016), we use five positions with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e.g., the quality control reviewer (hereafter AH_Q), business management director (AH_P), registered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H_A), probation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H_J), experts with the computerized audit, tax, valuation (AH_C)) and total audit hours, and we collect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GCOM) as disclosed in the audit report. The sample for our analysis is based on disclosed rank-rank-sp ecific audit hours and KCGS data from 2014 to 2019, our final samp le is 3,848 firm-year observations with publicly traded companies in Korea stock exchange. Our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OV and rank-specific audit hours (except for AH_Q)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m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re rank-specific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Second, we find that a significantly p 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COM and rank-sp ecific audit hours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The results imply that more the frequency of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are rank-specific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Third, we also fi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GCOM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except for AH_Q and AH_C)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The results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GCOM are rank-specific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Our results obtain qualitatively similar when using ESG grade data. Moreover, our main results is driven by Big 4 auditors rather than non-Big 4 auditors. Finally, in additional tests, we fin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GOV and BIG4, and also the interactions between GCOM and BIG4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resp ectively. Thes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link between GOV and GCOM are more likely to increase audit effort.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corporate governance (or ESG) data and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and total audit hours. Moreover, our results shows that higher-quality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by joint-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lead to increasing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Therefore, these novel evidence suggests that our findings contributes to the prior literature by considering auditors’ response to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Specially, our findings contri...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또한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와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의 상호작용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의 기업지배구조 및 ESG 등급을 이용하고, 직급별 감사시간은 5개 직급을살펴보았다.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기간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최종표본 3,848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첫째,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이면 품질관리검토자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수행이사, 등록 및 수습공인회계사, 전산감사・세무・가치평가의 전문가의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또한 총감사시간도 증가하였다. 둘째,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많은 기업은 모든 직급의 감사투입시간이 증가하였고, 또한 총감사시간도 증가하였다. 셋째, 기업지배구조 및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변수는 주로 품질관리검토자, 등록 및 수습공인회계사의 감사시간 그리고총감사시간과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서의 결과들은 ESG 등급으로 분석해도 일관된 증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추가분석에 따르면 앞서의 결과들은 non-Big 4 감사인보다는 Big 4 감사인 표본에주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직급별 감사시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기업지배구조와 외부감사인의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 역시 직급별 감사시간에 차별적 영향이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선행연구에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북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북한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정보 이용의 사사화(私事化)

        이호규 ( Ho Kyu Lee ),곽정래 ( Jeong Rae Kwak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북한사회 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이용 양태를 규명하기 위해 북한의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조건을 탐색하고, 나아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작동 메커니즘과 이를 통한 다양한 행위자의 정보 이용 양태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단일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에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새로운 등장으로 복합적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모형은 단(單)허브 형태인 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로서 선전선동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다르게 네트워크 민주모델인 다(多)허브형 네트워크와 탈(脫)허브형 네트워크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는 에이전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Agency Communication Network-ACN)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민주모형에 가까운 수평적 구조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노드로 연결된 행위자들의 정보 이용 사사화(privatization)는 북한사회 내 개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비공식적 확장과 북한주민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세계에의 참여양식의 질적 변동을 가져왔으며, 북한사회의 하위노드 사이를 매개(agency)하는 지역간·부문간·영역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촉진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newly emerging both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attern of information usage in North Korea. For the above research question, this paper has studie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communications surrounding North Korea. Additionally, this research aims to delve into the mechanismof new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the analyses of the pattern of information usage of actors. It is found that North Koreans enjoy the multi-network structure, which means that the influences of hierarchical mono-hub network used to be found before ArduousMarch are not working well. The multi-network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Agency Communication Network(ACN) which is the middle formof multi-hub network and post-hub network of horizontal network. Due to the ACN, the people of North Korea can access diverse information from outside countries. Furthermore, they can communicate as free as they want within the structure of ACN. However, there has emerged severe vigilance from the government to block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with the ACN. Even though the monitoring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by government, the people of North Korea enjoy the privatization of information flow in the ACN, which enables themto exchang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with other peoples. It is concluded that the society of North Korea has been moving fromtop-down command society to the quasi-horizontal communication society crossing over regions and sectors.

      • 사회구조와 의미론

        이남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Luhmann approached "semantics" by raising issues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hereas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explained the relationship through "subjection of existence" concept, Luhmann focused on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First of all, he explained the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based on "complexity" concept. With the characteristic of rising social complexity,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become correlated through particular mediums and forms. Social complexity reflects the situations, roles and differentiation of partial systems contained in semantics. On the other hand, semantics respond with concepts of "contingency" of "operation" that limits selectivity of “communications” and complexity of social systems. Luhmann classified social types in accordance with degree of social complexity. In societies stratified with hierarchy, special semantics are created, since communications are usually done within each social class. In today's society with differentiated functions, exclusive semantics appropriate for each functional system are established, becau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followed within the functional systems.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are inter-dependent because the process of their differentiation is based on their structural coupling. Such inter-dependence is a prerequisite of their individual "evolution." Semantics that are structurally linked to social systems can affect them, and semantics are affected by the disturbance of social systems. Evolution of semantics always remain at a "self-reference" level in everyday social life, and its exclusive stimulation is ensured only through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uctures. Social systems tend to rely on semantics in order to maintain communications, the basic operational mediums in society. Through such structural coupling, the “variability of historical and circumstantial distin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can be recognized. However,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plore semantics as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f meanings and structural coupling concepts from the standpoint of "systems theory". First of all,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meaning of systems theory and semantics. Next,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ill be analyzed by explaining the accessibility of meanings and their three different aspects, based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systems theory. Finally,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with "systems" and "environment" will be explored through functions of semantic concepts in connection with structural coupling. 루만은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서 전통적 지식사회학과는 다른 문제제기로 “의미론”에 접근하고 있다. 전통적 지식사회학이 “존재의 피구속성”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면, 루만은 오히려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루만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복합성”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복합성의 상승을 그 특징으로 하는 사회구조와 의미론은 특정한 매체와 형식을 통하여 그 변화관계를 형성한다. 사회적 복합성은 의미론이 함축하고 있는 상황, 역할이나 부분체계의 분화를 반영한다. 반면에 의미론은 사회체계의 복합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선택가능성을 제한하는 “조작”의 “우연성”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응답한다. 루만은 사회복합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위계질서로 계층화된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계층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에서는 특별한 의미론이 형성된다. 오늘날과 같이 기능분화된 사회에서 의미론은 특히 기능체계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궤적을 따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체계에 적절한 독자적인 의미론이 형성된다.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구조적 연계는 의미론과 사회구조가 분화 되는 과정에서 서로 그 필연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관계에 있다. 이러한 의존성은 각기 “진화”를 하기위한 전제조건이다. 사회체계와 구조적으로 연계된 의미론은 사회체계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의미론 자체는 다시 사회체계의 교란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의미론의 진화는 언제나 일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자기준거"에 머물러 있으며, 사회구조의 분화를 통해서만 독자적인 활성화를 보장받을 수 있다. 사회체계는 다시 그 기초적 조작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의미론에 의지하고 있다. 이처럼 구조적 연계를 통하여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상황적 구분의 가변성”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의 목적은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의미의 기능분석과 구조적 연계 개념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해석패턴”으로서 의미론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선 이 글은 체계이론의 의미와 의미론을 살펴 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체계이론의 조작적 개념을 토대로 의미의 접속 가능성과 의미의 세 가지 차원을 설명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 개념의 기능을 통하여 “체계”와 “환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석패턴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공공기관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상철 대한지방자치학회 202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공공기관Ⅰ유형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첫째, 공공기관Ⅰ유형 10개 기관의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문 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관 계에 대해서는 하향적 커뮤니케이션과 상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하 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정서적 몰입과 유지적 몰입 모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는데, 상향적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분석되지 않았다. 셋째, 상향적 커뮤니케이 션과 하향적 커뮤니케이션 모두 집단문화와 개발문화를 매개로 하여 정서적 몰입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소통을 활성화시키는 오피스의 공간구조 요소 도출을 위한 분석 틀 정립에 관한 연구

        이재영,이재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기업에 있어 창의성, 협업의 중요성과 기업구성원의 측면에서는 만남과 소속감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지속가능한 일터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인식으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오피스 건축에 있어 비공식적이고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건축 공간구조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 과정으로 관련된 이론 분석과 근거를 제시하여 분석과 검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공간구조 요소의 종합적인 분석 틀을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여 오피스 내에서 발생하는 소통에 대한 정의와 관련 연구의 경향을 고찰하고 다음으로 특히 비공식적인 소통과 관련된 연구 내용의 분석을 수행하여 계획적 요소를 정리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주요 과정으로 이론적 근거를 통해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구조 요소를 도출하고 세분화한 공간구조 요소와 소통적 특성을 종합하여 기초적인 공간구조 요소에 대한 분석 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비공식적 소통을 활성화하는 공간구조 요소를 크게 세 가지 요소 즉, 오피스 기준층 내에서 소통을 위한 수평적 공간구조 요소, 층간 연결 방식에 의한 수직적 공간구조 요소, 마지막으로 수평과 수직적 조합을 통해 발생하는 통합적이고 유목적인 움직임에 의한 소통을 활성화하는 통합적 공간구조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항목을 설정하였다. 우선 수평적 공간구조는 움직임에 따른 경로 및 영역 중첩, 공간의 연결구조, 움직임과 시각적 교류의 정도를 만들어 내는 공간의 위상의 세 가지 항목으로 세분하여 설정하였다. 다음 수직적 공간구조는 수직적 움직임의 연결 유형과 시각적 연결 유형으로 항목을 세분하였고 마지막으로 통합적 공간구조는 공간적 조정과 기능적 조정으로 세분하여 분석항목을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세분된 분석 항목에 대한 분석 내용과 방법 및 각 항목이 의미하는 소통적 특성을 밝히고 정리하여 종합적인 분석의 틀을 정립하고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소통을 활성화하는 계획적 요소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오피스의 기준층에 국한하여 업무공간의 레이아웃과 관련되거나 수직적 연결과 관련해서는 주로 보이드의 형태와 이용, 환경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지엽적인 연구대상과 계획요소에서 벗어나 보다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소통을 활성화하는 공간구조 요소에 대한 분석의 틀을 도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된 의의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은 건물 전체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소통의 활성화는 물론 건물 조건에 따른 적용에 있어 선택성을 가질 수 있어 적용성에 있어서도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for modern companies and the shift toward sustainable workplaces that are based on meeting and belonging in terms of corporate members. It followed a fundamental research process to derive architectural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that enable informal and daily communication in office architecture and presents relevant theoretical analysis and evidence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work of communication-enabling spatial structure elements. (Method)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to examine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in the office and the trends followed by related studies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tudie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informal communication, to organize the planning elements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study. Next, it derived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communicatio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established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basic spatial structure elements by synthesizing the subdivided spatial structure elements and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Results) The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informal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elements: horizontal spatial structure elements for communication within the office base floor, vertical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rough inter-floor connections, and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communication through integrated and nomadic movements that occu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vels. First, the horizontal spatial structure was subdivided into three items: the overlap of paths and areas based on movement, connectivity of space, and the phase of space that creates the degree of movement and visual exchange. Next, the vertical spatial structure was subdivided into vertical movement connection and visual connection types, and finally, the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was subdivided into spatial and functional coordination. This study then established and presented a framework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by revealing and summarizing the analysis content and methods for the subdivided analysis items and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planning elem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Most existing studies are related to the layout of the workspace and are limited to the base floor of the office or related to vertical connectivity, mainly focusing on the form and use of voids and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by deriving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communication from a mor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individual research objects and planning elements. This integrated approach is significant not only in terms of overall communication activation involving the entire building but also in terms of applicability, as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building conditions.

      • KCI등재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대한 연구

        구교태 ( Gyo Tae K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분석결과는 대화 지향적인(conversation-oriented)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가진 사람들은 태도와 행위 의도를 통해 채팅이나 토론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참여 행위와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사회 지향적인(socio-oriented)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가진 사람들은 온라인 정치 커뮤케이션 행위와 어떤 유미의미한 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터넷을 활용한 정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태도는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 의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행위 의도는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행위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정보 절차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는 기존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가정에서 개방적이고 의견을 공유하려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개인의 온라인 정치참여 활동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A surve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nline political communication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from conversation-oriented families te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on online political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the fields of chatting and online group discussion) through attitude and inten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oriented communication pattern and online poli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argues that the domestic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open discussion and sharing ideas would be an important trigger to increase an individual``s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공공간의 유비쿼터스화에 적합한 공공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 연구 - 공공인터페이스 내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분석을 중심으로 -

        김영찬 ( Kim Young C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유비쿼터스는 공간에 대한 단순한 테크놀로지적 이슈라기보다는 공공공간과 공공공간 내 커뮤니케이션구조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90년대 중반 가상공간이 등장하기 전까지 테크놀로지의 한계로 인해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형태로 만들어져 왔던 공공공간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통해 이러한 억압적 구조를 해체시키고 있으며, 유비쿼터스의 상용화는 가상공간의 물리적 한계마저 극복해 내고 있다. 덕분에 물리적으로 단일한 차원이라 여겨져 왔던 공공공간은 유비쿼터스에 의한 시공간의 분절과 연계를 통해 다차원적 공간으로 재창조 되고 있다. 즉 공공공간은 점차 공동체 구성원 각자의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가 공공공간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유비쿼터스가 그 공공공간에 속한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각자의 주체성과 활동성을 보장해 주기는 하지만, 이들에게 부여된 각각의 힘과 욕망을 분배하고 조절하는 문제는 테크놀로지가 아닌 정치적 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공공공간 내 구성원 각자의 자유와 합의를 가능케 해 주는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연구한 후 이러한 구조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점차 유비쿼터스화 되어가는 공공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공공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자유롭고 창의적인 공공공간과 그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한다. Ubiquitous technology is a new paradigm of communication on Public Space. Th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resulted in unilateral and repressive communication systems until mid-1990s before the beginning of cyber-space. The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has dismantled the unilateral communication system. Moreover, the recently developing ubiquitous technology is overcoming the limits of communication in the cyber-space by real mutual communication system. The Public Space which used to be regarded as one-dimensional, has reconstructed as multi-dimensional spaces by communication technology of Ubiquitization. In other words, the ideal of a Public Space that is able to embrace the diversity of the members of its community is coming to fruition. However, ubiquitous technology cannot solve all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current communication system. Although ubiquitous can enliven the subjectivity and activity of all members in Public Space, its results will invariably differ according to the political decisions on how the distribution of power and desire will be controlled. We have to put into consideration how we will analyze and design the Public Space when the communication within it is realized freely and in agreeme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by designing a new public space that is adaptable to the changes of Public Space on Ubiquitization.

      • KCI등재

        정보전달구조에 따른 박물관 전시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보영,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times, museums have not only an educational role of preserving and displaying their collections, but the function to meet and communicate with visitors. That function has become so significant. Therefore, communication of exhibition is required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visitors. It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m. The exhibition should be directed to inform the audience about the subject as contents. In addi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should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continuousness that create, organize, transfer and accept information. Thus, in this study,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is considered as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based on th information design theor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exhibi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as an integrated framework and to arrive at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production through it. (Method) First, the theory of information design is studied. It is understoo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nformation transfer by studying the concept and process of information delivery.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information desig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is studied as an integrated concept.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is interpreted as it and the type of exhibi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tent radio is presented. It is also analyzed to exhibition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production and viewing. Integrated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 is suggested includ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process. Third, the permanent exhibition of domestic museum i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isplay are analyzed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 (Results) Information design is the process of structing and organizing data and delivering it as meaningful information. Exhibition commun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design theory. Information can be constructed from a display director and pres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roduction design sends information to the audience receive it. The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has three contexts, as physical approach to inform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nterest of th audience for creating mean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sponse of audience for interrelationship, focusing on audienc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Conclusions)The museum must communicate with audience through exhibitions and deliver information meaningfully to them. Exhibition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of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that continues in a series and complex structure form production to viewing. Accordingly, exhibition is produced considering an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 cognition of information and interest,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action for mutual relationship. The delivery mechanism of exhibition information will be valuable as a guideline for planning and directing exhibitions for audience.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에 박물관은 소장품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교육적인 역할과 함께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만나고 소통하는 기능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관람객과의 관계를 위한 전시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는데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시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로서 관람객에게 유의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연출되어야 한다. 또한 전시정보전달과정은 정보를 만들고 구성하여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보디자인 이론에 기초하여 전시커뮤니케이션을 정보 전달 과정으로 간주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통합적인 개념으로서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확립하고 그에 따른 전시연출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먼저 정보디자인의 이론을 고찰한다. 정보전달과정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연구하여 정보 전달의 매커니즘을 이해한다. 둘째, 정보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논거로 하여 전시정보전달과정을 통합적인 개념으로 연구한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을 정보전달과정으로 해석하고 정보 함유량 비율에 따른 전시의 유형을 제시하여 전시와 정보디자인의 관련성을 설명한다. 또한 전시정보전달에 관하여 제작과 관람의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정보의 이해 과정까지 포함하여 통합적인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제안하고 전시연출 분석 틀을 마련한다. 셋째, 국내 박물관의 상설 전시를 사례로 선정하고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기반으로 전시연출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정보디자인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정보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정보디자인 이론을 기초하여 전시 정보전달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시연출자에서 정보를 구성하고 연출 디자인이 정보를 수신하는 관람객에게 전송하는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전시 정보전달은 관람객의 정보 수용과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물리적 차원의 정보 접근성, 의미 생성을 위한 관람자의 정보 인지와 관심, 상호적 관계를 위한 관람자의 정보 처리와 반응의 세 가지 맥락을 가진다. (결론) 현대 박물관은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전시는 관람객에게 정보를 의미 있게 전달해야 한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전시 정보 전달 과정으로서 전시 제작에서 관람까지 연쇄적이고 복합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전시는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정보의 인지와 관심, 상호적 관계 형성을 위한 정보 처리와 반응을 고려하여 연출되어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한 전시 정보 전달 구조는 관람객을 위한 전시를 계획하고 연출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실천적 가치가 있기를 기대한다.

      •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경모(Kyungmo Kim)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이 글은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결망 분석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사유와 방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연구의 기본 내용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연결망 분석의 기저에 담긴 관계적 관점과 구조적 분석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결망 관점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 지닌 한계를 연결망 관점에서 비판한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고찰한 뒤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 연구를 개관할 수 있는 메타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해 본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focus on theoretic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guid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has been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mbining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tructural analysis. A body of existing models of communication(e.g., linear mood, interactional model) also has been criticized in comparison with the network mcx:lel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expansion of transactional model. Finally, a meta-theoretical framework is suggested for the overview of research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