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판만화 칸새의 유형별 특징

        이석재(lee suk jae),윤기헌(Yoon Ki H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3

        칸과 칸의 반복을 통해 만화는 그 내용과 이미지를 구동시키고 독자에게 전달한다. 칸은 시? 공간의 단면적 요소를 담고 있으며, 칸의 반복은 이러한 단면들을 연속되는 흐름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속적 흐름을 원활하게 이어주는 역할은 칸과 칸 사이에 존재하는 칸새에 의해 이루어지고 초창기 칸새의 운용은 칸에 의한 수동적 의미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칸새는 단지 칸과 칸을 이어주는 매개체의 역할뿐만 아니라 만화 구성에 새로운 표현 방식을 창출하는 효율적 참여 장치이다. 칸새의 특징적 기능은 만화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하며 만화의 구성에 새로운 연출방식을 제시하며 그 명맥을 이어왔다. 칸새의 특징적 기능으로는 장면전환 기능, 회상 기능, 말칸 기능, 팬 기능, 장식적 기능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이들 유형은 칸새의 직접적인 표현방식으로 만화연출에 능동적으로 기능한다. 이 기능적 요소들은 작가가 의도한 바에 의해 표현되고 서술되는 내용에 따라 그 빈도가 일정치 않지만 보편화된 경우, 작가 개개인의 차이가 누적되어 활용되는 빈도에 따라 새로운 연출구성의 방향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Cartoons exhibit contents and images and deliver them to readers by repeating frames. Frames embody the cross sectional factors of space-time, and the repetition of frames makes those cross sectional factors into a continuous flow. The gutter, which exists between frames, takes the role to make the continuous flow link smoothly, an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gutter, the operating of the gutter was usually passive by the frame meanings. However, the gutter is not just a medium for linking the frames, but is an efficient participation device for creating new expression methods of cartoon organization. By producing new directing methods for cartoon organization,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the gutter have been kept alive with cartoon history.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the gutter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ransition function, reminiscence function, speech balloon function, pen function, and decorative function. And those functions perform actively as direct expression method of the gutter. When those functional methods are expressed by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frequency of them is generalized according to described contents, using each author"s individual differences can suggest direction for new directing organization of cartoons.

      • KCI등재

        웹툰과 VR툰에서의 ‘칸 새’ 특징 연구 - 작품 <옥수역 귀신>을 중심으로 -

        박혜빈,박성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이 논문은 ‘칸 새’가 만화, 웹툰, VR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체변화에 따른 ‘칸 새’의 특징을 보기 위해 웹툰 <옥수역 귀신>을 중심으로 ‘칸 새’ 변화를 분석하였다. 칸 새는 만화에서 웹툰으로 이동하며 칸의 개수와 비율에 변화를 보인다. VR툰의 칸 새는 영상과 같이 일정 시간 출력되는 검은 화면에 가깝다. 만화의 칸 새는 평면 위에 나열된 시각적 형태를 응용해작품과 상호보완적 관계를 보여준다. VR툰에서 칸 새는 스토리 전개와 표현 방법과 연관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기존 만화의 칸 새 특징과 역할을 살펴본 후, <옥수역 귀신> 웹툰과 VR툰을비교해 매체 차이에 따른 칸 새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칸 새의 역할 측면에서 살펴보면, 만화의칸 새는 가로와 세로의 간격에 차이를 두며 가독성과 함께 시간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나타난다. 웹툰의 칸 새는 만화와 유사하게 칸 사이의 여백이자 독자의 시간을 제어해 작품의 서사적 완성을 보조한다. <옥수역 귀신 VR>에서의 칸 새는 360도 공간과 장면을 연결하여 독자의 몰입을 유도한다. 화면 공간 분할 방식에서는, 웹툰은 독자가 상하로 스크롤하는 방식이고, VR툰은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참여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만화, 2010년대 이후 웹툰, VR툰으로의 확장선에서 웹툰 <옥수역 귀신>과 <옥수역 귀신 VR>을 중심으로 매체의 변화로 인한 이미지의 구성과배열, 오브젝트 배치의 변화, 참여자(독자)의 시선 방향에 관해 설명했다. 이 논문은 연구 시작 단계인VR툰과 전통 출판만화와의 유사성을 ‘칸 새’를 중심으로 분석하려 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더 많은 작품의 칸 새와 프레임을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만화에서 사각형 칸의 일반화 원인에 대한 분석

        김종희(Kim Jony)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3

        로돌페 퇴퍼(Rodolphe Toeppfer)가 그림과 글이 결합된 형식을 정의하면서 만화 칸을 이용한 이후로 여러 만화작가들에 의해 만화 칸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정착했다. 그러나 만화 칸이 본격적으로 정의되기 이전에도 만화칸의 형식을 엿볼 수 있는 역사적 기록들이 있었다. 역사적인 기록 속에서 칸은 무형 또는 유형의 사각형으로 발견되어왔다. 우리가 지금 보는 만화 칸은 어딘가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이어진 역사적인 산물이다. 창작자는 이렇게 칸이라고 부르는 틀 안에, 만화의 어휘에 속하는 그림이나 글을 넣는다. 만화 칸은 카메라의 프레임과 비슷하지만 이들과는 달리 가로 세로 비례의 틀이 유동적이다. 창작자들은 다양하게 칸을 이용했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칸을 정형화시켰다. 결과적으로 만화 칸은 대부분 사각형으로 정립됐다. 만화 칸이 사각형으로 굳어져 간 과정에는 인간의 생활양식에 따른 암묵적인 규칙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간 문명을 이루는 수많은 도형 중에서 만화 칸이 사각형으로 이뤄지게 된 원인이 무엇일까? 본 논문은 이 같은 물음을 근거로 사각형의 형태를 기준으로 이뤄지는 인간의 생활체계를 알아보고 어떤 장점이 만화 칸을 사각형으로 정립되게 만들었는지 연구해 볼 것이다. Rodolphe Toepfer invented cartoon frames and following cartoonists developed this idea. But cartoon frames defineed before in historical documens and artifacts give a hint of the structure of a cartoon frame. In historical documents and artifacts show various form of the quadrangle frames. Now we see the cartoon frame is a result of historical things. Artists input in the framework, dubbed as a cartoon frame, all kinds of icons that belong to cartoon’s language. Readers accept messages that artists want to say by considering this formation. Although cartoon frames are similar to camera frames they are more flexible than other general frames. By this flexibility, different shapes of frame influence reader’s experiences. Applying these various cartoon frames extends function of framework. And if used by many cartoonists, you gradually get a rule. A time-tested rule standardizes it. In theory, shapes of frame are changeable in many ways. But frequently used frames are standardized in just one formation. In the process, I think it is a tacit rule of human lifestyle. That is a quadrangle. Why is the quadrangle chosen by a long term polished rule of frame? This study is to realise why a quadrangle form is used and its relation to human lifestyle.

      • KCI등재

        삼강행실도의 만화칸과 칸 사이 형태 분석

        박경철(Keong-Cheo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조선 시대 인쇄물인 삼강행실도는 세계 만화역사에서도 이른 시기인 1434년에 간행되었다. 삼강행실도에는 만화기호인 ‘만화칸’과 ‘칸과 칸 사이’가 등장한다. 만화기호인 만화칸의 상징성 못지않게 칸과 칸 사이도 만화기호에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만화역사의 측면에서 보면 칸이 등장한 후, 칸과 칸 사이가 등장한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 상징적 근거들을 찾아 밝힘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의 역사적 근거가 다져질 것이다. 삼강행실도에서는 칸과 칸 사이의 형식적인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구름칸과 구름칸 사이’이며, 두 번째는 ‘구름칸과 배경칸 사이’이다. 삼강행실도의 두 가지 유형인 칸과 칸 사이는 현대 만화와 비교할 때 모양이나 연출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칸과 칸 사이의 의미는 유사하다고 하겠다. 이처럼 본 연구는 삼강행실도의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만화기호 중에서도 칸과 칸 사이에 초점을 맞추어, 삼강행실도의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증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was published in Joseon Dynasty period in 1434, relatively early days of comic history in the world.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have symbolic meaning as comics frames have in the area of symbols of comics. After comics frames appeared, it was likely that the advent of the gaps between frames had its own value in the aspect of comics history. Historical backgrounds of domestic comics would be built on firm base led by studying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Two forms of the gaps between frames were shown in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The first form is the gap between cloud frames. The second is the gap between cloud frame and background frame. Although a little difference is found in the shape and display, two forms of the gaps between frames in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have a similarity to modern comics.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valid background for the domestic history of comics by means of analyzing the shapes of the gap between comics frames in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aning of the shapes of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focusing the gaps between frames among symbols of comics.

      • KCI등재

        만화에서 나타나는 분할화면(칸나누기)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만화 연출에 있어 칸의 분할은 중요한 요소이며 분할된 칸은 만화의 최소 단위이다. 분할된 칸은 그림이나 글 또는 빈 공간으로 처리된다. 칸은 만화의 종류나 작가의 의도에 따라 하나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고 두 개, 세 개, ... 수 개로 분할되어있기도 하다. 이때 분할된 칸의 기본 형태는 사각형이지만 장방형, 사다리꼴,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분할화면’ 은 하나의 화면에 수직 혹은 수평으로 화면을 나누어 분할 하는 것이다. 만화의 연출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칸을 만드는 것은 그림과 대사만으로 설명하기 부족한 부분을 보충시키고 입체적인 흐름을 만드는 작용을 한다. 한편 ‘웹툰’에서는 기존의분할된 칸을 벗어나는 표현을 하고 있다. 이는 웹에서 독자들이 만화를 보는 방법에 따른 표현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인 분할화면 칸의 형식을 보면 1칸 화면은 전면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고, 2칸 분할화면은 화면을 가로 2개로 분할하거나 세로 2개로 분할한다. 3칸 분할화면은 화면을 가로나 세로 3개로 분할하기도 한다. 4칸 분할화면은 화면을 가로나 세로 4개로 분할하기도 한다. 5칸 이상 분할화면은 화면을 가로나 세로를 5개로 분할하기도 하며 가로, 세로 섞어서 5개로분할하기도 한다. 그리고 웹툰에서는 기존과 같은 좌.우 화면분할 칸 나누기 방법이 아니라 상.하로 이어 붙인다. 이는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 형식에 맞는 표현으로 책장을 넘기는 가로형식에서 스크롤 방식의 세로 형식으로 바뀌었다. 만화에서 분할화면의 특성은 내용의 ‘축약성’, 분할된 칸으로 인한 ‘복잡성’, 칸과 칸사이의 틈인 ‘여백’, 두 개 이상의 시간과 공간을병치하는 ‘동시성’, 시간의 흐름이 나타나는 ‘시간성’, 내용의 연결과 충돌을 나타내는 ‘연결과 충돌’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테즈카 오사무의 만화 『죄와 벌』에 나타나는 칸의 이미지

        김동호(Dongho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본 연구는 칸의 이미지에 대한 것이다. 칸에 나타나고 있는 모든 만화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다. 그럼으로써 칸을 구성하고 있는 글과 그림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함이다. 테즈카 오사무의 『죄와 벌』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원작으로 한다. 이 이야기에는 액자구성의 이야기가 독특한 칸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 액자구성식 이야기의 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액자구성식 이야기는 ‘라스콜리니코프의 논문’, ‘어머니의 편지’, ‘불나방 이야기’를 들 수 있다. 이 이야기에서 칸은 나름대로의 형태를 추구한다. 이 과정에서 칸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글과 그림은 칸의 이미지를 결정짓는다. ‘라스콜리니코프의 논문’은 칸의 밖에 글이 존재한다. 라주미힌과 포르피리가 라스콜리니코프의 논문에 대해 언급하는 과정에서 논문의 내용이 소개되는데, 글과 그림이 상호보완적이다. ‘어머니의 편지’에는 말풍선의 쓰임이 특징적이다. 라스콜리니코프가 어머니의 편지를 읽는 것인데, 연속적인 칸의 일부로 받아들여지며 칸의 이미지가 특별하게 다가온다. ‘불나방의 이야기’에서는 불로 뛰어드는 불나방의 속성을 빗대어 글로 된 설명이 없이도 이야기를 전달한다. 특히, ‘어머니의 편지’에서 꼬리가 없는 말풍선과 꼬리가 있는 말풍선의 대조적 쓰임새는 이야기의 전달과정에서 이야기 대상의 중요성과 직접성에 대해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전달되는 이야기의 주관성에 대해 다루며 칸의 이미지에 대해 재고해 보게 한다. 아울러, 테즈카 오사무의 만화 『죄와 벌』에서 액자구성식 이야기의 특징은 다른 만화와도 비교된다. 그 과정에서 테즈카 오사무의 만화적 특징은 확연해진다. 다수의 경우, 소설 『죄와 벌』의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데 치중한다. 칸의 이미지가 하나의 형태로 정해져 있지 않는 만큼, 하나의 작품속에서 칸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은 작품 전체와 유기적으로 교류하며 칸의 이미지를 확장시킨다. 테즈카 오사무의 『죄와 벌』에서 칸은 원작과의 상호텍스트성을 유지하면서도 만화적 요소들을 통해 만화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해 낸다. This study is about images of a panel. This is the study of all the comic elements appearing in a panel. And it is also to analyze the words and pictures in a panel at the same time. In Tezuka’s Manga, framed story is represented by distinctive images. So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a panel in a framed story. In this Manga, framed stories are ‘paper of Raskolinikov’, ‘mother’s letter’ and ‘garden tiger moth story’. In each of the story, a panel seeks to form its own story. Words and pictures that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elements in this process determine the image of a panel. In the ‘paper of Raskolinikov’ words exist out of a panel and ‘Mother’s letter’ is characterized with the use of various speech balloons. In addition, in the ‘story of the garden tiger moth’ is not found the presence of words. As the image of a panel is not decided in one form, the various elements that make up panels in one work organically exchange impacts with the whole works and extend the entire field of a panel as image. Moreover, the panels in Tezuka Osamu’s Manga 〈Crime and Punishment〉 realize the properties of comic devices, while maintaining the intertextuality of the original.

      • KCI등재

        웹툰에서 1화 마지막 칸과 2화 첫 칸의 연결 관계

        이원석(Yi, Won-Su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3

        만화는 ‘연속된 칸의 배열’이라는 명제에서, 이 연구는 출발한다. 연속된 두 칸 이상의 이미지가 연결되어 어떻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지, 앞 칸과 뒤 칸의 연결 관계는 어떠한 지 등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다. 우리나라 만화는 웹툰의 시대를 지나가고 있다. 과거 출판만화 시대의 단행본이나 잡지를 거쳐, 온라인이나 모바일에 게재되는 만화를 즐기는 시대로 이미 접어들었다. 웹툰 또한 연속된 칸의 배열로 구성된다. 단지 그 방향과 모양, 길이 등이 출판만화와 다른 점을 보인다. 이에 연구자는 연속된 두 칸의 연결관계를 다시 한 번 규명하려 한다. 특히 한 화 혹은 한 에피소드에서 칸의 연결에 관한 연구를 넘어서, 연재되는 두 화로 확장시켜 앞 화의 마지막 칸과 다음 화의 첫 칸의 연결 관계가 어떠한 지 살펴본다. 이 연구에서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 연재하는 웹툰 100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특히 작품의 1화 마지막 칸과 2화 첫 칸을 분석하였다. 첫 화를 분석한 이유는 독자를 사로잡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연재 첫 화라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분석의 최대 관심은 두 칸이 연결성 측면에서 ‘연결’인가 또는 ‘단절’인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6년 현재 대표적인 모바일만화 플랫폼 레진코믹스와 탑툰의 작품을 20여 편 분석하여 웹툰과 모바일만화에서 칸 연결의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연재만화의 한 화의 마지막 칸은 그 화를 정리하는 기능과 동시에 다음 화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다음 화의 첫 칸은 전 화의 이야기를 이어가는 임무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 두 칸은 적어도 대개 일주일이라는 시공간적 간극을 연결시켜야 한다. 첫 칸이 전 화의 이야기를 떠 올리게 하는 것이 쉬운 연결 기술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이것은 온전한 작가의 몫으로, 작가는 어느 지점에서 한 화를 마무리하고 다음 화로 넘어갈지 고민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재되는 만화의 시공간적인 간극을 칸이 어떻게 연결하는 지에 관한 유형을 통계로 제시함으로서 칸 연출의 연구 범위를 칸과 칸의 연결에서 에피소드와 에피소드의 연결로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술적으로나 만화 연출 상으로 두 화를 어떻게 연결하는 지에 관한 고민을 다소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First this research starts with agreement that comics is ‘the sequential art’. It means that over two sequential panels makes how to recognize the story and this research owes to the connection of forward panel and backward panel. Webtoon, internet comics is also consisted to sequential panels. But only it is different with the publish comics by direction, shape, length and so on. So this research tries to make point of the connection between first panel and second panel. Especially it researches what types of connections between the last panel of first episode and the first panel of second one beyond the connections of panels at only episode. This research treats the types of gutter, ‘connection’ means to continue the same scenes or ‘separation’ does to devide the story and shows the new scenes. Weekly webtoon must have a kind of break time. The first panel of next episode should remind of the former story, it means easy technique. Otherwise some first panel don"t show the same scenes or story so this study researches 130 artworks from the portal sites; Naver, Daum, mobile comics platform; Lezhin Comics and Toptoon, Corea.

      • KCI등재

        웹만화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손혜령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1

        Comics of 20C was 'paper comics' and comics of 21C is webcomic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matter of 'space' which includes frame, page, canvas, et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web space when creating or producing webcomics and other digital environment based contents, The 'frame' of comics separate the time and space from the whole comics. The array of frame and frame makes comics, and give a meaning to them. And sometimes, frames themselves have their own meaning. The 'outside of frames' means either of margin between frames and 'meta panel'. Both of paper comics and webcomics have same function at the inside of frame. But webcomics become have a bigger chance of changing the shape and size of frame. and the border of inside and outside of frame become blur. The outside of frames in webcomics also plays the role of seperating time and of meta panel, but the capability of change become more bigger. In the case study of space in webcomics, they have proved their ability to change themselves and adjust to escape from paper comic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in digital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lmost only one dominant form of Korean webcomics that long and narrow canvas. More case study and analysis of web environment are needed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webcomics and web based contents. 지난 20세기가 종이만화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웹만화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 만화와 구별되는 웹만화의 특성을 특히 칸, 페이지, 캔버스 등으로 불리는 ‘공간’ 활용에 중점을 두어 살펴봄으로써 웹만화 창작을 비롯한, 디지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생산에 공간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화의 ‘칸’은 전체 만화로부터 일정 시간과 공간을 분리해 내는 역할을 한다. 만화는 칸과 칸의 배열에 의해 만들어지고, 배열로부터 의미를 갖게 된다. 또한 때로는 칸이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때도 있다. 만화의 ‘칸 외부’는 한 칸과 인접한 다른 칸을 분리시키는 ‘여백’을 뜻하기도 하며, 칸들의 상위 칸(meta panel)을 뜻하기도 한다. 웹만화의 칸 내부는 종이만화와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칸의 모양과 크기는 더욱 큰 변화가능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만약 만화의 전통적인 칸 문법을 계승하지 않은 경우, 칸과 칸 외부의 경계 구분조차 어려울 수 있다. 웹만화의 칸 외부 공간 역시 분리의 기능과 상위 칸으로서의 기능을 계승하지만, 변형될 수 있는 여지가 훨씬 커졌다. 국내외 웹만화의 공간 활용에 관하여 사례연구를 한 결과, 만화가들은 디지털 환경이 열어준 가능성을 탐색하고, 종이만화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무한한 가상공간의 활용이라는 면에서, 웹만화들은 어느 정도 그 역량을 입증시키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우리나라 주류 웹만화의 경우 디지털 환경의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다소 획일적인 종 스크롤 형태를 띠고 있어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더욱 다양한 사례연구와, 여러 관점에서의 웹 환경 분석, 그래픽을 위한 웹브라우징 툴의 개발 등을 통해 웹만화 및 웹 기반 컨텐츠들이 그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로마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6

        본 논문은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로마에서의 건축적 경험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벽돌과 콘크리트의 두터움과 외부형태에서 보이는 매스감은 칸은 건축을 고전적인 인상의 건축으로 각인시키고 있다. 칸 건축의 평가에 있어 역사와 기술간의 조화를 도모하였다는 평가는 칸의 건축에 역사적 건축의 흔적이 내재하고 있으며, 고전 건축이 칸 건축의 기본적 근간이 되고 있음을 말한다. 칸이 유럽으로의 여행을 통해 고대건축의 유적이 보여주는 특징을 자신의 건축에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고, 칸이 로마의 여행이 단순히 건축적 답사가 아니라 자신의 건축적 사고 형성의 배경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내용은 칸의 건축적 개념 및 건축작품에서 보이는 특징과 로마 건축의 인상의 관계를 해석하는 것은 내용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막연하게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고전적인 인상의 배경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at the architecture of Louis Kahn is inspired by his architectural experiences in Rome. The thickness and external mass through brick and concrete in the architecture of Kahn gave many people the classical image. Kahn has included the historical trace of architecture into his architecture, and has valuated to harmonize both the history and technology. It means that the classic architecture is the fundamentals of Kahn’s architecture. Kahn re-interpreted the features of the classic architecture remained as ruins through Europe travel, and shows them to his architecture. Kahn’s trips throughout Europe were not exploration, but they provided inspiration for his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interprets the relation between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features of Kahn and the impression of Roman architectur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more extensive potential of the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for Kahn’s architecture as tracing the backdrop of the ambiguous classical impression in the architecture of Kahn

      • KCI등재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金浩東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1295년에 즉위한 가잔 칸은 훌레구 울루스의 전반적인 危機를 타파하기 위해 稅制, 土地制, 度量衡, 文書行政 등 제반 부문에 걸친 개혁을 단행하였는데, 驛站制도 그 개혁대상의 하나였다. 가잔 칸의 驛站制 改革은 기본적으로 위의 두 가지, 즉 使臣數의 削減과 地方官 非理의 剔抉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그래서 첫째, 諸王.駙馬.大臣들이 獨自的으로 使臣을 파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칸의 署押.印璽가 있는 札子를 소지한 사람에게만 驛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驛站에 제시할 身分證이라고 할 수 있는 牌子도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중앙에서 제작된 것만 통용되도록 하였다. 둘째, 地方官이 주민들로부터 각종 세금을 거두어서 使臣이 필요로 하는 經費를 충당하는 방식을 혁파하고, 稅制改革의 일환으로 작성된 租稅臺帳을 토대로 각 지방에서 거두어진 세금을 갖고, 使臣들이 필요로 하는 糧食을 구입할 수 있는 經費를 정부가 직접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 백성들로부터 거둔 세금으로 驛站經費를 충당하기 때문에 그것이 國家의 책임이라는 점에서는 과거와 다를 바가 없지만 그 徵收.支給過程을 중앙정부의 철저한 管理・統制 하에서 수행하고, 使臣들이 地方官이나 백성들로부터 필요한 물자를 직접 요구하는 慣行을 타파하였던 것이다. 가잔 칸의 驛站制改革은 한마디로 말해서 使臣의 派遣과 驛站經費의 調達을 종래 分權的인 형태에서 中央集權的 형식으로 전환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驛站 糧食經費의 官給, 各種 牌子의 外形, 鋪馬札子의 發給, 印信의 收掌과 捺印, 急行傳令의 運營方式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디테일한 측면까지 쿠빌라이 치하 카안 울루스의 驛站制와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가잔 칸이 추진한 驛站制改革의 모델이 바로 카안 울루스의 제도였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驛站經費를 國家가 支給했다는 한가지 측면에 주목하여 가잔 칸의 改革이 몽골지배 이전 서아시아의 전통적인 역참제도로 의 回歸를 의미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가잔 칸의 傳令制가 맘룩크朝의 바리드制를 모방했을 것이라는 주장은 더욱 수긍하기 힘들다. 가잔 칸이 쿠빌라이 死後 종래 정치적으로 대칸에 대한 從屬的인 지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君主로서의 位相과 權威를 지향하였지만 ‘몽골의 전통’은 그에게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Ghazan Khan who became khan of Hülegü Ulus in 1295 carried out a series of reforms in order to overcome an overall crisis. The reform of yam (potal relay) system was one of such measures, along with other reforms in taxation, land-tenure, chancellery practice, etc. The goal of yam reform was basically twofold: the reduction of ilchis (envoys) and the eradication of extortion of local officials. Therefore, first of all, he ordered only ilchis who were carrying the paizas with appropriate seals and signatures should be dispatched and could use the yam facilities. No one except for khan himself was allowed to issue those paizas, so the members of royal family or high officials were not able to dispatch envoys without khan's permission. And secondly, Ghazan Khan suspended the traditional practice of collecting yam expenses in a very arbitrary manner. Hitherto the local officials collected such expenses whenever they wanted and there was virtually no limit in the amount they demanded. Ghazan ordered the necessary expenses should be covered by the budget of the central government. Thus, we can say that Ghazan Khan's reform of the yam system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centralization, especially in terms of the dispatch of envoys and the expenditure of the costs. It is extremely interesting to note that many details in his reform show a striking similarity with those of the yam system in the Qa'an Ulus, such as official purveyance of provisions, the shapes of various paizas, the issue of postal documents, the method of safekeeping and stamping of seals, the way of maintaining express envoys,e tc.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hat Ghazan's reform of yam system was modelled after the yam system of the Qa'an Ulus. It is hard to consent to the opinion that his reform signifies the return to the traditional Islamic postal system and it was modelled after that of the Mamluks. It is true that Ghazan Khan sought after the independent status of his sovereignty, not subject to the great Qa'an, but at the same time the Mongol tradition and unity were still very important and influential to him, as evidence by his reform of the yam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