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메룬과 나이지리아간 Bakassi반도의 주권에 관한 분쟁해결의 분석 및 평가

        김채형(Chai-Hyung KIM)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3

        카메룬과 나이지리아간 분쟁사건은 Bakassi반도의 주권에 관한 분쟁으로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양자간 협상에 의해 해결하기 위하여 몇 년간 노력하였으나 이에 대해 진전이 없었으며, 나이지리아가 Bakassi반도의 대부분을 군사점령하게 되자 카메룬은 1994년 3월 29일 나이지리아를 ICJ에 제소하였다. 이후 기니만 해역의 해양경계획정문제가 추가되었으며, 그리고 Chad호수지역에 대한 주권문제와 Chad호수부터 해안까지 양국간의 육지영토의 구체적인 국경선 획정문제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양국간 국경선 전체에 대한 분쟁이 ICJ에 부탁된 것이다. 2002년 10월 10일 ICJ는 동 분쟁사건에 대한 판결을 하였는데, 이 판결에서 양국간의 분쟁의 중요한 쟁점이었던 Bakassi반도에 대하여 그 주권이 카메룬에 있다고 판결하였다. ICJ는 영토취득의 권원으로서 나이지리아가 주장하는 권원의 역사적 강화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나이지리아의 실효적 지배의 주장보다 영토에 관련된 카메룬의 국제협정상의 권원이 우월하다는 점을 밝혔다. 이 판결에 대하여 나이지리아는 자국의 주장들이 배척된데 대하여 격렬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래서 UN사무총장은 ICJ가 판결을 내리기 전에 양국의 대통령간의 회합을 주선하였는데, 이러한 회합에 따라 양국의 대통령은 Bakassi반도에 대한 ICJ의 판결을 존중하고 이행할 것을 합의하였으며, UN의 도움으로 판결내용의 이행메카니즘을 마련하고, 상호간의 신뢰를 강화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며 Bakassi반도 문제에 대한 도발적인 선언들을 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ICJ의 판결이 선언된 후, 양국의 대통령은 ICJ의 판결을 이행할 방법을 강구할 공동위원회의 설립에 합의하였다. 몇 년간에 걸친 공동위원회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Bakassi반도의 권한이양은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으며, 2006년 6월 카메룬과 나이지리아간에 Green Tree조약을 체결하여 Bakassi반도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권한을 이양하는데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조약의 증인으로서 UN사무총장, 독일, 미국, 프랑스, 영국의 대표들이 서명하여 조약의 이행을 감독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조약에 따라 2008년 8월 나이지리아는 Bakassi반도를 카메룬에게 이양하였다. 본고에서는 카메룬과 나이지리아간 분쟁에서 특히 첨예한 대립이 되었던 Bakassi반도의 주권에 관련한 ICJ의 판결을 쟁점사항별로 분석하고, 판결의 이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마련된 이행메카니즘으로서 공동위원회의 활동과 양국간의 협상내용을 검토하였다. Nigeria and Cameroon have disputed the possession of Bakassi for some years, leading to considerable ten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More armed clashes broke out in the early 1990s. In response, on March 29, 1994 Cameroon filed an Application instituting proceedings to the ICJ against Nigeria concerning a dispute described as "relating essentially to the question of sovereignty over the Bakassi Peninsula". Cameroon also requested the ICJ "to specify definitively" the frontier between the two States from Lake Chad to the sea, and asked it to join the two Applications and to examine the whole in a single case. Thus a dispute case relating to the question of whole frontier between two States is submitted to the ICJ. On October 10, 2002 the ICJ decided this case in which sovereignty over Bakassi Peninsula lies with Cameroon. The ICJ did not accept Nigerian assertion of long occupation constituting an historical consolidation of title as the title of territorial acquisition, and pointed out that the treaty title of Cameroon related to the Bakassi Peninsula prevails over Nigerian effectivites in Bakassi Peninsula. As to the this judgment, Nigeria expressed a violent passion because Nigeria assertion was rejected in the proceedings. Thus Secretary General of United Nations arranged a meeting between the two States before the ICJ decided the case, and, according to the meeting, the Presidents of the two States agreed to respect and implement the ICJ judgment. After declaring the ICJ judgment, the Presidents of two States agreed to the establishment of Joint Commiss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judgment. Despite of the efforts during several years of the Joint Commission, the transfer of sovereignty over Bakassi Peninsula is not normally progressed. The Green Tree Agreement between two States was signed on June 12, 2006 in which Nigeria agreed to withdraw all its armed forces from the Bakassi Peninsula and to transfer the sovereignty over Bakassi Peninsula to the Cameroon. This agreement is witnessed by the Secretary General of United Nations, Germany, Franc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is Agreement, Nigeria handed the Bakassi Peninsula over to Cameroon on August 14 2008.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important issues of the ICJ judgment relating to the question of sovereignty over the Bakassi Peninsula and the activities of Joint Commission which is establishe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ICJ judgment.

      • KCI등재

        아프리카 카메룬 진출 외국인 투자기업의 글로벌 공급 사슬 장애 요인분석

        김창현(Kim, Chang Hyun),체 퓨베 엠마뉴엘 드바인(Che Fube, Emmanuel Divine),알리오니 크리스토퍼(Alioni, Christopher),박병인(Park, ByungIn)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아프리카 카메룬의 글로벌 공급망 장애를 조사하여 외국인 투자기업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카메룬에 필요한 국외 자본 및 외국 기업의 투자유치 등 경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요인분석, 회귀 분석 및 중요도-성과 분석(IPA)으로 구성된 결합 접근 방식을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으로 15개의 연구 변수를 분석하여 운영, 운송 및 네트워킹 구성 요소로 명명한 공통 요소를 추출하였다. 카메룬에서는 네트워킹요인의 심각성이 3.24로 가장 높았고, 운송요인이 2.97로 두 번째로, 운영요인이 평균 2.55로 가장 낮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세 가지 공통 요인이 카메룬의 글로벌 공급 사슬에서 전체 문제의 77.9%를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준 회귀계수 분석 및 중요도-성과 분석으로 판단할 때 글로벌 공급 사슬 장애 중 네트워킹 구성 요소가 외국투자 회사들에 가장 긴급하며, 운송 요소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카메룬 정부와 이해 당사자들은 네트워킹 구성 요소와 함께 운영 구성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실행 전략을 통하여 외국인 투자기업을 위한 비즈니스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lobal supply chain barriers in Cameroon to analyze their impact on the operations of foreign-invested, and to establish strategies to achieve economic growth by attracting more overseas capital and foreign firms’ investment by the government and stakeholders. A hybrid methodological approach entailing Exploration Factor Analysis (EFA),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establish strategies. In condensing the fifteen study variables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mmon factors such as operating, shipping, and networking components were extracted. In Cameroon, the networking factor was the highest at 3.24, the shipping factor the second at 2.97, and the operating factor at 2.55 indicating the lowest average sever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hree common factors can account for 77.9% of the overall problems in the global supply chain in Cameroon. It also confirmed that while networking component among the global supply chain obstacles are critical to foreign investment firms, the shipping factor is relatively less important when judging from the standard coefficients of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ified IPA technique. As such, immediate corrective actions to improve the operating and networking common factors should be undertaken by the Cameroonian government and stakeholders to create a thriving business friendly environment for foreign-invested companies.

      • KCI등재

        국제법상 문명론의 현대적 함의

        오시진(OH Sijin) 대한국제법학회 2015 國際法學會論叢 Vol.60 No.2

        현 국제법체계에서 “문명”이란 개념은 사문화 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해 다시 논의해야 할 이유가 있을지 의문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국제사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문명 개념이 미치는 영향을 주목할 필요가 충분히 존재한다고 본다. 먼저 국제법적 문제가 발생하는 근거 시점이 19세기나 20세기 초반일 경우에 시제법을 논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는 ICJ가 다수의 사례에서 당시 법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당시 “식민주의적 세계관과 국제법의 정당성을 재확인해주는 위험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적용할 수 있는 카메룬-나이지리아 간 영토분쟁 사건(2002)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 사건에서 ICJ는 시제법에 따라 영국과 나이지리아 부족 간에 체결된 19세기 보호조약의 법적 결과가 오늘날 유효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당시 식민지배 과정에 체결된 다수의 조약에 하자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ICJ의 태도를 이해하기 어렵다. 조약이 강박에 의해 체결되거나 절차적 · 형식적 하자가 있을 경우에는 당시 국제법을 기준으로 보아도 해당 조약의 효력을 당연히 유효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ICJ소수의견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ICJ다수의견이 의미하는 시제법은 당시 유럽 국가들을 규제했던 국제법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의견을 표명했던 Ranjeva 재판관은 당시 국제법이 문명국과 비문명국을 구분하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문명국에게 적용되는 국제법이 있고, 비문명국에게 적용되는 법이 따로 있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보았을 때, ICJ가 의도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당시 식민지배의 법적 결과를 형식적으로 수용하여 당시 식민지배 관련 조약을 유효하다고 한다면, 의도치 않게 유럽 국가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던 문명론 또한 승인하는 결과를 가져올 위험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문명론의 현대적 함의를 간과하기 어렵다. 적어도 ICJ가 당시 식민지배를 정당화했던 국제법을 형식적으로 수용하는 시제법 원칙을 고수하는 한 오늘날 국제 분쟁에서도 문명 개념은 완전히 배제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concept of "civilization" has become a dead letter in today"s international legal system. Therefore, it could be a question whether this concept should be brought to surface once again.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despite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society, there still is a sufficient reason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bove all, when the ground of international dispute is the 19th century or the early 20th century, it is difficult not to discuss the intertemporal law. An issue, however, is that ICJ mechanically applies the law at the time in many cases, and takes the risk of justifying colonial outlook alo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al laws. In this paper, Cameroon v. Nigeria case will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apply the “awareness” of the issue at hand. In the case, ICJ confirmed that "Even if this mode of acquisition does not reflect current international law, 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requires that the legal consequences of the treaties concluded at that time in tire Niger delta be given effect today, in the present dispute."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ere numerous legal defects during the treaty-making procedure in the practice of colonization,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stance of ICJ. If a treaty has serious defect as in the case of duress on tire representative of the treaty-making party, the treaty in concern shall not be effective even by the standard of intertemperal law. What can be deduced from tire minority opinions of ICJ is that ICJ is referring to a different set of international law. Judge Ranjeva points out that the law at the time distinguished the civilized and uncivilized nations; and international law applies to the former while colonial law applies to the latter. Therefore, regardless to the intention of ICJ, if ICJ takes the mechanical approach and take the legal effect of the treaties of the previous century as valid without further deliberation, ICJ is taking the risk of recognizing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s well.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not to overlook tire implication of the civilization discourse in today"s international order. As long as ICJ takes formal approach to 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the concept of civilization cannot be excluded from the current dispute entirely.

      • KCI등재

        카메룬의 정치적 불안정과 국가 통합: 앵글로폰 지역 정체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

        김광수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2 외국학연구 Vol.- No.62

        Unlike other African countries, Cameroon was colonized by several countries, including Germany, France, and Britain, especially France and Britain, which divided and colonized at the same time, giving it a linguistic, cultural, and regional identity and inheriting a legacy of serious division. In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in the 1950s, the Cameroonian nationalist movement began, and efforts toward reunification began, centering on the elite of French Cameroon. On 1 October 1961, a UN-led referendum resulted in the independence of the Federal Republic of Cameroon by integrating the British Northern Cameroon with Nigeria and the British Southern Cameroon with the La Republic du Cameron. However, after reunification in 1961, the Francophone government excluded and marginalized Anglophone. The Francophone government has stimulated Anglophone identity by contextualizing the legacy of divis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maintain power and conducting dictatorship and bad governance. The dissolution of the Union in 1972 and the change of national name to the Republic of Cameroon in 1984 eventually led to the politicization of the Anglophone region. The curr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divide and conflict situation in Cameroon is highly unstable and likely to escalate into a full-scale conflict or civil war.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peace and security in Cameroon must be done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federal system in 1961 and the work of correcting the bed governance that exploits the fragmentation that is a legacy of colonial rule.

      • KCI등재

        카메룬에서 프랑스어의 위상과 사용 실태

        홍미선(HONG, Mi Seon) 프랑스학회 2011 프랑스학연구 Vol.58 No.-

        Cet article a pour but de dresser un état des lieux de la situation sociale et linguistique du français au Cameroun. Le Cameroun est généralement considéré comme le microcosme de l’Afrique. Ceci est plus particulièrement vrai du point de vue linguistique. Trois des quatre grandes familles linguistiques attestées en Afrique y sont représentées et le pays compte près de 300 langues locales. La mosaïque linguistique du Cameroun est encore compliquée par la coexistence de deux langues officielles d’origine européenne, le français et l’anglais, qui sont l’héritage de la double colonisation franco-britannique (1919-1960). Par ailleurs, le contact permanent entre les langues locales et les deux langues européennes a donné naissance à des parlers hybrides, tels que le pidgin english, le camfranglais et le franfulfuldé. Le Cameroun est donc le pays de la diversité linguistique par excellence. Au moment de l’Indépendance, la grande diversité ethnique du Cameroun ainsi que la multiplicité de ses langues locales, sans aucune dominante au niveau national, ont conduit le gouvernement camerounais à maintenir le français et l’anglais comme langues officielles. Ce choix neutre était une solution de compromis, destinée à satisfaire les uns et les autres et à permettre ainsi au pouvoir politique de garantir la paix et l’unité nationale en évitant des conflits interethniques. Le bilinguisme officiel place le Cameroun à la charnière de l’Afrique francophone et l’Afrique anglophone. Or, malgré l’égalité officielle du français et de l’anglais, l’espace public est plus occupé par le premier que par le second du fait de la majorité démographique des francophones. En effet, en règle générale, l’anglais est employé dans les deux provinces anglophones (le Sud-Ouest et le Nord-Ouest), alors que le français est employé dans le reste du pays, c’est-à-dire dans les 8 autres provinces. Il faut dire aussi que le régime francophile en place depuis l’Indépendance a toujours favorisé les francophones aux dépens des anglophones. Ainsi, le français est devenu au fil du temps le mode de communication privilégié des Camerounais et le facteur d’unification primordial du Cameroun. Au plan linguistique, les conditions de diffusion du français en milieu plurilingue camerounais et sa cohabitation avec les langues locales d’une part et avec l’anglais d’autre part expliquent les changements phonétiques, phonologiques, morphologiques, syntaxiques, sémantiques et lexicaux qui caractérisent aujourd’hui la structure du français camerounais. Ce sont donc ces changements linguistiques qui font du français au Cameroun non plus une langue étrangère, symbole de l’assimilation coloniale, mais plutôt un outil de communication utile, appartenant désormais au patrimoine linguistique camerounais. Aussi, peut-on dire que l’interaction et la complémentarité entre le français et les autres langues sont un impératif pour leur cohabitation pacifique et pour la survie même de la langue française au Cameroun. Dans cet article, après un rapide survol de la situation sociolinguistique générale du pays et un examen des relations interlinguistiques entre le français, l’anglais et les langues locales, sont décrites et analysées les particularités phonético-phonologiques, lexicales, morpho-syntaxiques qui caractérisent le français camerounai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산림관 에셔리히의 카메룬 답사(1913-1914)— 아프리카 열대림을 향한 독일 식민주의의 욕망 —

        고유경 수선사학회 2024 史林 Vol.- No.88

        . This paper attempts to illustrate the desire for African tropical forests of German colonialis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life of forester Georg Escherich(1870-1941). As his career demonstrates, foresters were the preferred profession in 19th-century Germany for both the middle class and the aristocracy. Known as an expert on African colony through his hunting travels, he spent 1913 on a one-year expedition through the tropical forests of Cameroon on behalf of the Imperial Colonial Service. In the Muni region of New Cameroon, which Germany acquired in 1911, he unleashed the plan of developing the African tropical forests for the German Empire. His ambitions were frustrated by the World War I and the Treaty of Versailles. But during the interwar years Escherich repeatedly expressed his dream of developing the African tropical forests in various works. Including his activities, German colonial revisionism is in line with the turmoil in German society that made possible the rise of Nazism. In this respect, Escherich's expedition of Cameroon and his subsequent activities serve as a prism through which German societ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s illuminated.

      • KCI등재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the Efficiency of Cameroon’s Exports to its Trading Partners: A Stochastic Frontier Gravity Model (SFGM) Approach

        Mbante II Appolinaire Roland,고종환 Ko, Jong-Hwan 한독경상학회 2024 經商論叢 Vol.42 No.1

        Trade facilitation is vital in reducing cross-border trade costs and increasing economic benefits regionally and glob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the efficiency of Cameroon’s exports to its trading partners. This study applies a time-varying stochastic frontier gravity model (SFGM) approach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using panel data from 2010 to 2021.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xporter's GDP per capita negatively affects export flows, while the importing countries' population size positively affects Cameroon's export efficiency, and distance reduces export flows. Examining trade facilitation variables indicates that Cameroon's average untapped export potential is US$ 44.7 million. In addition,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 free trade agreements, political stability, and port infrastruc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xport efficiency. Meanwhile, import tariffs and the exporter’s corruption index remain trade barrier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empirical assessment of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Cameroon's export efficiency by applying the SFG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Cameroon should engage in multiple trade agreements to reduce tariffs on imports from Cameroon by its trading partners, modernize the port infrastructure in Douala and Kribi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transport goods, and create an anti-corruption agency to reduce the rate of corruptions in the economy.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the export efficiency of Cameroon using the time-varying SFGM approach.

      • 개도국 사회수요 기반의 과학기술 협력 방안

        강희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STEPI Insight Vol.- No.116

        국제사회는 개발도상국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60년 48억 달러에서 2011년 1,474억 달러까지 지원금을 30배 이상 증가시키며 다양한 원조 사업을 추진해왔다. 인적·물적 자원 등 60여 년간 약 2조 5천억 달러를 투입한 셈이다. 그러나 이를 통한 개도국 발전효과는 미미하였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제사회의 원조가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기여하기보다는 부패, 시장왜곡, 빈부격차 심화 등의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다. 따라서 국제사회의 지원이 종료되어도 효과가 지속될 지원 방안의 필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도국 지원이 원조의 성격을 넘어 자립기반을 만들어 주는 데까지 나아가야 하는데, 최근 NGO 및 국제적인 사회적 기업들이 개도국의 문화, 환경 및 국민적 수요를 고려한 사회기술을 개발 및 보급함으로써 개도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거의 개도국(카메룬) 지원 현황, 문제점 및 최근 지원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기술 기반의 과학기술 협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제안 1] 협력 원칙 설정 [제안 2] 협력 체계 확립 [제안 3] 협력 지속성 확보 [제안 4] 협력과제 제안: ① 센터 주도형 사회기술 개발 ② 기업 연계형 사회기술 개발 ③ 산학연 협력형 사회기술 개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