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PSVF-CW)에서 체류시간 및 침지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

        김종대,정병곤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은 20×12×20cm 크기로 제작하였으며 반응조 총 용적은 4.8L(유효용적 4.3L)이다. 인공습지 충진 여재는 생초액비 폐잔류물과 황토 및 점토를 혼합하여 지름 5~10mm의 크기로 제조한 황토볼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조 하부로부터 높이 13.5cm(유효용적 대비 75%) 까지 황토볼을 충진 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 모래를 반응조 높이 20cm 까지 충진 하였다. 모래는 지하흐름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의 식물 식재 및 뿌리의 기공확보를 위하여 사용 하였으며, 식물로 갈대를 반응조내 식재 가능한 만큼 충분히 식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류식 반응조 단일공정에서 Oxic, Anoxic 공정이 존재하도록 Zone을 구분한 상태에서 tidal flow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체류시간은 48, 96hr로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체류시간동안 운전을 실시한 후 처리수 유출은 침지율 25% 및 50% 지점에서 실시하여 pH, SS, CODMn, T-N, T-P를 분석하였다. 유입수의 평균농도는 pH 6.6~6.8, SS 7.0mg/L, COD 44.22mg/L, T-N 35.81mg/L, T-P 0.67mg/L 이었으며,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에서 체류시간 및 침지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pH는 운전기간동안 6~8사이로 안정적으로 운전되어졌으며, SS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유입수 유입시모래층을 거쳐 반응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부유물질이 거의 없는 수준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율에 따른 COD 및 T-N 제거효율을 비교하여 본 결과 침지율 25%가 50% 보다 COD는 12%, T-N은 14% 더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같은 침지율 조건에서 체류시간에 따른 COD 및 T-N 제거효율을 비교해 본 결과 체류시간 48hr 보다는 96hr에서 COD가 8%, T-N이 11% 더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COD 및 T-N은 인공습지 운전시 침지시키는 범위가 작을수록, 체류시간은 48hr 보다는 96hr에서 제거효율이 더 나은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질소제거는 인공습지 반응조에서의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가 클수록 질산화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조를 침지시킬 경우 상부는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나 하부에서는 혐기성 상태의 환경이 조성되어 호기성 및 혐기성 환경 하에서 질산화 및 탈질에 의한 질소제거 기작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진다. T-P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류시간 96hr에서 침지율 25%로 운전한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해 좀 더 나은 인 제거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 공정에서의 체류시간 및 침지율 변화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을 살펴본 결과 체류시간은 96hr, 침지율은 25% 로 실시하는 것이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에 있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PSVF-CW)에서 체류시간 및 침지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

        김종대,정병곤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은 20×12×20cm 크기로 제작하였으며 반응조 총 용적은 4.8L(유효용적 4.3L)이다. 인공습지 충진 여재는 생초액비 폐잔류물과 황토 및 점토를 혼합하여 지름 5~10mm의 크기로 제조한 황토볼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조 하부로부터 높이 13.5cm(유효용적 대비 75%) 까지 황토볼을 충진 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 모래를 반응조 높이 20cm 까지 충진 하였다. 모래는 지하흐름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의 식물 식재 및 뿌리의 기공확보를 위하여 사용 하였으며, 식물로 갈대를 반응조내 식재 가능한 만큼 충분히 식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류식 반응조 단일공정에서 Oxic, Anoxic 공정이 존재하도록 Zone을 구분한 상태에서 tidal flow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체류시간은 48, 96hr로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체류시간동안 운전을 실시한 후 처리수 유출은 침지율 25% 및 50% 지점에서 실시하여 pH, SS, CODMn, T-N, T-P를 분석하였다. 유입수의 평균농도는 pH 6.6~6.8, SS 7.0mg/L, COD 44.22mg/L, T-N 35.81mg/L, T-P 0.67mg/L 이었으며,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에서 체류시간 및 침지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pH는 운전기간동안 6~8사이로 안정적으로 운전되어졌으며, SS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유입수 유입시 모래층을 거쳐 반응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부유물질이 거의 없는 수준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율에 따른 COD 및 T-N 제거효율을 비교하여 본 결과 침지율 25%가 50% 보다 COD는 12%, T-N은 14% 더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같은 침지율 조건에서 체류시간에 따른 COD 및 T-N 제거효율을 비교해 본 결과 체류시간 48hr 보다는 96hr에서 COD가 8%, T-N이 11% 더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COD 및 T-N은 인공습지 운전시 침지시키는 범위가 작을수록, 체류시간은 48hr 보다는 96hr에서 제거효율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질소제거는 인공습지 반응조에서의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가 클수록 질산화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조를 침지시킬 경우 상부는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나 하부에서는 혐기성 상태의 환경이 조성되어 호기성 및 혐기성 환경 하에서 질산화 및 탈질에 의한 질소제거 기작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진다. T-P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류시간 96hr에서 침지율 25%로 운전한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해 좀 더 나은 인 제거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부분 침지형 수직류식 인공습지공정에서의 체류시간 및 침지율 변화에 따른 반응조 운전효율을 살펴본 결과 체류시간은 96hr, 침지율은 25%로 실시하는 것이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에 있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피단의 포장 제조법 및 침지액의 농도가 계란 피단에 미치는 영향

        최현호,구나원,김명후,서자겸,조성근,김병우,조병욱,신택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5

        본 실험은 계란피단을 제조할 때 파란율이 적은 도포법의 장점과 생산 속도가 빠른 침지법의 장점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피단의 새로운 생산방법으로 종이로 감싼 후 폴리비닐로 포장하여 침지액을 첨가한 후 포장하는 방법을 착안하여, 제조기간의 단축과 알카리 용액의 사용량 감소 및 파란율 저하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계란피단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계란의 총 중량과 동량의 용액을 NaOH 5%, NaCl 7%의 농도로 제조하여 침지 하였으며, 포장법은 킴테크 티슈 두장으로 감싼 계란에 25ml의 침지액을 주입하였다(T1: NaOH 3%, NaCl 5% T2: NaOH 4%, NaCl 6%, T3: NaOH 5%, NaCl 7%). pH는 난백과 난황에서 침지기간이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 차이가 적었으며, 난황에서는 침지법으로 침지한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난중량 변화는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p<0.05), 16일차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침지법이 포장법보다 난중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침지액의 농도는 난중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Hunter color는 난백의 경우 처리구들의 L*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a*와 b*는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p<0.05), 16일차에 가장 높았다. 난황의 경우 모든 처리구들의 L*, a*과 b*는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BARS 는 제조방법과 침지용액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VBN은 난백, 난황 모두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침지액의 농도와 비례하여 높았다. 파란율은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와 침지액 농도의 차이는 파란율에 영향주지 않았다. 대조구와 T3구는 제조기간과 완성도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저장성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침지포장 실험구들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약간의 침투 효과 차이는 나타났으나, 대조구와 비교하여 파란율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었다. 따라서, 알카리성의 침지액 사용량을 절반이하로 줄일 수 있고, 파란율을 낮출 수 있는 포장방법이 더 효율적인 피단의 제조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abou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pidan from chicken eggs was designed in order to simplify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lower broken rate for increasement of egg consumption in Korea. Samples for control are pickled with certain amount of solution (NaOH 5%, NaCl 7%) in a plastic bottle as C (control), and other samples are packed with two pieces of tissues with 25㎖ of solutions (T1: NaOH 3%, NaCl 5% T2: NaOH 4%, NaCl 6%, T3: NaOH 5%, NaCl 7%) and wrapped with plastic bags after very sample was weighed.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once four days since from the first day of pickling until 16th day, measuring pH, TBARS, VBN, egg weight, hunter color L*, a*, b* and broken rate. pH, VBN, hunter color a* and b* of pidan white a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pickling period passes. Meanwhile, shear force of pidan white showed tendency of increasemen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and hunter color L* decreased. pH, TBARS, and VBN from pidan yolk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shear force tend to be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hunter color L*, a*, b*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Egg weight increased approximately 1.42% average in whole pickling period regardless of C, T1, T2 and T3. Based on the fact that C showed higher broken rate than T1, T2 and T3, and the highest broken rate recorded at the 4th day since the experiment started, it can be said that weak shell of eggs is the reason for broken eggs, furthermore, friction among chicken eggs also can break eggs. After considering all the results above, wrapping method is better than pickling method, due to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y showed the same experimental results and weights, wrapping method had relatively lower broken rate. The completion of pidan from chicken egg took approximately 12-16 days (C, T3: 12 days, T2: 12~16 days, T1: 16 days), and the best-quality pidan produced after 12 days of wrapping with T3 solution.

      •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발생배 냉동보존을 위한 결빙억제제의 탐색

        정종균,장영진,임한규 한국발생생물학회 2011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0 No.-

        최근 다세포로 구성된 패류 발생배의 냉동보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지만, 대부분 굴과 같은 조개류로서 종 및 연구항목에 있어 다양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참전복과 같이 수정란의 크기가 큰 고둥류 발생배의 냉동보존은 Roux et al. (2008)에 의해 그 기반지식이 파악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발생배를 냉동보존하는 데 있어 그 기초자료가 되는 여러 요인들에 관한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산업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발생배의 적정 결빙억제제 (CPA)를 밝히기 위해 CPA별, 농도별로 침지시간에 따른 발생배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4년생 참전복 (완도산)을 채란용 모패로 사용하였으며, 공기노출과 자외선조사해수 자극을 병행하여 채란·채정된 양질의 발생배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CPA의 독성이 참전복의 담륜자와 피면자 유생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0.2 M sucrose를 희석액으로 하고 여기에 DMSO, EG 및 PG를 최종농도 0.1, 0.5, 1.0, 2.0 M 되도록 혼합한 다음, CPA별, 농도별로 유생을 30분간 침지하였다. 이후 인공해수로 희석하여 CPA를 용출시킨 다음 3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유생의 생사 여부 및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CPA농도가 높을수록 유생의 운동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PA중 EG에서 운동성이 3.0±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PA침지 시간경과에 따른 배의 활성을 알아보고자, 0.2 M sucrose를 희석액으로 하고, 여기에 DMSO, EG, PG, polyethelene glycol (PEG)을 최종농도 0.1, 0.5, 1.0, 2.0 M되도록 혼합한 다음, 담륜자 및 피면자 유생을 30분간 침지하였다. 30분 경과시 발생배를 인공해수로 옮겨 CPA를 용출시킨 다음, 30분간 배의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CPA침지 직후 모든 실험구에서 CPA농도에 따른 운동성의 차는 있었지만, 운동성이 점차 감소하여, 침지 30분째에는 운동성이 사라졌다. 그러나 CPA 용출후에는 인공해수에서 운동성이 다시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CPA별, 침지시간별 참전복 발생배의 발생진행률을 파악하기 위해, 0.2 M sucrose에 DMSO, EG, PG, PEG가 최종 농도 0.1, 0.5, 1.0, 2.0 M되도록 혼합한 다음, 4세포, 상실배, 담륜자 및 피면자 유생을 10, 20, 30분간씩 침지하였다. 침지후 30분 경과시 발생배를 인공해수로 옮겨 CPA를 용출시킨 다음, 각 발생단계의 발생진행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PA별 침지후 발생진행률은 DMSO와 PG에서 발생진행률이 각각 90.8±0.4, 84.6±0.6%로 EG, PEG의 발생진행률인 97.8±1.4, 99.1±0.1%보다 낮았다. 또한, CPA중 PEG에 상실배를 10분간 침지한 후의 발생진행률이 99.1±0.1%로 가장 높았다. CPA침지 시간별 발생진행률을 보면, EG 0.1, 0.5, 1.0 및 2.0 M에서 침지 10분에서 각각 80.8±1.5, 97.8±1.4, 95.1±0.5 및 94.3±1.1%로 나타나, 침지 30분의 60.5±0.4, 80.0±0.9, 75.8±1.1 및 85.4±1.2%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CPA침지후 발생단계에 따른 발생진행률 결과, PG의 경우 4세포, 상실배, 담륜자 및 피면자 유생의 평균 발생진행률이 각각 51.2±0.8, 79.3±1.3, 84.6±0.6 및 88.7±0.9% 로 발생이 점점 진행될수록 발생진행률이 높았다.

      • KCI등재

        밤바구미 방제를 위한 온도 및 시간별 침지처리 효과와 종실 변화

        김영재,김현경,이가순,김길하,Kim, Young-Jae,Kim, Hyun Kyung,Lee, Ka-Soo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밤재배원에서 발생하는 밤바구미를 물리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침지처리 온도 및 시간별로 유충에 대한 방제효과와 밤 종실에 미치는 성분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밤 종실내의 밤바구미 유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조건(30, 35, 40, 45, $50^{\circ}C$)과 시간별(1, 2, 3, 5, 7, 10, 15, 22, 24시간)로 처리하여 방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한 밤 종실의 변화 조사로는 밝기(lightness), 적색도(redness), 황색도(yellowness) 등의 색도의 변화와 발아율, 부패율과 같은 생리적 변화, 경도(hardness)와 같은 물리적 변화, 수분함량과 유리당, 탄닌과 같은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침지처리를 이용한 밤바구미 유충의 방제 효과는 $30^{\circ}C$에서 2시간 후부터 70%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7시간 후부터는 100% 방제효과를 보였다. $40^{\circ}C$에서는 2시간 후부터 90%의 효과를 보였으며, $45^{\circ}C$ 이상에서는 침지 처리 1시간 후부터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밤 종실에 대한 색도의 변화는 $30^{\circ}C$와 $35^{\circ}C$에서는 큰 유의차가 없었으나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밝기, 적색도, 황색도에 영향을 미쳤다. 발아율의 경우 침지처리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40^{\circ}C$ 이상의 온도조건에서는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부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도는 온도와 침지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한 종실 성분의 변화는 온도와 침지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당함량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적절한 온도와 시간조건에서의 침지처리가 밤바구미 유충 방제에 효과적이며, 밤 종실의 상품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밤 종실의 침지조건을 선별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control populations of the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Heller, the effects of various immersion temperatures and times on the chestnut weevil were tested. The effects of immersion treatments on chestnut fruits were also analyzed. The mortality levels of C. sikkimensis larvae were evaluated at various temperatures ($30^{\circ}C$, $35^{\circ}C$, $40^{\circ}C$, $45^{\circ}C$, and $50^{\circ}C$) and time intervals (1, 2, 3, 5, 7, 10, 15, 22, and 24 h). Changes in the chestnut fruit due to the immersion treatment were measured in terms of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physiological effects (germination rate and decay rate), hardness, and change in constituent properties (moisture content, free sugar content, and tannin content). Mortality levels of C. sikkimensis larvae after immersion treatment at $30^{\circ}C$ were over 70% and 100% after 2 h and 7 h, respectively.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chestnut frui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30^{\circ}C$ and $35^{\circ}C;$ however, the color was affected at temperatures over $40^{\circ}C$. The germination rate of the fruit was not affected by the immersion treatments, but the decay rate at $40^{\circ}C$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immersion time. The hardness of the fruit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immersion times and temperatures.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the future for develop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chestnut weevil populations.

      • KCI등재

        염 및 당 침지 처리가 소라의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교연,정재봉,박찬양,김아나,소슬아,샤피어라만,최성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6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pre-soaking top shell slices in salt and sugar solution priorto air-drying at 50℃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ried top shell slices. Top shell sliceswere pre-soaked in 5% salt solution, 5% sugar solution, 5% salt + 5% sugar solution and 5%salt + 10% sugar solution. The moisture content(MC), water activity(Aw), shear force, colorvalues, appearance and sensory properties of dried top shell were measured and compared. During drying, the MC of all pre-soaked samples were higher than control sample withoutpre-soaking, while Aw of those were lower than control. In particular, the pre-soaked sample in5% salt + 10% sugar showe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On the other hand, all pre-soakedsamples showed the much softer texture than control. The samples pre-soaked in 5% saltsolution showed higher L-values and lower a-value, while those pre-soaked in sugar solution showed brown color. Generally then sample pre-soaked in salt solution showed lower microbialcontents than the sugar solution. Specially the samples pre-soaked in the 5% salt and 5% sugarsolu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content than the control and other samples. Theresults based on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st scores of color, flavor, texture, sweetness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amples, which were pre-soaked in the mixture of 5% salt and10% sugar solution. 본 연구에서는 염 용액과 당 용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적합한 소라 중간수분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삼투 침지 후 열풍 건조 시 건조 특성 및 소라 중간수분식품의 품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빨랐지만, 가열로 인해 시료의 경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50℃에서 건조하는 방법이 중간수분식품의 제조에 가장 적합하였다. 또, 염침지와 당침지 공정으로 인해 소라의 건조 시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를 감소시켜 건조속도가 높아졌고, 전단가가 감소하였으며, 삼투작용을 통해 소라내부의 물질이동 즉 수분이동을 통해 수분의 확산을 유발하고, 건조 시표면의 피막 생성을 억제시켜 시료가 내부까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였으며 조직의 경화를 억제하였다. 소라의 건조시 지수함수식의 모델식을 통한 수분활성도와 수분함량의 관계에서 당과 염을 동시에침지 시 동일한 수분활성도에 해당하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또 당침지와 염침지 공정을 통해 수분보유력의 증가와 더불어 근원섬유단백질이 붕괴하여 조직이 연화되었으며, 특유의 질긴 조직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향미가 부여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염침지 공정 및 당침지 공정을 통해 우수한 품질을 지니는 소라 중간수분식품을 제조할 수 있었고, 단독으로 침지시 보다 병행하여침지한 경우 더 나은 전체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5% 염 + 5% 당침지액을 이용하여 침지한 후 50℃에서 180분간 건조하여 소라 중간수분식품을 제조할 경우 품질이 우수한 중간수분식품을 제조 할수 있었다.

      • KCI등재

        침지액의 NaOH와 NaCl의 농도 및 계란 침지기간이 계란 피단의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신택순,조성근,이홍구,조병욱,강한석,박현철,배석현,김윤석,김병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6

        본 실험은 계란의 과잉생산에 따른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육 농가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계란으로 피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NaOH의 농도를 3, 5, 7%로 기준하고 NaCl의 농도를 5, 10, 15, 20%로 기준하여 침지액을 제조하여 2일 간격으로 14일간 실험하였다. 침지액의 pH는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침지기간이 경과할수록 피단제조용 침지액의 pH는 증가하였고,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난황의 pH는 NaOH의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였으나, NaCl의 농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NaOH와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난황과 난백 침투속도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NaOH의 농도가 3%일 때 14일까지도 난백의 수양화가 되지 않았으나, 5%일 때는 11∼12일째에, 7%일 때는 8∼10일째에 각각 수양화가 발생하였다. 수양화가 되었을 때 난백의 pH는 11.8∼12.0으로 조사되었다. NaOH의 농도가 3%일때는 12∼14일 정도, 5%일 때는 10일 정도, 7%일 때는 6∼7일 정도 침지 후 열처리를 하면 피단이 완성되었다.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기간 및 제조기간은 단축하였으나, 피단 난백의 수양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aOH가 3∼5%정도가 알맞다고 생각되며, NaCl의 농도는 침지기간에는 무관하나 염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5∼10%정도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이 적당하고 15∼20%일 경우에는 염도가 높아 기호도가 떨어졌다. This study carried out on the manufacturing of pidan. The production of pidan can be one of solutions for over-produced eggs and stable egg price. For the alkali-pickling solution for manufacturing of Pidan, the tested concentration of NaOH and NaCl were respectively as 3, 5, 7% and 5, 10, 15, 20%, and examined every 2 days for 14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pH value of alkali-pickling solution was increased by the increment of NaOH concentration and the pickling period, and was decreased by the increment of NaCl concentration. The pH value of egg yolk was increased by the increment of NaOH concentra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aCl concentration. By the increment of NaOH and NaCl concentrations, the alkali infiltration in egg yolk and egg white was accelerated. Furthermore, the weight change of the eggs in the alkali-solution has no effects on manufacturing of Pidan. Liquefied albu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OH concentration rather than that of NaCl. There was no liquefied albumen for 14days at 3% of NaOH, but it was found between 11-12days at 5% and 8-10days at 7%, respectively. The pH values of egg white when it was liquefied albumen were between 11.8 and 12.0. Pidan was made by heat treatment after 6-7days dipped in the solution at the concentration of 7%, about 10days at 5%, and 12-14days at 3% of NaOH, respectively. Although, the period of manufacturing of Pidan was saved by the increment of NaOH concentration, liquefied albumen was accelerated and the food preference was decreased by ammonia odor. Therefore, the suitable concentration of NaOH is between 3 and 5%, and that of NaCl is between 5 and 10% due to the effect of salinity by the soaking period. Through this study, optimal pickling solution and dipping time for manufacturing of Pidan was figured out, and also find out that it can save a time about 15days for manufacturing of Pidan.

      • KCI등재

        침지액의 NaOH와 NaCl의 농도 및 계란 침지기간이 계란 피단의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신택순,조성근,이홍구,조병욱,강한석,박현철,배석현,김윤석,김병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본 실험은 계란의 과잉생산에 따른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육 농가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계란으로 피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NaOH의 농도를 3, 5, 7%로 기준하고 NaCl의 농도를 5, 10, 15, 20%로 기준하여 침지액을 제조하여 2일 간격으로 14일간 실험하였다. 침지액의 pH는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침지기간이 경과할수록 피단제조용 침지액의 pH는 증가하였고,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난황의 pH는 NaOH의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였으나, NaCl의 농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NaOH와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난황과 난백 침투속도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NaOH의 농도가 3%일 때 14일까지도 난백의 수양화가 되지 않았으나, 5%일 때는 11∼12일째에, 7%일 때는 8∼10일째에 각각 수양화가 발생하였다. 수양화가 되었을 때 난백의 pH는 11.8∼12.0으로 조사되었다. NaOH의 농도가 3%일때는 12∼14일 정도, 5%일 때는 10일 정도, 7%일 때는 6∼7일 정도 침지 후 열처리를 하면 피단이 완성되었다.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기간 및 제조기간은 단축하였으나, 피단 난백의 수양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aOH가 3∼5%정도가 알맞다고 생각되며, NaCl의 농도는 침지기간에는 무관하나 염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5∼10%정도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이 적당하고 15∼20%일 경우에는 염도가 높아 기호도가 떨어졌다. This study carried out on the manufacturing of pidan. The production of pidan can be one of solutions for over-produced eggs and stable egg price. For the alkali-pickling solution for manufacturing of Pidan, the tested concentration of NaOH and NaCl were respectively as 3, 5, 7% and 5, 10, 15, 20%, and examined every 2 days for 14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pH value of alkali-pickling solution was increased by the increment of NaOH concentration and the pickling period, and was decreased by the increment of NaCl concentration. The pH value of egg yolk was increased by the increment of NaOH concentra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aCl concentration. By the increment of NaOH and NaCl concentrations, the alkali infiltration in egg yolk and egg white was accelerated. Furthermore, the weight change of the eggs in the alkali-solution has no effects on manufacturing of Pidan. Liquefied albu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OH concentration rather than that of NaCl. There was no liquefied albumen for 14days at 3% of NaOH, but it was found between 11-12days at 5% and 8-10days at 7%, respectively. The pH values of egg white when it was liquefied albumen were between 11.8 and 12.0. Pidan was made by heat treatment after 6-7days dipped in the solution at the concentration of 7%, about 10days at 5%, and 12-14days at 3% of NaOH, respectively. Although, the period of manufacturing of Pidan was saved by the increment of NaOH concentration, liquefied albumen was accelerated and the food preference was decreased by ammonia odor. Therefore, the suitable concentration of NaOH is between 3 and 5%, and that of NaCl is between 5 and 10% due to the effect of salinity by the soaking period. Through this study, optimal pickling solution and dipping time for manufacturing of Pidan was figured out, and also find out that it can save a time about 15days for manufacturing of Pidan.

      • KCI등재

        Diniconazol의 종자침지 처리가 토마토와 오이 플러그묘의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선은선(Eun-Sun Sun),강호민(Ho-Min Kang),김영식(Young-Shik Kim),김일섭(Il-Seop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9 No.1

        본 실험은 triazole계의 생장조절제인 diniconazole의 종자침지처리 농도 및 처리시간이 토마토와 오이 플러그묘의 도장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모두 처리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유묘 출현율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토마토의 경우 1㎎ㆍL?¹ 농도에서는 침지시간이 길수록 유묘 출현율이 조금 낮긴 하였으나 무처리와 유의차가 없었고, 그 외의 농도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유묘 출현율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파종 10일 후면 90% 이상 유묘가 출현하였다. Diniconazol의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과도하게 초장이 억제 되었고 발육속도도 지연되었다. 저농도 일수록 절간장 신장 회복이 빨랐으며 고농도이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절간장 신장이 억제기간이 길고 회복도 느렸다. 토마토 및 오이는 1㎎ㆍL?¹ 농도처리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의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그 외의 농도에서는 침지시간이 길수록 지상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diniconazol의 처리로 왜화된 오이묘는 정식 후에 정상적인 초장 신장을 보였으며, 암꽃과 수꽃 착생도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자 처리시 왜화율과 묘소질 등을 고려한 diniconazol의 적정처리농도와 침지시간은 토마토는 10㎎ㆍL?¹ 농도에 12시간, 오이는 1㎎ㆍL?¹의 농도에 24시간 침지 처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diniconazole treatment by seed soaking on the stretching of tomato and cucumber seedlings. The emergence rate of tomato and cucumber seed was decreased as diniconazole concentration was higher and soaking period was longer. The emergence rate of tomato seedlings was lower as the soaking period was longer in 1 ㎎ㆍL?¹ concentration treatmen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other concentration treatment (10, 50, and 100 ㎎ㆍL?¹) reduced emergence rate of tomato seedlings outstandingly in higher concentration and longer treated period, but 90% of treated seeds emerged at 10 days after sowing. As the concentration of diniconazol was higher and soaking period was longer, plant height and growth rate of seedlings were retarded. There covery of internodes growth was faster in lower concentration and shorter soaking period. The top and r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tomato and cucumber seedlings was not influenced by 1 ㎎ㆍL?¹ concentration, but thes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reduced in higher concentration and longer soaking period. The dwarfed cucumber seedlings treated by diniconazol showed normal growth rate after planting and their male and female flower was set norm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 concentration and soaking period of diniconazol may be 10 ㎎ㆍL?¹ concentration for 12 hours in tomato seed, and 1 ㎎ㆍL?¹ concentration for 24 hours in cucumber seed.

      • KCI등재

        에탄올 및 글리세린 처리방법이 카네이션 ‘데지오‘ 보존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임영희,오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optimal treatment conditions of ethanol and glycerine for 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preserved flowers in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Desio commonly used for flower design. For this purpose, effects of dipping duration of ethanol solution and treatment duration and concentration of glycerine on preserved flower quality were evaluated. Ethanol treatment resulted in perfect dehydration and decoloration of petals and it was proper at 24~48 hours under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time of glycerine treatment was 30% at 36 hours because it resulted in Munsell value of 4.0R in Hue, 6.49 in Value, and 19.8 in Chroma (4.0R 6.49/14) representing the most approximate value to that of fresh petals. Decreasing rate in weight after desiccation tended to reduce by longer time of immersing and higher concentration. Weight after 12 hours of immersing reduced up to 86~90% according to treatment time in non-treatment group of glycerin, meanwhile, it reduced up to 51~69% under higher concentration of 40%. However, weight after 48 hours of immersing reduced up to 90% regardless of desiccation time in non-treatment group of glycerine, to the contrary, decreasing rate reduced by 46~54% through glycerine treatment of 40%. Time for desiccation required 24 hours in glycerin concentration of 10~20% except 6 hours of immersing time, however, higher concentration resulted in increased time up to 48 hours. 본 연구는 보존화의 가공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화훼장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Desio 꽃잎으로 에탄올 용액과 글리세린에 의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에탄올 침지시간과 글리세린 처리 농도 및 침지시간이 보존화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 및 탈색처리 효과는 꽃잎의 탈색이 완전히 이루어져 명도가 가장 높고, 채도가 낮은 24~48시간에서 적절하였다. 글리세린의 적정처리 농도는 30%에서 36시간 처리구의 먼셀값이 H값 4.0R, V값 6.49, 채도를 나타내는 C값은 19.8로 신선한 꽃잎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건조 후 무게 변화에 있어서는 침지 시간이 길어지고 글리세린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2시간 침지 후 무게 변화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시간에 따라 86~90%까지 감소한 반면, 40%로 농도가 높을수록 51~69% 감소하였고, 48시간 침지 후의 변화에서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건조시간에 관계없이 90% 감소에 비하여 글리세린 40%에서는 46~54%로 감소율이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소요시간은 글리세린 10~20% 농도에서는 글리세린 침지 6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24시간이 소요되었고, 30~40%, 12시간 침지부터는 48시간이 소요되어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건조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