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성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교육 및 치유적 활용

        김민화 한국독서치료학회 2017 독서치료연구 Vol.9 No.2

        최근 모든 교육기관과 정부기관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할 것이 의무화되어 효과적이고 다양한 인성교육의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림책은 특히 어린 연령의 교육대상자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림책을 활용했다는 그 자체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교육을 위한 유용한 매체로서 그림책의 활용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먼저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모으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 활용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집된 연구들은 인성교육진흥법의 분류기준에 따라 그림책을 8개 범주로 목록화한 것 이외의 별다른 차별성 없는 독서교육의 과정으로 인성교육을 수행한 것으로 보였다. 인성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는데 있어서도 그림책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그림책이 어떻게 활용되었는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찾아보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개별 그림책의 주제 활용에 있어서도 옳고 그름과 교훈을 찾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림책을 인성교육을 위한 매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장점인 글과 그림, 각각의 페이지와 장면들에서 만들어진 여백과 간극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즉 이러한 공간들을 메울 수 있는 자기서사를 투영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비로소 치유적 과정이 일어나 인성교육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림책의 활용이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포함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Recently,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have been required to provide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effective and diverse methods of this type of education. In relation to this new demand, picture books are receiving attention as a medium for personality education especially for students of young age. However, in many cases, picture books seem to be used in a very limited mann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blems and suggest a possible course of improvement in the use of picture books as a medium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prior studies of personality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on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analyzed studies mainly classified picture books into 8 categories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the validity of such classifications has not been substantiated properly. In addition, not only was it difficult to find details about how picture books were utilized, but the use of individual, themed books was very limited since most studies only focused on whether something is right or wrong, and the lesson of the story. To effectively use picture books as a medium for personality education, an educator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most important strengths of picture books which are mainly the margins and gaps between pictures and texts created in each page and scene. It is necessary to engage the reader to fill these gaps and margins to facilitate a thought process to achieve the important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and healing.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education about this aspect of utilizing picture books should be included in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교육활동 침해 피해 교사의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양은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for teachers who arevictims of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and apply it to prevent and cope with the violationof educational activities. To this end, previous research on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inKorea was analyzed. Also,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infringement and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for recovery were phenomenologicallyanalyzed. Social support, cognitive reconstruction, emotional reconstruction of experiences, andcoping strategies were dealt with as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negative symptoms and thehealing and recovery of stress disorders caused by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Thetraining of coping methods to prevent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and the institutionalsupport to increase access to counseling is discussed. 본 연구는 교육활동 침해 피해 교사를 위한 치유적 개입 방안을 도출하여 교육활동 침해 예방과대처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교육활동 침해 관련 선행연구를 교육활동 침해로인한 심리적 피해의 양상과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대처로 구분하여 개관하였다. 또한 교육활동 침해를경험하고 회복을 위한 집단상담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활동침해로 발생하는 부정적 증상의 과 스트레스 장애의 치유와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사회적 지지, 인지적 재구성, 경험의 정서적 재구성, 대처방식에 대해 다루었으며, 교육활동 침해예방을 위한 대처방식의 훈련, 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의제한점과 추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교육 방안 연구 ― 2015 교육과정과 ‘화법과 작문’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윤금준 ( Yoon Keumjoon ) 국어교육학회 2022 國語敎育學硏究 Vol.5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적 글쓰기와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교육과정까지, 자기표현적 글쓰기와 관련된 작문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으며, 2015 교육과정 화법과 작문 교과서의 자기표현적 글쓰기와 관련된 내용을 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 자기표현적 글쓰기와 관련된 용어와 체계가 명확히 확립될 필요가 있으며,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과정과 방법에 대한 교수·학습 활동이 구체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과정이나 방법을 단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학습 요소를 Jones, et al.(1987)에서의 지식의 유형에 따라 재구조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치유적 글쓰기로의 확장이 가능한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교수·학습 모형(ODWH)을 구안하였다. 이 모형은 관찰 → 의미의 발견 → 표현 → 기록의 습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록의 습관으로 만들어진 쓰기의 결과물이 다시 관찰의 대상으로 환류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expressive writing education by analyzing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s that are related to expressive writing. To this end, all curricula related to expressive writing, from the 5th to the 2015 curriculum, were examin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xpressive writing education were explore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expressive writing in the 2015 curriculum speech and writing textbook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rms and systems that are related to expressive writing need to be clearly established. Moreover, learning activities on the process and method of expressive writing also need to be specifically presented. In order to present the process or method of expressive writing on a step-by-step basis, the learning element of expressive writing was restructured according to the type of knowledge used by Jones et al. (1987). Based on thi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DWH) was devised that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observation → discovery of meaning → expression → habit of recording. It was designed so that the result of writing made of habit of recording can be returned to the object of observation.

      • KCI등재

        마음챙김의 치유적 기능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 -위빠사나(vipassanā) 수행을 중심으로-

        박미옥,고진호 한국종교교육학회 2013 宗敎敎育學硏究 Vol.42 No.-

        이 논문은 불교 수행법의 핵심인 ‘마음챙김의 치유적 기능’이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보완교육으로서의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마음챙김 명상은 이미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현대 심리 치료에 임상적으로 적용되어 치료효과가 국내⋅외적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그에 대한 연구논문도 의학과 심리치료 등에서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마음챙김 명상을 교육에 적용한 연구는 아직 많지않으며, 특히 국내의 연구는 미미한 수준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마음챙김의 의미를 매 순간 ‘깨어있도록 하게 하는 작용’으로 이해함으로써 마음챙김의 핵심적인 속성이 ‘주의’와 ‘알아차림(자각)’의 계발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붓다가 정신적 괴로움을 완화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을 사용했듯이, ‘선입견 없이 따라가면서 관찰하는 순수한 주의’의 결과 ‘자각’을 얻게 되는 마음챙김 활동의과정이 ‘의식의 성장’과 ‘해방’을 가져오는 ‘치유활동’임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마음챙김의 치유적인 특성들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면서, 마음챙김이 치유적인 교육형태의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학교의 장에서도 ‘마음챙김’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 교육의 정서 치유적 가능성 고찰

        진가연 ( Jin¸ Kayeon ),왕임창 ( Wang¸ Linchang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개인적 성장과 자기 인식을 지향하는 문학교육적 관점과 자기 돌봄을 지향하는 문학 치유의 관점을 한국어 문학교육의 교수·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한국 현대시 읽기 경험의 정서 치유적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국인 유학생이 생성한 한국 현대시 읽기 반응 자료를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연구자의 조력을 통해 내적 대화를 시도하며 자기 내면에 대한 인식을 촉진시키고 한국어 표현을 매개로 시적 사유를 심화해가며, 시 읽기를 통해 자기 정서의 내적 메커니즘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이러한 작용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교육적 설계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해서는 시 텍스트 선정,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내면 인식 외현화를 위한 언어 표현 활동 구성, 수업 설계를 위한 상호작용 촉진 활동의 제시 측면에서 모색하였다.본 연구는 실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시 교육의 정서 치유적 접근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참여자가 소수이며 개별 활동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집단 활동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제 한국어교육의 현장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ly the literary educational perspective towards personal growth and self-awareness and the literary healing perspective towards self-car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we wan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reading Korean modern poetry can function as an emotional healing experienc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ading responses generated by Chinese students, learners tried to communicate inner self with the help of researchers, developed poetic reasons using Korean expressions, and used reading as a motivation and opportunity to access the inner-mechanism of their emotions. However, these actions do not occur automatically but require a certain educational design, which was sought in terms of poem text selection, teacher's role in emotional healing reading, composition of language expressive activities for learners' internal perception externalization, and interaction promotion activities for class design.This study want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healing of modern Korean education by collecting and qualitatively analyzing real learners' response data,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the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orm of group activities, which will be discussed in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치유적 문학교육을 위한융복합 교양교과목 개발 연구-<문학 속의 심리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박진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9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이해와 치유를 위해 개발된 융복합 교양교과목<문학 속의 심리학>을 통해, 심리학과 융합된 교양문학교육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이 교과목은 지금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고충과 내적인 필요에 집중하면서도 문학 경험의 성장이라는 문학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모색의 산물이다. 이 모색은 서로 다른 영역의 학문 지식을 삶의 맥락 속에 융화시켜 실천적 의미를 생성하고자 하는 융복합 교육 본연의 이상과도 통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융복합 교과목 개발 연구의 동향과 교과목 개발의 동기 및 문제의식을밝히고, <문학 속의 심리학>의 수업 설계와 운영 방안을 살펴본다. 이 수업에서여러 심리학 이론들은 학생들이 문학 읽기 과정 중에 자기 삶의 경험과 심리적 상황을 주의 깊이 돌아보도록 하는 맥락과 관점을 형성한다. 학생들은 내면적⋅심리적 방향으로 정향된 소설들을 읽고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인물의 심리를분석해보는 한편, 개인적 삶과 연결된 ‘자기 해석’을 구축해간다. 또한 소규모의조별 토의에서 서로의 문학 경험을 공감적으로 나눔으로써 치유적 연대를 이루어간다. 본론의 끝에서는 실제 수업 결과와 학생 의견 등을 통해, 문학과 심리학의 융복합 교육이 지닌 의의 및 치유적 효과를 확인해본다. This essay will explore a course plan comprising liberal artsliterature education combined with psychology, through thedevelopment of the subject of Psychology in Literature. Psychology inLiterature is a convergent liberal arts course, developed for students’self-understanding and healing, which focuses on the psychologicaldistress that college students currently experience. Furthermore, thissubject’s development is the product of the realization of literaryeducational value, which is the growth of literary experience. Thissubject aligns with the ideal of convergence education, which aims tomeaning in living by connecting academic knowledge from differentfields with the complex contexts of life. First, this essay discusses therecent trends in research on convergent subject development and themotivation behind this development. Second, we examine theinstructional design and operation plan of Psychology in Literature. Inthis course, various psychological theories allows students to carefullyreflect on their lif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whilstreading. Students read literary texts oriented toward introspective andpsychological themes and analyz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byapplying psychological theories. Therefore, students create their own interpretations, which are connected to their personal lives. In addition,healing solidarity is achieved by sympathetically sharing each other’sliterary experiences during group discussions. Finally, we study thesignificance and healing effects of literature and psychology inconvergence education by examining actual class results and studentopinions.

      • KCI등재

        영어 학습 부진아와 분석가의 담론(Discourse of the Analyst) : 교육과 치유 페다고지(Therapeutic Pedagogy)

        어도선(Do-Seon Eur)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1 현대정신분석 Vol.13 No.2

        이 논문은 영어 학습 부진, 저항, 장애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심리행동 상의 증상을 라깡의 관점에서 증후로 읽고 분석하며 그러한 증후가 드러내는 두 대타자 사이의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라깡 정신분석 페다 고지에 근거하여 교육과 분석 그리고 교수법과 치유가 융합이 될 수 있는 교육적 개입에 대한 이론적 도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라깡의 네 담론을 통해 위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심리행동 상의 증상을 분석하고 정신분석가의 담론을 하나의 치유적 개입을 위한 이론적 도구로 제시하고 있다. 영어 형식에 있어서 기본 적인 교육 원리인 학습자와 지배자(영어 교사, 시험제도, 사회의 인식) 간의 전이 관계를 거부하는, 즉 학습과 관련하여 상징계의 규율과 질서가 규정한 규율을 거부하고 넘어서는 objet a로 인해 학습자와 지배자 간의 전이 관계가 불안정하고 그 관계가 비생산적이거나 거부가 되고있기 때문에, "고통 중인"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개입하여 고통을 치료(treatment)해야 하는 경우에는 분석가의 담론에 근거한 "분석"의 구조를 갖는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치유를 위한 교육 행위는 분석의 차원에서 이루어 져야 하며, 이를 위해 "치료가 교수법으로 변형되고 교수법이 치료가 되는" 정신분석학적 페다고지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정신분석학적 페다고지를 통해 학습자의 억압된 욕망이 그가 대타자와 갖는 전이 관계에 끼어들어 그 관계를 악화되게 하는 다양한 역학 관계를 찾아냄으로서 학습 저항과 학습 장애 또는 학습 부진에 내재한 심리적 갈등을 치유할 수 있는 교수 방법과 원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라깡의 담론 이론을 통해 어떻게 기표(signifiers), 심상(images), 환상/욕망(fantasies; objet a)으로 구성되는 세 영역(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이 주체에 끼어들고 또한 주체의 정체성을 변화시키기까지 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Lacanian psychoanalysis can be applied to education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intervention for EFL underachievers. Showing how Lacanian psychoanalysis can offer useful and valuable insights into ways in which psychological conflicts, especially those as caused by impossibilities between the Other and the objet a, are root causes of EFL learning difficulties, resistance, and blocks, this study proposes Lacan's psychoanalytic pedagogy based on his theory of the Discourse of the Analyst as an effective therapeutic instructional strategy for struggling EFL learners. Articulating a therapeutic approach to EFL suffering learners based on Lacan's theory of four Discourses, this study reveals how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jouissance, signifiers, desire, defense mechanism, ego-ideal, the Symbolic Other, the Real Other, and fantasy are interconnected to affect their learning. Introducing some instructions based on Lacanian perspectives, this study offers Lacan's Discourse of the Analyst as an effective psychoanalytic treatment EFL practitioners can rely on to help struggling EFL learners reduce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and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 KCI등재

        위기청소년을 위한 학교 기반 치유적 교육 분석: 라캉의 분석가 담론에 입각한 접근

        어도선,한가을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2 현대정신분석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scussion-based bibliotherapy class, an after-school program, as one of the efficient therapeutic measures offered to at-risk teenagers from divorced families. If ‘school connectedness’ works well, youth in crisis could be better provided with resources such as meaningful relationships they need to cope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In addition, bibliotherapy could help at-risk adolescents to build up a ‘desirable’ concept for how they perceive the new reality caused by divorce. In this case, a Lacanian perspective was also in the same vein. Therefore, relying on Lacan’s ‘Discourse of the Analyst,’ this study explains the healing case of a high school student (Student A) who had participated in a bibliotherapy program operated for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It shows how a school-based education can support a therapeutic program in which ‘education becomes a treatment and, in turn, the treatment becomes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a discussion-centered reading-therapy process, a psychological environment equivalent to the ‘Discourse of the Analyst’ had been constructed in Student A, which turned out to help Student A (re)conceptualize more efficiently the tremendous changes and pain resulting from her parents’ divorce. It also shows that a new identity had been formed inside Student A, and it served her to respond more confidently to such new reality in the way that Student A’s new subjectivity becomes more flexible and free from conflicts and anxiety caused by the divorce. This proves that a school-based therapeutic educ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of youth at risk. 본 연구는 여러 ‘위기청소년’ 가운데 이혼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운영되었던 토론 기반 독서치료 수업을 ‘위기청소년’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교 내 치유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가 다른 공간에 비해 훨씬 안정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 연결성’이 잘 작동되면 위기청소년들이 교사와 또래 친구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독서치료는 이혼으로 인해 발생된 새로운 현실에 대한 ‘바람직한’ 재개념 설정에 도움이 되며 라캉적 치유와도 그 맥을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교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고등학생 A의 치유 과정을 라캉 ‘분석가 담론’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교육이 치료가 되고 치료가 교육이 되는’ 학교 기반의 치유적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실효적 대책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 A와 참여자 모두 등장인물과의 다양한 심리적 관계를 통해 ‘분석가 담론’에 준하는 심리 환경을 스스로 구축하였고, 점차 이혼의 결과로 생긴 엄청난 변화와 아픔을 회피하지 않고 (재)개념화하게 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을 통해 교사와 동료들과의 ‘협력적 치료’도 깊이 있게 일어나 참여자들 모두 현실의 요구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갈등과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유연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학교 기반 치유적 교육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소외계층 아동 대상 집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진희,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2

        In accordance with the multicultural turn in 21st century, social integration has become an inevitable task to handle. In the pluralist system, social ‘integration' lies on the premise of uniqueness and diversity of members, which helps to restore the balance and trust among social groups.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leads to social integr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at the political and legislative level; but at the same time, multi-dimensional efforts should be made to empower sub-groups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at the lo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of underprivileged children and a practitioner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program. The results of this action research are two-fold. First, the group art program served as the site of relationships in which conflicts, afflictions, self-ex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experimented through interactions. Second, the meaning of the program could be found in that the practitioner could overcome the deficit view toward underprivileged children changing the practitioner's perception of the marginalized as well as children's behavior.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사회통합의 문제는 간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다원주의 체제에서 사회적 ‘통합’은 집단 간의 균형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집단 구성원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정치적, 법제적, 제도적 측면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지역 단위에서 미시적으로 실행됨으로써, 다양한 소수 집단에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개인의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민주적 사회 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미술프로그램은 관계의 장(site)으로서 의미를 가지며, 사회의 축소판으로서 갈등과 충돌, 자기표현과 사회적 지지를 실험할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둘째. 다문화 미술교육의 실천을 통해 결핍 지향적인 관점을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아동뿐만 아니라 실행하는 연구참여자의 인식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 KCI등재

        커뮤니티 댄스의 가치와 창작활동의 역할

        이찬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4

        근대 문명이 발달하고 지역과 혈연 중심이던 생활 체계가 사라지고 개인들의 가치는 그 빛을 잃어 기계화에 파편화된 존재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대사회에서는 새로운 대안을 찾고자 커뮤니티 사회를 재건하려 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커뮤니티의 정신을 통해 개인적 성취와 사회적 삶을 함께 누리 위해 생활 속의 춤, 즉 커뮤니티 댄스를 찾게 되었다. 커뮤니티 댄스는 남녀노소를 망라한 자발적 참여의 활동으로, 인간 개인의 삶 속에서 춤을 통해 교육 적 측면과 치유적 측면에서 삶의 질적 모습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 춤을 추는 행위는 즐겁고 활기찬 생활을 하 게 하고 개인의 일상생활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하며, 밝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커뮤니티 댄스에서 얻게 되는 춤의 의미는 춤의 세련된 기교를 통해 커뮤니티 댄서들이 만들어내는 특 별한 결과가 아니다. 커뮤니티 댄스는 춤의 진실성을 느끼고 경험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집단적 공명(共鳴) 속에서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개인에서 확장하여 사회적 결속을 도모 한다. 즉 커뮤니티 댄스는 개인주의적 삶의 양식을 옹호하면서, 인간의 개체성을 보완한다. 인간이 스스로 개 체성에 기초한 자발적 협동을 통해 전인적 관계를 실현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며, 인간에게 하나의 동력으 로서 상호 보완하는 관계를 맺게 해준다. 이를 통해 각자가 서로 간의 상승의 관계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이렇듯 커뮤니티 댄스는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춤으로 즐거움을 보다 향상시키며, 삶에 대한 모든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품고 있다. 커뮤니티 댄스가 앞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폭넓은 문화적 접촉을 통한 직 접적 창작활동으로 권장되고, 그 운영 방안 또한 적극적으로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We can express our culture in our community. Individuals come together to form a community and the spirit improves when the people come together. It can express societal change and new styles are formed. As culture and community changes, as does the parts of the community such as dance. This keeps culture fresh when new programs are made. However when dance is taught, the expert isn’t teaching the students the form but they are teaching the spirit, expression and feeling and the students expand upon that for the future. For the educational aspects, through the Stepwise program, which are tension, relaxation, creativity, challenge, achievement, the ability of closeness, sense of attachment, perception of body, and the feeling of expression will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inspiring self confidence there will be a healing, in modern society where individualism is valued, community will be reconsidered and will bring a positive attitude of social adaptation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The individuals come together to form a team and the “chain is only as strong as the weakest link”. As quality of life increases, some individuals may become alienated in society. With community dance they become part of the team and feel accepted. As technology improves, the method to share dance is becoming easier and the dance community is expanding across the entire world. Community dance helps create long-lasting bonds and this helps improve the quality of dance. As time progresses,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creases. The future communities will have even more opportunities and dance will benefit from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