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농업운영자의 교육 요구 분석

        강대구,이효진,김경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2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green care business manager, and to recommend the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 objectives, needs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 and sent managers or owners of green care business managers by mail. Out of 700 green care business managers whose business addresses were collected in phone directory or internet, 79 replied. The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and Locus of Focus method were applied for deciding the items having more critical needs. And the educational needs among green care business managers were compared along with their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region, and business types. The important educational needs for green care business manager were to make the business proposal and fund, to promote the business marketing, to keep the green care customer safe and protection, to find the business cooperation resources and network, to recruit and manage the green care customers, and to make the green care surroundings and facilities. The educational needs of green care business managers were different in their characteristics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business location, and business type. Training program for green care business manager should include making the business proposal, securing the budget, promoting and marketing the business, recruiting and supporting the customer, securing the customer safe, finding the green care business cooperation resource and network, and making the green care surrounding and facilities. Because green care business managers have very different needs by their characteristics, training contents and goals should be changed by their business location, business type and other characteristics. 이 연구는 치유농업운영자의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치유농업운영자의 교육능력개발방향을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치유농업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직무능력문항을 도출하여 치유농업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응답한 79개 치유농업운영자에게 필요한 교육요구를 t검증, Borich의 요구도, Mink, Shultz & Mink의 The Locus for Focus Model를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이들 요구가 치유농업운영자의 성별, 학력별, 지역별, 업종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치유농업 운영자의 교육요구는 치유농업 사업 계획서 수립 및 사업비 확보, 치유농업 홍보 및 마케팅, 치유농업운영상의 수용자 안전과 보호 대비, 치유농업 협력자원 발굴 및 네트워크 확장, 치유프로그램 고객 모집 및 관리(유지, 확대, 모니터링), 치유농업환경, 경관 및 시설조성(관리, 확충)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요구는 또한 운영자의 성별, 학력별, 지역별, 업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치유농업운영자 교육은 치유농업을 진행할 충분한 아이디어와 경험을 반영할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비 확보, 사업 홍보와 마케팅, 치유농업고객 모집과 관리를 포함한 사업초기운영부분과, 치유농업수용자 안전과 보호, 치유농업협력자원 발굴과 네트워크 확충, 치유농업환경, 경관 및 시설 조성등의 기초나 운영 단계의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의 치유농업운영자는 특성에 따라 요구 순위에 차이가 있으므로, 특성이나 업종, 사업지에 따라 교육 내용과 방향을 달리하여야 하고, 치유농업운영자의 역량 모델을 다양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치유농업강사와 같이 정시제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요구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역 농촌의 농업치유관광 운영방안과 (특수)교육적 시사에 관한 담론-W마을 운영방안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애 ( Kim Sung-ae )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1

        이 논문은 치유농업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과 연구자의 철학적 기반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담론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필요성을 위한 철학적 기반에는 인간의 웰빙과 인간성의 회복, 그리고 농촌에서의 치유의 새로운 역할과 제4차산업혁명시대에서의 (특수)교육에 주는 이로움이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치유관광의 개념적 특징을 담론한다. 둘째, 지역 농촌 마을의 농업치유관광에 대한 운영방안을 담론한다. 셋째, 농업치유관광 운영방안이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담론한다. 연구자가 농업치유관광 운영 방안을 적용하고자 하는 W마을은 전형적인 지역 농촌마을이다. 이 마을에서 연구자에 의해 제안되는 농업치유관광 운영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농업치유 관광을 위한 마을의 비전을 수립한다. 2. 운영의 질적 제고 방안으로, 농업치유관광 운영을 위한 각종 위원회 구성, 운영 원리 구안, 운영의 질적 균형성 제고 방안을 담론한다. 3. 농업치유관광의 효과성 및 효율성 차원에서는 농업 치유관광 활동 자원 개발, 지속가능한 이용자-제공자의 교류 방안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연구자는 W마을에서의 농업치유관광 운영 방안이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담론한다. 그 담론의 분야는 교육의 비전으로서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과 교육방법론으로서의 융복합 활동, 그리고 통합교육 관련 내용이다. This paper is made in the form of a discourse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study and the subjective viewpoints of the researcher's philosophical basis.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includes human well-being, the restoration of human identity, the new role of healing in rural areas and the benefits given to (special)education in th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tc.. There are three objectives this paper intends to approach.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discours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Healing Tourism(AHT). Second, to discourse the AHT management plan in the rural village. Finally, to discourse the implication on which the AHT management plan gives for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village ‘W’ where the researcher intends to develop and manage AHT, is a typical rural village. The AHT management plan proposed by the researcher is included as follows: 1. To establish visions for AHT, 2. As a quality improvement plan for AHT, to establish various committees, to establish the operating principles, to prepare “checklists” for the qualitative balance of the management plan, and 3.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AHT, to develope resources for AHT activities, to establish a sustainable user-provider exchange plan, etc. In addition, the researcher discourses the implication on which the AHT management plan gives for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aspects for discourse are as follows: Human image required in this era as a educational vision; Convergence activities as a Educational methodology; Inclusive Education related.

      • KCI등재

        대학생의 치유농업활동 수용도와 직업 의사

        강대구(Dae-Koo Kang),김혜선(Heaseon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1

        이 연구는 미래의 치유농업 관련 직업의 잠재인력이 될 수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농업 활동을 치유농업활동으로 수용하는 정도와 치유농업용어에 대한 이해도 및 치유농업 종사의사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치유농업활동 수용도는 지역, 학교소재지 인구 규모, 학과유형, 학과 선택 동기별로는 대학생 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학년별로는 재활돌봄수용도 하위척도에서만 유의한 차가 있었고, 졸업 후 희망 진로, 치유농업소재의 치유효과 인식도, 치유농업용어 이해도, 치유농업 종사희망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졸업 후 희망 진로는 농사, 전공무관회사 취업집단이 전공무관대학원 진학 집단과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경향은 하위집단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치유농업소재의 건강, 행복과의 관련성은 매우 관련 있다는 집단과 매우 관련 없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모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교육체험수용도는 매우 관련 있다는 집단과 매우 관련 없다는 집단 간에 유의차가 있었다. 치유농업이해도가 높은 집단은 처음인 집단보다 치유농업수용도가 높았고, 하위척도인 치유휴식수용도 역시 동일하였다. 치유농업종사희망정도별로 치유농업수용도에 차이가 있으며 꼭 하고 싶다는 집단이 절대로 하고 싶지 않다는 집단에 비하여 치유농업수용도가 높았다. 둘째, 치유농업이해도는 학교소재, 지역규모, 학과, 학년, 치유농업소재의 건강행복 관련성 인식, 치유농업종사의사에 따라서 유의차가 있었다. 셋째, 치유농업종사희망은 꼭 하고 싶다는 응답자 비율은 2.8%이고 절대하고 싶지 않다는 집단이 35%였다. 조건적 희망자 비율은 62.2%였다. 치유농업종사 희망은 학교소재지역규모, 학과, 학년, 학교선택동기, 치유농업소재의 건강 행복 관련성 인식, 치유농업이해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꼭 하고 싶다는 비율은 50-100만 미만시지역, 관련학과, 3학년, 취업/진로요인으로 학과 선택한 집단, 치유농업소재와 건강행복관련이 매우 관련 있다는 집단, 치유농업용어를 들어봤고 뜻도 안다는 집단이 평균 비율보다 높았다. In modern society, agriculture is changing from food industry as a primary industry to a sixth industry that can affect human life in various forms. In particular, new perspective that various agricultural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human beings, as well as various rural resources, cultures, and communities can contribute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alienation of modern people, has been spreading under the name of “therapeutic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acceptance of various agricultural activities as therapeutic agricultural activities, awareness of the terms of therapeutic agriculture, and the intention to engage in therapeutic agriculture in college students who can become potential manpower of future therapeutic agricultu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therapeutic agriculture activities amo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region, local size of university location, student’s major, major selection motive. Bu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y career hope after graduation, effect cogni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s,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occupation inten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e. Specially, school grade had a partial effect on rehabilitation care which is one of subscales of therapeutic agricultural activities acceptance. Second,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among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ocal size of the university location, student’s major, school grade, effect cogni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 occupation inten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e. Third, occupation inten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e of college/university students was very low in general.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long with local size of the university location, student’s major, school grade, major selection motive, effect cogni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The intention to engage in therapeutic agriculture were higher in students whose majors were therapeutic agriculture related, students from city with 500,000 to 1,000,000 residents, juniors(3rd grade) in colleges/universities, students who choose major with job or career related motives, students with very positive effect cognition about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 and students with higher understandings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than other students groups.

      • KCI등재

        지역공동체활성화에 기여한 미국의 치유농업과 우리의 적용방안

        박화춘(Park, Hwachoon),강대구(Kang, Dae-Koo)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2

        최근 농업과 농촌자원을 국민의 행복과 연결하는 치유 농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는 예부터 질병이 발생하고 난 후 치료보다는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의식동원’ ‘약식동원’이라는 말까지 있으며, 자연환경 속에서의 적절한 농업 활동은 질병예방이나 치유에 유용하다는 것은 동서양의 사례가 있다. 네덜란드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우리나라도 2013년 치유 농업에 대한 유럽의 사례를 소개한 이후 관심도가 높아져 2016년도에는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치유농업관련 연구자, 행정가 및 관계인사가 참여하여 학술포럼을 구성하고 치유농업에 대한 법적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직 치유농업이라는 정부의 공식적인 자격증 부여는 없으나 관련 자격을 부여하는 민간단체도 있고,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치유농업과 관련된 학과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에서의 치유 농업을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외국의 사례들을 수집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까지는 네덜란드를 포함한 유럽 국가의 치유농업 사례들이 소개된 정도이나(김경미 외, 2013), 치유농업 역사가 100년이 넘는 미국의 사례(Loue, 2016)등 다양한 국가의 사례 수집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치유 농업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 치유농업의 발전 토대가 된 도덕적 치료 개념을 검토하고, 치유농업의 유형인 치유농장, 치유정원 및 동물 보조 치료에 대한 미국의 사례와 이에 관련된 법령, 정책, 전문단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외에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휴경지 등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주민을 위한 정원이나 텃밭 운영, 학교 텃밭 가꾸기, 동물보조치료 등을 통한 초. 중등 학교의 농업교육, 지역사회교육, 건강한 식생활 유지 등 다양한 교육을 위한 실험실과 학습 현장으로서의 활용 현황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ograms and laws of therapeutic farms, therapeutic gardens, and therapeutic animals in the U.S.A.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and when therapeutic farms and therapeutic gardens, and therapeutic animals started and developed in the U.S. through a review of a wide range of empirical research studies on therapeutic farms and horticulture therapy, diverse programs and services provided by therapeutic farms and horticulture therapy gardens, and laws and principles that were applied for utilizing therapeutic farms and horticulture therapy gardens in the U.S. In the U.S., many therapeutic farms have been developed over 100 years in the form of residential treatments. Most of the farms were for adults who had a psychiatric illness or dual diagnosis. The cost was not supported by insurance companies and individuals paid the cost. Many farms provided both educational and training courses for residents as well as therapeutic treatments. Therapeutic farms faced challenges related finance, laws, and leadership. For public people, community gardens and botanical gardens were popular in the U.S. for educating school children and their families, preventing illness, and promoting public health. There were several associations for therapeutic far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arms. Each association shared information such as principles for administrating farms and provided many educational courses for therapists. Many farms followed several acts or laws including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nd most farms practiced principles and policies that each association and/or state set. Implications that how therapeutic farms and horticulture therapy gardens can be applied in South Korea are suggested to promote community engagement for educational purposes.

      • KCI등재

        치유농업 분류체계 구축을 통한 치유농장 사업 현황 분석

        유은하,김재순,정순진,강용구,권혜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4

        본 연구는 치유농업 산업의 분류체계 구축을 통해 치유농업 산업의 범위에 근거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분류체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치유농업 산업의 개념과 특징을 반영하여 특수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통해 치유농장을 대상으로 운영 및 경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치유농업의 산업적 구성과 비중을 분석하였다. 국내 치유농장의 사업 비중은 전체 매출액 중 치유농업 산업이 47.8%, 투입재 산업 40.4%, 파생 산업은 11.9%를 차지하였다. 소분류기준 매출액이 가장 많은 분야는 공동체 서비스 교육, 정신적 재활치료, 치유농업 농산물 재배업 순이었다. 치유농장의 81.1%가 치유농업 운영을 위해 시설을 건설하였는데 그 종류로는 조경 및 공원, 녹지 조성이 77.9%로 가장 많았다. 한편 매출액이나 종사자 규모로 살펴본 결과, 국내 치유농장은 매우 영세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치유농업 산업이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써 도입되고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산업 현황자료로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향후 치유농업의 효율적인 사업경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한편 치유농업법에 따른 정기적 실태조사 추진의 방법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gro-healing and to use it to establish policies by defining the scope of Agro-healing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Agro-healing industry.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KSIC), and a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o-healing industry is constructed.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pract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investigating a pilo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farms operating Agro-healing service. As a result of recording the proportion of farms by this classification system, 70 farms carried out ment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service education based on sub category, and 80 cultivation and breeding of crop were the most common by middle category. 81.1% of responding farms built facilities to operate healing farms, and landscaping, parks, and green areas were the most common at 77.9%.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considered to have limitations as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conditions in that the Agro-healing industry has been introduced and attempted as a government-led so far.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preparation for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in the future, while it is evaluated that it has prepare the foundation for a regular survey under the Agro-healing act.

      • KCI등재

        일본과 네덜란드의 농업-복지 연계 치유농업의 전개과정 비교 연구 :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전호성,임영언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are farm in Japan and the Netherlands. First, Japan has created jobs in rural areas, and in the Netherlands, agricultural businesses have switched to care farm with a multi-functional strategy of agriculture. Second, Japan provided horticultural healing facility programs, and in the Netherlands, various types of care farm were established. Third, Japan focuses on the maintenance and recovery of mental and physical functions, and the Netherlands focuses on expanding the target audience and promoting communication. Fourth, from a policy point of view, Japan's facility programs are exposing problems to sustainability, but the Netherlands is building a sustainable system by covering it with care project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a convergence model that combines Japanese and Dutch models can be applied for care farm in Korea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과 네덜란드의 치유농업의 전개과정, 제도적 특징, 검증 효과, 정책과제 등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농업의 등장과정에서 일본은 농촌 지역소멸과 인구감소로 농촌 지역 부가가치 창출과 일자리창출, 네덜란드는 농업의 다기능 전략의 하나로 선택과 집중 측면에서 개별 농업경영체가 치유농업으로 전환하였다. 둘째, 제도적 특징에서 일본의 치유농업은 원예치유에 집중되어 있고 정부 기능의 지방자치 이양과 행정개혁으로 이용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시설프로그램 제공에 대한 보수 지급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네덜란드는 전형적인 낙농 국가로 보험제도의 분권화에 따른 농림성과 후생성의 공동자금으로 다양한 형태의 치유농업이 설립되었다. 셋째, 치유농업의 효과적 측면에서 일본은 원예요업 중심의 장애인과 고령자의 심신 기능유지, 회복에 중점을 두고 있었지만, 네덜란드는 초기 장애인 대상의 원예치유에서 사회적 돌봄 대상으로 확대하여 자신감 회복, 사회참여의식 제고, 소통과 교류 증진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넷째, 정책적 측면에서 일본의 치유농업은 농업과 농업 공간을 활용한 사회서비스로 시설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네덜란드의 치유농업은 다양한 사람들이 누구나 즐기는 쾌적한 장소로 사업수익의 대부분을 돌봄 사업으로 충당하여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향후 한국에서 치유농업은 일본과 네덜란드의 모델을 결합한 융합모델이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치유농업 서비스디자인 모델 연구

        이승환(Seung Hwan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3

        농업활동을 통한 치유는 의학적·사회적으로 차료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예방이나 해결 방법의 하나이다. 치유농업은 농촌관광과 체험 등 일회성 상품에서부터 문제해결을 위한 연속성을 갖는 농업활동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치유농업은 본질적으로 ‘치유를 위한 농업의 활용’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유농업에서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적 접근을 통해 치유농업 모델개발에 필요한 방법론 제시하고자 한다. 치유농업에서 서비스 디자인 요소인 수요자 중심의 접근법, 시스템사고, 반복적 접근, 지속 가능성을 추출하여 자연환경과 건강 연관성, 서비스 디자인의 사용자 중심 접근법, 그리고 이용자들의 과학적 효과 측정 등을 통해 치유농업과 서비스 디자인 사이의 효과적 모델을 구상할 수 있도록 치유농업모델을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Healing through agricultural activities is one of the prevention and solution methods for people who need healing medically and socially. Healing agriculture is developing in various forms, from one-time products such as rural tourism and experiences to continuous agricultural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Healing agriculture essentially means ‘using agriculture for healing.’ In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the methodology needed to develop a healing agriculture model through a conceptual approach to service design in healing agriculture. Healing agriculture and service design by extracting service design elements such as consumer-centered approach, system thinking, iterative approach, and sustainability from healing agriculture, linking natural environment and health, user-centered approach in service design, and measuring scientific effects of users. A method of presenting a healing agriculture model was proposed so that an effective model could be designed between the two.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이승환(Seung Hwan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4 한국디자인리서치 Vol.9 No.2

        치유농업은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새로운 산업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관점과 방법론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문헌 고찰과 국내·외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사용자 중심성, 이해관계자 참여, ICT 기술 활용 등의 원칙이 치유농업 프로그램 설계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6차 산업으로서의 치유농업의 발전 잠재력을 조명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실무 차원의 제언을 도출하였으며,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과정에 서비스디자인 교육을 필수로 포함하고, 치유농가 인증평가에 사용자경험 지표를 반영하며, 관계부처와 민간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서비스디자인의 도입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이를 뒷받침할 심층 연구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Healing agricultur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industrial field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peopl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by utilizing the pluralistic functions of agricul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spective and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seek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healing agricultur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it was confirmed that principles such as user-centeredness of service design, stakeholder participation, and use of ICT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improvement of therapeutic agriculture program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healing agriculture as a 6th industry was highlighted in term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creating social valu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revitalizing healing agriculture were derived. It was proposed that service design education be included as a mandatory part of the training process for healing agriculture professionals, that user experience indicators be reflected in the healing farm certification evaluation, and that a collaborative governance system between relevant ministries and the private sector be established.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introduction of service design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healing agriculture, and suggests that in-depth research and policy support to support this are required.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 방안

        문수희,장동헌,이동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7 No.3

        치유농업의 목적은 건강회복 및 유지, 증진을 위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농촌의 활력, 소득원의 창출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있다. 이러한 치유농업의 가치는 치유농업 대상자뿐만 아니라 농업인, 지역사회, 보건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주체가 혜택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핵심요인을 도출하여 환경생태적, 사회경제적 편익, 지역사회발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적합도와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치유농업에 실무와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 교수, 치유농가 등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최종 1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핵tla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측정영역과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 분석결과 7개의 상위요인과 33개 하위요인을 선정하였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와의 교류 활성화를 통해 농업, 의료, 사회, 교육 분야에서 농업의 새로운 대안으로써 치유농업을 운영할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지원과 기초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Agro-healing is to reduce social costs for health recovery, maintenance, and promotion, as well as rural vitality and sustainable growth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rough the creation of income sources. The value of Agro-healing lies not only in its benefits for the recipients but also for various players such as farmers, communities, and health service providers. To propose ways to build a sustainable ecosystem for Agro-healing, this study identified core factors as environmental ecological aspects, socio-economic benefits, and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Each factor was further divided into sub-factors to assess their suitability and importance. The Delphi survey involved 15experts, including researchers, professors, and experienced Agro-healing farmers.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final 12experts were surveyed twice. The analysi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key factor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ecosystem for Agro-healing. A total of 7top-level factors and 33sub-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areas and sub-factors. There is a need to operate healing agriculture as a new alternative to agriculture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medicine, society, and education by activating exchanges with various ent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his outcome is highly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fundamental direction for creating a sustainable ecosystem for Agro-he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