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조민규,김춘경 대한문학치료학회 2015 대한문학치료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하는데 있다. 연구문제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것 이다. 둘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 동구에 소재하 는 OO초등학교 5학년 아동 192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24명을 프로그램 에 참여 시켰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였으며,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2번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당 45분씩 총 12회기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첫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지속되었다. 둘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이는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2014~2016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극치료 사업 분석 및 제언 - 생명보험사회공헌 지원사업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류미정 ( Ryu Mi Jeo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7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7

        이 논문은 2014년~2016년까지 지난 3년 간 생명보험사회공헌 지원사업으로 진행된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사업을 점검해 봄으로써 효과적이었던 부분과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여 보다 더욱 효과적인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요인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 점검 하였다.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정서적인 문제-우울감과 무망감, 자기조절능력, 문제 해결력, 자존감 향상(긍정적인 자아상 탐색, 긍정적 감정과 경험에 접근하기)을 다루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가정 문제, 교우 관계, 학업 스트레스’에 관한 사건 및 감정을 살피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친밀 및 의사소통’을 경험하며 자신의 문제를 변형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서적 안정, 자기조절 및 문제 해결력 향상, 자존감 향상, 삶의 의미 발견, 지지적인 관계 구축’으로 크게 다섯 가지의 보호요인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견지를 바탕으로 생명보험사회공헌 지원 사업으로 지난 3년간 진행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세부 프로그램의 점검 전, 전반적인 사업의 점검으로, 사업의 구성, 각 년도 별 진행하면서의 문제점과 변동사항, 프로그램의 결과를 살펴보았고, 좀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기간 설정, 대상 선정 기준 재점검,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 분석의 미흡함 등의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극치료 세부 프로그램을 각 년도 별로 참여자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및 만족도 설문지 결과와 비교하여 점검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기인식의 향상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정서적 안정, 자존감 향상, 삶의 의미 발견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업 초반에는 상대적으로 지지적인 관계구축, 자기 조절 및 문제 해결력 향상에 있어서는 미흡함이 보여졌다. 2016년의 경우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지지적인 관계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관계 측면에서의 향상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만 여전히 문제 해결력 향상에 관한 프로그램의 비중이 다소 약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3년간의 작업을 점검하면서 청소년 작업에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은 집단의 관계 및 신뢰형성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참여자 만족도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하였을 때 현재까지 꾸준하게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상승해오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에도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만족도 설문지, 진행되었던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관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유기적인 분석을 토대로 더욱 효과적인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3년간의 사업 자료를 처음으로 취합하여 정리하고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 이를 통하여 이후 더욱 효과적인 청소년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보완해야할 부분을 제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reviewed the suicide prevention theatrical treatment program for young people who was supported by the Life Insurance Philanthropy Found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By identifying and proposing what is needed, the aim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more effective program of suicide prevention theater treatment for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youth suicide were examined firstly, and then what was the focus of the suicide prevention theater program for adolescents. Suicide Prevention Drama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s should deal with emotional problems - depression and hopelessness, self-control, problem-solving skills, self-esteem (seeking positive self-image, approaching positive emotions and experience). To do this, we need to look at events and feelings about 'family issues, friendships, and academic stress'. In this process, we must change our own problems and discover meaning of life through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imacy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is program, five kinds of protection factors should be constructed as 'emotional stability, improvement of self contro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self - esteem, discovery of meaning of life, supportive relationship building'. Based on this viewpoint, the Korea Theater Therapy Association was trying to analyze the program of Dramatherapy for prevention of suicide in the youth for the past three years as a support project from the Life Insurance Philanthropy Foundation. Before the detailed program check, the overall project review, the composition of the project, the problems and changes in the progress of each year, and the results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And the lack of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inspection, pre- and post-test. Finally, comparing the theater treatment program for prevention of suicide in youth with the pre-, post-test, and satisfaction survey results of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at what point in time there was an effect on emotional stability, self-esteem, Related. However,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there was a lack of supportive relationships, discipline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2016, this was reflected to show that it has improved with a focus on supporting relationships. However, the proportion of programs in problem solving still seems to be somewhat lacking. In reviewing the work for three years, we once again confirmed that the part of youth work that needs to be preceded is group formation and trust 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rticipant satisfaction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gram participant was steadily increasing. This analysis also confirms the ne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est and test results, satisfaction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programs. This organic analysi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heater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the past three years. It is meaningful to propose a supplementary part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theater therapy program for young people.

      • KCI등재

        시 치료 프로그램의 작품 선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남희 ( Kim Nam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8 No.-

        이 연구는 앞으로 개발될 시 치료 프로그램이 시의 치유적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유의미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가 갖는 치유적 기능에 대한 입론을 바탕으로, 기존 시 치료 프로그램이 이와 같은 시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시 치료 프로그램의 작품 선정 기준 및 결과에 주목하여 프로그램의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존의 시 치료 프로그램들은 전문가들에 의해 이미 선정된 작품 중 개별 프로그램의 주제에 부합하는 작품을 연구자의 독립적 판단에 의해 선별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그 선별 과정에서 국내외에서 축적된 시 치료 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작품 선정 원리를 적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일부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프로그램 주제에 부합하는 작품을 1차 선정한 후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치료용 작품으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 치료 프로그램들이 활용하고 있는 작품 선정 기준 및 절차는 다소 임의적인 면이 있었을 뿐 아니라, 시의 치유적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로 작품 선정이 이루어진 측면이 있다. 또한 일부 프로그램이 준용하고 있는 기존 연구들의 작품 선정 원리의 경우도 충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시 치료 프로그램에서 작품을 선정할 때 그 절차를 단계화하고 종합화하여야 한다는 점, 치료 주체의 문학적 안목 및 경험치를 확충해야 한다는 점, 여러 프로그램에서 준용하고 있는 작품 선정 원리를 재구조화하여야 한다는 점, 치료 대상자의 심리적 문제를 정교하게 범주화하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작품 선정 시 시 전문 연구자와의 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ningful suggestions so that when developed in the future, the therapy program can make the most of the healing functions of poetr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this end,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healing function of poetry, it was critically considered whether the existing poetry therapy programs fully utilize the functions of the poetry.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analyzing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by paying attention to the criteria and results of the selection of works of the poetry therapy programs. Existing poetry therapy programs often select works that match the subject of individual programs among works already selected by experts by independent judgment of researcher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on, the principle of selecting works presented by poetry therapy studies accumulated until now was applied. In some programs, the researchers first select works that fit the theme of program and then select them as therapeutic work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However,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selecting works used by poetry therapy programs were not only somewhat arbitrary, but also were applied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healing function of poetry. In addition, some programs applied the principles of selecting works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m. Based on thi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rocedure should be phased and synthesized when selecting works in a poetry therapy program, the literary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the therapist should be expande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therapy client should be elaborately categorized, and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poetics researchers.

      •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김수복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2011 통합예술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하나님을 믿는 성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해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David H. Olson(2000)의 건강한 부부관계를 증진케 하는 ENRICH 척도 하위변인 “결혼만족도, 성격문제, 의사소통, 갈등해결, 재정관리, 여가활동, 성관계, 자녀와 양육, 가족과 친구, 역할관계, 종교적 신앙성숙, 가족친밀성과 유연성” 등을 독서치료기법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처치된 실험집단은 처치되지 않는 통제집단보다 ENRICH 척도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가설의 결과를 살피기 하기 위해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와 인천시 G구에 소재한 두 교회 30대에서 50대 하나님을 믿는 성인부부들 14쌍 28명을 무작위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서 통제집단 7쌍, 14명과 실험집단 7쌍 14명을 중심으로 연구기간은 2009년 2월 1일(일)-5월 24일(일)까지 14회기 동안 실시하였으며, 미리 집에서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온 상황에서 매주 1회 3시간씩 발달적 독서치료와 상호작용적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에 Olson의 건강한 부부관계를 점검하는 ENRICH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중에 독후활동을 통해서 건강한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발문을 하였으며, 회기별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차이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2가지 변인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AS 12.0 K를 이용하여 t 검정과 ANCOVA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그룹은 그렇지 않는 그룹에 비해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케 하는 하위변인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성인부부들에게(30대-50대) 적용이 긍정적이었다.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간의 사전과 사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위

      • KCI등재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치료 프로그램 효과

        배성환(Bae, Seong-Hwan),장연식(Jang, Yeon-Sik)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워크북 훈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경도인지장애 노인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17명으로 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주 3회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 주 2회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5회 재가형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주 5회 인지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두 군 모두 8주, 주 5회, 1회기 당 30분 적용하였으며, 인지기능 향상 효과는 LACLS와 S-LICA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LALCS와 S-LICA 비교 분석 결과, 전산화 인지치료와 재가형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일반적 인지치료 프로그램 보다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집단 간전후 비교 분석 결과 실험군이 LACLS와 S-LICA 총점, 기억력, 언어, 집행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인지기능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cogni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Methods : The cogni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is study, 24 times for a total of 8 weeks for thirty eight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The cognition program is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mbined with home based cognitive program and general cognition program. LACLS and S-LICA were used as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on program. Results : In this study, the LACLS score and S-LICA score of the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mbined home based cognitive progra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general cognition program group. The LACLS score and S-LICA total score, memory, language, executive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cognition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 KCI등재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도 조사

        조영석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 targeting local residents in the D area of ​​Chungnam, and tri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program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Methods :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6 citizens of the local community from April 01, 2022 to May 31, 2022, mainly in the D area of ​​Chungcheongnam-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question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6 questions related to the desired service program of a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t was finally analyzed that the response rate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as over 60%. Results : ‘Health and medical service business program (18.6%)’ was the top priority for the desired program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nd by age group,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crisis family support (19%)’ were the highest among teenagers. ‘Psycho-emotional support (26.5%)’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social education program (35.8%)’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Health service program (24.1%)’ among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en asked about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welfare center service program, 48% and 61.5% of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over 60s gave positive answers, respectively, and 85.7% and 61.5%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swered negatively, indicated the answer. 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gram, ‘health treatment (35%)’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habilitation treatment (24.8%)’. As a desired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was the highest at 62% and 54.2%, in teenagers and in their 20s and 30s, respectively, and ‘cognitive (dementia)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ir 40s and 50s and over 60s, 34.7% and 50.6%, respectively were the highest. As for the desired leisure activity program, ‘Adult Certification Class (30.9%)’ was the highest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50s, ‘Senior Health Gymnastics Class (54.2%)’ for those in their 60s and over, and ‘Reading Activities (17.3%)’ in the children’s program was the highest. In the elderly welfare program, both men and women had the highest expectations for ‘health counseling and rehabilitation program’ with 55.3% and 57.8%,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most desired service program among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o answered most positively about using the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 was the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program, and among them,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care treatment and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Among the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s, cognitive (dementia) rehabilitation was analyzed in the order, and they answered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part of recruit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se program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recruit professional manpower to open and operate these program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목적 : 본 연구는 충남 B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04월 01일부터 2022년 05월 31일까지 충청남도 B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시민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정보 11문항,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희망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률이 60%이상인 최종 306부가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희망 프로그램 1순위로 ‘보건의료서비스 사업 프로그램(18.6%)’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연령대별로는 10대에서는 심리정서지원과 위기가정지원(1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30대에서는 심리정서지원(26.5%), 40-50대에서는 ‘사회교육 프로그램(35.8%)’, 60대 이상에서는 ‘보건의료서비스 프로그램(24.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지관 서비스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40대-50대와 60대 이상이 각각 48%, 61.5%로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으며, 10대와 20-30대에서는 각각 85.7%, 61.5%가 부정적인 답변을 나타냈다. 보건의료서비스 프로그램에서는 ‘보건의료진료(3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재활치료(24.8%)’ 가 나타났다. 희망하는 재활치료 프로그램으로 10대와 20-30대에서는 ‘근·골격계 재활’이 각각 62%, 5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인지(치매)재활 프로그램’이 각각 34.7%, 5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희망하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20-50대 성인에서는 ‘성인자격증반(30.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0대 이상에서는 ‘시니어건강체조교실(54.2%)’, 어린이 프로그램에서는 ‘독서활동(17.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복지 프로그램에서는 남녀 모두 ‘건강상담 및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각각 55.3%, 57.8%로 가장 높게 희망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으로 답한 60대 이상의 그룹에서 가장 희망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은 보건의료서비스 사업 프로그램이며, 그 중에서 보건의료진료와 전문재활치료 프로그램 개설을 필요로 하였다. 전문재활치료 중에서는 인지(치매)재활, 근·골격계 재활 프로그램 순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이들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충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응답하였다. 향후에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에 이들 프로그램 개설과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충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동물매개치료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가능성 - 국내 프로그램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

        백승희 ( Seunghee Paik ),최승희 ( Seunghee Choi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20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5 No.-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 프로그램 연구동향의 분석을 기반으로 동물매개활동 및 치료의 프로그램의 특성과 보완점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의 연구문제는 1) 동물매개활동 및 치료프로그램 연구의 내용은 어떠한가? 2) 동물매개활동 및 치료프로그램 연구동향은 인구사회학적 변화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가?이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2019년까지 총 7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연구동향 분석틀에 의거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내용분석을 근거로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가능성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활동과 치료의 대상자와 치료목표는 사회복지실천분야와 매우 밀접하며, 장애의 출현율, 심리적 문제, 사회인구학적 변화 등의 추이가 반영되는 점 등도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특성과 맥을 같이 한다. 이는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 통합적(holistic) 분야인 동물매개치료의 특성과 사회복지학문의 특성이 잘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과 치료목표들이 유사하기 때문에 공동의 치료목표를 향해서 co-work을 하거나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활용한다면 치료적 효과를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동물매개활동 및 치료가 2013년 이후부터 문제 중심 보다는 예방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특히 비장애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연구가 14편이나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연하면서 다소 용이한 동물매개활동과 교육을 사회복지분야의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동물매개치료는 대상자의 변화를 목표로 하여 프로그램을 계획·실행하고 그 임상적 효과를 측정하여야 하므로 프로그램연구들이 타 학문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기별로 활동방법과 활동목표가 어떻게 연계되고, 설명되는지에 대한 이론이 제시되지 않은 논문들이 대다수이다. 동물매개활동과 치료의 연구에서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이며, 향후 동물매개치료가 좀 더 심화된 연구나 활동분야로 발전하고 인정받기 위해 임상적 프로그램을 위한 슈퍼비전에 대한 강화와 프로그램이론에 대한 제시는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program research trends from 1998 to 2019,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to social welfare practice,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mpleteness of the program of Animal-Assisted Activities(AAA) and Animal-Assisted Therapy(AAT). First, the subjects and the goal of AAA and AAT are very close to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he fact that the emergence rate of disability, psychological problem, and social demographic changes are reflected is also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site. This can be sai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AT and social welfare studies in the fields of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holistic. Because targets and treatment objectives are similar, co-work towards common treatment objectives or partial us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Second, AAA and AAT have been more preventative than problem-oriented since 2013. In particular, 14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non-disabl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health-promoting prevention,” the European Society for Animal Assisted Therapy(ESAAT) said. On the other hand, because animal therapy requires planning, carrying out, and measuring the clinical effects of the program aimed at changing the subject, program studies account for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other studies. Nevertheless, there is no theory of how activities and goals are linked and explained in each session that should never be overlooked in the study of animal activities and treatment, and that animal treatments should be further improved in order to develop and be recognized in a more advanced field of research or activ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이영아(Lee Young Ah),정보라(Chung Bo Rah)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8

        본 연구는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하나인 치료자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범죄자 치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인지행동치료모델로부터 재발방지모델, 위험-욕구-반응성모델 및 최근의 좋은 삶 모델까지 살펴보았다. 교정시설과 보호 관찰소에서 성범죄자에 대한 치료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때부터 최근까지 중요한 변화추이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본교육의 프로그램 매뉴얼을 비교하여 국내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개선방안 검토에 있어, 치료자 특성은 재범률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 최근 메타 분석에서는 긍정적 치료자의 특성이 성범죄자 치료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연구자들은 공감능력, 진실성, 따뜻함, 존중감, 자신감, 감정적 대응능력, 지지적 성향, 자기 개방(self-disclosure), 융통성, 적극적인 참여를 격려하고 보상해주는 행동 등을 치료자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특성으로 지적한다.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이 갖는 재범방지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정책적 고려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첫째, 교정 시설의 기본교육과정을 위탁받아 진행하고 있는 외부기관 치료자들에 대한 자격관리 및 교육의 중요성하다. 둘째, 정책 집행자, 연구자, 임상 실무자들 간의 협력과 이를 실현시킬수 있는 통합기구설치를 설치하여 운영해야 한다. 셋째, 성범죄자 참여 동기의 진작을 위한 예비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끝으로, 그동안 산발적으로 시행되었던 치료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의 필요성 및 출소 후 지역사회에서 관리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과 추수상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sex offender treatment programs. We review the four theoritical models for treating sex offenders:(1) cognitive behavioral theraphy model, (2) relapse prevention model, (3) risk- needs-responsivity model and (4) good lives model & self regulation model. This study explores significant developments in major treatment programs for sex offend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and probation centers and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sex offender treatment programs. In the treatment of sex offenders, the individual traits of the therapist are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reoffense rates. In the recent meta-analysis,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herapists have constructive effects in the treatment of sex offenders.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empathy, truthfulness, warmth, good self-esteem, confidence, emotional attunement, supportive inclination, appropriate self-disclosure, flexibility, and encouraging and rewarding attitudes toward the sex offenders as crucial therapeutic traits to be provided by the group therapist. This paper emphasizes necessary changes for policy considerations to prevent recidivism through sex offender treatment programs. First, qualification management and education for externally associated institutional therapists who are entrusted with the basic curriculum of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r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acilitative cooperation among policymakers, researchers, and clinical practitioners and operate more integrated organizations. Third, preliminary treatment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encouarge active forms of participation among the sex offenders. Finally, it must be noted that meta-analysis of the content and effectiveness of the sporadic treatment program is necessary and the cooperation program and regular harvest counseling sessions must be conducted in the communities after the release of former sex offenders that can be managed in the community after release.

      • KCI등재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과정 연구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양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과정을 확인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로 진단받은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기독교인지행동치 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맥락에서 공황장애 경험과 변화과정 그리고 결과를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 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인 MAP(Mastery of Your Anxiety and Panic)을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해석하여 수용하고, 기독교적 변화기제 5가지를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이어서 12주간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집단상담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 여한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회기별 녹취록과 연구 자의 관찰기록지, 프로그램 종료 후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원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는 맥락을 나눈 후 분석하였고, 의미단위, 요약개념, 범주를 구성한 후 이를 경험, 변화과정, 결과로 배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황장애 경험은 일상생활의 어려움, 요동치는 감정의 기복,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부정적 생각, 벗어나려는 몸부림, 치료의 시행착오이다. 변 화과정은 하나님과 함께하는 치료의 시작, 인격적인 하나님 체험, 부정적 사고를 성경 적 사고로, 새로워진 하나님 이미지, 달라진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결과는 변화를 향 한 도전, 변화된 일상, 새 삶을 향한 소망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공황 장애 변화과정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xperience, process of change and results of panic disorder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context of participating i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for Christians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composed of five Christian change mechanisms, interpreting and accepting MA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as a Christian world view. Th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12 weeks to treat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with panic disorder, and nin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source materials were compos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including recordings of each session, observational records of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the context, organizing the semantics, summary concepts, and categories, and arranging them into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process of change, and out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is the difficulties of everyday life, fluctuating emotions, negative thoughts that fall into the abyss, struggle to escape, and trial and error of treatment. The process of change is the beginning of treatment with God, personal experience of God, converting negative thoughts into bible thinking, renewed image of God, and changed relationship with God. The outcome was a challenge to change, a changed routine and a desire for a new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process of changing panic disorder were made.

      • 가정 폭력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효과성에 관한 연구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엽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3

        본 연구는 한국의 가정폭력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서 선진국의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 우리 현실에 맞는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및 대책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침서, 현재 시행중인 Duluth Model, 분노 대처 프로그램(Anger Management Program)및 부부치료 프로그램(Couple Counseling Programs)을 통해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미국에서 시행중인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의 효과성 분석 연구에서 프로그램 수강 후 가해자들의 재폭력률은 명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효과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함과 동시에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방법상의 어려움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한국에서의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은 미국의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과 지침서를 보다 잘 활용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및 이의 효과성 분석, 체계적인 전달체계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d facilitating batterer treatment programs to the current situations in Korea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m systematicallyIn order to do so,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tterer treatment programs based on American findings and a guide book for batterer treatment program development, Duluth Model, Anger Management Program, Couple Counseling Programs were introduced and analyzed.In case of effectiveness study in batterer treatment programs in America, the numerical recidivism rate reduced after the programs, but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s findings show us the difficulty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itself.According to the findings, it is encouraged to develop systematic and integrating research methods applicable to Korea’s current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