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재 라미네이트와 복합레진 수복 시 치간이개 양에 따른 접착계면의 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홍준배,탁승민,백승호,조병훈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하여 복합레진 및 도재 라미네이트로 전치부 치간이개를 폐쇄할 때, 치간이개의 간격과 수복방법이 수복물의 접착계면에서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복합레진 혹은 도재 라미네이트로 수복된 모습의 유한요소모델을 형성하여 접착계면에서의 von Mises stress 분포 양태를 분석하였다. 수복형태는 크게 네 가지 범주를 고려하였다. Type I, 복합레진으로 인접면을 최소한으로 수복하는 경우; Type II, 치아 삭제 없이 복합레진으로 순면의 절반까지 수복하는 경우; Type III, 치아삭제 후복합레진으로 순면의 2/3까지 수복하는 경우; Type IV, 도재 라미네이트로 수복하는 경우 이 실험의 한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모든 수복형태에 대해 치간이개 간격이 넓어질수록 접착계면에서 발생하는 최대응력 값은 증가하였으며, 도재 라미네이트로 치간이개 부위를 수복한 경우(Type IV)가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경우(Type I, II, III)에 비해 높은 최대응력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치간이개 간격이 넓어질수록 도재 라미네이트와 복합레진에서 발생하는 최대응력값의 차리는 감소하였으며, 치간이개 간격의 증가에 따른 최대응력값의 증가율은 도재 라미네이트가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보다 낮았다.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restoration and the amount of interdental spacing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maxillary central incisors restored by means of porcelain laminate veneers and direct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fabricated to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restorations. Four clinical situations were considered. Type I, closing diastema using composite resin. Labial border of composite resin was extended just enough to cover the interdental space; Type II, closing diastema using composite resin without reduction of labial surface. Labial border of composite resin was extended distally to cover the half of the total labial surface; Type III, closing diastema using composite resin with reduction of labial surface. Labial border of the preparation and restored composite resin was extended distally two-thirds of the total labial surface; Type IV, closing diastema using porcelain laminate veneer with a feathered-edge preparation technique. Four different interdental spaces (1.0, 2.0. 3.0, 4.0 mm) were applied for each type of restorations. For all types of restoration, adding the width of free extension of the porcelain laminate veneer and composite resin increased the stress occurred at the bonding layer. The maximum stress values observed at the bonding layer of Type IV were higher than that of Type I, Ⅱ and Ⅲ. However, the increasing rate of maximum stress value of Type IV was lower than that of Type I, Ⅱ and Ⅲ.

      • KCI등재후보

        흰쥐의 치아 맹출과 치간 이개 과정에서 수종의 치주인대 단백질 발현의 변화에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임성훈(Sung-Hoon Lim),박형수(Hyung-Soo Park),윤영주(Young-Jooh Yoon),김광원(Kwang-Won Kim),김흥중(Heung-Joong Kim),정문진(Moon-Jin Jeong),박주철(Joo-Cheol Par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1

        치아의 맹출 과정과 치간이개로 유도된 치아 및 치조골의 흡수 과정에서 치주인대 세포와 치주인대 단백질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육 중인 흰쥐를 치근 형성 전, 치근 형성 시작과 치근 형성 및 맹출 시기로 구분하여 표본을 제작하고, 또한 성장 중인 흰쥐를 2주간 치간 이개시켜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치주인대의 분화와 성숙에 관여하는 PDLs22 단백질과 치아와 치조골의 파괴와 흡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RANKL과 OPG의 발현을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연구하였다. PDLs22 단백질은 치근 형성이 시작되면서부터 치낭세포와 골모세포에서 발현되어, 치아가 맹출하는 과정에서도 그 발현이 계속 유지되었으나, 치간이개에 의하여 치주인대가 개조되는 부위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RANKL은 치근 형성 과정에서는 미약한 발현을 나타내었으나, 치아가 맹출하면서 발현이 증대되었으며, 치간이개에 의한 치근과 치조골 흡수과정에서는 치주인대세포, 골모세포, 치수세포 및 파치세포에서 발현이 증대 되었다. OPG는 치근이 형성되는 시기에는 강한 발현을 보였으나, 치아가 맹출하면서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ㄱ, 치아와 치조골의 흡수가 진행됨에 따라서 발현이 다소 감소하였다. In this study, we attempt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by which PDL cells regulate osteoclast formation and also tc know whether PDL retained their characteristic phenotype during tooth eruption and interdental separation. Rats were prepared at developmental days 21 (pre-root formation), 27 (root development), 34 (advanced root formation/ eruption) and at later times(adult rats). To induce severe resorption state of alveolar bone and tooth root, interdental separation with brass wire was performed between the lower first and second molars for 2 weeks in adult rats. Rat mandibles were dernineralized and embedded in paraffin, and horizontal and frontal section were prepared for immunohistochenucal analysis using PDL-specific protein 22 (PDLs22), 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 (RANKL) and ostei protegerin (OPG) antibodies. 1. Root formation and eruption stage of tooth development. 1) PDLs22 immunolocalization was observed in tooth folliclelPDL cells and osteoblasts throught out the root formation and eruption stages of tooth development 2) RANKL expression became stronger at eruption stage than root formation stage of tooth development. 3) Strong expression of OPG was detected in follice/PDL cells of root formation stage but it was decreased with tooth eruption. 2. Interdental separation between lower first and second molar. 1) Con parared to normal animal, multinucleated osteoclasts and odontoclasts were markedly indu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ooth root with PDL remodeling in hematoxylin-eosin section. 2) PDLs22 expression was decreased with interdental separation. 3) RANKL expression was increased with interdental separation in PDL fibroblasts, osteoblasts, odontoclasts and it lacunae, resorbing dentin, cementum and bone matrix. 4) OPG expression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PDL cells adjacent to the alveolar bone and root surface with interdental sepa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uring tooth eruption and tooth movement, RANKL and OPG in the periodontal tissues are important determinants regulating balanced alveolar bone and tooth root resorption. And it is also suggested that PDL cells retained their characteristic phenotype during tooth eruption and interdental separation except for the short period of PDL remodeling.

      • KCI등재

        Diastema closure with direct composite: architectural gingival contouring

        김연화,조용범,Kim, Yeon-Hwa,Cho, Yong-Bum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전치부 치간이개를 치료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레진으로 축성 후 치아 사이의 "black triangle"없이 치간공극을 메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경부 형태와 접촉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은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보고는 적절한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치은-치아 사이에 위치한 Mylar strip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였다. Mylar strip을 치은연 상방으로 약 1 mm 정도 되게 치은열구에 위치시키고 작은 면구를 치은과 그 사이에 위치시켜 출현윤곽(emergence contour)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변형된 방법은 적절한 출현윤곽과 치은형태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임상적용에 유효하였다.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 in closing anterior diastema is avoiding "black triangle" between the teeth. This paper reports a case that the closure of diastema in anterior teeth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using direct adhesive restorations and gingival recontour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using Mylar strip was modified to increase the emergence profile with natural contours at the gingival-tooth interface. Mylar strip was extended out of the sulcus by approximately 1 mm high from the gingival margin, and a small cotton pellet was used to provide the emergence contour. This modified approach is acceptable for the clinical situation.

      • KCI등재

        레진 직접법을 이용한 치가이개의 수복: 치은 형태 회복술

        김연화,조용범 대한치과보존학회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 in closing anterior diastema is avoiding “black triangle”between the teeth. This paper reports a case that the closure of diastema in anterior teeth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using direct adhesive restorations and gingival recontour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using Mylar strip was modified to increase the emergence profile with natural contours at the gingival-tooth interface. Mylar strip was extended out of the sulcus by approximately 1 mm high from the gingival margin, and a small cotton pellet was used to provide the emergence contour. This modified approach is acceptable for the clinical situation 전치부 치간이개를 치료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레진으로 축성 후 치아 사이의“black triangle”없이 치간공극을 메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경부 형태와 접촉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은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보고는 적절한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치은-치아 사이에 위치한 Mylar strip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였다. Mylar strip을 치은연 상방으로 약 1 mm 정도 되게 치은열구에 위치시키고 작은 면구를 치은과 그 사이에 위치시켜 출현윤곽(emergence contour)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변형된 방법은 적절한 출현윤곽과 치은형태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임상적용에 유효하였다.

      • KCI등재

        Diastema closure with direct composite: architectural gingival contouring

        Yeon-Hwa Kim,Yong-Bum Cho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 in closing anterior diastema is avoiding “black triangle”between the teeth. This paper reports a case that the closure of diastema in anterior teeth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using direct adhesive restorations and gingival recontour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using Mylar strip was modified to increase the emergence profile with natural contours at the gingival-tooth interface. Mylar strip was extended out of the sulcus by approximately 1 mm high from the gingival margin, and a small cotton pellet was used to provide the emergence contour. This modified approach is acceptable for the clinical situation 전치부 치간이개를 치료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레진으로 축성 후 치아 사이의“black triangle”없이 치간공극을 메우는 것 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경부 형태와 접촉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은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보고는 적절한 접 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치은-치아 사이에 위치한 Mylar strip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였다. Mylar strip을 치은연 상방으로 약 1 mm 정도 되게 치은열구에 위치시키고 작은 면구를 치은과 그 사이에 위치시켜 출현윤곽 (emergence contour)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변형된 방법은 적절한 출현윤곽과 치은형태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임상 적용에 유효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