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운 층위의 정의와 분석 방법(상)

        ?忠敏,盧慧靜(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0

        이 문장은 陈忠敏이 2013년에 발표한 《汉语方言语音史研究與历史层次分析法》 중 제4장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으로, 원저자는 漢語 방언을 구체적인 예로 들어 층위의 정의와 층위 판단 기준, 분석 방법들에 대한 이론적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1장은 음운층위의 정의에 대한 부분으로 층위는 원래 고고학에서 사용되던 개념을 언어학에 접목시킨 것으로, 원저자는 층위는 반드시 하나의 ‘面’, 혹은 하나의 체계이지 독립된 ‘點’이 아님을 강조한다. 2장은 음운 층위의 유형에 대한 부분으로 음운 층위는 共時 음운체계의 이질성분(異質成分)과 비체계적 음운 대응 등으로 나타난다. This thesis is translated from Chapter 4. of 《汉语方言语音史研究與历史层次分析法》, by Chen Zhongmin, 2013. The writer made theoretical definition, standard of Strata, and method of analysis with the detail example of Chinese dialect. Chapter 1 of this thesis is about definition of Strata, which grated from Archaeology into Linguistics. The original writer emphasis that Strata is one surface or system not independent point. Chapter 2 of this thesis is about pattern of Phonetic Strata, which is shown as Synchronic foreignness and Asymmetrical Correspondences. Chapter 3 of this thesis is about analysis method, sequence, method of verification a of Phonetic Strata, through abundant example of Chinese dialect.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의 서술층위와 인물층위

        신태수 ( Tae Soo Shin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남백월이성>의 서사층위는 서술층위와 인물층위로 나타난다. 두 층위는 긴장관계를 보인다. 서술층위에서는 갈등이 없다고 하나, 인물층위에서는 ``대칭적 배열의 구성원리``에 의해 갈등이 나타난다. 이로 보아, 화자가 인물층위에는 있었던 대립적 국면을 서술층위에서 제거했다고 할 수 있다. 대립적 국면을 제거한 까닭은``인물이 종교에 복무하기``라는 창작방법 때문이었다. 그 결과, 인물층위에서는 본능적 감정의 소유자이던 노힐부득이 서술층위에서는 무감정의 소유자가 되고 말았다. <남백월이성>의 인물층위가 지니는 위상은 <광덕엄장>·<포산이성>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광덕엄장>·<포산이성>의 경우와는 달리, <남백월이성>은 인물층위의 대립적 국면이 서술층위에 나타난다. 화자의 시선이 적게 침투할수록 인물층위가 온전해진다는 지침을 제공해주므로, <남백월이성>의 인물층위는 <백월산양성성도기>류를 이해하는 판단 기준이 된다. The narrative layers of Two Saints of Mt. Nambaikwol are represented into the story-telling layers and the character layers, which show a conflicting relation. The conflict does not appear in the story-telling layers. However, the conflict emerges in the character layers by way of the compositional principle of symmetric arrangement. This means that the speaker removes the conflicting situation in the story-telling layers which existed in the character layer. This removal results from the writing method, that is, ``character`s serving for religion``. Consequently, Nohilbudeuk, who was owner of instinctive emotion in the character layer, becomes owner of emotionlessness in the story-telling layer. The status of the character layer of Two Saints of Mt. Nambaikwol can be identified by the comparison with Gwangdeok and Eomjang ·Two Saints of Posan tale. Unlike these two tales, in case of Two Saints of Mt. Nambaikwol, the conflicting situation in the character layer appears in the story-telling layer. As a guide is provided, that is, the less the speaker`s eyes are permeated, the more the character layer becomes undamaged, the character layer of Two Saints of Mt. Nambaikwol becomes a criterion to understand some works which are similar to Record of Two Saints` Awakening in Mt. Baekwol.

      • KCI등재

        음운 층위의 정의와 분석 방법 (하)

        ?忠敏,盧慧靜(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8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2

        이 문장은 陈忠敏이 2013년에 발표한 《汉语方言语音史研究與历史层次分析法》 중 제4장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으로, 원저자는 漢語 방언을 구체적인 예로 들어 층위의 정의와 층위 판단 기준, 분석 방법들에 대한 이론적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1절은 음운 층위의 정의, 제2절은 음운 층위의 유형, 제3절은 漢語 방언 중 음운 층위의 검증에 대한 내용이다. 본고는 음운 층위의 정의와 분석 방법(상)에 이어진 내용으로, 중국 방언의 구체적인 층위 분석 예와 함께 중국어 방언 음운 층위 분석 방법의 이론적 탐구가 이어지고, 기존 많은 연구에서 층위로 간주하였던 단일 예들을 층위로 간주할 수 없음을 반례를 통해 논증한다. This article is translated from Chapter 4. of 《汉语方言语音史研究与历史层次分析法》, by Chen Zhongmin, 2013. The author made theoretical definition, standard of Strata, and method of analysis with the detail example of Chinese dialect. Chapter 1 of this thesis is about definition of Strata, which grated from Archaeology into Linguistics. The original writer emphasis that Strata is one surface or system not independent point. Chapter 2 of this article is about pattern of Phonetic Strata, which is shown as Synchronic foreignness and Asymmetrical Correspondences. Chapter 3 of this article is about analysis method, sequence, method of verification a of Phonetic Strata, through abundant example of Chinese dialect. This article is a series of Definition of phonological strata and Method of analysis of phonological strata(Part.1)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Roh Hye-jeong, 2015. The author studies Method of strata analysis with the detail example of Chinese dialect, and proves, through counterexamples, that which were presumed to be a Phonetic Strata at former studies can not be defined as an official Phonetic Strata.

      • KCI등재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 인지론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6 No.-

        필자는 한국음악에서 여러 박의 층위를 변별하여 지시하기 위하여 소박, 보통박, 대박, 대대박과 같은 용어를 써왔다. 그리고 장단의 최소 통사적 구성성분인 ‘통사성분소(統辭成分素)’가 생성하는 박의 층위에 따라 보통박장단, 대박장단, 대대박장단과 같은 용어를 써왔다. 보통박장단은 중중모리, 굿거리, 타령, 도드리, 자진모리와 같이 최소 통사적 구성성분인 ‘통사성분소’가 보통박을 생성하는 장단 유형이며, 대박장단은 중모리, 세영산, 반설음, 푸살장단과 같이 ‘통사성분소’가 대박을 생성하는 장단 유형이며, 대대박장단은 상영산, 보렴의 긴염불과 같이 통사성분소가 대대박을 생성하는 장단 유형을 말한다. 고로 음악인들은 보통박장단인 중중모리가 느려지면 대박장단인 중모리가 되고, 역으로 대박장단인 중모리가 빨라지면 보통박장단인 중중모리가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대박장단인 세영산장단이 느려지면 대대박장단인 상영산장단이 되고, 역으로 대대박장단인 상영산장단이 빨라지면 대박장단인 세영산장단이 된다고 한다. 이것은 보통박장단, 대박장단, 대대박장단이 빠르기에 따라 서로 변한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보통박장단, 대박장단, 대대박장단을 가늠하는 것도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의 빠르기 차이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의 빠르기가 변하여 보통박, 대박, 대대박으로 변할 때 어떻게 박 층위의 변동을 인지하는 것인가? 박의 층위를 변별하기 위하여 인간이 빠르기를 범주화 할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어떻게 범주화되는가를 알기 위하여 보통박 장단 유형과 대박 장단 유형과 대대박 장단 유형에서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의 빠르기의 범위를 조사하였다.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의 빠르기 범위를 살펴보니 보통박 장단의 보통박 빠르기는 메트로놈 = 30~200이고, 대박장단의 대박 = 20~30이고, 대대박장단은 대대박 = 10~20으로 나타났다. 이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 범위와 빠르기를 비교하여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가 범주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 층위가 범주화되어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각 박 층위를 비교하여 박 층위를 인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박의 층위의 빠르기 범위가 겹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즉 빠른 대박장단인 단중모리의 빠르기가 대박 = 60이고, 즉 느린 보통박장단인 긴중중모리의 빠르기는 보통박 = 60일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범주화된 빠르기로는 박 층위 변별이 어렵게 된다. 이런 경우에 판소리에서는 이를 변별하기 위하여 음악을 시작하는 내드름을 제시하는 관용적인 리듬형을 달리하여 지시하므로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 층위를 인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밖에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의 빠르기가 같고 관용적인 리듬형이 같을 경우에는 박의 층위가 다른 것을 변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심리적인 내적 상황과 유기적인 외적 상황에 의하여 박 층위를 변별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국음악에서 통사성분소가 생성하는 박의 층위를 인지하는 요소는 빠르기이고 그런 박 층위를 인지하기 위하여 층위 별로 빠르기를 범주화하여 인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층위끼리 빠르기 범위가 중복될 경우에는 유형별로 관용적인 리듬형을 제시함으로써 박 층위를 인지하도록 하며 인간의 심리현상과 음악 구조적 관계로 인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I have used terms like sobak (small beat), botongbak (common beat), daebak (large beat), and daedaebak (very large beat) to characterize and identify the layers of the beat in Korean music. In compositions comprising solely essential components (“seongbunso” or constituent components), botongbak jangdan (common beat rhythm), daebak jangdan (large beat rhythm), and daedaebak jangdan (very large beat jangdan) are used. Botongbak jangdan appears in jungjungmori, gutgeori, taryeong, dodeuri, and jajinmori, where seongbunso is composed in botongbak. Daebak jangdan occurs in jungmori, seryeongsan, and banseoreum jangdan, where the seongbunso is composed in daebak. Daedaebak jangdan appears in sangyeongsan and boryeom; their seongbunso is composed in daedaebak. Musicians usually mention that slow jungjungmori (as botongbak jangdan) becomes jungmori (as daebak jangdan), and vice versa. Similarly, seryeongsan jangdan (in daebak jangdan) slows and becomes sangyeongsan (in daedaebak), and vice versa. This means that botongbak jangdan, daebak jangdan, and daedaebak jangdan can be seen to relate according to their tempo. At the same time, the perception of these jangdan is founded on differences of tempo. Then, when these layers of the beat change, how are they perceived? The beat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layers, the tempos of which are as follows: botongbak jangdan = 30–200, daebak jangdan = 20–30, daedaebak jangdan = 10–20. This means that seongbunso can be classified along with its tempo. However, some beat layers can overlap. For example, danjungmori, a fast daebak jangdan, has a tempo of 60, while the tempo of gin jungjungmori, a slow botongbak jangdan is also 60. In this case, it is hard to perceive the different layers, since their tempos are similar. In pansori performance, different idiomatic rhythmic patterns are offered in the beginning, to assist in distinguishing them. However, when seongbunso, tempo, and idiomatic rhythmic patterns are the same, it is difficult to tell one from the other. In that case, the musician must distinguish them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and organic situation of the music.

      • KCI등재후보

        "훈민정음"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

        김슬옹 ( Seul Ong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1 No.-

        이 논문은 훈민정음 제자해에 나타난 문자의 중층 속성과 창제의 복합 원리에 담론적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따라서 훈민정음 만든 원리를 다층적으로 살폈다. 자연의 소리를 제대로 반영하려는 바탕층위에서부터, 문자의 최종 체계가 하나의 과학으로 집약되는 최종층위를 순환적 맥락으로 보았다. 기본적인 바탕층위에서부터 과정층위, 제자층위, 내용층위, 쓰기층위, 최종층위로 나눴다. 바탕층위를 ``자연과 소리``를 그대로 재현하려는 전략으로 보았고, 과정층위는 자음과 모음의 이원화를 통한 보편성의 확보와 초성, 중성, 종성의 삼분법을 통한 특수성 실현으로 보았다. 제자 층위에서는 "상형, 도형, 조화" 세 개의 원리를 설정하였다. 내용층위는 음운 성격을 반영한 자질 부여와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역철학에 의한 상징적 의미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치층위는 초성자, 중성자, 종성자를 모아 적는 전략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문자시스템 ``과학``이라고 보아 최종층위를 ``과학층위``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층위별 계열화와 복합적 배치에 의해 훈민정음이 갖는 문자 속성을 온전하게 드러내 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훈민정음 문자 범주를 음운문자, 자질문자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단선적 인식임을 밝혔다. 훈민정음은 가장 중요한 소리문자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네 계열의 문자 속성으로 나뉠 수 있다. 곧 상형문자이면서 도형문자이고, 음운문자이면서 음률문자이며, 자질문자이면서 상징문자이고 또한 음절모아문자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는 복합문자임을 밝혔다. This report indicates the multiple property of the Korean Alphabet, Hunminjeongeum and the complex principles of creating of discourse meaning mentioned in ``Jejahae(制字解)`` of Hunminjeongeum. We regard the principle of Hunminjeongeum as circular vein from fundamental stratum which reflects natural sound as it is to final stratum which is integrated one of science. We classified the discourstic meanings of Hunminjeongeum as the fundamental stratum, and the process stratum, the creative stratum, the contents stratum, the writing stratum, last stratum. We regard the fundamental stratum as the strategy of reflecting ``nature and sound`` as it is, process stratum as universality insurance through dualizing consonant and vowel`s and actualizing distinctiveness through dividing into three parts of choseong(初聲, consonant), jungseong(中聲, vowel) and jongseong (終聲, consonant). We regard the creative stratum as three principles of hieroglyphic, graphic, harmony. The contents stratum is consisted of symbolism meaning for the oriental philosophy that sound-feature endowment that is reflected phoneme character and in order to persuit harmony. The writing stratum regards choseong, jungseong and jongseong as strategy of writing at a time for the one character. These complex character system regards that it is constructed one of science so we regard the last stratum as ``science``. Due to these systematization of stratums and complexing arrangement, we could wholly reveal the character property of Hunminjeongeum. Therefore, limiting the existing Hunminjeongeum of category of character as phoneme character, natural character etc. is found out one-sided view recognition. We found that Hunminjeongeum is the complex character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most important phoneme character and hieroglyphic, graphic, natural and syllabic letter character together.

      • KCI등재

        한국과 유럽의 유량악보에 나타난 구성원리와 기능

        이보형(Lee Bo hyung)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7 No.-

        Korean music notation with Jeonggan and Daegang and European notation of modern period are the same in that both of them are mensural notations, while they are different in their function. Notes of European notation indicate the duration of tones. In comparison, the notation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length of time is marked in proportion to the space in which notation is written. While European notes are structured upon a dividing system, Jeonggan and Daega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relies on grouping system. One example is that the length of a Semibreve is divided in halves, is produced two Minims in Western music. In Korean notation system of Jeongganand Daegang, a number of Jeonggans are grouped into a Daegang. While the dividing principle is applied to notes in European notation system as shown Minim or a half note, Crotchet or a note divided in four, in Korean system, Jeonggan and Daegang are referred upon a grouping principle.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is formulated upon a simple system of 1:2, however,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is made of compound system of 1:2 or 1:3. For example, the relative proportion of higher level notes to lower level (e.g.a Sembreve to Minim) is one to two and this proves the notes system is composed in simple system of 1:2. In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as found in Two Jeonggan Daegang (Two Jeonggans grouped into one Daegang) or Three Jeonggan Daegang (Three Jeonggans grouped into one Daegang), the musical notes system is structured by compound system with the ration of 1:2 or 1:3. In actual music practice of both Western and Eastern music, with the exception of some specific cases, music normally is composed by grouping system in which components at lower level are grouped into a larger component at higher level. It is not difficult to identify more inconsistency in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where grouping system of music is represented with dividing system than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in which grouping system of music is indicated by using the same grouping rule. In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when a music of fast 2/2 is notated, the number of beats indicated in notation andthe number of beats guided by a conductor are identical. However, in a music of fast 6/8, the number of beast in notation is represented in 6 beats, whereas a conductor would direct the music in two beat system. This is wher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numbers of beats indicated by notation and by a director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modern European music, in case of music notated with the time signature of 2/4, the level of beats indicated by the time signature is in the same level of beats demonstrated by a director. However, in case of music notated with the time signature of 6/8 or 5/8, the level of beats indicated by the time signature and the level of beats guided by a director do not agree to each other. This proves that there is a discrepancy that the levels of beats used to indicate the time signature of a music are not always same. In Korean music, the opposite is true that the levels of beats used to show the music tempo are always consistent an so no such contradiction existing in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is found. According to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beats can be indicated according to their level from top down Botong bak (Jeonggan bak)-So bak(Soan bak)-Soso bak, or from bottm top Botong bak (Jeonggan bak)-Dae bak(Daegang bak)-Daedae bak. While Korean musical notation is good in marking the levels of time, it has limit in writing many notes(pitches) in a certain space. In comparison, Western musical notation has limit in marking the levels of time, it is efficient in writing many notes(pitches) in a certain space. 이 논문은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과 근대 유럽 음악의 음표는 시간 길이 유량악보라는데 일치하지만 구성원리는 정반대로 되어 그 기능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살핀 것이다. 유럽의 음표는 시간량을 부호로 지시하는데 비하여 한국의 정간대강은 시간량을 공간량으로 양화하여 지시한다. 따라서 유럽의 음표가 지시하는 시간량은 음표가 적히는 공간량과 비례되지 않지만 한국의 정간대강이 지시하는 시간량은 정간대강이 적히는 공간량과 비례된다. 음표는 분할체계로 되었지만 정간대강은 집합체계로 되었다. 음표는 1:2로만 분할되는 단순 체계로 되었지만 정간대강은 1:2로 집합과 1:3으로 집합되는 복합체계로 되었다. 음표 구성원리가 상층위 하층위 무한층위로 되었으므로 정간대강의 경우에도 이와 대비하여 그 구성원리를 상층위 하층위 무한층위로 확대시키면 구성원리 차이는 더욱 분명하게 들어난다.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과 근대 유럽 음악의 음표는 그 원리가 다르게 구성되어 그 기능에서도 차이가 난다. 유럽의 음표는 1:2 단순 분할 체계로 되어 지휘하는 박의 하층위 박이 2집합 할 경우에는 2/4와 같이 지휘하는 층위 박을 단위로 박자를 지시하지만 지휘하는 박의 하층위 박이 3집합 또는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집합 할 경우에는 6/8 5/8와 같이 지휘하는 박 층위의 하층위 박을 단위로 박자를 지시하는 예처럼 일정하게 한 층위로 박을 지시하지 못한다. 한국의 정간대강은 지휘하는 박의 하층위 박이 2집합할 경우에는 2소안정간으로, 3집합 경우에는 3소안정간으로,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집합할 경우에는 2소안정간과 3소안정간으로 혼합하려 적어 모두 정간 층위로 지시하여 지휘하는 층위 박을 단위로 박자를 일정하게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유럽 음표에서는 박의 층위를 일정하게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음악의 정간대강에서는 박의 층위를 일정하게 지시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음악의 정간대강에서는 정간에 적는 박을 보통박, 정간의 상층위인 대강에 적는 박을 대박, 그 상층위인 대대강에 적는 박을 대대박… 정간의 하층위인 소안에 적는 박을 소박, 그 하층위인 소소안에 적는 박을 소소박… 하고 무한층위로 박을 일정하게 지시 할 수 있다. 한국과 유럽의 유량악보들이 그 구성원리의 차이로 나타나는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니, 유럽의 음표는 그 구성원리 때문에 박의 층위를 일정하게 지시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그러나 한국의 정간 대강은 구성원리로 말미암아 박의 층위를 지시하는 기능이 있다. 그래서 유럽 음악에서는 음표로 박의 층위를 지시하는 용어를 만들기 어렵지만 한국의 정간대강은 그 구성원리로 보통박(정간박), 대강박(대박), 소안박(소박) 하고 박의 층위를 지시할 있는 기능이 있다. 유럽 음악에서는 음표로 박의 층위를 지시하는 용어가 없기 때문에 이것으로 박자의 층위를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의 정간대강은 보통박(정간박), 대강박(대박), 소안박(소박) 하고 박의 층위를 지시할 있으므로 이를 단위로 하여 보통박자, 대박자, 소박자 하고 박자의 층위를 지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유럽 음악의 음표 체계에서는 박자의 층위를 지시할 수 없으므로 박자가 계층적으로 집합되는 것을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 체계에서는 박자가 계층적으로 집합되는 구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래서 유럽음악 음표 체계에서는 출현하는 매우 긴 음을 음표만으로는 박자의 계층구조를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 체계에서는 매우 긴 음을 정간대강으로 계층적 박자 집합구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과 유럽의 시간량 유량악보들은 모두 음고량(音高量) 유량악보와 병기되는 체계로 되었지만 그 기보되는 방법은 다르다. 한국 음악에서는 시간량이 정간대강이라는 공간량으로 양화된 것에 음고량이 문자로 양화되어 얹히고 있지만 유럽음악에서는 시간량을 기호화 하고 음고량은 공간화 하였다. 그러나 이것들이 연동(連動)되어 발휘되는 효능은 다르다. 한국의 정간대강 악보에서는 시간량을 공간량화 하여 시간량을 지시하는 기능은 뛰어나지만 음고량을 공간량화 하지 못하여 많은 성부를 밀집하여 기보하지 못하여 복잡한 음형을 축약하여 기보할 수 없어 그런 효율성을 갖지 못한다. 하지만 유럽의 악보에서는 시간량을 잘못 부호화 하여 층위를 지시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다 할지라도 부호화 된 음표를 공간적으로도 축약하여 적을 수 있고 이것이 공간량으로 양화된 음고량 악보와 함께 적히게 되면 관현악 총보를 피아노 보로 축약한 악보에서 보이듯이 다성적 음형이나 복잡한 음형을 축약하여 적을 수 있고 이를 능히 해석할 수 있어 매우 큰 효율성이 발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과학기술 시대의 윤리 층위 구분과 층위들 사이의 관계 규명: 인공지능 윤리를 중심으로

        목광수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8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o promote ‘ethics realizing’ i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preventing misuse and abuse of ethics and overcoming ‘ethics washing’ and ‘ethics bashing.’ For this purpose, I classify tiers of ethics into the individual, the system, and the theory tiers. In the individual tier of ethics, the term ‘ethics’ is used to express that she acts according to her comprehensive doctrine or value, whatever it is theoretically justified or not, focusing on the 1st person standpoint. The system tier constructs ethical guidelines or ethics committee in the social level, to respond to ethical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cusing on the 3rd person standpoint. The theory tier is to suggest that established ethical theories have the common structure of 1st, 2nd, and 3rd person standpoints in form. Although three tiers use the same term ‘ethics’ as signifier, their purpose and meaning as significance are different. For this reason, if three tiers are not classified in a right way, they cannot communicate in effect and achieve their ethical purposes, namely ‘ethics realizing,’ falling down ‘ethics washing’ and resulting in ‘ethics bashing.’ In addition, three tiers should properly engage and cooperate through a division of labor. This is because their ethical purpose of ‘ethics realizing’ can be effectively achieved when they work in a virtuous cycle while exerting mutual influences. I expect that this paper, which classifies ethical tiers and explores their relationship i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should contribute to ‘ethics realizing,’ overcoming ‘ethics washing’ and ‘ethics bashing.’ 본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시대에 활용되는 윤리 용어의 사용 현상 분석을 통해 윤리의 오용과 남용을 막고 ‘윤리 실현’(ethics realizing)을 도모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과학기술 시대에 사용되는 윤리 용어가 이론 윤리 층위, 제도 윤리 층위, 개인 윤리 층위로 구분된다고 분석하며(2절), 이러한 층위들이 윤리 실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3절). 인공지능과 관련한 윤리 논의는 개인이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를 피력하고 실천하는 개인 윤리 층위, 사회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해 지침이나 위원회 등을 만드는 제도 윤리 층위, 학문적 통합성을 갖춘 윤리 이론을 제시하는 이론 윤리 층위로 구분된다. 또한, 이러한 개인 윤리 층위, 제도 윤리 층위, 이론 윤리 층위가 적절한 관계 속에서 선순환적으로 작동할 때, 해당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 실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윤리 용어 층위 구분과 관계 규명이 중요한 이유는, 윤리 용어 사용이 적절한 층위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다른 층위와의 소통이나 협업 없이 이루어지면 윤리 실현 없는 윤리 이미지 구축의 ‘윤리 세탁’(ethics washing)으로 전락하거나 각 층위의 이해가 윤리 전체라는 오해를 초래해 생산적인 논의를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윤리 실현 실패가 반복되면 윤리 자체가 필요 없다는 ‘윤리 비난’(ethics bashing) 현상이나 모든 것을 법제화하려는 ‘법만능주의’ 현상이 나타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공지능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 윤리 대응이 요구되는 과학기술 시대에는, 사용되는 윤리 용어가 어떤 층위에 해당하는지를 이해하고 해당 층위의 윤리 용어 사용이 다른 층위와의 올바른 관계 아래 사용되어 윤리 실현의 실질적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이야기 속 이야기 구조

        안용성(Yong-Sung Ahn) 한국신약학회 2010 신약논단 Vol.17 No.4

        이 글은 화자의 서술과 초점화에 대한 서사학의 논의를 토대로 요한계시록을 세 개의 서사층위로 구분하고 각 층위를 계시록의 저술 목적인 예언적 권면과 종말 심판 예고와 관련지어 분석한다. 즈네뜨 이후 발, 리몬-케넌, 랜서 등의 서사학자들은 종래의 시점 구분에 의문을 제기하고, 누가 말하는가(서술)의 문제를 누가 보는가(초점화)의 문제와 분리하여 다루는데, 이를 서사 층위 분석과 결합하면, 난해한 계시록 본문 해석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계시록의 서사는 요한의 소명과 예언적 권면을 담은 제2층위와 종말 환상 보도를 담은 제3층위의 두 겹으로 구성된다 제2층위 서사에서 요한은 등장인물중 하나이며, 제3층위 서사에 대해서는 이야기 밖에서 서술하는 관찰자의 입장이 된다. 두 층위의 구분은 계시록이 예고하는 종말 심판 과정을 정확히 그려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이야기가 두 겹임에도 불구하고, 계시록의 서술자는 ‘나’ 요한 하나로만 나타나기 때문에, 층위 구분에 혼선이 일어난다. 이 글은 그 이유를 서술과 초점화의 분리에서 찾는다. 특히 환상보도(제3층위)의 화자가 누구인지 규명하는 것이 문제인데, 제3층위 서사의 서술자는-제2층위 서사의 서술자와 같은-제1층위의 공적화자 ‘나’이며, 그 서술자가 제2층위의 ‘나’를 ‘초점화자’로 사용하여 새로운 서사층위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터하여 계시록의 본문을 서사층위에 따라 나누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계시록의 서사세계를 하나의 도표로 정리한다. 계시록의 내용을 두 부류로 성격화 하는 ‘큰 책’/‘작은 책’과 두서사층위를 연결해 보면, 계시록의 공시적인 종적 구조가 시간 흐름에 따른 횡적 구조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서사층위 분석이 계시록 4:1에 나오는 ‘메타 타우타’의 본문비평 논의에도 빛을 던져줄 수 있음을 보인다. The book of Revelation is composed of three narrative levels, which Genette calls extradiegetic, intradiegetic, and metadiegetic respectively. Because there is no story in the first level, which is extradiegetic, the whole text of Revelation belongs to the two other levels. The intradiegetic narrative is narrated by ‘I’ John, a character in the story, while the vision report in the metadiegetic level is told from outside. Having discussed the theories of Jae-seon Lee, Genette, Bal, Rimmon-Kenan, and Lanser, I argue that the metadiegetic level of Revelation is created by a focalizer, who does not narrate but just lends his/her focus to the public narrator, and show how each level serves the purpose of the book, that is, prophetic exhortation with end-time visions.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that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book is integrated with the horizontal or temporal one so that the narrative level analysis helps understanding the sequence of events in each level.

      • KCI등재

        음운 층위의 정의와 분석 방법 (하)

        노혜정 중국어문논역학회 2018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2

        This article is translated from Chapter 4. of 《汉语方言语音史研究与历史层次分析法》, by Chen Zhongmin, 2013. The author made theoretical definition, standard of Strata, and method of analysis with the detail example of Chinese dialect. Chapter 1 of this thesis is about definition of Strata, which grated from Archaeology into Linguistics. The original writer emphasis that Strata is one surface or system not independent point. Chapter 2 of this article is about pattern of Phonetic Strata, which is shown as Synchronic foreignness and Asymmetrical Correspondences. Chapter 3 of this article is about analysis method, sequence, method of verification a of Phonetic Strata, through abundant example of Chinese dialect. This article is a series of Definition of phonological strata and Method of analysis of phonological strata(Part.1)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Roh Hye-jeong, 2015. The author studies Method of strata analysis with the detail example of Chinese dialect, and proves, through counterexamples, that which were presumed to be a Phonetic Strata at former studies can not be defined as an official Phonetic Strata. 이 문장은 陈忠敏이 2013년에 발표한 《汉语方言语音史研究與历史层次分析法》 중 제4장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으로, 원저자는 漢語 방언을 구체적인 예로 들어 층위의 정의와 층위 판단 기준, 분석 방법들에 대한 이론적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1절은 음운 층위의 정의, 제2절은 음운 층위의 유형, 제3절은 漢語 방언 중 음운 층위의 검증에 대한 내용이다. 본고는 음운 층위의 정의와 분석 방법(상)에 이어진 내용으로, 중국 방언의 구체적인 층위 분석 예와 함께 중국어 방언 음운 층위 분석 방법의 이론적 탐구가 이어지고, 기존 많은 연구에서 층위로 간주하였던 단일 예들을 층위로 간주할 수 없음을 반례를 통해 논증한다.

      • 한국어 반어법의 실현방법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江原人文論叢 Vol.13 No.-

        누군가의 발화나 생각, 상황에 반향적 특성을 보이며, 발화 자체의 축어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 사이에 반대 관계나 모순 관계를 보이는 표현들은 모두 반어법 범주에 포함된다. 반어법 실현은 음운적, 굴곡적, 어휘적, 통사적, 화용적 층위 등에서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이루진다. 각 층위의 반어법 실현 요소들은 독자적으로 반어법 실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단열한 요소에 국한하여 반어법이 실현되는 경우보다는 대체로 반어법 실현의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반어법이 실현된다. 음운적 층위에서 반어법을 실현하는 데 관여하는 요소를 보면, 억양, 음조, 강세, 휴지, 장단 등으로 운소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굴곡적 층위에서 반어법 실현에 관여하는 요소로는 종결어미와 연결어미, 조사 가운데 일부와 종결어미 중첩형, 종결어미와 조사의 결합형, 종결어미 반복형을 들 수 있다. 어휘적 층위에서 특정 단어에 의해 반어법이 실현되거나, 반어법 표현이 더 강화되기도 한다. 부사 중 일부와 의문사, 극히 일부의 형용사 따위가 반어법 실현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통사적 층위에서의 반어법은 통사적 구성체에 의해 반어법이 실현된 것을 일컫는다. 반어법의 실현방법 가운데 이 방식이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생산성도 큰 편이다. The category of rhetorical irony includes all expressions with the shown opposite relations or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the inward meaning in sentences. Rhetorical irony is realized by various elements in the phonological level, inflectional level, vocabulary level and syntactic level, etc. Each element in all levels which realized rhetorical irony distinctively plays an important role, but rhetorical irony generally is realized by various mixed elements.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phonological level are intonation, tone, stress, pause and duration.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inflectional level are partial sentence ending suffixes, sentence connecting suffixes, particles, mixed sentence ending suffixes, combined sentence ending suffixes and particles and reduplicated sentence ending suffixes.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vocabulary level are interrogatives, partial adverbs and descriptive verbs.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syntactic level are syntactic structures, playing the most important role with the most productive power among all elements realizing rhetorical ir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