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자』에 나타난 통치자의 특성

        이희주(Lee Hee J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2

        이 글은 『순자』 속에 드러난 통치자의 역할과 통치형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순자는 공자사상을 계승하는 유가적 범주에 있지만, ‘패도의 긍정’이나 ‘성악설’ 등 그의 통치관의 특성에서 알 수 있듯이, 맹자와는 대립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 글은 순자가 제시한 통치관의 특성이 어떠한 구조 속에서 발생하였는가를 텍스트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순자의 통치관의 특성은 정치사회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순자 정치사회를 ‘인간의 무리(人?)’로 규정하며, 이에 연유하여 통치자의 역할도 ‘인사(人師)’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순자의 이러한 인간중심적 사고는 ‘천도’를 매개로 하여 우주론, 정치사회론, 그리고 인간론을 연결시키는 ‘천인상관설’, ‘천인합일설’ 등의 인식과는 다르다. 이러한 현실주의적 인식에 기반으로 하여, 천인(天人)의 분리성, 통치자의 사회적 존립 의미와 역할, 패도의 긍정론, 그리고 측근통치 등 순자적 통치관의 특성이 도출되고 있다. 특히 통치의 효율성 차원에서, 순자가 제시한 측근정치는 오늘날 현대 한국정치에도 활용될 수 있는 유용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objectiv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assumed roles of a rul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government proposed in Xun Zi. While Xun Zi is appropriately classified as a successor of Confucianist ideals, as shown in the Affirmation of Authoritarian Political Structures and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his beliefs sharply contrast with that of Mencius. This essay incorporates a text-based approach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his governmental philosophy emerged. Xun Zi's governmental philosophy initiated from the ideologies of a governmental society. He defiines a governmental society as a 'cluster of people', this definition justifies the idea that the role of a ruler is to be an 'epitome citizen' among others. Such anthropocentric bent, however, differs from 'The theory of heaven-man relation' and 'The theory of the union of heaven and man' in which combines cosmology, the theory of politics and society and the theory of man that in turn have their bases on the way of heaven. Such pragmatism provides the grounds for the separability of God and men, the significance and roles of a ruler, the affirmation of an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the politics of ruler's aid; all in which are typicalities of Xun Zi's governmental philosophy. Notably, in regards to governing efficiency, the politics of ruler's aid is a valuable tool that is applicable to even modem Korean politics.

      • KCI등재

        고려말 새로운 정무 처결 모델의 등장: 공민왕의 報平廳 聽政

        이현욱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4 중앙사론 Vol.0 No.62

        본 논문은 고려말 ‘聽政’ 논의의 의미를 추적한다. 禑王代 이후 관인들은 국왕에게 지속적으로 ‘청정’의 시행을 청원하였다. 이 시기의 ‘청정’은 정무의 처결이라는 범칭이기보다 특정한 형태의 정치적 의사 결정 과정을 의미하기 시작하였다. 그 특정한 형태의 ‘청정’은 국왕이 관인들의 朝會를 받은 뒤, 그들로부터 사무를 보고받고 그에 관한 처결을 내리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관인들이 말하는 특정한 형태의 ‘청정’의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온 것이었는가? 그 아이디어의 실천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그럼에도 관인들이 지속적으로 ‘청정’의 시행을 청원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고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려 한 것이다. ‘청정’의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시행되었을까? 필자는 공민왕 19년에 명 태조가 보낸 璽書에 주목하였다. 이 새서에서 황제는 청정지소가 있어야 신하들에게 존엄함을 보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공민왕은 六府와 臺省의 관인들이 자신에게 직접 啓事하도록 지시하였고, 몇 달 뒤 報平廳에서 첫 ‘청정’을 시행하였다. 「無逸篇」 병풍을 세우는 등 ‘청정’을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은 공민왕이 ‘청정’을 통해 자신의 존엄함을 보이는 것에 더 관심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공민왕은 당초의 계획과 달리 청정의 시행 횟수를 크게 줄였고, 그마저도 잘 시행하지 않은 듯하다. 후대의 국왕들 또한 ‘청정’을 시행하였지만 간헐적이고 일회적이었다. 국왕들이 굳이 ‘청정’을 시행하지 않은 이유의 하나는 소수의 측근들을 통해 대부분의 정무를 처결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충렬왕의 비칙치나 공민왕의 내재추는 원 복속기 이래 측근정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제도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관인들은 소수의 측근들이 정권을 장악하는 것에 비판적이었고, 국왕과 관인 일반의 접점 확대를 통하여 당시의 정치적 모델을 바꾸고자 하였다. 이때 관인들은 몇 차례의 시행 경험이 있는 ‘청정’을 동원하였고, 지속적으로 그 시행을 청원하였다. 관인들은 자신들이 직접 국왕에게 사무를 보고하고 그에 대한 처결을 받음으로써 양자의 접점을 확대할 수 있는 ‘청정’ 모델을 선택한 것이다. 공민왕이 ‘청정’에서 자신의 권위를 강조할 수 있는 부분에만 관심을 가졌던 것과는 관심의 방향이 달랐다. This paper traces the meaning of “handling matters of state(聽政)” discussions in Goryeo(高麗). From the reign of King Wu(禑王) onwards, the officials(官人) continuously petitioned the k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handling matters of state'. Rather than being a generic term for the resolution of political affairs, the term came to refer to a specific form of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the king would receive a council of officials, report on their affairs, and make decisions regarding them. Where, then, did the officials' idea of a specific form of “handling matters of state” come from? How did the practice of this idea begin? Why did officials continue to pet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handling matters of state?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where did the idea of “handling matters of state” come from and how was it implemented? I turned my attention to the Ming Emperor Taizu(太祖)'s letter sealed with an imperial seal(璽書), received in the 19th year of King Gongmin(恭愍王). In this letter, the emperor insisted that the King should have a fixed place to show dignity to his subjects. A few months later, the first “handling matters of state” was carried out at Bopyeongcheong(報平廳).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handling matters of state”, including the erection of the “no-frills” folding screen, is interpreted as a demonstration of the king's dignity. However, King Gongmin reduced the number of “handling matters of state” from the original plan, and even then, they seem to have been seldom executed. Subsequent kings also practiced “handling matters of state”, but only intermittently and sporadically. The reason why kings did not enforce “handling matters of state” is because, since the Yuan(元) Dynasty, they were able to handle most of their affairs through a small circle of entourage. King Chungryul(忠烈王)’s bītīkchī(必闍赤) and King Gongmin's inner cabinet(內宰樞) were symbolic institutions that represented aspects of such entourage politic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officials were critical of the dominance of a small circle of officials and sought to change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model of the time by expanding the contact between the king and the officials. They mobilized the “handling matters of state”, which they had done several times before, and petitioned for its implementation. The officials chose the “handling matters of state” model because it allowed them to report directly to the king and receive decisions from him, creating more contact between the king and officials.

      • KCI등재

        원간섭기 監察司의 지위와 역할

        李貞薰(Lee, JoungHoon)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5 No.-

        본 연구는 관료에 대한 감찰을 담당한 어사대가 감찰사로 개칭되면서 변화된 지위 및 역할을 검토한 것으로서, 원간섭기 지배체제가 구축되는 충렬왕대 및 충선왕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어사대는 성종대 지배체제가 정비되면서 고려에 도입되었다. 어사대는 여러 가지 업무를 담당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업무는 관료에 대한 감찰이었다. 그런데 고려전기 감찰 업무는 중앙관은 어사대가, 지방관은 안찰사‧안무사 등이 담당하였다. 충렬왕 원년 원에 의해 관제가 격하되면서, 어사대는 감찰사로 개칭되었다. 감찰사의 업무는 고려전기 어사대의 업무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렇지만 국정운영의 최고 결정권자인 국왕이 親朝로 국정 운영 현장을 떠남에 따라 관료들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이로 인해 관료제 운영 및 국정 운영에 문제가 발생하 였다. 이에 충렬왕은 3차 친조이후 원의 후원으로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관료들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아시감검을 시행하였다. 아시감검은 감찰사가 여름과 겨울 두 차례에 관료들의 근태를 감찰하는 것이었다. 아시감검의 시행으로, 관료들의 업무상 잘못, 의례나 조회 때에 예에 어긋난 행동을 규찰하던 감찰사는 관료들의 근태까지 감찰하게 됨에 따라 감찰 기능이 확대되었다. 충렬왕대 측근정치에 비판적이었던 충선왕은 오랜 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원의 정치제도를 도입하여 정치제도를 개혁하였다. 충선왕은 특히 감찰의 기능을 중시하여 어사대의 지위를 강화시켰던 원의 관제 운영 방식을 도입하여, 즉위년에는 사헌부를 종2품으로, 복위년에 사헌부를 정2품으로 그 지위를 높여주었다. 그리하여 사헌부가 다른 관청에 휘둘리지 않고 감찰 기능을 수행토록 하였다, 또한 사헌부의 독자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관청의 관료가 임명되던 판사직과 지사직을 폐지하였다. 한편 사헌부의 감찰 범위는 즉위년 관제개혁 때에는 중앙 관료만 감찰하도록 하였다. 반면 재원통치를 실시하였던 복위년 관제 개혁 때에는 사헌부가 중앙관 및 지방관을 모두 감찰하도록 하여 이원화되었던 감찰 업무를 일원화시켰다. 이렇듯 원간섭기 감찰사[사헌부]는 고려전기와 달리, 감찰 업무가 일원화되고 감찰 기능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감찰을 담당한 관청의 지위를 높여 감찰 업무의 독립성을 보장하였다. 물론 원간섭기에 감찰 담당 관청의 위상이 높아지고 그 기능이 강화된 것은 원간섭기에 새로 대두된 친조, 재원통치에 대한 대응이었다. 그렇지만 관료제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감찰 기능의 강화는 관료들에게 근무 자세를 확립하고 비위나 비리를 근절하도록 함으로써 관료로서의 속성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 당대 측근 정치에 대한 고찰

        김규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73 公州敎大論叢 Vol.10 No.-

        Since King Hyunjong, the Emperor's private secretaries who were called as the Members of Academic Association(翰林學士),have held the supreme political power. No one could be a prime minister without having a career as a member of the academic association, which held a strong influence in the bureaucratic system in Tang dyansty and this was a measure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Emperor by excluding the power of aristocratic power. For the same purpose, the Emperor tried to use the official of eunuch(宦官)but they were able to control the wish of the Emperor to their advantages. In this way, the strengthening of the Emperor's power was not achieved, the re-production of peer'spower was not prevented and these facts were related with the destruction of the Tang Dyansty.

      • KCI등재
      • KCI등재

        고려후기 致仕制 운영의 변화 양상과 원인

        李貞薰(Lee, Joung-Hoo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본 논문은 고려후기의 치사제를 다룬 것으로, 고려후기에 치사제의 다양한 양상 및 변화되는 원인을 고찰하고, 치사제의 변화로 耆老會와 封君制등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검토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관료의 요청을 전제로 70세 치사가 원칙이었다. 또한 오랫동안 복무를 한 관료를 우대하는 차원에서 질병으로 인해 관직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引年致仕토록 하였다. 그러나 무신집권기부터 관료의 요청 없이 치사가 되거나, 질병이 없는데도 70세 이전에 치사하는 관료들이 등장하였다. 특히 원간섭기에는 인년치사가 보편화되어 60세 이전에 치사하는 관료도 있었다. 반면 几杖을 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70세를 넘어서까지 관료생활을 이어가는 관료들도 등장하였다. 심지어는 치사한 관료가 재기용되거나 재치사하는 경우(2차 치사)도 있었다. 무신집권기에는 무신 및 무신집정자, 원간섭기 및 고려말기에는 국왕의 측근들이 국정 운영을 주도하였다. 관료들의 인사도 특정인 또는 정방에서 담당하였다. 그 결과 무신집정자 또는 국왕 측근들의 자의에 의해 관료들의 치사가 이뤄지게 됨에 따라, 나이와 질병, 관료의 自請, 궤장하사와 관료생활 연장이라는 치사제의 기본 원칙들이 무너지게 되었다. 고려후기에 인년치사가 보편화되면서, 빨리 치사한 관료들은 기로회를 조직하여 친목을 다지며 여가생활을 즐겼다. 원간섭기에는 重祚, 親朝, 국왕의 억류 등 이전과 다른 정치적 양태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치사 관료들이 都評議使司회의에 참여하거나 국왕의 자문에 응대하는 등 국정 운영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70세 이전에 치사한 관료들이 증가함에 따라, 고려 정부는 치사 관료들의 정치적 참여를 유도하고 더 많은 경제적 혜택을 주기 위하여 치사 관료들을 封君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which deals with the resignment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Goryeo, considers its diverse aspects and causes of changes and reviews how the club of resigned and elderly officials(耆老會) and the post appointment system(封君制)varied as the resignment system varied. In the period of Goryeo, it was a principle to allow to resign in 70 years old upon the request of the officials. In addition, when it was impossible for an official to maintain his official position due to illness, it was allowed to retire in advance in order to give special treatment to officials who had worked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often did appear the official who retired without their request or before 70 years without illness. In particular, the advance resignation(引年致仕) was generalized in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and there were the officials who retired before 60 years old. On the other hand, did appear the officials who continued their official positions beyond 70 years old, although they were not granted the hutch and stick from the King(几杖). Further, there were some cases in which resigned officials were employed again or resigned again(2nd resignment).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military officials and military politicians led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nd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and in the end of Goreyo, people close to the King led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was exercised by some certain people or Jeongbang(the political office, 政房). As a result, the resignment system on the officials was arbitrarily operated by military politicians or persons close to the King, which collapsed the principles such as age, illness, request of the official, grant of the hutch and stick from the King(几杖下賜), and extension of the official position. While the advance resignation was generalized at the latter period of Goryeo, the officials who resigned at the earlier age, organized the club of resigned and elderly officials(耆老會) to promote friendship and enjoy leisure.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as the different political aspects such as Kingship(重祚), governing by the King(親朝) and , detainment of the King appeared, the resigned officials participated in the meeting of the Dopyeongwisasa(都評議使司) or in the political operation including response to the consultation for the King.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officials who retired earlier than 70 years old increase, the Goryeo government was used to appoint them for posts(封君) in order to induce political participation of officials and to give more economic benefits.

      • KCI등재

        4세기 로마제국에서의 권력관계 -환관세력과 황제의 친척 간의 관계-

        손태창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6

        The Roman empire in the 4th century experienced the latent struggles in the court while the Proximi-policy of the emperor has been developed. The two representative rivalries were the relatives of the emperor and the court eunuchs as the secret line power. In the background one finds the preference of the emperor for the policy of secret line namely simple and effective policy because the empire was gradually bureaucraticized and some hole in the system came to being. The eunuchs were united with the emperor because of same interests therefore they found themselves in the opposite place to the influential political power groups. One of the rivals of the emperor was his relatives, for instance, Gallus and Julianus were the rivals of the Roman emperor Constantius II. They built up the antagonistic relations with the grand chamberlain Eusebius, the favorite person of Constantius II. Gallus was condemned to death, and Julianus was checked and supervised by the eunuch but in the final this eunuch was revenged by Julianus. However, the model of those relations were not always antagonistic but sometimes the eunuchs built up a cooperative relation for the purpose of practical interest. For example, in the year of 365 one ex-member of Constantine imperial family, Procopius, visited one ex-court eunuch, Eugenius. He wanted to be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eunuch for his planned rebellion. Seen in the power relations of Roman imperial court in the 4th century the non political power like court eunuchs rose on the stage of the powers because of the favor of proximi-policy of the rulers. Even these eunuchs were empowered to the degree that they proved some rivalry with the relatives of the emperor. The consequences of the secret line policy led to the more rooms for power fluctuations or power rivalries in the imperial court. 4세기 로마에서 측근정치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비선세력인 환관과 황제의 정적들이 세력경쟁을 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 배경이 된 것은 제국이 관료주의화하는 과정에서 황제가 간편하고 효율적인 비선정치(秘線政治)를 선호한 점이다. 그러한 탓에 환관세력이 중용되어 정치사적으로 새로운 양식의 통치와 권력경쟁이 전개되었다. 이 환관은 황제와 동일한 정치적 이해관계로 결속되어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황제와 세력경쟁적 관계에 있는 막강한 관직자들과 대척적 관계에 서게 되었다. 황제의 정적들 중에는 친척들도 있었는데 그 예로 콘스탄티우스 2세의 사촌 갈루스와 율리아누스가 있다. 이들은 콘스탄티우스가 신임하던 선임환관 에우세비우스와 적대적 관계를 형성했고 갈루스는 그런 투쟁의 과정에 처형이 되었으며 율리아누스는 견제와 감시를 당한 이후 나중에 복수하였다. 그러나 관계의 유형이 적대적인 것만도 아니어서 실리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환관은 황제의 친척과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구 콘스탄티누스 황가의 일원인 프로코피우스는 재정적 지원을 얻고자 퇴출된 전직환관 에우게니우스와 연대를 형성하였다. 황제의 비선정치는 환관의 중용을 낳았고 그 환관이 정치적으로 야심을 펴는 데에 황제친척이 우호적, 적대적으로 작용한 실례를 서기 4세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원간섭기 監察司의 지위와 역할 -충렬왕과 충선왕대를 중심으로-

        이정훈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5 No.-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d status and role of the Goryeo’s inspection institute against bureaucrats when its name was changed from Eosadae to Gamchalsa, especially focusing on the ages of Kings Chungryeol and Chungseon during Yuan’s intervention period. Eosadae(御史臺) was introduced to Goryeo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Seongjong’s ruling system. Eosadae was responsible for many tasks, but the most important task was the inspection against bureaucrats. By the way, in the early Goryeo era, Eosadae inspected the central officials, while Anchalsa and Mumunsa watched the provincial officials. As such, the inspection duty was duplicated. As the bureaucratic system was downgraded by Yuan in the 1st ruling year of King Chungryeol, Eosadae was renamed Gamchalsa. Gamchalsa succeeded the work of Eosadae in the early Goryeo era. However, as the king, the supreme decision maker of the national administration, frequently left his own land to serve Yuan Emperor, the discipline of the bureaucrats became deteriorated, causing diverse problems in bureaucratic administration and state administration. After his third visit to Yuan, King Chungryeol took control of the natioanl administration with the support of Yuan and carried out Asigamgeom(衙時監檢) to rectify the discipline of the bureaucrats. Asigamgeom was to have Gamchalsa inspect the private lives of bureaucrats twice a year in summer and winter. With the execution of Asigamgeom, Gamchalsa, who had inspected the misconducts, ill rituals, and attitudes during their official works, came to expand its inspection function to the bureaucrats private lives. King Chungseon, who had been critical of King Chungryeol 's confidant politics, reformed the political system by introducing the Yuan’s system based on his long experience in Yuan. King Chongseon introduced the bureaucratic system of the Yuan, which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Eosadae by attaching more importance to the inspector function. He raised the status of Saheonbu(司憲府) up to Jong 2 Pum in his inauguration year and up to Jeong 2 Pum in his rehabilitation year. Thus, he secured Saheonbu to perform the inspection function without being overwhelmed by other author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independence of Saheonbu, he abolished the positions of judges and counselors which had been designated by bureaucrats of the other government offices. The inspection scope of Saneonbu was limited to the central officials in the administrative reform made in his inauguration year. On the other hand, when reforming the administrative system after he came back from Yuan, he made Saheonbu inspect both the central and provincial offices, thereby unifying the dualist inspection work. Unlike in early Goryeo age, Gamchalsa [Saheonbu] during the Yuan’s intervention was not only strengthened in the inspection function with the unification of inspection tasks, but also secured its independence as the inspection office by being raised its status. Of course, the enhanced function and raised position of the inspection office in the Yuan’s intervention was in response to the newly emerging situation of visitation Yuan and returning to Goryeo of kings.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bureaucratic development, this strengthening of the inspection function played a role of enhancing the bureaucratic attribute by establishing the working attitude for bureaucrats and eradicating mischief or corruption. 본 연구는 관료에 대한 감찰을 담당한 어사대가 감찰사로 개칭되면서 변화된 지위 및 역할을 검토한 것으로서, 원간섭기 지배체제가 구축되는 충렬왕대 및 충선왕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어사대는 성종대 지배체제가 정비되면서 고려에 도입되었다. 어사대는 여러 가지 업무를 담당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업무는 관료에 대한 감찰이었다. 그런데 고려전기 감찰 업무는 중앙관은 어사대가, 지방관은 안찰사‧안무사 등이 담당하였다. 충렬왕 원년 원에 의해 관제가 격하되면서, 어사대는 감찰사로 개칭되었다. 감찰사의 업무는 고려전기 어사대의 업무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렇지만 국정 운영의 최고 결정권자인 국왕이 親朝로 국정 운영 현장을 떠남에 따라 관료들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이로 인해 관료제 운영 및 국정 운영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충렬왕은 3차 친조이후 원의 후원으로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관료들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아시감검을 시행하였다. 아시감검은 감찰사가 여름과 겨울 두 차례에 관료들의 근태를 감찰하는 것이었다. 아시감검의 시행으로, 관료들의 업무상 잘못, 의례나 조회 때에 예에 어긋난 행동을 규찰하던 감찰사는 관료들의 근태까지 감찰하게 됨에 따라 감찰 기능이 확대되었다. 충렬왕대 측근정치에 비판적이었던 충선왕은 오랜 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원의 정치제도를 도입하여 정치제도를 개혁하였다. 충선왕은 특히 감찰의 기능을 중시하여 어사대의 지위를 강화시켰던 원의 관제 운영 방식을 도입하여, 즉위년에는 사헌부를 종2품으로, 복위년에 사헌부를 정2품으로 그 지위를 높여주었다. 그리하여 사헌부가 다른 관청에 휘둘리지 않고 감찰 기능을 수행토록 하였다, 또한 사헌부의 독자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관청의 관료가 임명되던 판사직과 지사직을 폐지하였다. 한편 사헌부의 감찰 범위는 즉위년 관제 개혁 때에는 중앙 관료만 감찰하도록 하였다. 반면 재원통치를 실시하였던 복위년 관제 개혁 때에는 사헌부가 중앙관 및 지방관을 모두 감찰하도록 하여 이원화되었던 감찰 업무를 일원화시켰다. 이렇듯 원간섭기 감찰사[사헌부]는 고려전기와 달리, 감찰 업무가 일원화되고 감찰 기능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감찰을 담당한 관청의 지위를 높여 감찰 업무의 독립성을 보장하였다. 물론 원간섭기에 감찰 담당 관청의 위상이 높아지고 그 기능이 강화된 것은 원간섭기에 새로 대두된 친조, 재원통치에 대한 대응이었다. 그렇지만 관료제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감찰 기능의 강화는 관료들에게 근무 자세를 확립하고 비위나 비리를 근절하도록 함으로써 관료로서의 속성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 KCI등재

        신돈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에 대한 재검토 - 중간자적 존재인 이인임ㆍ임박의 중용과 활동에 근거하여 -

        박찬교 ( Park¸ Chan-kyo ) 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논집 Vol.78 No.-

        Among the figures who were incorporated into the center of power during the reign of Shindon(辛旽), Lee In-im(李仁任) and Lim Bak(林樸) hav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not typical of a specific political group. Considering those who were still alive even after the loss of Shindon, the actual role and status of Shindon in the political world may have been more limited than those raised in previous studies depicting Shindon as a reformer. During his reign, Shindon, as an agent of King Gong-min, only played a role in removing forces that did not meet the will of the king or threatened the royal authority. King Gong-min led new reforms by sharing appropriate roles and tasks with new aides. In the end, the assumption of Shindon individual as the subject of reform during the reign and emphasizing his reform tendency stems from the error of assuming all the achievements during the reign of Shindon under the leadership of Shindon.

      • KCI등재

        신돈집권기의 정치와 그 의미

        신은제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3

        Shindon was precipitously appointed and suddenly executed. In the condition of the growth of the militant group that defeated the Hong-Gun Thieves’ invasion, and Heungwongsa’s Rebellion, the collapse of the king’s close hands, and weakness of Ki Empress in the court of Yuan Dynasty, King Gong-Min appointed Shindon as the prime minister of Geoyo Dynasty. Along with Shindon’s reign, the militant group, King’s close Hands, and hereditary peers family were pushed out of power. Of the 43 people who were expelled during the Shindon’s reign, 23 received the honorary degrees of the King Gongmin's 12th year, accounting for 53.4 percent of the 43 people. Many of the characters who were demoted, dismissed, deported or executed, were those who were given the title to the most prestigious public figures, especially those awarded with two or more first-ranked honorary degrees. Shindon has established a power organization to solidify his power, while conducting a political purge since he took power. The new organization was Jeonminchujeongdogam. It was set up to achieve two goals:to appease the worsening public sentiment and solidify his power by designating officials. Jeonminchujeongdogam’s activities earned Shindon praise for saint, but he failed to stabilize the people's livelihood. On the other hand, Jeonminchujeongdogam has become a useful tool for defeating bureaucrats and has achieved the desired results. The powerful Shindon power began to lean since King Gong-Min 19th year, when Ming dynasty which newly established, ordered King Gong-Min ot rule Geoyo Dynasty by hinself. After the order was sent to Geoyo Dynasty, King Gong-Min would like to do it. Then King Gong-min expressed his will to accept Lee-Cheon’ Alleal that King should listen to reports from government departments in the Court, named Bo-pyeong-cheong, six days a month. This led to an immediate counterargument from Shindon, he argued that King could get the reports form government departments only two days a month. As Shindon’s power strengthened, King Gong-min decided to kill him. Finally, Shindon was executed in July 20. The execution was carried out by the will of King Gongmin, but the people who actively responded to the execution were the neo-Confucian scholars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Sungkyunkwan. They grew into critics of Shin-on under the protection of King Gong-min. So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m as cooperating on the ‘Shindon’s reform’. The sudden promotion of a humble Buddhist monk, Shindon, and the exercise of powerful power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neo-Confucian scholars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of Goryeo Dynasty. After Shindon was removed and King Gong-min pasted away, the politics by close hands to kings ended. Now politics was not decided by the a few powerful men surrounding the king, but discussed in Minister’s Conference, named Do-Dang, came to the action under the king’s authority. In the end, the fall of Shindon became the finale of politics by close h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